KR101713470B1 -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470B1
KR101713470B1 KR1020157019767A KR20157019767A KR101713470B1 KR 101713470 B1 KR101713470 B1 KR 101713470B1 KR 1020157019767 A KR1020157019767 A KR 1020157019767A KR 20157019767 A KR20157019767 A KR 20157019767A KR 101713470 B1 KR101713470 B1 KR 10171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user
content
terminal
inher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5638A (en
Inventor
정기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0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속계정 생성요청에 따라 상속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first user account, And register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Description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0001]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0002]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sharing content between terminals.

일반적으로 서버에서 운용하는 계정들은 개인을 대상으로 생성되므로 저장되는 콘텐츠들은 개인 정보가 포함된 부분들이 존재하여 Privacy 문제가 부각된다. 이러한 Privacy가 필요한 부분들은 기존의 계정 및 파일 공유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관리가 쉽지 않다.Generally, since the accounts operated by the server are created for the individual, the privacy problem is highlighted because there are portions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stored contents. These parts of privacy need to be managed by the existing account and file sharing method.

종래의 계정은 1인 1계정을 원칙으로 운용되며, 파일 등의 콘텐츠 공유는 해당 계정에서 원하는 파일만 선택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권한을 열어주는 형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이 실사용에서 특별한 문제는 없었으나, 클라우드 서버로 대표되는 콘텐츠 공유 환경에서는 단말기가 곧 개인 계정과 1대1로 연동되는 사용Scene이 많아 단말기 간에 Privacy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Conventional accounts are operated on a one-person account basis, and sharing of contents such as files takes a form in which only a desired file is selected in the corresponding account and a privilege is opened to a specific user.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in practical use of such a method, in the content sharing environment represented by a cloud server, there are many usage scenes in which a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a personal account on a one-to-one basis,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privacy between terminals.

본 발명은 상속 계정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고려하면서도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 관리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sharing contents while taking privacy into account through an inheritance accou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속계정 생성요청에 따라 상속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first user account, And register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컨텐츠 관리 장치의 사용자 계정에 컨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상속계정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상속계정 생성요청에 따라 생성된 상속 계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속계정 생성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을 상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loading content to a user account of 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requesting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to create an inheritance account; And transmitting a registration request for registering some of the uploaded contents to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to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속계정 생성요청에 따라 상속 계정을 생성하는 계정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first user account, An account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n inheritance account, and a controller for registering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속 계정을 통해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can be effectively shared among terminals through an inheritance accou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속 계정을 통해 프라이버시 유지가 가능한 단말기와 프라이버시 유지가 불가능한 단말기 간에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can be effectively shared while maintaining privacy between a terminal capable of maintaining privacy and a terminal unable to maintain privacy through an inheritance accou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의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는 계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FIG. 3,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ladder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llustrates content stored in an account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are views showing content information exposed to a user according to an account connected to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스마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hav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smart TVs, desktop computers,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s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network system and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A), 제2 단말기(100B), 서버(200) 및 공용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network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00A, a second terminal 100B, a server 200, and a common terminal 300.

제1 단말기(100A)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A, 제1 단말기(100A)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user_A, 제2 단말기(100B)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B, 제2 단말기(100B)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user_B, 계정 간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생성된 상속 계정이 user_S 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속 계정의 개념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The user using the first terminal 100A is denoted by A,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A is denoted by user_A, the user using the second terminal 100B is denoted by B,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is used The user account is user_B, and the inherited account created to share contents between accounts is user_S. The concept of an inherited accou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제1 단말기(100A)는 사용자 계정 user_A 및 상속 계정 user_S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고, 제2 단말기(100B)는 사용자 계정 user_B 및 상속 계정 user_S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고, 공용 단말기(300)는 사용자 계정 user_A, 사용자 계정 user_B 및 상속 계정 user_S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제1 단말기(100A)는 사용자 계정 user_B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고, 제2 단말기(100B)는 사용자 계정 user_A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다.The first terminal 100A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account user_A and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account user_B and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The first terminal 100A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account user_A, the user account user_B, and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but the first terminal 100A may access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account user_B ,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may access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account user_A.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계정은 인증을 받거나 로컬이나 네트워크의 자원에 접근을 가능케 해주며, 각 사용자를 구분지을 수 있는 객체일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count may be an object which can be authenticated, access to resources of the local or network, and can distinguish each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컨텐츠라 함은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파일, 동영상 등과 같은 비디오 파일, 음악과 같은 오디오 파일, 문서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image file such as a photograph, a video file such as a moving image, an audio file such as music, a document fil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100A) 및 제2 단말기(100B)는 상술한 스마트 폰일 수 있고, 공용 단말기(300)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00A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may be the smart phone described above, and the public terminal 300 may be a smart TV, but need not be limited thereto.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또한, 도 1에서 설명된 공용 단말기(300)도 도 2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blic terminal 300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terminal 100 in FIG.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terminal 100.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terminal 100,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surfac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an infrared ray. The proximity sensor 141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type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to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by the user to the cradle may be transmitted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저장부(210), 계정 관리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210, an account management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저장부(210)는 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서버(200)에 접속하는 각 사용자 계정에 저장영역을 할당하여 사용자 계정이 업로드한 컨텐츠를 사용자 계정 별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210 may store the content uploaded through the terminal 100. [ The storage unit 210 may allocate a storage area to each user account connected to the server 200 and store the contents uploaded by the user account for each user account.

계정 관리부(220)는 단말기(100)가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 계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account management unit 220 has user account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100 to access the server 200 and can manage user account information.

계정 관리부(220)는 각 사용자 계정에 패스워드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사용자 계정과 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서버(200)에의 접속을 승낙할 수 있다.The account management unit 220 may store a password corresponding to each user account and may accept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200 only when the user account and the corresponding password match.

특히, 계정 관리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상속 계정 생성 요청에 대응하여 상속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ccount management unit 220 may create an inheritance account in response to a request to create an inheritance account from the terminal 100.

제어부(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의 구체적인 동작은 자세히 후술한다.The control unit 23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200. [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FIG. 4 is a ladder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를 참고하면, 제1 단말기(100A) 및 제2 단말기(100B)는 서버(200)에 제1 단말기(100A)에 저장된 컨텐츠 및 제2 단말기(100B)에 저장된 컨텐츠를 각각 업로드한다(S101).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user_A 및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user_B를 가지고 있다.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 user_A로 로그인하여 제1 단말기(100A)를 서버(200)에 접속시킬 수 있고, 사용자 계정 user_A에 제1 단말기(100A)에 저장된 컨텐츠를 서버(200)에 업로드시킬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는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사용자 계정 user_A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4, the first terminal 100A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respectively upload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100A 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100B to the server 200 (S101 ). Specifically, the server 200 has a user account user_A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A and a user account user_B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100B. 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can connect the first terminal 100A to the server 200 by logging in as his own user account user_A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100A in the user account user_A to the server 200. [ (200). Then, the server 200 can store the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account user_A.

마찬가지로,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 user_B로 로그인하여 제2 단말기(100B)를 서버(200)에 접속시킬 수 있고, 사용자 계정 user_A에 제2 단말기(100B)에 저장된 컨텐츠를 서버(200)에 업로드시킬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는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사용자 계정 user_B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Likewise,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may log in as his user account user_B to connect the second terminal 100B to the server 200, and may store the content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100B in the user account user_A Can be uploaded to the server 200. Then, the server 200 may store the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account user_B.

즉, 제1 단말기(100A) 및 제2 단말기(100B)는 각 사용자 계정 간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 서버(200)상에 존재하는 각 사용자 계정에 자신의 컨텐츠를 업로드한다.That is, the first terminal 100A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upload their contents to each user account existing on the server 200 in order to share contents between the respective user accounts.

또한, 각 단말기가 서버(200)에 접속할 시 사용자 계정 외에 패스워드가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계정 user_A의 패스워드는 password_A, 사용자 계정 user_B의 패스워드는 password_B라 가정한다. 단계 S101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each terminal accesses the server 200, a password may b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user account.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password of the user account user_A is password_A and the password of the user account user_B is password_B. Step S10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의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여준다.5 illustrates content stored in an account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A)는 File A1, File A2 및 File A3라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고, 서버(200)에는 제1 단말기(100A)에 저장된 컨텐츠 중 File A1 및 File A2의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정인 user_A의 할당 영역(201)을 통해 File A1 및 File A2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5, the first terminal 100A stores contents of File A1, File A2 and File A3. In the server 200, contents of File A1 and File A2 among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100A Has been uploaded. Specifically, the server 200 may store contents of the file A1 and the file A2 through the allocation area 201 of the user A, which is the user account of 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마찬가지로, 제2 단말기(100B)는 File B1, File B2 및 File B3라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고, 서버(200)에는 제2 단말기(100B)에 저장된 컨텐츠 중 File B1 및 File B2의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의 사용자 계정인 user_B의 할당 영역(203)을 통해 File B1 및 File B2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terminal 100B stores contents of File B1, File B2 and File B3, and contents of File B1 and File B2 of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100B are uploaded to the server 200 . Specifically, the server 200 may store the content of the file B1 and the file B2 through the allocation area 203 of the user_B of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할당 영역(201,203,205)는 서버(200)의 저장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allocation areas 201, 203, and 205 may be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10 of the server 200.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제1 단말기(100A)의 제어부(180)는 서버(200)에 상속 계정 생성을 요청한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상속 계정은 사용자 계정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계정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first terminal 100A requests the server 200 to create an inheritance account (S103). In one embodiment, the inherited account may be a shared account for sharing content between user accounts.

상속 계정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질 수 있다.An inherited account ma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사용자가 상속 계정으로 서버(200)에 접속 시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는 읽기 전용(read only)이다. 즉, 상속 계정으로 서버(200)에 접속 시 사용자는 상속 계정에 대응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할 수 없고, 상속 계정에 컨텐츠를 저장시킬 수 없다. 상속 계정에 컨텐츠를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으로 서버(200)에 접속하여 공유 컨텐츠 등록을 해야한다.Content that is shared by an inherited account when a user accesses the server 200 with an inherited account is read only. That is, when accessing the server 200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the user can not delete the content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and can not store the contents in the inheritance account. In order to store the contents in the inheritance account, the user must access the server 200 with his / her own user account and register the shared contents.

또한, 상속 계정은 가상(vitual)로도 운영가능하며, 사용자 계정 간 공유할 컨텐츠가 있을 경우에만, 임시로 생성하고, 공유할 컨텐츠가 없어지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herited account can be operated in a virtual manner, and it can be created temporarily only when there is content to be shared between user accounts, and can be automatically deleted when the content to be shared disappears.

서버(200)의 계정 관리부(220)는 제1 단말기(100A)의 상속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상속 계정을 생성한다(S105). 이하에서는 생성된 상속 계정을 user_S 라 한다.The account management unit 220 of the server 200 creates an inheritance account in response to the inheritance account creat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100A (S105). In the following, the generated inherited account is called user_S.

제1 단말기(100A)의 제어부(180)는 서버(200)로부터 상속 계정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상속 계정 생성 응답을 수신한다(S107). 상속 계정 생성 응답은 서버(200)가 제1 단말기(100A)에 상속 계정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first terminal 100A receives an inheritance account creation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inheritance account creation request from the server 200 (S107). The inheritance account creation response may be a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server 200 has successfully created an inheritance account in the first terminal 100A.

제1 단말기(100A)의 제어부(180)는 서버(200)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user_A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상속 계정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공유할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컨텐츠를 서버(200)에 등록하기 위한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을 서버(200)에 전송한다(S109). 즉,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은 서버(200)의 사용자 계정 user_A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속 계정 user_S를 통해 다른 사용자 계정과의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first terminal 100A receives a selection of content to be shared with another terminal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amo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A stored in the server 200 and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rver 200 And transmits a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for registration to the server 200 (S109). That is,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may be a request for registering content for sharing with another user account through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of the server 200. [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제1 단말기(100A)로부터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생성된 상속 계정에 사용자 계정 user_A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 A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고(S111),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을 제1 단말기(100A)에 전송한다(S113). 서버(200)는 공유 컨텐츠를 등록함과 동시에 소프트 링크(soft link)를 통해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를 연결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of the server 200 receives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100A and registers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user A amo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A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as the shared content (S111 , And transmits a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00A (S113). The server 200 may register the shared content and concurrently connect the shared content to the inherited account created through the soft link.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은 사용자 계정 user_A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 A가 공유를 원하는 컨텐츠를 상속 계정 user_S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했음을 알리는 응답일 수 있다.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may be a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user A wants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A in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as the shared content.

또한, 사용자 A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컨텐츠의 경우, 상속 계정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 시 공유된 컨텐츠는 읽기 전용(read only)이다. 즉, 사용자는 상속 계정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 시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를 삭제할 수 없고, 상속 계정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 시 상속 계정에 컨텐츠를 업로드 할 수 없다. 단계 S109 및 단계 S111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tent shared by the user 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the content shared when accessing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is read only. That is, the user can not delete the contents shared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when accessing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and can not upload the contents to the inheritance account when accessing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Step S109 and step S1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A의 제1 단말기(100A)는 서버(200)에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 user_A의 할당 영역(201)에 저장된 컨텐츠 중 File A1을 상속 계정을 통해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와 공유하기 위해 File A1의 선택을 입력받고, 서버(200)에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는 File A1을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고, 등록된 File A1을 생성된 상속 계정 user_S의 할당 영역(205)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File A1이라는 공유 컨텐츠를 소프트 링크를 통해 상속 계정 user_S에 연결시켜 상속 계정의 할당 영역(205)에 File A1을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terminal 100A of the user A accesses the file A1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allocation area 201 of the user account user_A existing in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And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file A1 to share with the user B, and requests the server 200 to register the shared content. Then, the server 200 can register the file A1 as the shared content and store the registered file A1 in the allocation area 205 of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user_S. That is, the server 200 may connect the inherent account user_S through the soft link to the shared content of the file A1 and store the file A1 in the allocation area 205 of the inheritance account.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제1 단말기(100A)의 제어부(180)는 상속 계정 접근대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속 계정 접근대상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115). 즉, 서버(200)에는 사용자 계정 user_A, user_B 등 복수의 사용자 계정이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 A는 제1 단말기(100A)를 통해 서버(200)에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 중 상속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계정을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first terminal 100A sets an inheritance account access target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inherited account access target to the server 200 at step S115. That is, a plurality of user accounts such as user accounts user_A and user_B may exist in the server 200, and the user A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inherited accounts among the user accounts existing in the server 2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0A You can select a user account.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는 상속 계정 user_S을 통해 사용자 계정 user_A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하고 싶은 사용자 계정의 단말기에 상속 계정 접근대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may transmit the inheritance account access target information to a terminal of a user account to share some or all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이 경우, 제1 단말기(100A)는 서버(200)로부터 서버(200)에 존재하는 사용자계정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 리스트를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0A may receive and store a user account list including user accounts existing in the server 200 from the server 200 in advance.

또한, 이하 예에서 상속 계정 접근대상은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계정인 user_B로 설정됨을 가정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herited account access target is set to user_B, which is the user account of the second terminal 100B.

서버(200)의 제어부(180)는 제1 단말기(100A)로부터 상속 계정 접근대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속 계정 접근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단말기(제2 단말기(100B))에 상속 계정 정보를 전송한다(S117). 일 실시 예에서 상속 계정 정보는 제1 단말기(100A)의 상속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서버(200)가 생성한 상속 계정 및 상속 계정 접근대상을 설정한 사용자 계정(여기서는, user_A)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server 200 receives the inheritance account access object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A and transmits the inheritance accou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inheritance account access object information (the second terminal 100B) (S117). In one embodiment, the inheritance account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heritance account created by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inheritance account creat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100A, and a user account (in this case, user_A) that sets an inheritance account access object .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는 상속 계정 정보를 통해 상속 계정 및 상속 계정을 전송한 사용자 A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can confirm the user A who transmitted the inheritance account and the inheritance account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information.

제2 단말기(100B)의 제어부(180)는 서버(200)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user_B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상속 계정을 통해 제1 단말기(100A)와 공유할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컨텐츠를 서버(200)에 등록하기 위한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을 서버(200)에 전송한다(S119). 단계 S119는 사용자 B가 자신의 사용자 계정인 user_B로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second terminal 100B receives the selection of content to be shared with the first terminal 100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amo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B stored in the server 200, To the server 200, a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for registering with the server 200 (S119). Step S119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B accesses the server 200 with his user account user_B.

즉,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은 서버(200)의 사용자 계정 user_B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속 계정 user_S를 통해 사용자 계정 user_A와의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That is,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may be a request for registering the content for sharing with the user account user_A through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B of the server 200. [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제2 단말기(100B)로부터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생성된 상속 계정에 사용자 계정 user_B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 B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고(S121),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을 제2 단말기(100B)에 전송한다(S123).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은 상속 계정 user_S에 사용자 계정 user_B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 B가 공유를 원하는 컨텐츠를 공유 컨텐츠로 등록했음을 알리는 응답일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of the server 200 receives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100B and registers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user B amo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B in the inherited account created as the shared content (S121 , And transmits a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100B (S123).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may be a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user B wants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B in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as shared content.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에 사용자 A가 상속 계정 user_S에 공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2 단말기(100B)에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to the second terminal 100B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hared by the user A in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이 때, 서버(200)는 제2 단말기(100B)를 통해 등록된 공유 컨텐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공유 컨텐츠 알림 정보를 제1 단말기(100A)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상속 계정 user_S에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계정 user_A이 공유한 컨텐츠 이외에 다른 사용자 계정(여기서는 user_B)이 공유한 컨텐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리는 공유 컨텐츠 알림 정보를 제1 단말기(100A)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shared content announce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A indicating that the shared content registered through the second terminal 100B has been generated. That is, the server 200 notifies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of the shared content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notifies the user of the content shared by another user account (here, user_B) other than the content shared by the user account user_A of the first terminal 100A, (100A).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는 상기 공유 컨텐츠 알림 정보를 통해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가 상속 계정 user_S를 통해 공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can intuitively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hared by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through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through the shared content notification information.

단계 S119 및 단계 S121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teps S119 and S1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B의 제2 단말기(100B)는 서버(200)에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 user_B의 할당 영역(203)에 저장된 컨텐츠 중 File B1을 상속 계정을 통해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와 공유하기 위해 File B1의 선택을 입력받고, 서버(200)에 공유 컨텐츠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는 File B1을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고, 등록된 File B1을 생성된 상속 계정 user_S의 할당 영역(205)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File B1이라는 공유 컨텐츠를 소프트 링크를 통해 상속 계정 user_S에 연결시켜 상속 계정의 할당 영역(205)에 File B1을 저장할 수 있다.5, the second terminal 100B of the user B accesses the file B1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allocation area 203 of the user account user_B existing in the server 200 to the first terminal 100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And receives a selection of the file B1 to share with the user A and requests the server 200 to register the shared content. Then, the server 200 may register the file B1 as the shared content and store the registered file B1 in the allocation area 205 of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user_S. That is, the server 200 may connect the inherent account user_S through the soft link to the shared content of the file B1 and store the file B1 in the allocation area 205 of the inheritance account.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제2 단말기(100B)의 제어부(180)는 서버(200)로부터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컨텐츠를 표시한다(S125). 여기서, 제2 단말기(100B)에 표시된 컨텐츠는 사용자 A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컨텐츠 및 사용자 B의 사용자 계정 user_B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공유 컨텐츠 등록 응답은 사용자 계정 user_B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 B가 공유를 원하는 컨텐츠를 상속 계정 user_S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했음을 알리는 응답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second terminal 100B receives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from the server 200 and displays the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S125).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100B may be the content shared by the user 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and the content stored on the user B user_B of the user B. The shared content registration response may be a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user B wants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B in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as the shared content.

제2 단말기(100B)의 제어부(180)는 서버(200)에 표시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요청을 전송하고(S127), 컨텐츠 관리 요청에 따른 컨텐츠 관리 응답을 수신한다(S129).The controller 180 of the second terminal 100B transmits a content management request for manag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erver 200 in operation S127 and receives a content management response in response to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in operation S129.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관리 요청은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가 상속 계정 user_S에 공유한 사용자 계정 user_B의 컨텐츠의 삭제 요청일 수 있다. 즉, 사용자 B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컨텐츠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 서버(200)는 상기 컨텐츠 삭제 요청을 통해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관리 요청이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가 상속 계정 user_S에 공유한 컨텐츠를 삭제하는 요청인 경우, 서버(200)는 컨텐츠 삭제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속 계정을 통해 사용자 A가 공유한 컨텐츠는 읽기 전용(read only)이기 때문이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may be a request to delete the content of the user account user_B shared by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to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That is, when the user B desires to delete the content shared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the server 200 can delete the content through the content deletion request. Meanwhile, if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is a request to delete content shared by 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to the inherited account user_S, the server 200 may deny the content deletion request. This is because the content shared by user A through the inherited account is read only.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컨텐츠 관리 요청은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가 자신의 사용자 계정 user_B에만 저장된 컨텐츠의 삭제 요청일 수 있다. 즉, 사용자 B가 상속 계정에 공유한 컨텐츠가 아닌 자신의 사용자 계정인 user_B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 제2 단말기(100B)를 통해 컨텐츠 삭제 요청을 서버(200)에 전송하여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may be a deletion request of content stored in only the user B of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That is, when the user B desires to delete the contents stored in the user_B, which is his or her own user account, not the contents shared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the content dele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second terminal 100B to delete the contents .

공용 단말기(300)는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해 계정 접속 요청을 전송하고(S131), 계정 접속 요청이 수락되면,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공용 단말기(300)에 접속한 계정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고(S133), 공용 단말기(300)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한다(S135). 공용 단말기(300)는 사용자 계정 user_A, user_B, 상속 계정 user_S 중 어느 하나의 계정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함을 가정하면, 서버(200)에 접속되는 계정에 따라 달라지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접속한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public terminal 300 transmits an account access request to access the server 200 in operation S131 and if the account access request is accepted, the control unit 230 of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account access request to the public terminal 300 (S133), and the shared terminal 300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S135). Assuming that the public terminal 300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any one of the user accounts user_A, user_B, and inherited account user_S, the public terminal 300 can receive content inform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an account connected to the server 200 hav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nected account.

물론, 제1 단말기(100A) 및 제2 단말기(100B) 또한, 접속되는 계정에 따라 달라지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Of course, the first terminal 100A and the second terminal 100B may also receive content inform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connected accou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FIG.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는 계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to 11 are views showing content information exposed to a user according to an account connected to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의 경우는 사용자 계정 user_A, 패스워드 password_A로 제1 단말기(100A)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준다.6, contents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 is displayed when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0A with the user account user_A and the password password_A.

도 6을 참조하면,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기(100A)는 사용자 계정 user_A에 저장된 File A1, File A2 및 사용자 B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File B1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A)의 사용자 A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인 user_A에 저장된 File A1, File A2를 Write 및 delete 할 수 있으나, 상속 계정에 저장된 File B1을 Write 및 delete할 수는 없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readonly). 다만, File A1은 상속 계정에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 계정 user_A에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File A1을 Write 및 delete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terminal 100A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receives the content including the file A1, the file A2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and the file B1 shared by the user B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Can be displayed. The user A of the first terminal 100A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A1 and file A2 stored in his / her user account userA, but can not read and write the file B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readonly). However, since the file A1 is stored in the inherited account, but is also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the user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A1.

다음으로, 도 7의 경우는 사용자 계정 user_B, 패스워드 password_B로 제2 단말기(100B)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준다.7, content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 is displayed when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second terminal 100B with the user account user_B and the password password_B.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기(100B)는 사용자 계정 user_B에 저장된 File B1, File B2 및 사용자 A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File A1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00B)의 사용자 B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인 user_B에 저장된 File B1, File B2를 Write 및 delete 할 수 있으나, 상속 계정에 저장된 File A1을 Write 및 delete할 수는 없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readonly). 다만, File B1은 상속 계정에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 계정 user_A에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File B1을 Write 및 delete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terminal 100B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receives the content including the file B1, the file B2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B, and the file A1 shared by the user 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Can be displayed. The user B of the second terminal 100B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B1 and file B2 stored in his user account user_B but can not read or write the file A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readonly). However, since the file B1 is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but is also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the user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B1.

다음으로, 도 8의 경우는 상속 계정 user_S, 패스워드 password_A로 공유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준다. 즉, 사용자 A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 user_A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password_A를 이용하여 상속 계정 user_S로 공용 단말기(300)를 서버(200)에 접속시킬 수 있다.Next, FIG. 8 shows content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 when accessing the server 200 through the shared terminal 300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and the password password_A. That is, the user A can connect the public terminal 300 to the server 200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using the password password_A corresponding to his / her user account user_A.

도 8을 참조하면,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공유 단말기(300)는 상속 계정 user_S에 저장된 File A1, File B1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공유 단말기(300)의 사용자 A는 상속 계정에 저장된 File A1, File B1을 Write 및 delete할 수는 없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readonly).Referring to FIG. 8, the sharing terminal 300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can display the contents including the file A1 and the file B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The user A of the shared terminal 300 can not read and write the file A1 and file B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but can read it.

다음으로, 도 9의 경우는 상속 계정 user_S, 패스워드 password_B로 공유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준다. 즉, 사용자 B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 user_B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password_B를 이용하여 상속 계정 user_S로 공용 단말기(300)를 서버(200)에 접속시킬 수 있다.Next, FIG. 9 shows content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 when accessing the server 200 via the shared terminal 300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and the password password_B. That is, the user B can connect the public terminal 300 to the server 200 with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by using the password password_B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unt user_B.

도 9를 참조하면,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공유 단말기(300)는 상속 계정 user_S에 저장된 File A1, File B1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공유 단말기(300)의 사용자 B는 상속 계정에 저장된 File A1, File B1을 Write 및 delete할 수는 없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readonly).Referring to FIG. 9, the sharing terminal 300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may display contents including the file A1 and the file B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user_S. The user B of the shared terminal 300 can not read or write File A1 and File B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but can read it.

다음으로, 도 10의 경우는 사용자 계정 user_A, 패스워드 password_A로 공용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준다.10, content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 is displayed when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public terminal 300 with the user account user_A and the password password_A.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공유 단말기(300)는 사용자 계정 user_A에 저장된 File A1, File A2 및 사용자 B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File B1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공유 단말기(300)의 사용자 A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인 user_A에 저장된 File A1, File A2를 Write 및 delete 할 수 있으나, 상속 계정에 저장된 File B1을 Write 및 delete할 수는 없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readonly). 다만, File A1은 상속 계정에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 계정 user_A에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File A1을 Write 및 delete할 수 있다.10, the sharing terminal 300 receiving the content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displays contents including the files A1 and A2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and the file B1 shared by the user B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can do. The user A of the shared terminal 300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A1 and file A2 stored in his / her user account userA, but can only read and write the file B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readonly). However, since the file A1 is stored in the inherited account, but is also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A, the user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A1.

다음으로, 도 11의 경우는 사용자 계정 user_B, 패스워드 password_B로 공용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컨텐츠 정보를 보여준다.11, contents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 is displayed when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public terminal 300 with the user account user_B and the password password_B.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공유 단말기(300)는 사용자 계정 user_B에 저장된 File B1, File B2 및 사용자 A가 상속 계정을 통해 공유한 File A1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공유 단말기(300)의 사용자 B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인 user_B에 저장된 File B1, File B2를 Write 및 delete 할 수 있으나, 상속 계정에 저장된 File A1을 Write 및 delete할 수는 없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readonly). 다만, File B1은 상속 계정에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 계정 user_B에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File B1을 Write 및 delete할 수 있다.11, the sharing terminal 300 receiving the content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displays contents including File B1, File B2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B, and File A1 shared by the user A through the inheritance account can do. The user B of the shared terminal 300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B1 and file B2 stored in his user account user_B but can not read and write the file A1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readonly). However, since the file B1 is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but is also stored in the user account user_B, the user can write and delete the file B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18)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상속계정 생성요청에 따라 상속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는 단계;
제2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장치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상속 계정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장치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상속 계정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속 계정으로 접속한 장치로, 상기 상속 계정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A content management method for 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first user account;
Creating an inheritance account in response to a request to create an inheritance account of the first terminal;
Registering some of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as shared contents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Receiving content from a second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second user account;
Registering some of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user account as shared contents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Transmitting information on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and contents registe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to a device connected with the first user account;
Transmitting information on content stored in the second user account and content registe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to a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user account;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contents registered in the inherited account to a device connected to the inherited account
Content managemen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속 계정은 사용자 계정 간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생성된 계정인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herited account is an account created to share content between user accounts
Content managemen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gistering of som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as shared contents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comprises:
Transmitting a registration request for registering som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generated inherited account as shared contents; Comprising receiv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속 계정에 대한 접근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 대상 정보에 따라 제2 단말기에 상기 상속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ccess object information for the inheritance accoun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inheritance account to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ss target information
Content management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관리 요청에 대한 컨텐츠 관리 응답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content management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a content management response to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Content management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속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 응답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속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요청을 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Receiving a request to delete the content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management response to the second terminal
Rejecting a request to delete content stored in the inherited account
Content management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제2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속계정 생성요청에 따라 상속 계정을 생성하는 계정 관리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장치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상속 계정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장치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상속 계정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속 계정으로 접속한 장치로 상기 상속 계정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A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comprising:
A storage unit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terminal,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first user account, receiving content from a second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second user account,
An account manager for generating an inheritance account in response to a request to create an inheritance account of the first terminal;
Registering some of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as shared contents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and registering some contents of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user account as shared contents in the generated inheritance account,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registe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are transmitted to the device connected with the first user account,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contents registe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contents registe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to a device connected to the inheritance account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속 계정은 사용자 계정 간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생성된 계정인
컨텐츠 관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herited account is an account created to share content between user accounts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상속 계정에 공유 컨텐츠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registration request for registering a content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user account as shared content in the generated inherited account from the first terminal; doing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속 계정에 대한 접근 대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접근 대상 정보에 따라 제2 단말기에 상기 상속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access object information for the inheritance accoun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inheritance account to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ss object information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 요청에 대한 컨텐츠 관리 응답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content management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ent management response to the content management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속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속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요청을 거부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request to delete the content stored in the inheritance account from the second terminal,
Rejecting a request to delete content stored in the inherited account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KR1020157019767A 2013-02-14 2013-02-14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KR1017134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1140 WO2014126276A1 (en) 2013-02-14 2013-02-14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638A KR20150105638A (en) 2015-09-17
KR101713470B1 true KR101713470B1 (en) 2017-03-22

Family

ID=5135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767A KR101713470B1 (en) 2013-02-14 2013-02-14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3470B1 (en)
WO (1) WO2014126276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52B1 (en) * 2010-07-21 2011-10-10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a media sharing folder and user accounts for media shar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20120023191A1 (en) 2010-07-21 2012-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KR101145385B1 (en) * 2010-05-31 2012-05-15 (주)이앤비소프트 Data upload method using shortcut
US20120215814A1 (en) 2008-01-29 2012-08-23 Jeremy Kraybill Client Integrated Artwork/File Reposito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701A (en) * 2000-03-25 2000-07-05 최선정 A sharing method of user account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KR100832093B1 (en) * 2007-07-09 2008-05-27 주식회사 넷츠 Provisioning apparatus for resources and authorities for integrated identity management
KR101405919B1 (en) * 2007-07-20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Host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service of sharefolder
KR100987157B1 (en) * 2010-06-04 2010-10-11 이에스이 주식회사 Xml based web application access control system and the access control method
KR101044343B1 (en) * 2011-03-08 2011-06-29 주식회사 쓰리에스플래너 Cloud disk shar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5814A1 (en) 2008-01-29 2012-08-23 Jeremy Kraybill Client Integrated Artwork/File Repository System
KR101145385B1 (en) * 2010-05-31 2012-05-15 (주)이앤비소프트 Data upload method using shortcut
KR101071552B1 (en) * 2010-07-21 2011-10-10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a media sharing folder and user accounts for media shar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20120023191A1 (en) 2010-07-21 2012-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638A (en) 2015-09-17
WO2014126276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9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 short message
US2014016031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155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thereof
US10721288B2 (en) Method for sharing fil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US20160381629A1 (en) Virtual sim card for accessing operator network
RU2638938C2 (en) Method and device for alerting incoming call
JP20175318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 short message
EP3726376B1 (en) Program orche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5516508A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virtual SIM card
KR101917698B1 (en) Sns system and sns information protecting method thereof
US20180342029A1 (en) Metho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nvoking a virtual public transport card
KR20140100642A (en) Integated management method of sns contents for plural sns channels and the terminal thereof
KR102071530B1 (en) Apparatas and method for proposing a response manual of occurring denial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177802B1 (en) Apparatas and method for including a multi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69183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ublication via web site thereof
CN107612888B (en) Enterprise user space creation method and device
US10027629B2 (en) Short message service reading method and device
KR1022134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KR10198746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958777B1 (en) Controll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509258B1 (en) Method for dispalying broadcasting progra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5376399A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device
KR101713470B1 (en)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KR101760770B1 (en)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Among Network Devices
KR102093332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