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429B1 - 조립형 황토블럭 - Google Patents
조립형 황토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429B1 KR101713429B1 KR1020150113973A KR20150113973A KR101713429B1 KR 101713429 B1 KR101713429 B1 KR 101713429B1 KR 1020150113973 A KR1020150113973 A KR 1020150113973A KR 20150113973 A KR20150113973 A KR 20150113973A KR 101713429 B1 KR101713429 B1 KR 101713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frame member
- loess
- fixed
- yel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87—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황토블럭에 관한 것으로, 황토에 대한 밀도와 전단응력을 높이면서도 황토블럭의 비틀림 응력에 강하고 벽면에 대한 부착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벽면에 대한 부착 시공이 빠르고 저렴하게 가능한 조립형 황토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강도와 응력이 취약한 황토층에 대해 별도의 액자형 테두리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벽체에 쉽게 황토블럭을 부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조립과 벽면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각 조립형 황토블럭은 적층되기도 하면서 벽면에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강력한 벽면 부착력을 갖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강도와 응력이 취약한 황토층에 대해 별도의 액자형 테두리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벽체에 쉽게 황토블럭을 부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조립과 벽면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각 조립형 황토블럭은 적층되기도 하면서 벽면에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강력한 벽면 부착력을 갖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형 황토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황토에 대한 밀도와 전단응력을 높이면서도 황토블럭의 비틀림 응력에 강하고 벽면에 대한 부착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벽면에 대한 부착 시공이 빠르고 저렴하게 가능한 조립형 황토블럭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황토는 원적외선 방출 및 항균, 습도유지 등의 다양한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어 화장료, 염료, 페인트 및 벽돌 등의 건축자재 등으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최근, 시멘트와 각종 접착제를 이용한 벽지 및 바닥재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하이드에 의한 "새집 증후군"이 이슈화됨에 따라서 천연성분을 이용한 건축재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그 효능이 잘 알려진 황토를 이용하여 구들장, 벽돌 및 몰탈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황토를 건축자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강도와 내구성 등을 지녀야 하는데, 대부분의 황토벽돌은 이를 만족하지 못하거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멘트 등을 다량 포함시켜 제조함으로써 황토의 함량이 50%를 넘지 않는 제품이 대부분이고, 이로 인해 황토의 효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황토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건축 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은 특허 출원 10-2014-107184호, 발명의 명칭 '황토블럭 및 그 제조방법' 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 출원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황토블럭(100)에 대해 살펴보면, 건축 자재로서 황토블럭이 사용될 정도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최하부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배면부재(110)가 구성되며 그 배면부재(110)는 일정 간격마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2)가 마련되어져 있고, 그 배면부재(110) 상부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부(112)에 밀착되게 격자형상의 금속망(120)이 배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112)와 금속망(120)이 용접되어 상기 배면부재(110)와 금속망(120)이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금속망(120)과 배면부재(110)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 그 공간에 황토층(130)을 가득 채우고, 상기 금속망(120)의 상부에도 일정한 두께만큼 황토층(130)으로 채워진 블록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황토블럭(100)은 상기 배면부재(110)의 강도로 인해 전체 황토블럭(100)이 일정한 건축자재로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황토블럭(100)은 실내의 벽체에 시공된 다음, 타카장치(미도시)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기타 실내 인테리어 시공을 하는 경우, 상기 용접부(114)에 타카침이 접촉되면 타카침이 제대로 박히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 황토블럭(100)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배면부재(11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가가 비싸고, 합성수재 판재로 구성한다고 하여도 돌출부(112)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금형으로 주문 제작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리석과 같은 석판을 벽면에 고정하는 것과 동일한 시공방식으로 황토블럭(100)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부착 시공비용과 시간이 과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황토에 대한 밀도와 전단응력을 높이면서도 황토블럭의 비틀림 응력에 강하고 벽면에 대한 부착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벽면에 대한 부착 시공이 빠르고 저렴하게 가능한 조립형 황토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액자형 테두리 부재(4)와;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덮도록 안착된 격자형 그물망(6)과;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을 액자형 테두리 부재(4)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4)과; 상기 중공부(10)의 내부와,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의 상부로 일정두께까지 황토반죽이 타설되어 형성된 황토층(8)과;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게 돌출된 조립 금구(22a,2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는 일자형 각목이 사각형 형상으로 타카침(12)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금구(22a,22b)는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 2 조립금구(22b)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1조립금구(22a)와;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 1조립금구(22a)가 내부에 끼워지는 제 2 조립금구(22b)로 이루어져, 어느 한 조립형 황토블럭(2)을 벽면에 부착하고, 그 상단에 연속적으로 다른 조립형 황토블럭(2)을 조립금구(22a,22b)의 끼움을 통해 조립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a) 내부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제작하는 과정과; b)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면에 격자형 그물망(6)을 안착시키는 과정과; c)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에 대해 격자형 그물망(6)을 고정수단(14)으로 고정시키는 과정과; d) 액자형 테두리 부재(4)가 내부에 요입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사각 금형틀(20)에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요입시키는 과정과; e) 상기 중공부(10)의 내부와,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의 상부로 일정두께가 되게 황토반죽을 타설하여 황토층(10)이 형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또는 e) 과정의 다음으로,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게 돌출된 조립 금구(22a,22b)를 고정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은 강도와 응력이 취약한 황토층에 대해 별도의 액자형 테두리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벽체에 쉽게 황토블럭을 부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조립과 벽면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각 조립형 황토블럭은 적층되기도 하면서 벽면에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강력한 벽면 부착력을 갖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황토블럭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과 그 벽면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을 복수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과 그 벽면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을 복수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과 그 벽면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을 복수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은 황토에 대한 밀도와 전단응력을 높이면서도 황토블럭의 비틀림 응력에 강하고 벽면에 대한 부착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벽면에 대한 부착 시공이 빠르고 저렴하게 가능한 조립형 황토블럭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은 중앙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액자형 테두리 부재(4)와;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덮도록 안착된 격자형 그물망(6)과;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을 액자형 테두리 부재(4)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4)과; 상기 중공부(10)의 내부와,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의 상부로 일정두께까지 황토반죽이 타설되어 형성된 황토층(8)과;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게 돌출된 조립 금구(22a,22b)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은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황토층(8)이 구성되고 그 배면과 전면에 형성된 황토층(8)이 중공부(10)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됨으로써 일체화되고, 그로인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인체에 유익한 재료이므로 실내 건축 자재로 적합하다.
이때,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는 일자형 각목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일자형 각목을 각각 내부에 중공부(10)가 만들어질 수 있게 사각형상으로 구성하고 각 각목을 타카침(12)에 의해 결합시키면 액자형 테두리 부재(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는 금형을 통해 몰딩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도 제작 가능하다.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 단가를 하락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은 실내 건축 자재 특히, 벽체용 건축 자재로 사용되므로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은 각각 벽체에 용이하게 부착되면서도, 하부에 부착된 조립형 황토블럭(2)의 상면에 또 다른 조립형 황토블럭(2)이 중첩되게 조립됨으로써 두 조립형 황토블럭(2)간 조립력과 각 조립형 황토블럭(2)의 벽면 고정력이 더해져서 벽체에 대한 부착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에는 그 상단과 하단에 각각 조립 금구(22a,22b)가 부착되어져 있다.
특히,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에는 그 상하 배면에 조립 금구(22a,22b) 각각 고정되어져 있으며, 그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게 돌출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조립금구(22a,22b)는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 2 조립금구(22b)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1조립금구(22a)와;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 1조립금구(22a)가 내부에 끼워지는 제 2 조립금구(22b)로 이루어진다.
그로인해, 조립형 황토블럭(2)을 벽면에 부착하는 시공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조립형 황토블럭(2)을 벽면에 부착하고, 그 상단에 연속적으로 다른 조립형 황토블럭(2)을 조립금구(22a,22b)의 끼움을 통해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2)은 내부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제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제작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는 일자형 각목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일자형 각목을 각각 내부에 중공부(10)가 만들어질 수 있게 사각형상으로 구성하고 각 각목을 타카침(12)에 의해 결합시키면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구성할 수도 있고, 금형을 통해 몰딩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도 제작 가능하다.
이때, 여기엔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게 돌출된 조립 금구(22a,22b)를 고정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면에 격자형 그물망(6)을 안착시키고,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에 대해 격자형 그물망(6)을 고정수단(14)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4)은 못이나 볼트, 타카, 칼브럭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가 내부에 요입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사각 금형틀(20)에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요입시킨다.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가 내부에 요입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사각 금형틀(20)에 요입된 상태에, 작업자는 상기 중공부(10)의 내부와,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의 상부로 일정두께가 되게 황토반죽을 타설하는 바, 중공부(10)가 먼저 황토반죽으로 채워지고,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의 내부가 채워지고, 그 상부로 일정두께가 되게 황토반죽이 채워진다.
그러면, 일정한 두께의 황토층(10)이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게 돌출된 조립 금구(22a,22b)를 고정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조립형 황토블럭(2)은 어느 한 조립형 황토블럭(예, 100, 설명의 편의상 100과, 100A로 기재함)을 벽면 하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조립형 황토블럭(100)의 하부와 상부에 돌출된 제 1, 2조립금구(22a, 22b)에 대해 피스나 칼브럭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킨다.
그 상태에서, 또 다른 조립형 황토블럭(100A)의 하부에 돌출된 제 1조립금구(22a)를 벽면에 부착된 조립형 황토블럭(100)의 상단에 형성된 제 2조립금구(22b)의 사이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부에 끼워진 상기 조립형 황토블럭(100A)의 하부와 상부에 돌출된 제 1, 2조립금구(22a, 22b)에 대해 피스나 칼브럭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조립과 벽면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각 조립형 황토블럭(100,100A)은 적층되기도 하면서 벽면에 고정되게 되어 강력한 벽면 부착력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황토블럭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조립형 황토블럭, 4:액자형 테두리 부재,
6:격자형 그물망, 8:황토층,
10:중공부, 12:타카침,
14:고정수단, 22a,22b:제 1,2 조립금구.
6:격자형 그물망, 8:황토층,
10:중공부, 12:타카침,
14:고정수단, 22a,22b:제 1,2 조립금구.
Claims (6)
- 중앙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액자형 테두리 부재(4)와;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덮도록 안착된 격자형 그물망(6)과;
상기 중공부(10)의 내부와,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의 상부로 일정두께까지 황토반죽이 타설되어 형성된 황토층(8)을 포함하는 조립형 황토블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그물망(6)은 고정수단(14)을 통해 테두리 부재(4)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하 배면에는 그 일부가 액자형 테두리 부재(4)를 벗어나도록 조립금구(22a,22b)를 결합시키되, 상기 조립금구(22a,22b)는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 2 조립금구(22b)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1조립금구(22a)와;
상기 액자형 테두리 부재(4)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 1조립금구(22a)가 내부에 끼워지는 제 2 조립금구(22b)로 이루어져, 어느 한 조립형 황토블럭(2)을 벽면에 부착하고, 그 상단에 연속적으로 다른 조립형 황토블럭(2)을 조립금구(22a,22b)의 끼움을 통해 조립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블럭.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973A KR101713429B1 (ko) | 2015-08-12 | 2015-08-12 | 조립형 황토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973A KR101713429B1 (ko) | 2015-08-12 | 2015-08-12 | 조립형 황토블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746A KR20170019746A (ko) | 2017-02-22 |
KR101713429B1 true KR101713429B1 (ko) | 2017-03-07 |
Family
ID=5831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3973A KR101713429B1 (ko) | 2015-08-12 | 2015-08-12 | 조립형 황토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4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04421A (zh) * | 2017-12-26 | 2018-06-01 | 临泉县文献建材有限公司 | 一种温泉洗浴用保温隔热瓷砖及其制作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894B1 (ko) | 2014-11-27 | 2015-07-22 | 김응철 | 조립형 황토벽돌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539B1 (ko) * | 2004-04-30 | 2007-09-14 | 신재화 | 건축용 황토판넬 |
-
2015
- 2015-08-12 KR KR1020150113973A patent/KR1017134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894B1 (ko) | 2014-11-27 | 2015-07-22 | 김응철 | 조립형 황토벽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746A (ko) | 2017-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03736B2 (en) | System for a floor covering | |
CA2671305A1 (en) | Modular stone panel | |
KR101003371B1 (ko) | 흙 벽체 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 벽체 틀과 흙 구들 틀 그리고 이를 이용한 흙 벽체 축조 방법 | |
CN104805955A (zh) | 一种墙体面板及其施工方法 | |
KR100994783B1 (ko) |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 |
KR101713429B1 (ko) | 조립형 황토블럭 | |
CN106499088B (zh) | 一种废砖饰面预制保温外墙板及其制作方法 | |
US8065840B2 (en) |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 |
KR101466825B1 (ko) |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JP2008127984A (ja) | 床タイル張り工法 | |
KR20100003760A (ko) | 건물 치장 패널 | |
JPH02308061A (ja) | タイル付き有孔板とその製造方法 | |
KR101820090B1 (ko) | 인테리어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 |
KR101047852B1 (ko) | Abs수지를 이용한 욕실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29451B1 (ko) | 단열재가 구비된 황토벽돌 | |
KR101663487B1 (ko) | 욕실 시공용 방수판 | |
KR101499110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간단하게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 |
KR100749354B1 (ko) | 조립식 계단석 | |
KR101010353B1 (ko) | 건축용 조립식 벽체 | |
KR20090126660A (ko) |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 |
RU56428U1 (ru) | Фасадная плита "ра-дом" | |
RU91350U1 (ru) |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 |
KR20180041318A (ko) |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 |
KR101861063B1 (ko) | 황토 판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판넬 | |
EP2395170B1 (en) | Device for mounting glass bri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