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287B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287B1
KR101713287B1 KR1020140023908A KR20140023908A KR101713287B1 KR 101713287 B1 KR101713287 B1 KR 101713287B1 KR 1020140023908 A KR1020140023908 A KR 1020140023908A KR 20140023908 A KR20140023908 A KR 20140023908A KR 101713287 B1 KR101713287 B1 KR 10171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generation time
mode
additional interfac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261A (ko
Inventor
염광윤
Original Assignee
염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광윤 filed Critical 염광윤
Priority to KR102014002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Abstract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컴퓨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컨텐츠 편집방법에 있어서, 제1컨텐츠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컨텐츠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추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 사이의 제1축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축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추가인터페이스에 추가될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은 컨텐츠의 편집을 매우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편집하고 추가하며, 삭제할 수 있는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설계 기술 및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우리 생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휴대용 이동통신과 컴퓨팅이 가능한 기기들은 인간이 특정한 컨텐츠를 소비하거나,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즐기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점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환경의 급격한 발전으로 텍스트, 음성, 영상, 이미지 등의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공유하는 활동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하여 컨텐츠가 생성되고는 있으나, 4인치 내지 6인치 디스플레이의 한계로 인하여 관련한 컨텐츠의 효율적인 편집이 어려운 상황이며, 8인치 내지 11인치의 태플릿 컴퓨터의 경우에도 큰 디스플레이를 가지고는 있지만, 직관적이지 못한 인터페이스의 한계로 인하여 컨텐츠의 편집, 추가, 삭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332644호 등은 새로운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있으나, 대부분 ‘편집버튼’ 글자로 표현하는 방식에 머물러 있으며, 편리하고 간단한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는 쉽게 나타지 않고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편집, 추가, 삭제가 편리한 컨텐츠 편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컴퓨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컨텐츠 편집방법에 있어서, 제1컨텐츠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컨텐츠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추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 사이의 제1축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축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추가인터페이스에 추가될 신규컨테츠의 생성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컨텐츠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축의 선상에서 상호 대향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 및 상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1축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과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제1축에 대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컨텐츠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상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은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에 근접하게 설정되고, 상기 추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컨텐츠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상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은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에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생성시간에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추가인터페이스에 상기 신규컨텐츠로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컨텐츠를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방향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이루는 컨텐츠축의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일 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컨텐츠축과 수직일 수 있다.
상기 편집모드는 상기 제3컨텐츠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수정모드, 상기 제3컨텐츠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삭제모드, 상기 제3컨텐츠의 위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수정모드 및 상기 제3컨텐츠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제3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3컨텐츠의 일측에 상기 제3컨텐츠를 상기 내용수정모드, 상기 삭제모드, 상기 위치수정모드 및 상기 회전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제한된 디스플레이상에서 많은 컨텐츠를 손쉽게 편집, 추가, 삭제할 수 있으며, 추가되는 컨텐츠의 정보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S100과 S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시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S110 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S210 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스크린(10)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이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도 1의 S100과 S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22)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16)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시간(24)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컴퓨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터치스크린(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컨텐츠 편집방법으로서, 제1컨텐츠(12)를 제1방향(18)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컨텐츠(14)를 제2방향(2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16)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18)과 상기 제2방향(20)은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18)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방향(2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18)과 상기 제2방향(20)은 특정한 제1축(22)의 선상에서 상호 대향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컨텐츠패키지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음성으로 구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2007년 아이폰이 등장한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은 급격한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카메라, 마이크, 디스플레이,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들이 직접 컨텐츠를 생산해내는 시대가 도래하였고, 사용자들의 여행기록, 영화감상, 음식점 탐방 등의 행동에는 상시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컴퓨터가 동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채집되는 컨텐츠는 블로그, 피드, 타임라인 컨텐츠와 같은 융합된 컨텐츠 패키지로 다양한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있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등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서 전달되고 있다.
제1컨텐츠(12) 및 제2컨텐츠(14)는 일반모드일 경우 특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컨텐츠 패키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텐츠 패키지는 특정한 플랫폼 또는 게시물이 되기 전의 편집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컨텐츠(12)를 제1방향(18)으로 이동시키면서, 제2컨텐츠(14)를 제2방향(20)으로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추가인터페이스(16)가 등장할 수 있다. 추가인터페이스(16)는 신규컨텐츠를 불러오는 역할을 하며, 추가인터페이스(16)의 등장과 동시에 갤러리, 메모장, 음성 앱(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를 호출하는 모듈이 동작하게 된다. 추가인터페이스(16)의 생성 이후에 등장하는 컨텐츠 호출앱은 운영체제에서 지정될 수 있으며, 중간에 어떠한 앱을 구동하여 어떠한 유형의 컨텐츠를 호출할지 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방향(18)과 제2방향(20)은 다른방향일 수 있는데, 이러한 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권장된다. 여기서 ‘동시’라는 것은 초단위까지 정확히 일치할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오차범위내에서의 시간대를 의미할 수 있다.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10)에서 두 손가락을 오므렸다가 피는 행동에 의해 특정한 이미지를 확대시키는 행동패턴을 의미하는 ‘핀치 투 줌’같은 멀티터치행위에 의해서 상기의 제1방향(18)과 제2방향(20)의 다른 방향으로의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는 터치스크린(10)상에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중심을 기준으로 선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제1축(22)이라고 할 수 있다. 제1방향(18)과 제2방향(20)은 특정한 제1축(22)의 선상에서 상호 대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과 상기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사진, 음성, 영상 등의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의 내용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컨텐츠가 생성된 시간도 중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컨텐츠 생성시간(24)은 향후 컨텐츠를 재정렬하는데 일정한 기준을 제공해주므로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타화하여 컨텐츠에 내장시키는 경우가 많다.
상기 제1컨텐츠(12)와 상기 제2컨텐츠(14)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축(22)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과 상기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제1축(22)에 대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가인터페이스(16)를 상기 제1축(22)의 선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규컨텐츠를 추가하는 경우, 신규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베이스가 되는 추가인터페이스(16)가 등장할 수 있다. 하지만, 추가인터페이스(16)가 곧 신규컨텐츠인 것은 아니며, 신규컨텐츠가 위치할 위치를 가늠할 수 있게해주는 임시적인 영역이 추가인터페이스(16)라고 할 수 있다. 추가인터페이스(16)는 임시적인 영역을 상징하므로,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인터페이스(16)에 놓이게될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정보를 추가인터페이스(16)의 이동에 따라서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축(22)은 기본적으로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 사이의 거리일 수 있으나,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을 용이하게 입력하기 위하여,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의 거리를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과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에 대비하여, 추가인터페이스(16)의 이동에 따라서 그 사이의 시간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인터페이스(16)를 제1컨텐츠(12)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은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에 근접하게 설정되고, 제2컨텐츠(14)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은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에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인터페이스(16)에 상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을 표시하고, 상기 추가인터페이스(16)를 상기 제1축(22) 선상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생성시간(24)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이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6의 S110 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S210 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트린(10)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컴퓨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터치스크린(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컨텐츠 편집방법으로서, 제3컨텐츠(26)를 제3방향(28)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3컨텐츠(26)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컨텐츠(26)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이루는 컨텐츠축(30)의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28)은 상기 컨텐츠축(30)과 수직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편집의 경우, 사진, 텍스트 컨텐츠를 ‘불러오기’버튼을 클릭한 후, 컨텐츠를 불러들여 컨텐츠 패키지를 만든다. 그 이후, 개별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대체하거나 삭제할때는 ‘수정하기’또는 ‘삭제하기’와 같은 텍스트 설명문구가 표기된 버튼을 클릭한 후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방식의 편집의 경우, 좁은 디스플레이상에 많은 부분을 텍스트 버튼이 차지하게 되고, 여러 번 터치를 하게되므로 편집과 삭제가 번거롭게 진행되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생산기기가 아닌 소비기기로 남게하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단순한 유저인터페이스에 의한 컨텐츠 편집 및 삭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3컨텐츠(26)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로 이루어진 컨텐츠패키지의 컨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가 있을 경우, 대부분 컨텐츠의 너비가 동일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도 일정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컨텐츠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특정한 컨텐츠축(30)을 기준으로 하나의 단위 컨텐츠를 그 축에서 벗어나도록 스와이프(문지르기)하면, 해당 단위 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중요 실시예 중 하나이다. 제3방향(28)은 컨텐츠축(30)과 수직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수직’은 정확히 90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의 단위 컨텐츠의 이동방향을 말한다.
상기 편집모드는 상기 제3컨텐츠(26)의 일측에 상기 제3컨텐츠(26)를 내용수정모드로 변환시키는 제1버튼(32) 및 상기 제3컨텐츠(26)를 삭제모드로 변환시키는 제2버튼(34)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편집모드는 단위 컨텐츠 하나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수정모드와 단위 컨텐츠 하나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삭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컨텐츠의 위치를 수정하는 위치수정모드일 수 있으며, 단위 컨텐츠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모드일 수 있다.
컨텐츠패키지는 복수개의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모드일 경우, 컨텐츠를 스크롤 다운하면서 연속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컨텐츠(26)를 제3방향(28)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3컨텐츠(26)는 편집모드로 변경되며, 편집모드에서는 상기 제3컨텐츠(26)를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제1버튼(32) 또는 제2버튼(34)은 수정, 삭제를 각각 담당할 수 있으며, 이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또, 추가적으로 위치수정, 회전의 역할을 하는 제3버튼, 제4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음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터치스크린
12: 제1컨텐츠
14: 제2컨텐츠
16: 추가인터페이스
18: 제1방향
20: 제2방향
22: 제1축
24: 생성시간
26: 제3컨텐츠
28: 제3방향
30: 컨텐츠축
32: 제1버튼
34: 제2버튼

Claims (11)

  1. 컴퓨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컨텐츠 편집방법에 있어서,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생성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제1방향과 대향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를 연결하는 제1축 상에 신규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인터페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추가인터페이스에 추가될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은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 사이로 설정하되,
    상기 추가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축 상에서 상기 제1컨텐츠를 향하여 이동되는 경우,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에 추가될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을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에 근접하게 설정하고, 상기 추가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축 상에서 상기 제2컨텐츠를 향하여 이동되는 경우,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에 추가될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을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에 근접하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을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제3 컨텐츠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컨텐츠를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에 추가하되, 상기 제3 컨텐츠의 생성시간은 상기 설정된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으로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인터페이스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신규컨텐츠를 호출하기 위한 모듈이 동작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1축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과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제1축에 대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생성시간에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추가인터페이스에 상기 신규컨텐츠로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3컨텐츠를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방향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이루는 컨텐츠축의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컨텐츠축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모드는 상기 제3컨텐츠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수정모드, 상기 제3컨텐츠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삭제모드, 상기 제3컨텐츠의 위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수정모드 및 상기 제3컨텐츠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제3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3컨텐츠의 일측에 상기 제3컨텐츠를 상기 내용수정모드, 상기 삭제모드, 상기 위치수정모드 및 상기 회전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KR1020140023908A 2014-02-28 2014-02-2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KR10171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08A KR101713287B1 (ko) 2014-02-28 2014-02-2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08A KR101713287B1 (ko) 2014-02-28 2014-02-2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70A Division KR102174682B1 (ko) 2017-02-28 2017-02-2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61A KR20150102261A (ko) 2015-09-07
KR101713287B1 true KR101713287B1 (ko) 2017-03-07

Family

ID=5424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08A KR101713287B1 (ko) 2014-02-28 2014-02-2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2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8714A1 (en) 1996-06-28 2008-09-18 Randy Prager Desktop, stream-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100162179A1 (en) 2008-12-19 2010-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or Deleting at Least One Item Based at Least in Part on a Movement
US20130036387A1 (en) 2011-08-01 2013-02-07 Murata Yu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8714A1 (en) 1996-06-28 2008-09-18 Randy Prager Desktop, stream-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100162179A1 (en) 2008-12-19 2010-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or Deleting at Least One Item Based at Least in Part on a Movement
US20130036387A1 (en) 2011-08-01 2013-02-07 Murata Yu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ear'(http://wingsofgod.tistory.com/archive/20130123,2013.01.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61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49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04882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5683895B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US10146402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different content for an application based on selected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03746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WO2014162659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3017981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3539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168487A (zh)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US1086671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1434903B1 (ko) 캘린더 내 일정 입력을 위한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51292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00065052A1 (en) Enhanced techniques for merging content from separate computing devices
AU2015280785A1 (en)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17468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KR101713287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KR20150026120A (ko) 객체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CN111580706B (zh) 提供用户交互的电子设备及其方法
CN111857900A (zh) 一种信息设置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