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030B1 -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 Google Patents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030B1
KR101713030B1 KR1020150145436A KR20150145436A KR101713030B1 KR 101713030 B1 KR101713030 B1 KR 101713030B1 KR 1020150145436 A KR1020150145436 A KR 1020150145436A KR 20150145436 A KR20150145436 A KR 20150145436A KR 101713030 B1 KR101713030 B1 KR 10171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needle
cold
storage container
infl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15014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0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hot beverage dispenser and comprises: a beverage inlet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and a needle formed at one end portion of the beverage inlet, penetrating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arranged in an extra safe space inside the cold-hot beverage dispenser so that one end portion of the beverage inle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wherein the needle is formed in a cone shape which has a narrower diameter as approaching to one end portion. The needle structure for a cold-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erforation at one end portion of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insert a beverage inlet in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by using a needle formed in a cone shape, and can avoid a leakage due to additional perforation formation.

Description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0001] DESCRIPTION [0002]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

본 발명은 음료 저장용기로부터의 음료 토출을 위해 냉온음료 공급기 내에 설치되어지는 니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structure to be installed in a cold beverage dispenser for dispensing beverage from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냉온음료 공급기의 경우, 외부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음용 가능한 수준의 음료로 정수과정을 거친 뒤 냉음료 및 온음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수기와 달리 정수되어진 음료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용기로부터 음료를 공급받아 냉음료 및 온음료를 생성한 뒤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어 냉음료 저장탱크 및 온음료 저장탱크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별도의 천공 수단을 구비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cold and hot beverage dispenser, unlike a water purifier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a cold beverage and a hot beverage through a purification process with a drinkable level, The beverage is stored in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be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

일반적으로 천공 수단은 음료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각각의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입배관의 선단 측에 형성되어 음료의 냉온음료 공급기 내부 배관 구조로의 유입 기능을 수행하는 유입배관이 음료 저장용기 내부에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한다.Generally, the perforating means is form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inflow pipe which allows the beverage to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and can be moved to the respective storage tanks, so that the inflow pipe performing the function of inflowing the beverage into the internal piping structure of the cold / A perforation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따라서 유입배관의 선단 측에 형성된 천공 수단은 음료 저장용기에 대한 천공 성능을 높이기 위해 첨단(尖端) 형태의 구조를 갖추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음료 저장용기 내부로의 배관 삽입을 위한 음료 저장용기 하면 상의 천공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 천공 수단이 구조적 특징을 갖추고 있는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0844133호의 "가방식 음료수 서버 및 서버용 니들"(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Therefore, the perforating means formed at the tip side of the inflow pipe has a tip-type structure for enhancing the puncturing performanc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for inserting the pipe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perforating means provided for improving the puncturing performance have structural features include "bag type drinking water server and server need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of JP-A No. 2014-0844133, .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냉온음료 공급기에 사용되는 음료 저장용기 일측에 음료 저장용기 내부로의 유입배관 삽입을 위한 입구를 청공을 통해 형성하는 천공 수단의 경우, 음료 저장용기의 일측의 천공 성능을 높이기 위해 첨단(尖端) 형태의 구조적 특징을 갖춘 단부가 음료 저장용기 내부로 유입배관이 삽입되어진 뒤에 음료 저장용기의 타측에까지 천공을 형성하여 누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erforating means for forming the inlet for inserting the inflow pipe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on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ed in the conventional cold / hot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rough the air h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nd portion having a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form of an apex is inserted into an interior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form a perfora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cause leakage.

다시 말해, 음료 저장용기에 대한 천공 성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구조적 특성들이 오히려 최초 천공 수단이 관통하는 부위의 반대측에도 영향을 주어 음료 저장용기에 불필요한 천공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천공 성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되, 불필요한 천공 발생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갖춘 천공 수단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various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increasing the piercing performanc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may affect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initial piercing means penetrates, so that unnecessary piercing is additionally generated in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frequently, There is a demand for a drilling tool having a structural characteristic capable of maintaining the performance at a certain level but solving the problem of leakage due to unnecessary drill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냉온음료 공급기 내부 배관 구조로의 음료 유입 기능을 수행하는 유입배관의 음료 저장용기 내부로의 삽입을 위한 음료 저장용기 일측의 천공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음료 저장용기 상의 불필요한 추가적 천공 형성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춘 니들 구조체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for inserting an inflow pipe for performing a beverage inflow function into an internal piping structure of a beverage cold beverage dispen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relating to a needl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for easily forming perforations on one side and preventing unnecessary additional perforation on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는, 중공의 배관 형태로 마련되는 음료 유입관; 및 상기 음료 유입관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냉온음료 공급기 내 별도의 안착공간에 놓인 음료 저장용기를 관통하여 상기 음료 유입관의 일 단부 측이 상기 음료 저장용기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니들;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은 일 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includes a beverage inlet pipe provided in a hollow pipe form; And a needle which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verage inflow pipe and passes through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placed in a separate seating space in the cold beverage dispenser so th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 And the needl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one end.

여기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외주면은 샌딩 가공 처리되어 불규칙한 표면을 가진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ubjected to a sanding process to have an irregular surface.

한편, 상기 니들의 외주면은 제2실시예에 따라 널링 가공 처리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is knurl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mbodiment.

아울러,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니들는, 상기 음료 유입관의 일 단부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 널링이 형성되어진 널링부; 및 상기 널링부의 일 단부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 널링이 형성되지 않는 실링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ee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that the diameter is narrowed from one end of the beverage inflow pipe, and a knurlin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aling part formed in a shape that the diameter is narrowed from one end of the knurling part, and a knurling is no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니들은 상기 널링부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가 상기 실링부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에 비해 길도록 마련된다.The nee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region of the knurled portion is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region of the sealing portion.

아울러,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니들은 상기 널링부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와 상기 실링부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의 비가 6:1 내지 7:1의 비율을 이루도록 마련된다.The nee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ratio of the height of the knurled region to the height of the sealing region in a ratio of 6: 1 to 7: 1.

그리고 상기 니들은 모선과 중심축이 10° 내지 20°의 각도를 이루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된다.And the needl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having an angle of 10 [deg.] To 20 [deg.] With the busbar and the central axis.

아울러, 상기 니들은 최소 직경을 이루는 원뿔대 형상의 일 단부 측 윗면 직경이 0.4 내지 0.7 mm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needle has a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minimum diameter of 0.4 to 0.7 mm on one end side.

또한, 상기 음료 유입관의 일 단부 측에는 음료가 상기 음료 유입관 내부의 중공의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유입구가 형성된다.At least one beverage inlet for introducing the beverage into the hollow space inside the beverage inflow pipe is formed 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는 니들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의 일측에 음료 저장용기 내부로의 음료 유입관 삽입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되, 이 외의 추가적인 천공 형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First, a perforation for inserting a beverage inflow pipe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rough a needl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and leakage due to the additional perforation formation can be prevented.

둘째, 니들 외주면 상의 샌딩 가공 또는 널링 가공 처리된 부분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에 대한 천공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Secondly, the drilling performanc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can be improved through sanding or knurling-processed por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edle.

셋째, 니들 외주면 상의 널링 가공 처리되지 않은 부분이 널링 가공 처리된 부분에 비해 선단 측에 배치되어 음료 저장용기의 최초 음료 유입관 삽입을 위한 청공 외의 누수를 유발할 수 있는 추가적인 천공이 혹시 발생하더라도 음료 저장용기의 추가적 천공이 발생된 부분 내주면과 널링 가공 처리가 되지 않은 니들 외주면 부분 간의 수밀(水密)이 유지되어 음료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unknurri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side compared with the knurled portion, so that even if there is an additional perforation that may cause leakage of water outside the blue hole for inserting the first drink inflow pip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additional piercing of the container has been generated and th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that has not been subjected to the knurling processing is maintained and leakage of the beverage can be prevented.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내 니들의 구조적 형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3은 종래의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의 구조적 형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를 통한 음료 저장용기로부터의 음료 토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내 니들의 구조적 형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를 통한 음료 저장용기로부터의 음료 토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내 실링부를 통한 누수 방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al form of a needle in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ferenc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al form of a conventional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drink dispenser.
4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beverage dispensing form from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rough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al form of a needle in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beverage dispensing form from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rough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leakage preventing form through a sealing portion in a needle structure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의 구조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Structure of Needle Structure for Cold and Hot Drink Feeder According to First Embodiment>

도1 및 도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100)는 음료유입관(110) 및 니들(120)을 포함한다.1 and 2, a needle structure 100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inlet pipe 110 and a needle 120.

우선,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100, 200)가 설치되어지는 냉온음료 공급기는 정수되어진 음료가 저장된 음료 저장용기(300)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냉음료 저장탱크와 온음료 저장탱크에 제공한 뒤, 각각의 저장탱크 내에서 냉각 또는 가열의 과정을 거쳐 냉음료와 온음료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취수 요구에 따라 냉음료 또는 온음료가 취수되도록 하는 장치로써, 여기서 음료 저장용기(300)은 냉온음료 공급기 일측에 형성된 별도의 안착공간에 놓이게 되고 이와 같이 놓인 음료 저장용기(300)은 비닐과 같은 가요성 소재로 마련되어 니들 구조체(100, 200)의 관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저장되어진 음료의 토출에 따라 전체 구조가 수축 변형되어 내부 부피가 감소되어질 수 있는 형태의 용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hot and cold beverage dispenser in which the needle structures 100 and 200 for the cold and hot beverag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discharges beverages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stored with purified beverages to be stored in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s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s The cold beverage and the hot beverage are produced through cooling or heating processes in the respective storage tanks and the cold beverage or the hot beverage is take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ake request, Is placed in a separate seating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ld and hot beverage dispenser and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placed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so that the needle structures 100 and 200 can be pierc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in which the entire structure is contracted and deform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to reduce its internal volume.

이에 따라, 비닐과 같은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된 음료 저장용기(300)을 사용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경우, 용기의 재질적 특성 및 사용 형태적 측면에서 음료 저장용기(300)의 손상에 따른 음료의 누수 발생이 비가요성 소재로 마련된 음료 저장용기를 사용하는 냉온음료 공급기 혹은 정수기에 비해 조금 더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300)의 음료 토출을 위한 천공 형성의 용이성은 일정 수준에서 제공하되, 그 외의 추가적인 누수를 유발할 수 있는 천공 형성의 용이성은 차단할 수 있는 니들 구조체가 요구되어진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using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a beverage according to the damag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n term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usage pattern of the container The occurrence of leakage of the beverage can be somewhat easier than that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or a water purifier using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n incompatible material, A need for a needle structure that is capable of blocking the ease of perforation that may be provided by the system, but which may otherwise cause additional leakag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100)는 중공의 배관 형태로 마련되며, 일 단부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유입구(110H)가 형성된 음료유입관(110)의 일 단부에 냉온음료 공급기 내 별도의 안착공간에 놓인 음료 저장용기(300)을 관통하여 음료유입관(110)의 일 단부 측이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니들(1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니들(120)은 일 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어진다.To this end, the needle structure 100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and has a beverage inlet pipe 110 having at least one beverage inlet 110H formed on one end side thereof, A needle 120 for inserting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through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placed in a separate seating space in the cold beverage dispenser The needle 120 is provided in a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one end.

여기서, 니들(120)의 구조적 형상을 이루는 원뿔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가 첨단(尖端) 형태로 마련되는 원뿔 형상과 달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윗면(120S)을 형성하여 누수를 유발할 수 있는 음료 저장용기(300) 상의 음료 유입을 위한 천공 외의 추가적인 천공 형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e truncated cone having the structural shape of the needle 120 is formed with a top surface 120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unlike a conical shape in which one end is provided in a tip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dditional perforations outside the perforations for inflow of the beverage on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that can be used.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100) 내 니들(120)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300)로부터 음료 유입을 위한 음료유입관(110)의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최초의 천공 형성은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120S)과 모선(120B)이 만나 이루는 엣지(120E)부분을 통해 이루어지고,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120) 및 음료유입관(1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 추가적인 천공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 자체가 첨단(尖端) 형태를 이루지 않는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120S)을 통해 해소되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needles 120 in the needle structure 100 for a cold / hot drink dispenser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so that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of the beverage inlet pipe 110, The first perforation for guiding movement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s made through the portion of the edge 120E where the upper surface 120S and the bus bar 120B of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meet, After the insertion of the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let pipe 110 and the beverage inlet pipe 110,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perforation is solved through the upper surface 120S in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종래의 니들 구조체(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저장용기(300)의 일측면(300B)에 대한 관통이 이루지고 난 뒤, 이와 같은 관통을 수행한 첨단(尖端) 형태 음료유입관 일 단측에 형성된 천공 수단에 의해 음료 저장용기(300)의 타측면(300T)에 대한 추가적인 관통이 유발되어 음료 저장용기(300)로부터 누수가 발생하였다.3, the conventional needle structure 10 is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beverage inflow pipe 300 after the penetration of the one side face 300B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s performed, An additional penetration of the other side 300T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was caused by the perforation means formed at the one end side to cause leak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저장용기(300)의 일측면(300B)에 대한 관통이 이루지고 난 뒤에도 음료유입관(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니들(120)읠 구조가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어 구조상의 평평한 윗면(120S)이 추가적인 관통을 유발하지 않아 음료의 누수 문제가 해결되고, 지속적으로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의 음료가 음료유입관(110)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유입구(110H)를 통해 음료유입관(110) 내부의 중공의 공간에 유입되어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냉온음료 공급기에 포함된 각종 배관부를 통해 냉음료 저장탱크와 온음료 저장탱크로 이동되어진다. 4, the needle structure 100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300, The structure of the needle 120 formed at one end of the inflow pipe 11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so that the flat upper surface 120S of the structure does not cause additional penetration and the problem of leakage of the beverage is solved,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space inside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through at least one beverage inlet 110H formed 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so that the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cold beverage dispenser 110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아울러, 니들(120)의 원뿔대 형상 구조는 모선(120B)과 중심축(120C)이 10° 내지 20°의 각도(a)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니들(120)의 원뿔대 형상 구조 내 최소 직경을 이루는 원뿔대 형상의 일 단부 측 윗면(120S) 직경은 0.4 내지 0.7 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120 is formed such that the busbar 120B and the central axis 120C form an angle a of 10 to 20 degrees and the minimum diameter of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120 The diameter of the one end side upper surface 120S of the truncated cone shape is preferably 0.4 to 0.7 mm.

이는 니들(120)의 원뿔대 구조상의 모선(120B)과 중심축(120C)이 이루는 각도(a)가 20°를 초과하면 음료 저장용기(300)에 대한 최초 천공 성능이 저하되고, 10° 미만으로 마련되면 니들(120)의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120S)과 모선(120B)이 만나 이루는 엣지(120E)부분이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120) 및 음료유입관(1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 추가적인 천공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angle a formed by the bus bar 120B and the central axis 120C on the frusto-conical structure of the needle 120 exceeds 20 DEG, the initial puncturing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s lowered, The portion of the edge 120E where the upper surface 120S of the needle 120 and the bus bar 120B meet together with the needle 120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end of the beverage inlet pipe 110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puncturing is caus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side is performed.

또한, 니들(120)의 일 단부 측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120S) 직경이 0.7 mm를 초과하면 음료 저장용기(300)에 대한 최초 천공 성능이 저하되고, 0.4 mm 미만으로 마련되면 니들(120)의 구조가 첨단(尖端) 형태의 원뿔형에 근접하여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120) 및 음료유입관(1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 추가적인 천공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If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120S on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120 exceeds 0.7 mm, the initial puncturing performanc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s lowered. If the diameter is less than 0.4 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edle 120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is inserted close to the conical shape of a tip shape, Because.

그리고 니들(120)은 외주면 전체에 걸쳐 샌딩(S) 가공 처리가 수행되어 불규측한 표면 상태를 가진 외주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300)와 니들(120)간의 접촉 시 천공 발생을 위한 마찰력의 정도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천공 성능이 개선되어 최초 천공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The needle 120 is subjected to a sanding (S) machining process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n uneven surface state, and thus, when the beverage contain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needle 120, So that the perfo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initial perforation can be easily made.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의 구조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Structure of Needle Structure for Cold and Hot Drink Feeder According to Second Embodiment>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200)는 음료유입관(210) 및 니들(220)을 포함한다.5 and 6, a needle structure 200 for a cold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inflow pipe 210 and a needle 22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on th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200)의 음료유입관(210)의 구성적 특징 및 설치되어지는 냉옴음료 공급기에 대한 설명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100)의 음료유입관(110)의 구성적 특징 및 설치되어지는 냉옴음료 공급기에 대한 설명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of the needle structure 200 for a cold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of the cold beverage dispenser to b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of the needle structure 100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ld beverage dispenser to be installed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above,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200) 내 니들(220)은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냉온음료 공급기 내 별도의 안착공간에 놓인 음료 저장용기(300)을 관통하여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 측이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니들(220)은 일 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어진다.The needle 220 in the needle structure 200 for a cold and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and is disposed in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so th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Such a needle 220 is provided in a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one end side.

여기서, 니들(220)의 구조적 형상을 이루는 원뿔대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가 첨단(尖端) 형태로 마련되는 원뿔 형상과 달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윗면(220S)을 형성하여 누수를 유발할 수 있는 음료 저장용기(300) 상의 음료 유입을 위한 천공 외의 추가적인 천공 형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Here, the truncated cone which forms the structural shape of the needle 220 is formed with a top surface 220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unlike a conical shape in which one end is provided in a tip shape, as shown in FIG. 6,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dditional perforations outside the perforations for inflow of the beverage on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that can be used.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200) 내 니들(220)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300)로부터 음료 유입을 위한 음료유입관(210)의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최초의 천공 형성은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220S)과 모선(220B)이 만나 이루는 엣지(220E)부분을 통해 이루어지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220) 및 음료유입관(1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 추가적인 천공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 자체가 첨단(尖端) 형태를 이루지 않는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220S)을 통해 해소되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needles 220 in the needle structure 200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provided in a truncated cone shape, so that the beverage inlet pipe 210 is made through the portion of the edge 220E where the upper surface 220S and the bus bar 220B meet on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The needle 220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are inserted so that the additional perforation may not be caused in a tip shape Is elimin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220S of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아울러, 니들(220)의 원뿔대 형상 구조는 모선(220B)과 중심축(220C)이 10° 내지 20°의 각도(a')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니들(220)의 원뿔대 형상 구조 내 최소 직경을 이루는 원뿔대 형상의 일 단부 측 윗면(220S) 직경은 0.4 내지 0.7 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220 is provided such that the busbar 220B and the central axis 220C form an angle a 'at 10 to 20 degrees and the minimum diameter of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220 is The diameter of the one end side upper surface 220S of the truncated cone shape is preferably 0.4 to 0.7 mm.

이는 니들(220)의 원뿔대 구조상의 모선(220B)과 중심축(220C)이 이루는 각도(a')가 20°를 초과하면 음료 저장용기(300)에 대한 최초 천공 성능이 저하되고, 10° 미만으로 마련되면 니들(220)의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220S)과 모선(220B)이 만나 이루는 엣지(220E)부분이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220) 및 음료유입관(2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 추가적인 천공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angle a 'formed by the bus bar 220B and the central axis 220C on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220 exceeds 20 DEG, the initial puncturing performance for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s lowered, The edge 220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220S of the needle 220 and the bus bar 220B of the needle 220 makes contact with the needle 220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beverage inlet pipe 210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puncturing is caused after insertion of the end portion is performed.

또한, 니들(220)의 일 단부 측 원뿔대 구조상의 윗면(220S) 직경이 0.7 mm를 초과하면 음료 저장용기(300)에 대한 최초 천공 성능이 저하되고, 0.4 mm 미만으로 마련되면 니들(220)의 구조가 첨단(尖端) 형태의 원뿔형에 근접하여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220) 및 음료유입관(2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 추가적인 천공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If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220S on the truncated cone structure of the needle 220 exceeds 0.7 mm, the initial puncturing performanc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is lowered. If the diameter is less than 0.4 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edle 220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is inserted close to the conical shape of the tip shape, Because.

그리고 니들(220)은 외주면이 널링(N) 가공 처리되어 일정 부분 널링(N)되어진 부분을 형성함에 따라 천공 성능이 개선되어진다. 이에 따라 니들(220)은 널링 가공 처리 유무에 따라 널링부(221)와 실링부(222)로 구분되어진다.The needle 220 is processed by knurling (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portion where knurling is performed to some extent, thereby improving the puncturing performance. Accordingly, the needle 220 is divided into a knurling portion 221 and a sealing portion 222 depending on whether knurling processing is performed or not.

여기서, 널링부(221)는 니들(220) 중 외주면 상에 널링(N) 가공 처리가 이루어진 부분으로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소정의 높이(H1)를 이룬다. The knurling portion 221 is formed by knurling 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220 and is formed to have a reduced diameter from one end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Respectively.

또한, 실링부(222)는 니들(220) 중 외주면 상에 널링(N) 가공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으로 널링부(221)의 일 단부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일 단부가 니들(220)의 윗면(220S)을 이루며 소정의 높이(H2)를 가진다.The sealing portion 222 extends from the one end of the knurling portion 221 in such a manner that the diameter of the sealing portion 222 is reduced from the one end of the knurling portion 221 to the portion where the knurling N is not proces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220,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H2.

이러한 니들(220) 중 널링부(221)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1)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220) 중 실링부(222)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2)에 비해 길도록 마련된다.6, the height H1 of the area forming the nulling part 221 of the needle 220 is lon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area of the sealing part 222 of the needle 220 do.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니들(220) 중 널링부(221)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1)와 니들(220) 중 실링부(222)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2)의 높이 비가 6:1 내지 7:1의 비율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height ratio between the height H1 of the region forming the nulling portion 221 of the needle 220 and the height H2 of the region forming the sealing portion 222 of the needle 220 is 6: 1 to 7 : 1. &Lt; / RTI &gt;

이와 같은 널링부(221)와 실링부(222)의 니들(220) 내 위치 및 영역 분포 형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200)에 의한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로의 니들(220) 및 음료유입관(210) 일 단부 측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난 뒤의 추가적인 천공이 혹시나 의도치 않게 발생하더라도 널링(N) 가공이 되지 않은 실링부(222)의 외주면 표면과 음료 저장용기의 타측면(300T) 내부 표면 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수밀(水密) 구조가 형성되고 추가적 천공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position and area distribution of the knurling part 221 and the sealing part 222 in the needle 2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needle structure 200 for a cold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 processing is not performed even if additional puncture after insertion of the needle 220 in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by unintentionally occurs A clearance is not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2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300T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form a watertight structure and no leakage due to additional perforation occurs.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110, 210 : 음료유입관
110H, 210H : 음료유입구
120, 220 : 니들
121 : 널링부
122 : 실링부
300 : 음료 저장용기
100, 200: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110, 210: Beverage inlet pipe
110H, 210H: Beverage inlet
120, 220: Needle
121: null ring
122: sealing part
300: Beverage storage container

Claims (9)

중공의 배관 형태로 마련되는 음료유입관(110); 및
상기 음료유입관(110)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냉온음료 공급기 내 별도의 안착공간에 놓인 음료 저장용기(300)를 관통하여 상기 음료유입관(110)의 일 단부 측이 상기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며, 외주면이 샌딩(S) 가공 처리되어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는 니들(120);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120)은 일 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음료유입관(110)의 일 단부 측에는 음료가 상기 음료유입관(110) 내부의 중공의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유입구(110H)가 형성되며,
상기 니들(120)은 모선(120B)과 중심축(120C)이 10° 내지 20°의 각도를 이루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니들(120)은 최소 직경을 이루는 원뿔대 형상의 일 단부 측 윗면(120S) 직경이 0.4 내지 0.7 mm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A beverage inlet pipe 110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And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and passes through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placed in a separate seating space in the cold beverage dispenser so th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a needle 120 having an irregular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sanded (S)
The needle 120 is provided in a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one end,
At least one beverage inlet 110H for introducing the beverage into the hollow space inside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is formed 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110,
The needle 1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having an angle of 10 DEG to 20 DEG with respect to the busbar 120B and the central axis 120C,
The needle 120 has a truncated conical upper surface 120S having a minimum diameter of 0.4 to 0.7 mm.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삭제delete 중공의 배관 형태로 마련되는 음료유입관(210); 및
상기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냉온음료 공급기 내 별도의 안착공간에 놓인 음료 저장용기(300)를 관통하여 상기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 측이 상기 음료 저장용기(3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며, 외주면 일부가 널링(N) 가공 처리되는 니들(220);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220)은 일 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 측에는 음료가 상기 음료유입관(210) 내부의 중공의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유입구(210H)가 형성되며,
상기 니들(220)은,
상기 음료유입관(210)의 일 단부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 널링(N)이 형성되어진 널링부(221); 및
상기 널링부(221)의 일 단부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 널링(N)이 형성되지 않는 실링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A beverage inflow pipe 210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And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and penetrates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placed in a separate seating space in the cold beverage dispenser so that one end side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300 And a needle 220 to which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knurled (N)
The needle 220 is provided in a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one end,
At least one beverage inlet (210H)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verage inlet pipe (210) for introducing the beverage into the hollow space inside the beverage inlet pipe (210)
The needle (220)
A knurling portion 221 formed in a shape that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inflow pipe 210 is narrowed from one end thereof, and a knurling 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d a sealing part 222 formed in a shape that the diameter is narrowed from one end of the nulling part 221 and the knurling N is no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222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220)은 상기 널링부(221)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1)가 상기 실링부(222)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2)에 비해 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needle 220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H1 of the region forming the nulling portion 221 is lon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region forming the sealing portion 222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220)은 상기 널링부(221)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1)와 상기 실링부(222)를 이루는 영역의 높이(H2)의 비가 6:1 내지 7:1의 비율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eedle 220 is provided so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area forming the nulling part 221 to the height H2 of the area forming the sealing part 222 is 6: 1 to 7: 1 Characterized by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220)은 모선(220B)과 중심축(220C)이 10° 내지 20°의 각도를 이루는 원뿔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needle 22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having an angle of 10 DEG to 20 DEG with respect to the busbar 220B and the central axis 220C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220)은 최소 직경을 이루는 원뿔대 형상의 일 단부 측 윗면(220S) 직경이 0.4 내지 0.7 mm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용 니들 구조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needle 220 has a truncated cone-shaped upper surface 220S having a minimum diameter of 0.4 to 0.7 mm.
Needle structure for cold beverage dispenser.
삭제delete
KR1020150145436A 2015-10-19 2015-10-19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KR101713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36A KR101713030B1 (en) 2015-10-19 2015-10-19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36A KR101713030B1 (en) 2015-10-19 2015-10-19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030B1 true KR101713030B1 (en) 2017-03-07

Family

ID=5841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436A KR101713030B1 (en) 2015-10-19 2015-10-19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0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359A (en) * 1995-12-27 1999-11-02 International Sanitary Ware Manufacturing Cy, S.A. Needle engaging soap bag
JP4844133B2 (en) * 2006-01-25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JP2014005006A (en) * 2012-06-21 2014-01-16 Altesse Kk Water server
US20140097198A1 (en) * 2012-10-09 2014-04-10 Coravi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extraction needle gui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359A (en) * 1995-12-27 1999-11-02 International Sanitary Ware Manufacturing Cy, S.A. Needle engaging soap bag
JP4844133B2 (en) * 2006-01-25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JP2014005006A (en) * 2012-06-21 2014-01-16 Altesse Kk Water server
US20140097198A1 (en) * 2012-10-09 2014-04-10 Coravi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extraction needle gui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583B2 (en) Valve for introducer needle
JP5148107B2 (en) Needle for piercing the membrane
CN108147353B (en) Fluid pressure regulator
US20100229388A1 (en) Cooling channel formed in a wall
EP2862585B1 (en) Puncture needle
GB0129656D0 (en) Beverage brewing methods and apparatus
US20140236104A1 (en) Punch-reducing cannula
KR101713030B1 (en) Needle structure body for dispenser
CN106999969A (en) Device fluid dispensing product
CN106029527A (en) Capsule and system for the beverage preparation
CN105768892B (en) Beverage outlet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3595551A1 (en) An implant needle
GB2510958B (en) Flow through cylindrical bores
US20170248260A1 (en) Hose connector and automotive component part incorporated with hose connector
CN204931836U (en) With the perforator sealing cap of seamed edge
CN107456093B (en) Improved expansion breaking plate for beverage extraction equipment
US20130000004A1 (en) Wetsuits which has function of length adjustment of arm and leg openings
CN208851598U (en) Sealing device and puncture tube with double screening glass
CN105873702A (en) Jet-controlling collet
JP2018140556A5 (en) Ink supply container
郭辉 et al. Safflower corolla object detection and spatial positioning methods based on YOLO v5m
CN111214114A (en) Infusion unit for a machine for making beverages using capsules
CN101185784B (en) Needle for inserting bottle
CN103691728A (en) Special tip cone of oil tank puncturing machine
US20160030713A1 (en) Medication Deliver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