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911B1 -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911B1
KR101712911B1 KR1020110034204A KR20110034204A KR101712911B1 KR 101712911 B1 KR101712911 B1 KR 101712911B1 KR 1020110034204 A KR1020110034204 A KR 1020110034204A KR 20110034204 A KR20110034204 A KR 20110034204A KR 101712911 B1 KR101712911 B1 KR 10171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t
resource
slot
bit
rb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492A (ko
Inventor
김학성
서동연
서한별
이대원
김병훈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CA279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CA2795761C/en
Priority to JP2013504824A priority patent/JP5736446B2/ja
Priority to EP11769076.8A priority patent/EP2560451B1/en
Priority to AU2011241273A priority patent/AU2011241273B2/en
Priority to US13/635,009 priority patent/US9197363B2/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2633 priority patent/WO2011129610A2/ko
Priority to CN201180019186.XA priority patent/CN102845121B/zh
Publication of KR2011011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492A/ko
Priority to JP2015084996A priority patent/JP6030694B2/ja
Priority to US14/924,330 priority patent/US1057433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RB(Resource Block,) 쌍의 첫 번째 슬롯에서 수신하되,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1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2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2 제어 정보의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OWNLINK SIGNAL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RB(Resource Block,) 쌍의 첫 번째 슬롯에서 수신하되,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1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2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2 제어 정보의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RB(Resource Block,) 쌍의 첫 번째 슬롯에서 수신하되,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1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2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2 제어 정보의 검출을 시도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를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RB(Resource Block,) 쌍의 첫 번째 슬롯에서 수신하되,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1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2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2 제어 정보의 검출을 시도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를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원 유닛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을 위한 비트맵을 포함하고, 각각의 비트는 해당 RB 또는 RBG(Resource Block Group)에 대한 자원 할당 여부를 지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있는 RB 쌍을 포함하는 자원 유닛에 대한 할당 정보가 제2 값을 갖는 경우, 상기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 상기 제2 제어 정보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값은 1이고, 상기 제2 값은 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검출을 시도하는 것은,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제어 레벨보다 작다는 가정 하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검출을 시도하는 것은,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위해 기설정된 검색 공간과 상기 할당 정보가 제2 값을 갖는 자원 유닛이 겹치는 자원 상에서만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두 번째 슬롯의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3GPP 시스템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다중 안테나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6은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 RS)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은 가상 자원블록(Virtual Resource Block, VRB)과 물리 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맵핑을 예시한다.
도 8∼10은 각각 타입 0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RA), 타입 1 RA 및 타입 2 RA를 예시한다.
도 11은 릴레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2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over a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백홀 통신을 예시한다.
도 13∼14는 주파수-시간으로 구성된 자원을 임의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5∼17은 R-PDCCH/(R-)PDSCH를 배치하고 복조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8∼19는 RB 쌍을 복수의 RE 그룹으로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도 20∼23은 R-PDCCH/(R-)PDSCH를 배치하고 복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DL RA 비트가 0으로 세팅된 경우에만 UL 그랜트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25∼27은 두 번째 슬롯의 자원 활용 상태를 알려주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28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을 예시한다.
도 29∼42는 두 번째 슬롯의 자원 활용 상태를 알려주는 다양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43∼46은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인덱스를 오더링(ordering)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자원 할당 예를 나타낸다.
도 4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DMA, FDMA, TDMA, OFDMA, SC-FDMA, MC-F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3GPP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0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또는 SC-FDMA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또는 SC-FDMA 심벌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슬롯의 수, OFDM/SC-FDMA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예,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NDL RB개의 자원블록을 포함한다. 각각의 자원블록이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므로 하향링크 슬롯은 주파수 영역에서 NDL RB×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이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이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순환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라 한다. RE는 물리 채널에서 정의되는 최소 시간/주파수 자원으로서 하나의 OFDM 심벌 인덱스 및 하나의 부반송파 인덱스로 지시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Figure 112011501095804-pat00037
개의 RE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38
은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된 OFDM 심벌의 개수이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39
는 자원블록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개수이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NDL RB)는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2에 예시한 하향링크 슬롯 구조는 상향링크 슬롯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상향링크 슬롯 구조는 OFDM 심벌 대신 SC-FDMA 심벌을 포함한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앞부터 하나 이상의 OFDM 심벌이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OFDM 심벌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된다. 제어 영역의 크기는 서브프레임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영역은 스케줄링 정보 및 그 밖의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영역은 트래픽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채널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utomatic repeat request (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트래픽 채널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PDSCH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임의의 단말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 등을 가리킨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예,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마스킹 된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LTE 상향링크 전송의 기본 단위인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500)은 두 개의 0.5ms 슬롯(501)으로 구성된다. 노멀(Normal)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를 가정할 때, 각 슬롯은 7개의 심벌(502)로 구성되며 하나의 심벌은 하나의 SC-FDMA 심벌에 대응된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503)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 그리고 시간영역에서 한 슬롯에 해당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LTE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크게 데이터 영역(504)과 제어 영역(505)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각 단말로 전송되는 음성, 패킷 등의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예를 들어 각 단말로부터의 하향링크 채널 품질보고,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ACK/NACK,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축 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SC-FDMA 심벌을 통하여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로 전송되는 여러 단말의 SRS 들은 주파수 위치/시퀀스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도 5는 다중 안테나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코드워드는 스크램블링 모듈(301)에 의해 스크램블링 된다. 코드워드는 전송블록에 대응하는 부호화된 비트열을 포함한다. 스크램블링된 코드워드는 변조 맵퍼(302)에 입력되어 전송 신호의 종류 및/또는 채널 상태에 따라 BPSK, QPSK, 16 QAM 또는 64QAM 방식으로 복소 심볼로 변조된다. 변조된 복소 심볼은 레이어 맵퍼(303)에 의해 하나 이상의 레이어(Layer)에 맵핑될 수 있다. 코드워드-대-레이어 맵핑은 전송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레이어 맵핑된 신호는 프리코딩 모듈(304)에 의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된 소정 프리코딩 행렬과 곱해져 각 전송 안테나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된 각 안테나별 전송 신호는 각각 자원 요소 맵퍼(305)에 의해 전송에 이용될 시간-주파수 자원 요소에 맵핑되며, 이후 OFDMA 신호 생성기(306)를 거쳐 각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 RS) 구조를 예시한다. DM RS는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각 레이어의 신호를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단말-특정 참조 신호이다. DM RS는 PDSCH 및 R(Relay)-PDSCH의 복조에 사용된다. LTE-A 시스템은 최대 8개의 송신 안테나를 고려하므로, 최대 8개의 레이어 및 이를 위한 각각의 DM RS가 필요하다. 편의상, 레이어 0∼7을 위한 DM RS를 각각 DM RS (레이어) 0∼7이라고 지칭한다.
도 6을 참조하면, DM RS는 두 개 이상의 레이어가 동일한 RE를 공유하고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라 다중화 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레이어를 위한 DM RS는 확산 코드(예, 왈쉬 코드, DFT 코드와 같은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된 뒤 동일한 RE 상에 다중화 된다. 예를 들어, 레이어 0과 1을 위한 DM RS는 동일한 RE를 공유하는데, 예를 들어 부반송파 1(k=1)에서 OFDM 심볼 12와 13의 두 RE에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된다. 즉, 각 슬롯에서, 레이어 0과 1을 위한 DM RS는 SF(Spreading Factor)=2 코드를 이용하여 시간 축을 따라 확산된 뒤 동일한 RE에 다중화된다. 예를 들어, 레이어 0을 위한 DM RS는 [+1 +1]를 이용하여 확산되고, 레이어 1을 위한 DM RS는 [+1 -1]을 이용하여 확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레이어 2와 3을 위한 DM RS는 서로 다른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RE 상에 확산된다. 레이어 4, 5, 6, 7을 위한 DM RS는 DM RS 0과 1, 그리고 2와 3에 의해 차지된 RE 상에 기존의 레이어 0, 1, 2, 3과 직교한 코드로 확산된다. 4개의 레이어까지는 SF=2 코드가 DM RS에 사용되고, 5개 이상의 레이어가 사용될 경우에는 SF=4 코드가 DM RS에 사용된다. LTE-A에서 DM RS를 위한 안테나 포트는 {7,8,...,n+6}(n은 레이어의 개수)이다.
표 1은 LTE-A에 정의된 안테나 포트 7∼14를 위한 확산 시퀀스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01
표 1을 보면, 안테나 포트 7∼10을 위한 직교 코드는 길이 2의 직교 코드가 반복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4개의 레이어까지는 슬롯 레벨에서 길이 2의 직교 코드가 사용되고, 5개 이상의 레이어가 사용될 경우에는 서브프레임 레벨에서 길이 4의 직교 코드가 사용된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하, 자원블록 맵핑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리 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과 가상 자원블록(Virtual Resource Block, VRB)이 정의된다. 물리 자원블록은 도 2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다. 즉, 물리 자원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0
개의 연속된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1
개의 연속된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물리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0∼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2
로 번호가 주어진다. 물리 자원블록 번호(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3
)와 슬롯에서 자원요소 (k,l)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4
여기에서, k는 부반송파 인덱스이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5
는 하나의 자원블록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가상 자원블록은 물리 자원블록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로칼 타입(localized type)의 가상 자원블록(Localized VRB, LVRB) 및 분산 타입(distributed type)의 가상 자원블록(Distributed VRB, DVRB)이 정의된다. 가상 자원블록의 타입과 관계 없이, 서브프레임에서 두 개의 슬롯에 걸쳐 한 쌍의 자원블록이 단일 가상 자원블록 번호(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6
)에 의해 함께 할당된다.
도 7은 가상 자원블록을 물리 자원블록으로 맵핑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LVRB는 PRB로 직접 맵핑되므로 가상 자원블록 번호(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7
)는 물리 자원블록 번호(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8
)에 동일하게 대응된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49
). VRB는 0∼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0
로 번호가 주어지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1
이다. 반면, DVRB는 인터리빙을 거쳐 PRB에 맵핑된다. 구체적으로, DVRB는 PRB에 표 2과 같이 맵핑될 수 있다. 표 2는 RB 갭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2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3
은 동일 번호의 VRB가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의 PRB에 맵핑될 때의 주파수 간격(예, PRB 단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4
의 경우, 하나의 갭 값만이 정의된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5
).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6
의 경우, 두 개의 갭 값(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7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8
)의 정의된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59
또는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0
는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통해 시그널링 된다. DVRB는 0∼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1
로 번호가 주어지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2
에 대해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3
이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4
에 대해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5
이다. min(A,B)은 A 또는 B 중에서 작은 값을 나타낸다.
연속된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6
VRB 번호들은 VRB 번호 인터리빙을 위한 단위를 구성하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7
인 경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8
이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69
인 경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0
이다. 각 인터리빙 유닛의 VRB 번호 인터리빙은 4개의 열과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1
개의 행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2
이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3
는 자원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 크기를 나타낸다. RBG는 P개의 연속된 자원블록으로 정의된다. VRB 번호는 행렬에 행-바이-행(row-by-row)으로 기록되고 열-바이-열(column-by-column)로 독출된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4
개의 널(null)이 두 번째 및 네 번째 열의 마지막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5
개의 행에 삽입되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6
이다. 널 값은 독출 시에 무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기존의 LTE에 정의된 자원 할당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9 및 10은 각각 타입 0 RA(Resource Allocation), 타입 1 RA 및 타입 2 RA를 위한 제어 정보 포맷 및 그에 따른 자원 할당 예를 나타낸다.
단말은 검출된 PDCCH DCI 포맷에 기초해서 자원 할당 필드를 해석한다. 각각의 PDCCH 내의 자원 할당 필드는 자원 할당 헤더 필드와 실제 자원블록 할당 정보의 두 부분(part)을 포함한다. 타입 0 및 타입 1 자원 할당을 위한 PDCCH DCI 포맷 1, 2 및 2A는 동일한 포맷을 갖고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에 따라 존재하는 단일 비트 자원 할당 헤더 필드를 통해 서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타입 0 RA는 0으로 지시되고 타입 1 RA는 1로 지시된다. PDCCH DCI 포맷 1, 2 및 2A가 타입 0 또는 타입 1 RA에 사용되는 반면, PDCCH DCI 포맷 1A, 1B, 1C 및 1D는 타입 2 RA에 사용된다. 타입 2 RA를 갖는 PDCCH DCI 포맷은 자원 할당 헤더 필드를 갖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입 0 RA에서 자원블록 할당 정보는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을 지시하는 비트맵을 포함한다. RBG는 연속된 PRB의 세트이다. RBG 크기(P)는 표 3과 같이 시스템 대역에 의존한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7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8
개의 PRB를 갖는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에서 RBG의 총 개수(
Figure 112011501095804-pat00079
)는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0
로 주어지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1
개의 RBG는 크기가 P이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2
인 경우 RBG 중 하나는 크기가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3
으로 주어진다.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나타내고,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4
는 올림(ceiling) 함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5
는 내림(flooring) 함수를 나타낸다. 비트맵의 크기는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6
이고 각각의 비트는 하나의 RBG에 대응한다. 전체 RBG는 주파수 증가 방향으로 0 ∼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7
로 인덱싱 되고, RBG 0 ∼ RBG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8
은 비트맵의 MSB(most significant bit)에서 LSB(least significant bit)로 맵핑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타입 1 RA에서
Figure 112011501095804-pat00089
크기의 자원블록 할당 정보는 스케줄링된 단말에게 RBG 서브세트 내의 자원을 PRB 단위로 지시한다. RBG 서브세트 p (0≤pP)는 RBG p 로부터 시작해서 매 P번째 RBG로 구성된다. 자원블록 할당 정보는 세 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첫 번째 필드는
Figure 112011501095804-pat00090
개의 비트이고 P 개의 RBG 서브세트 중에서 선택된 RBG 서브세트를 지시한다. 두 번째 필드는 1 비트이고 서브세트 내에서 자원 할당 스팬(span)의 쉬프트를 지시한다. 비트 값이 1인 경우 쉬프트가 트리거링 되고 반대의 경우 트리거링 되지 않는다. 세 번째 필드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각각의 비트는 선택된 RBG 세트 내에서 하나의 PRB를 지시한다. 선택된 RBG 서브세트 내에서 PRB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비트맵 부분은 크기가
Figure 112011501095804-pat00091
이고,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92
선택된 RBG 서브세트에서 어드레스 가능한(addressable) PRB 번호는 선택된 RBG 서브세트 내에서 가장 작은 PRB 번호에 대한 오프셋(Δshift(p))으로부터 시작하고 비트맵의 MSB에 맵핑될 수 있다. 오프셋은 PRB의 개수로 표현되고 선택된 RBG 서브세트 내에서 적용된다. 자원 할당 스팬의 쉬프트를 위한 두 번째 필드 내의 비트 값이 0으로 세팅된 경우 RBG 서브세트 p 를 위한 오프셋은 Δshift(p)=0으로 주어진다. 그 외의 경우, RBG 서브세트 p 를 위한 오프셋은
Figure 112011501095804-pat00093
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94
는 RBG 서브세트 p 내에서의 PRB의 개수를 나타내고 수학식 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1501095804-pat00006
도 10을 참조하면, 타입 2 RA에서 자원블록 할당 정보는 스케줄링 된 단말에게 연속적으로 할당된 LVRB 또는 DVRB의 세트를 지시한다. PDCCH DCI 포맷 1A, 1B 또는 1D로 자원 할당을 시그널링 한 경우, 1-비트 플래그가 LVRB 또는 DVRB가 할당되는지 지시한다(예, 0은 LVRB 할당을 나타내고, 1은 DVRB 할당을 나타낸다). 반면, PDCCH DCI 포맷 1C로 자원 할당을 시그널링 할 경우 항상 DVRB만이 할당된다. 타입 2 자원 할당 필드는 자원 지시 값(Resource Indication Value, RIV)을 포함하고, RIV는 시작 자원블록(
Figure 112011501095804-pat00095
) 및 길이에 대응한다. 길이는 가상적으로 연속되게 할당된 자원블록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11은 릴레이(Relay, 또는 Relay Node(RN))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릴레이는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거나 음영 지역에 설치하여 서비스를 원활하게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을 포함한다. 단말은 기지국 또는 릴레이와 통신을 수행한다. 편의상,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매크로 단말(macro UE)이라고 지칭하고 릴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릴레이 단말(relay UE)라고 지칭한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사이의 통신 링크를 매크로 억세스 링크로 지칭하고, 릴레이와 릴레이 단말 사이의 통신 링크를 릴레이 억세스 링크로 지칭한다. 또한,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의 통신 링크를 백홀 링크로 지칭한다.
릴레이는 멀티-홉(multi-hop) 전송에서 얼마만큼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에 따라 L1(layer 1) 릴레이, L2(layer 2) 릴레이, 그리고 L3(layer 3) 릴레이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간략한 특징은 아래와 같다. L1 릴레이는 보통 리피터(repeater)의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단말로부터의 신호를 단순히 증폭해서 단말/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릴레이에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지연(transmission delay)이 짧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호(signal)와 노이즈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노이즈까지 증폭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UL 파워 콘트롤이나 셀프-간섭 상쇄(self-interference cancellation)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개선된 리피터(advanced repeater 또는 smart repea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L2 릴레이의 동작은 디코딩-및-전달(decode-and-forward)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L2로 전송할 수 있다. 노이즈가 증폭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디코딩으로 인한 지연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L3 릴레이는 셀프-백홀링(self-backhauling)이라고도 하며 IP 패킷을 L3로 전송할 수 있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기능도 포함하고 있어서 소규모 기지국과 같은 역할을 한다.
L1, L2 릴레이는 릴레이가 해당 기지국이 커버하는 도너 셀(donor cell)의 일부인 경우라고 설명할 수 있다. 릴레이가 도너 셀의 일부일 때는 릴레이가 릴레이 자체의 셀과 해당 셀의 단말들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릴레이는 자신의 셀 ID를 가질 수 없다. 하지만, 릴레이의 ID(Identity)인 릴레이 ID는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의 일부 기능은 해당 도너 셀의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며, RRM의 일부분은 릴레이에 위치할 수 있다. L3 릴레이는 릴레이가 자신의 셀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릴레이는 하나 이상의 셀을 관리할 수 있고, 릴레이가 관리하는 각 셀은 유일한 물리-계층 셀 ID(unique physical-layer cell ID)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과 동일한 RRM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으며, 단말 입장에서는 릴레이가 관리하는 셀에 접속하는 것이나 일반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에 접속하는 것이나 차이가 없다.
또한, 릴레이는 이동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고정 릴레이(Fixed RN):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음영 지역이나 셀 커버리지 증대를 위해 사용된다. 단순 리피터(Repeater)의 기능도 가능하다.
- 노매딕 릴레이(Nomadic RN): 사용자가 갑자기 증가할 때 임시로 설치하거나, 건물 내에서 임의로 옮길 수 있는 릴레이다.
- 이동 릴레이(Mobile RN):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 교통에 장착 가능한 릴레이로서 릴레이의 이동성이 지원되어야 한다.
또한, 릴레이와 네트워크의 링크에 따라 다음의 구분이 가능하다.
- 인-밴드(in-band) 컨넥션: 도너 셀 내에서 네트워크-대-릴레이 링크와 네트워크-대-단말 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공유한다.
- 아웃-밴드(out-band) 컨넥션: 도너 셀 내에서 네트워크-대-릴레이 링크와 네트워크-대-단말 링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한다.
또한, 단말이 릴레이 존재를 인식하는지에 따라 다음의 구분이 가능하다.
-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 릴레이: 단말은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릴레이를 통해 수행되지는 알 수 없다.
- 논-트랜스패런트(Non-transparent) 릴레이: 단말은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릴레이를 통해 수행된다는 것을 안다.
도 12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백홀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인-밴드 중계 모드에서 기지국-릴레이 링크(즉, 백홀 링크)는 릴레이-단말 링크(즉, 릴레이 억세스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릴레이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서, 릴레이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서로 간섭을 유발하므로 릴레이가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홀 링크와 릴레이 억세스 링크는 TDM 방식으로 파티셔닝(partitioning) 된다. LTE-A는 릴레이 존에 존재하는 레거시 LTE 단말의 측정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링크를 설정한다(fake MBSFN 방법).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시그널링 된 경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ctrl)만을 수신하므로 릴레이는 해당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을 이용해 백홀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릴레이 PDCCH(R-PDCCH)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세 번째 OFDM 심벌부터 마지막 OFDM 심벌 내의 특정 자원 영역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실시예
도 13∼14는 주파수-시간으로 구성된 자원을 임의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단일 안테나 포트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다중 안테나 포트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3에서, X-Y로 표기된 주파수-시간 영역의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을 예로 들면, 자원 영역 X-1 (X=1,2,3)은 각각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와 시간 영역에서 4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자원 영역 X-2 (X=1,2,3)는 각각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와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심벌의 수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심벌의 개수 및 부반송파 개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자원 영역 X-1은 첫 번째 슬롯의 일부, 자원 영역 X-2는 두 번째 슬롯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구성은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의 백홀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은 도 12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정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3은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과 자원 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을 도시하였다. RB는 본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 단위로 정의되는 자원이다. 따라서, 각각의 X-Y가 하나의 자원 블록에 해당하고, [X-1,X-2]는 자원 블록 쌍에 해당한다. 특별히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RB는 문맥에 따라 [X-1] 또는 [X-2]를 의미하거나 [X-1,X-2]를 의미할 수 있다. RBG는 하나 이상의 연속된 RB로 구성된다. 도 13에서, RBG를 구성하는 RB의 개수가 3개인 것은 예시로서, RBG를 구성하는 RB의 개수는 표 3과 같이 시스템 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RB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또는 VRB(Virtual Resource Block)를 의미한다.
도 14에서, Px-yy (x, y = 0, 1, 2, 3,...)로 표기된 자원 영역의 주파수 영역의 크기와 시간 영역의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기본적인 자원 구성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면에서, Pn(n=0,1,2,3...)는 다중-레이어 전송 시스템 (예, MIMO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트 또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포트 또는 레이어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별될 수 있는 자원 영역을 의미한다. 포트 또는 레이어의 의미는 시스템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P0-12이 1개의 RB라면 주파수 영역은 12개의 부반송파, 시간 영역은 7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고, 1 RBG (예, RBG=4)라면 주파수 영역의 크기가 4배 증가한 형태가 될 수 있다. Px-y1영역은 Px-y2영역과 같거나 적은 수의 RE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Px-y1 자원 영역이 RB라면 12개의 부반송파와 4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고, RBG라면 주파수 영역이 RBG 단위의 배수만큼 증가된다. Px-y1은 첫 번째 슬롯 또는 그 일부, Px-y2는 두 번째 슬롯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하기도 한다. 심벌의 수는 순환 전치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심벌의 개수 및 부반송파 개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3∼14와 같은 형태의 자원 구성에서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어떻게 할당하여 전송할 것인가에 대해 제안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단일 안테나 포트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을 하고 자원 영역 표시도 도 13의 방식을 따른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단일 안테나 포트에 관한 설명이 다중 안테나 포트에도 확장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기지국-릴레이 사이의 링크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예, R-PDCCH)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 자원 영역 상에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LTE의 타입 0 RA(resource allocation)를 사용할 경우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특정 자원 영역(R-PDCCH 검색 공간(search space)으로 지칭)을 할당된 RBG(들)의 K번째 RB로 한정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RBG를 구성하는 RB의 개수보다 작은 정수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할당된 모든 RBG의 K번째 RB는 R-PDC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다. K는 RGB 그룹의 첫 번째 RB일 수도 있고 마지막 RB일 수도 있다. 타입 1, 2 RA에서도 RBG 개념을 공유할 수 있으며 같은 논리로 RBG의 특정 RB를 R-PDCCH 전송을 위한 자원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PDCCH 검색 공간을 RBG 셋의 하나의 서브셋으로 지정하는 경우, R-PDCCH 검색 공간을 위한 RB(들)을 RBG 셋 내에서 P의 제곱 값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P는 RBG 내 RB의 수이다. 예를 들어, 32개의 RB를 가정하면, 11개의 RBG가 정의될 수 있고, 1개의 RBG는 3개의 RB로 구성될 수 있다(P=3). 따라서, R-PDCCH 검색 공간은 3^2 = 9개의 RB 간격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예는, 하나의 RBG 서브셋을 사용할 경우의 예이며, RBG 서브셋이 2개일 경우는 해당 서브셋 내에서 RB의 간격이 P의 제곱임을 의미한다. 서브셋간의 간격은 어느 서브셋을 몇 개 선택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PDCCH/(R-)PDSCH 할당과 복조
제어 정보는 R-PDCCH를 통해 전송되고, 데이터는 (R-)PDSCH를 통해 전송된다. R-PDCCH는 크게 2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한 카테고리는 DL 그랜트(Downlink Grant, DG)이고 다른 카테고리는 UL 그랜트(Uplink Grant, UG)이다. DL 그랜트는 릴레이가 받아야 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R-PDSCH의 시간/주파수/공간 자원에 대한 정보와 디코딩을 하기 위한 정보(다른 말로, 스케줄링 정보)를 담고 있다. UL 그랜트는 릴레이가 상향링크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R-PUSCH의 시간/주파수/공간 자원에 대한 정보와 디코딩을 하기 위한 정보(다른 말로, 스케줄링 정보)를 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DL/UL 그랜트를 백홀 서브프레임의 자원 영역에 배치하고 이를 복조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R-PDCCH/(R-)PDSCH를 배치하고 복조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예는 LTE의 타입 0 RA (RBG 단위 할당)를 사용하여 (R-)PDSCH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서 본 예는 LTE의 타입 1 RA (RB 단위 할당)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면은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G가 해당 릴레이에게 할당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G가 해당 릴레이에게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5는 자원 영역 1-1에 RN#1의 DL 그랜트가 존재할 경우, 자원 영역 1-2에 (a) 데이터((R-)PDSCH)가 존재하거나, (b) UL 그랜트가 존재하거나, (c) 다른 릴레이를 위한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5에서, 자원 영역 1-2에 (a)∼(c)중 어떤 정보가 존재하는 지는 RA 정보(예, RBG 또는 RB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BG가 모두 RN#1에게 할당된 것이라면, RN#1은 DL 그랜트의 RA 정보를 해석하고 자원 영역 1-2가 (a) 또는 (b)에 해당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N#1은 자원 영역 X-1에 자신을 위한 제1의 R-PDCCH(예, DL 그랜트)가 검출된 RB 혹은 RBG에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해당 RB 혹은 RBG에서 제1의 R-PDCCH가 점유하는 것 이외의 자원에는 자신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RA 정보가 해당 RB 혹은 RBG에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지시하면, RN#1은 검출된 DL 그랜트 이외에 다른 R-PDCCH는 해당 RB 혹은 RBG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릴레이는 자원 영역 1-2가 (a)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RA 정보가 해당 RB 혹은 RBG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시하면, 릴레이는 (b) 혹은 (c)와 같이 제2의 R-PDCCH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적절한 데이터 시작 시점(예, 자원 영역 2-1)을 찾을 수 있다. 이 때 기지국과 릴레이는 제2의 R-PDCCH의 크기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c)의 경우, RN ID 기반의 CRC 검출을 시도함으로써 제2의 R-PDCCH가 RN#1을 위한 UL 그랜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한편, RA 정보가 (a), (b) 혹은 (c)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G는 항상 RN#1의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자원임을 사전에 암시적으로 정해둘 수 있다.
도 15는 DL 그랜트가 자원 영역 X-1(예, 1-1)의 전체에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DL 그랜트가 자원 영역 1-1의 일부에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자원 영역 X-1에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자원 영역 X-1에 DL 그랜트 대신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릴레이는 DL 그랜트 대신 UL 그랜트를 먼저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도 15는 제2의 R-PDCCH가 UL 그랜트라고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제2의 R-PDCCH는 DL 그랜트가 될 수도 있다.
도 16∼17은 R-PDCCH/(R-)PDCCH를 배치하고 복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예는 LTE의 타입 0 RA (RBG 단위 할당)를 사용하여 (R-)PDSCH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서 본 예는 LTE의 타입 1 RA (RB 단위 할당)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면은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G가 해당 릴레이에게 할당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G가 해당 릴레이에게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17은, 자원 영역 1-1/1-2에 RN#1의 DL 그랜트가 존재할 경우, (a) 자원 영역 2-1/2-2에 데이터((R-)PDSCH)가 존재하거나(미도시), (b) 자원 영역 2-1에 RN#1을 위한 UL 그랜트가 존재하거나(도 16), (c) 자원 영역 2-1/2-2에 RN#1을 위한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도 17).
이 경우, RN#1은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여 (a), (b) 혹은 (c)를 구별할 수 있다. 자원 영역 2-X에 RN#1의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RN#1은 DL 그랜트의 RA 정보(예, RBG 할당 비트)을 이용해 (a), (b) 혹은 (c)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1은 RA 정보를 이용해 자원 영역 2-1에 있는 것이 RN#1의 데이터인지, 자원 영역 2-1에 국한되어 할당된 UL 그랜트인지 구별할 수 있다(즉, (a) 혹은 (b))(케이스 A). 또한, RN#1은 RA 정보를 이용해 자원 영역 2-1/2-2에 있는 것이 RN#1의 데이터인지, 자원 영역 2-1/2-2에 국한되어 할당된 UL 그랜트인지 구별할 수 있다(즉, (a) 혹은 (c))(케이스 B). 이를 위해, 기지국-릴레이 동작은 케이스 A 또는 케이스 B 중 하나로 설정되어야 한다. 즉, RN#1은 RA 정보(예, RBG 할당 비트)를 이용해 (a) 또는 (b)를 구분하거나, (a) 또는 (c)를 구분할 수 있다. RBG 할당 비트를 두 가지 중 어떤 것으로 이용할 것인지는 사전에 설정해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UL 그랜트가 자원 영역 2-1에 국한되어 있다고 가정하던지 자원 영역 2-1/2-2에 국한되어 있다고 가정하든지 사전에 정해두어야 한다.
또한, 자원 영역 1-1/1-2에 RN#1의 DL 그랜트가 존재할 경우, (a) 자원 영역 2-1/2-2에 RN#1의 데이터(미도시), (b) 자원 영역 2-1에 다른 RN의 DL 또는 UL 그랜트(도 16), (c) 자원 영역 2-1/2-2에 다른 RN의 DL 또는 UL 그랜트가 존재할 수 있다(도 17). 이 경우, RBG 할당 비트를 이용하여 (a) 또는 (b)를 구분하거나, (a) 또는 (c)를 구분할 수 있다. RBG 할당 비트를 두 가지 중 어떤 것으로 이용할지는 사전에 설정해두어야 한다.
상술한 방안에서, DL 그랜트 사이즈와 동일한 DL/UL 그랜트 사이즈만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RBG 할당 비트는 자원 영역 2-1 또는 2-1/2-2에 존재하는 값이 데이터인지 제어 정보인지를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DL/UL 그랜트의 크기(즉, 자원 영역 2-1 또는 2-1/2-2)는 검출된 DL 그랜트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안은 DL 그랜트가 자원 영역 1-1, 1-2 및 1-3에 걸쳐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술한 방안은 자원 영역 1-1, 2-1, 3-1에 DL 그랜트 대신 UL 그랜트의 전체 또는 일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방안에서 릴레이는 DL 그랜트 대신 UL 그랜트를 먼저 블라인드 디코딩한다.
동일한 DM RS 포트를 이용한 복조 방법
자원 영역 1-1에서 RN#1을 위한 그랜트(예, DL 그랜트)의 복조가 성공하면, 성공한 DM RS 포트에 해당하는 DM RS를 이용하여 다른 자원 영역의 DL 전송 신호를 복조하고, 그렇지 않으면 자원 영역 1-1에서 사용되 DM RS 포트와 다른 DM RS를 이용하여 다른 자원 영역의 DL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자원 영역 1-1에서 RN#1의 DL 그랜트의 복조가 성공하면, 성공한 DM RS 포트에 해당하는 DM RS를 이용하여 자원 영역 1-2의 DL 전송 신호(예, UL 그랜트)를 복조하고, 그렇지 않으면 자원 영역 1-1에서 사용된 DM RS 포트와 다른 DM RS를 이용하여 자원 영역 1-2의 DL 전송 신호(예, UL 그랜트)를 복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원 영역 1-1을 DM RS 포트 0으로 복조하여 성공했다면 자원 영역 1-2의 DL 전송 신호(예, UL 그랜트)도 동일한 DM RS 포트 0의 DM RS를 이용하여 복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실패한 경우) DM RS 포트 1의 DM RS를 이용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TDM+FDM에서 UL 그랜트 (또는 DL 그랜트)로 RB 쌍을 채우는 방법
만약, 자원 영역 1-1에 RN#1의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즉, RN#1의 DL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원 영역 1-2는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L 그랜트만 존재하는 릴레이(들)의 UL 그랜트를 자원 영역 1-2에 채우는 방법을 제안한다. 만약, UL 그랜트만 존재하는 릴레이가 다수일 경우 UL 그랜트로 X-1, X-2를 모두 채워서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L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자원 영역 1-1과 자원 영역 1-2에 모두 DL 그랜트를 할당하여 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RS 포트 할당 방법
도 18∼19는 RB 쌍을 복수의 RE 그룹으로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도 18와 도 19의 예에서 자원 영역의 시작과 끝은 서브프레임의 전체 또는 일부 심벌구간 만 정의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도 18은 하나의 RB 쌍을 두 개의 RE 그룹으로 분할한 경우를 예시한다(X-a, X-b). 도 18에서, X-a, X-b(X=1, 2, 3)의 크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영역 1-a, 1-b는 RN#1의 DL 그랜트와 UL 그랜트를 각각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자원 영역 2-a는 RN#2의 DL 그랜트, 자원 영역 2-b, 3-a는 RN#3의 DL 그랜트, 자원 영역 3-b는 RN#3의 UL 그랜트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자원 영역 1-a와 1-b는 하나의 DM RS 포트에 기반하여 복조하도록 구성하고, 자원 영역 2-a, 2-b는 서로 다른 DM RS 포트에 기반하여 복조하도록 구성하며, 자원 영역 3-a, 3-b는 동일한 DM RS 포트에 기반하여 복조하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RN에 전달되는 DL/UL 그랜트는 하나의 동일한 DM RS 포트를 사용하여 더 좋은 성능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RN으로 전달되는 DL/UL 그랜트의 경우는 각 RN에 맞는 DM RS 포트를 할당할 수 있다.
도 19는 하나의 RB 쌍을 세 개의 RE 그룹으로 분할한 경우를 예시한다(X-a, X-b, X-c). 도 19는 RE 그룹의 개수가 달라진 점을 제외하고는 도 1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도 18을 참조한다.
높은 집합(aggregation) 레벨의 경우 R-PDCCH 맵핑 및 검출
릴레이는 채널 환경에 따라 R-PDCCH의 R-CCE 집합 레벨(예, 1, 2, 4, 8, ..)이 변할 수 있다. 이는 LTE PDCCH의 CCE 집합과 유사하다. R-CCE는 편의상 릴레이를 위한 CCE를 구분하기 위해 정의된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R-CCE는 CCE와 혼용된다. R-PDCCH의 DL 그랜트가 도 20과 같이 3개의 RB에 걸쳐 존재하고, UL 그랜트는 2개의 RB 쌍(pair)의 두 번째 슬롯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DL 그랜트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도 20과 같은 R-CCE 집합(aggregation) 사실을 알았다고 할 때, 릴레이는 두 번째 슬롯에 UL 그랜트가 존재하는지 또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없다.
물론, 앞서 설명했던 방식과 유사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RBG 할당 비트로 두 번째 슬롯에 UL 그랜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G는 해당 릴레이에게 할당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슬롯에 DL 그랜트가 있는 경우, 해당 RBG에 대한 자원 할당 비트는 두 번째 슬롯에 R-PDSCH 또는 UL 그랜트가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다음 경우가 가능하다.
(a) 두 번째 슬롯에 R-PDSCH 존재, 또는
(b) 두 번째 슬롯에 동일 릴레이를 위한 UL 그랜트 또는 다른 릴레이를 위한 UL 그랜트 존재. 다른 RN의 UL 그랜트는 RN ID를 이용한 CRC 체크로 확인 가능.
여기서 문제점은 UL 그랜트가 어느 RB 쌍(들)에 존재하느냐이다. 예를 들어, R-CCE 집합 레벨에 따라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의 개수/위치는 DL 그랜트 사이즈와 UL 그랜트 사이즈 사이에 간단한 관계를 만듦으로써 알 수 있다. 도 21∼22를 참조하여 예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에 UL 그랜트도 항상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DL 그랜트가 2개의 RB 쌍에 걸쳐 존재하면, UL 그랜트도 동일하게 2개의 RB 쌍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DL 그랜트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경우, 릴레이는 UL 그랜트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보다 UL 그랜트 집합 레벨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혹은,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과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간에 N_level배 차이가 있다고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RB 쌍의 첫 번째 슬롯에 하나의 R-CCE가 존재하고, 두 번째 슬롯에 두 개의 R-CCE가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의 R-CCE와 두 번째 슬롯의 R-CCE는 사이즈는 서로 다르다. 본 예에 따르면, DL 그랜트 집합 레벨 x2=UL 그랜트 집합 레벨이라고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RN#1을 위한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은 2이고 UL 그랜트를 위한 집합 레벨은 4이다. 유사하게, RN#2를 위한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은 3이고 UL 그랜트를 위한 집합 레벨은 6이다.
다른 예로, R-CCE 사이즈가 슬롯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RB 쌍의 첫 번째 슬롯에 하나의 R-CCE가 존재하고, 두 번째 슬롯에 하나의 R-CCE가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의 R-CCE와 두 번째 슬롯의 R-CCE는 사이즈는 서로 다르다. 본 예에 따르면, DL 그랜트 집합 레벨=UL 그랜트 집합 레벨이라고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RN#1의 경우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UL 그랜트를 위한 집합 레벨=2이다. 유사하게, RN#2의 경우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UL 그랜트를 위한 집합 레벨=3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R-CCE 사이즈가 하나로 정해지고 DL 그랜트 집합 레벨=UL 그랜트 집합 레벨인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R-CCE 사이즈는 32개의 RE일 수 있다. 이 경우, 두 번째 슬롯의 자원 영역이 더 크므로 도 22와 같은 배치가 될 수 있다. RN#2의 경우, 두 번째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서 일부 자원만 UL 그랜트 전송에 사용된다. 이 경우, 두 번째 슬롯의 빈 공간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거나(도 22(a)),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도 22(b)).
또 다른 방법으로, UL 그랜트가 차지하는 RB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2의 RN#1의 경우와 같이 항상 UL 그랜트는 하나의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 전송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런 제한은 표준 상에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서 기지국이 RN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런 제한이 있다면 RN은 상기 설명한 RA 정보의 재해석을 통해서 UL 그랜트가 차지하는 영역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위치도 파악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RBG 할당 비트를 UL 그랜트 또는 데이터(R-PDSCH)를 구분하는 용도로 재해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해당 RBG가 해당 RN을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가정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하지만, RBG를 RBG 원래의 값의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시그널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시그널은 R-PDCCH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시그널을 사용하든지 아니면 RBG를 재해석 하여 사용하는지를 사전에 설정하거나 반-정적 방법으로 시그널링 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방법들에서 UL 그랜트가 존재한다고 지시 했음에도 불구하고 UL 그랜트를 디코딩하는데 실패한 경우, 해당 슬롯에 존재하는 데이터(UL 그랜트 포함)는 HARQ를 통해 재전송되는 데이터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UL 그랜트로 인해 HARQ 결합된 데이터에 심각한 오류가 생길 수 있으므로,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이전 데이터를 HARQ 컴바이닝(combining)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은 UL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DL 그랜트를 첫 번째 슬롯에 두어 DL 그랜트로 하여금 두 번째 슬롯에서 UL 그랜트 존재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릴레이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예, ((R-)PDSCH)가 없는 경우라도(즉, UL grant only case), UL 그랜트가 동일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 존재한다는 것을 릴레이에게 알려주기 위해 널(null) DL 그랜트 (혹은 dummy DL 그랜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릴레이를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와 관계 없이, UL 그랜트를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릴레이의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가 감소한다. 본 예와 같이, DL 그랜트와 UL 그랜트가 모두 전송되었지만, 릴레이를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실제로는 없는 상황에서는 DL 그랜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다고 지시 해주어야 한다(즉, 널 DL 그랜트). 이를 위해, 널 DL 그랜트는 모든 하향링크 전송 블록 또는 코드워드가 디스에이블(disable)되어 있다고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널 DL 그랜트는 하향링크 전송 블록 사이즈(Transport Block Size, TBS)가 TBS=0 또는 TBS<K (예, 4 RB)이라고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널 DL 그랜트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RB가 없다고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널 DL 그랜트 내의 특정 필드는 모두 "0" 또는 "1"로 셋팅될 수 있다. 널 DL 그랜트가 검출된 경우, 릴레이는 널 DL 그랜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은 없다고 해석하고, 널 DL 그랜트로부터 두 번째 슬롯의 UL 그랜트 존재를 알 수 있다.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를 알려주는 방안 (예, RA 비트 활용)
이하, DCI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RA) 필드의 비트 (또는 유사 정보)를 이용하여 UL 그랜트의 존재 유무를 지시하거나, (R-)PDSCH의 존재 유무를 지시하여 PDSCH 데이터 디코딩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편의상, 설명에 사용된 자원 할당 관련 기술은 LTE 기술을 따른다. RA 비트는 해당 RB 또는 RBG가 PDSCH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RA 비트=0일 경우 해당 RB 또는 RBG는 (R-)PDSCH 전송을 위해 할당되지 않고, RA 비트=1일 경우 해당 RB 또는 RBG는 R-PDSCH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RA 비트의 의미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RA 비트의 의미는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다.
DL 그랜트와 UL 그랜트는 서로 다른 슬롯의 RB에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그랜트는 첫 번째 슬롯의 RB에 존재하고, UL 그랜트는 두 번째 슬롯의 RB에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DL 데이터를 위한 자원 영역과 UL 그랜트를 위한 영역은 공존한다. DL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자원은 DL 그랜트의 RA에 의해 지시되고, UL 그랜트가 실제로 전송되는 자원은 블라인드 디코딩에 의해 확인된다. 따라서, 릴레이는 DL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영역 내에서 UL 그랜트가 검출된 경우, UL 그랜트가 검출된 자원을 제외하고 남은 자원으로부터 DL 데이터를 수신/디코딩한다(즉, 레이트 매칭 수행). 이런 이유로, UL 그랜트의 미검출 또는 오검출이 DL 데이터 디코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의 제한이 기지국-릴레이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 릴레이는 DL 자원 할당(RA) 비트가 1로 세팅된 RB 또는 RBG 상에는 UL 그랜트가 없다고 가정하거나/할 수 있다. 즉, 릴레이는 DL 자원 할당 비트가 0인 RB 또는 RBG 상에서만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하거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DL 자원 할당 비트가 0인 RBG에서 일부 자원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 앞의 제한은 릴레이가 UL 그랜트를 검출하는데 실패하거나(즉, 미검출 케이스) 잘못 검출(즉, 오경보 케이스)한 경우에도, DL 데이터(즉, (R)-PDSCH)의 디코딩시에 정확한 레이트 매칭을 보장해 줄 수 있다.
- 따라서, 기지국은 DL 자원 할당 비트가 1로 세팅된 RB 또는 RBG 상에서 UL 그랜트를 전송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입 0 자원 할당의 경우, 기지국은 DL 그랜트와 UL 그랜트가 함께 존재하는 RBG를 제외하고는, 릴레이를 위한 DL 데이터가 할당된 RBG 상에서는 UL 그랜트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24는 DL RA 비트가 0으로 세팅된 경우에만 UL 그랜트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편의상, 본 예는 기존 LTE의 타입 0 자원 할당을 이용하여 예시한다. 본 예에서, RA=1는 보통의 RA 해석에 따라 해당 RBG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RA=0은 보통의 RA 해석과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예는 DL 그랜트 검색 공간과 UL 그랜트 검색 공간이 각각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DL 그랜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고 RA 비트가 예를 들어 "0"이면 UL 그랜트는 UL 그랜트를 위한 검색 공간(UL SS) 내에서 RA 비트가 "0"인 RB 또는 RBG의 어딘가에 존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UL 그랜트 검색 공간이 RA 비트와 관련 없이 구성되었지만 기지국 스케줄러는 의도적으로 RA 비트가 "0"인 곳에만 UL 그랜트가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RA 비트=0은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는 RBG를 의미하며, UL 그랜트 전송은 UL SS와 RA 비트=0을 모두 만족하는 자원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RA 비트=0은 R-PDCCH 검색 공간 중에서 일부 서브셋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는 DL 그랜트를 검출한 경우에 UL 그랜트 검색 위치를 UL SS 내에서 RA 비트=0으로 설정된 자원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UL 그랜트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말로, RA 비트=1인 RB 또는 RBG를 UL 그랜트를 위한 검색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RA 비트=1이면, 릴레이는 해당 RB 또는 RBG에는 UL 그랜트가 결코 전송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반면, RA 비트=0이면, 릴레이는 해당 RB 또는 RBG에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RA 비트=0인 RB 또는 RBG에만 UL 그랜트를 전송한다. 릴레이는 UL 그랜트의 존재/위치를 모를 경우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UL 그랜트의 위치를 알 경우 지정된 위치에서 UL 그랜트를 디코딩 할 수 있다. 상술한 RA 비트=0 해석에 따르면, UL 그랜트를 위한 검색 공간(UL SS)을 DL RA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제한(다르게는,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UL 그랜트를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RA 비트=0의 해석을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서, RA 비트=0은 UL SS 내에서 UL 그랜트가 실제로 전송되는 RB 또는 RBG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RA 비트=0의 해석은 특정 RB (쌍) 또는 RBG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비트=0의 해석은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 또는 RBG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을 고려할 때, RA=0의 해석은 다음의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A=0인 RBG는 해당 RBG에 DL 그랜트 또는 임의의 R-PDCCH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a)∼(b)). 다른 예로, R-PDCCH의 존재 여부와 관계 없이 RA=0인 RBG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없을 수 있다((c)∼(d)).
도 24에서 점선은 타입 1 자원 할당이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타입 1 자원 할당에서 RA 비트의 해석은 RB 단위로 적용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DL 및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이 증가하면 R-PDCCH는 순차적으로 연속(contiguous)되게 인접 VRB로 확장되어 할당된다고 가정한다(non-interleaving). 이 경우, R-PDCCH는 불-연속(Non-contiguous)적으로 할당되지 않는다. 실제 PRB 맵핑은 다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DL 그랜트 내의 RA 정보가 LTE의 타입 0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본 발명에서 DL 그랜트 내의 RA 정보 특정 타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두 번째 슬롯의 자원 할당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방안을 나타낸다. 도 25는 RBG=3RBs, 1 CCE DL 그랜트, 1 CCE UL 그랜트인 경우를 예시한다. 편의상, DL RA에 의해 할당된 RBG 셋 중에서 DL 그랜트가 있는 1개의 RBG를 도시하였다. 인터리빙이 적용되면, DL 그랜트는 복수의 RB 또는 RBG에 존재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1 CCE DL 그랜트를 전송하는 경우 다음 슬롯의 자원 영역에 UL 그랜트가 존재하는지를 알려주는 방법은 기존의 RA 비트(RB 지시자 또는 RBG 지시자로 지칭)를 재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어, RA 비트=0인 경우, 해당 RBG 내에서 DL 그랜트가 있는 RB 쌍의 다음 슬롯에 UL 그랜트가 존재하거나/할 수 있고 R-PDSCH는 그 다음 RB 쌍부터 할당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반면, RA 비트=1인 경우는 해당 RBG 내에서 DL 그랜트가 있는 RB 쌍의 다음 슬롯에 UL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고 해당 자원 영역을 R-PDSCH가 채우고 있거나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R-PDSCH가 있고 없음은 도 24를 참조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사전에 가정하기 나름이다. 도 25에 예시한, RA 비트 해석은 DL 그랜트가 있는 RB (쌍) 또는 RBG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기존 LTE에서 DCI 포맷 0과 1A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1비트 타입 지시 필드를 이용하여 구분된다. 따라서, 만약 DL 그랜트와 UL 그랜트를 독립적인 공간에 구성한다면 DL/UL 그랜트를 구분하는 필드가 사실상 의미가 없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예로, DCI 포맷 0과 1A를 구분하는 타입 지시 필드를 앞서 언급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 지시 필드는 UL 그랜트의 존재 유무 또는 UL 그랜트의 존재/위치/배치(placement)(예, DL 그랜트가 있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 1 CCE)를 알려줄 수 있다. 본 예에서, 타입 지시 필드는 기존 RA 비트에 추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RB 쌍 내에서 두 번째 슬롯의 자원 영역이 첫 번째 슬롯의 자원 영역보다 크므로 각 슬롯의 RB에 포함된 CCE의 개수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슬롯의 RB는 한 개의 CCE로 구성되고 두 번째 슬롯의 RB는 두 개의 CCE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UL 그랜트는 두 번째 슬롯의 2개의 CCE 중에서 1개의 CCE만 차지할 수 있다. 또한, UL 그랜트는 항상 두 번째 슬롯의 자원 영역을 꽉 채우도록 미리 정해지거나 시그널링 될 수 있다(2 CCE). UL 그랜트의 CCE 집합 레벨을 레벨이 2, 4, 6 형태로 확장하는 것이 시그널링 측면에서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이렇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a∼도 26c는 DL 그랜트 CCE 집합 레벨에 따른 UL 그랜트 전송을 예시한다. 도 26a∼도 26c는 각각 DL 그랜트 CCE 집합 레벨이 1, 2 및 3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면은 RBG=3RBs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RBG를 구성하는 RE의 개수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의상, DL RA에 의해 할당된 RBG 셋 중에서 DL 그랜트가 있는 1개의 RBG를 도시하였다. 인터리빙이 적용되면, DL 그랜트는 복수의 RB 또는 RBG에 존재할 수 있다.
도 26a를 참조하면, 1 CCE DL 그랜트가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BD)에 의해서 검출된 경우, DL 그랜트가 검출된 RB 쌍의 두 번째 슬롯/자원 영역에 UL 그랜트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 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UL 그랜트를 디코딩하다가 실패하였을 경우 이 부분을 데이터로 잘못 인식하여 디코딩할 경우 (R-)PDSCH 디코딩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UL 그랜트의 위치를 정확히 아는 것이 에러 케이스 핸들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1-CCE DL 그랜트가 첫 번째 자원 영역에서 검출되면, 두 번째 자원 영역에서 UL 그랜트 또는 (R-)PDSCH (엠프티 포함)를 알려주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RB에 대한 RA 비트(RB 지시자) 또는 RBG에 대한 RA 비트(RBG 지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 2가지 경우를 지시하면 되므로 1비트 정보로 충분하다.
도 26b를 참조하면, 2-CCE DL 그랜트가 검출된 경우 해당 RB 쌍의 두 번째 자원 영역에 UL 그랜트와 R-PDSCH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많으나 앞서 언급한 가정을 적용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3가지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1비트 대신 2비트 지시가 요구된다. 도 26a의 RBG 지시 1비트에 추가 1비트를 사용하여 각 경우를 모두 지시할 수 있다. 추가 1비트는 DCI 포맷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필드 중에서 백홀에서 제한할 수 있는 필드의 사이즈를 줄이고 남는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홀에 사용할 경우 기존 RA 정보의 길이(width)를 약간 줄이고 남는 비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LTE-A DCI 포맷에서 추가 정의된 필드 중에서 백홀에 의미 없거나 의미가 줄어든 필드의 비트를 차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IF 필드는 3비트로 구성되지만 LTE-A에서 캐리어의 최대 개수는 5개이고 실제 사용하는 캐리어의 개수는 그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CIF 필드에서 1비트 또는 복수의 상태를 차용할 수 있다. 또한, RRC 시그널링과 RA 비트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RC 시그널링으로 경우의 수의 일부를 제한하고 RA 비트로 남은 경우의 수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으로 UL 그랜트 전송 케이스를 (a) 및 (c)로 제한하고, RA 비트로 (a) 또는 (c)를 가리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이후 모든 도면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26c를 참조하면, 3-CCE DL 그랜트가 검출된 경우 해당 RB 쌍의 두 번째 자원 영역에 UL 그랜트와 R-PDSCH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많으나 앞서 언급한 가정을 적용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4가지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6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1비트 + 1비트 = 2비트로 모든 케이스를 지시할 수 있다. 또는 3-CCE DL 그랜트 할당을 아예 하지 않는 방법도 가능하다. CCE 집합 레벨을 2^n (n=0,1,2,..)으로 한정함으로써 DL 그랜트 BD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는 1, 2, 4 CCE DL 그랜트에 대해서만 BD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7a∼도 27d는 RBG가 4개의 RB로 구성된 경우 DL 그랜트 CCE 집합 레벨에 따른 UL 그랜트 전송을 예시한다. 도 27a∼도 27d는 각각 DL 그랜트 CCE 집합 레벨이 1, 2, 3 및 4인 경우를 예시한다. 편의상, DL RA에 의해 할당된 RBG 셋 중에서 DL 그랜트가 있는 1개의 RBG를 도시하였다. 인터리빙이 적용되면, DL 그랜트는 복수의 RB 또는 RBG에 존재할 수 있다. 기본 사항은 도 27a∼도 27c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도 27a∼도 27c를 참조한다.
도 27a를 참조하면, 1 CCE DL 그랜트가 검출될 경우 두 가지 전송 케이스가 가능하므로 해당 RBG에 대한 RA 비트(1비트)로 두 경우를 모두 지시할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2 CCE DL 그랜트가 검출될 경우 세 가지 전송 케이스가 가능하므로 2비트 지시가 필요하다. 도 2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RBG를 위한 RA 비트(1비트)에 추가 1비트를 사용하여 세 경우를 지시할 수 있다. 추가 1비트는 DCI 포맷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RA 정보의 길이(width)를 약간 줄이고 남는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IF 필드에서 1비트 또는 복수의 상태를 차용할 수 있다. 또한, RRC 시그널링과 RA 비트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RRC 시그널링으로 경우의 수를 제한하고 RA 비트로 남은 경우 수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도 27c를 참조하면, 3-CCE DL 그랜트가 검출될 경우 네 가지 전송 케이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2비트 지시로 가능한 경우를 모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6c의 RBG=3RBs에서와 마찬가지로 3-CCE DL 그랜트 경우를 아예 배제시킬 수도 있다. 도 27d를 참조하면, 4 CCE DL 그랜트가 검출될 경우 다섯 가지 전송 케이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2비트로 모든 경우를 지시할 수 없다. 하지만 여기에 추가적인 가정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d에서 CCE 집합 레벨이 홀수인 3-CCE UL 그랜트(c)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7d에서 4-CCE UL 그랜트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첫 번째 슬롯보다 두 번째 슬롯의 자원이 많으므로 DL 그랜트의 CCE 집합 레벨보다 UL 그랜트의 CCE 집합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a)∼(d) 중에서 하나 이상의 경우를 제외함으로써 2비트 지시로 모든 경우를 지시할 수 있다.
앞의 경우에서,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을 제한함으로써 2비트로 모든 경우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그랜트 집합 레벨을 1, 2 또는 1, 2, 4로 제한할 수 있다. 특히, UL 그랜트가 위치하는 두 번째 자원 영역이 크기 때문에 1RB (예, 1-CCE) 또는 2RB(2-CCE)만 사용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두 번째 슬롯의 CCE는 첫 번째 슬롯의 CCE보다 약 2배에 해당하는 RE를 포함하므로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을 1 또는 2로 제한하더라도 UL 그랜트는 실질적으로 집합 레벨 2 또는 4의 DL 그랜트에 해당하는 코드 레이트를 보일 수 있다. 물론 첫 번째 자원 영역과 두 번째의 자원 영역의 바운더리가 조정되어 둘의 자원 영역이 동일하다면 UL 그랜트 집합 레벨을 1, 2, 4로 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이 경우 DL 그랜트 집합 레벨도 1, 2, 4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CCE의 크기는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고 몇 개의 제한된 크기의 CCE로 정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CCE는 DL/UL 그랜트를 할당하는 단위를 각 도면에 보인 것처럼 개념적으로 지칭한 것이다.
상술한 설명은 RA 비트의 해석을 기존과 다르게 함으로써,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배치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위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RA 비트의 해석을 다르게 하는 대신,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DCI 내에 새로운 비트 필드를 추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 필드는 기존에 다른 목적으로 정의된 비트 필드의 일부(예, 2비트)일 수 있고 해당 목적으로 새롭게 정의된 전용 비트 필드일 수 도 있다.
도 28은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배치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DCI 포맷의 필드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8의 방안은 RA 비트의 해석과 함께 사용되거나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DCI 포맷 0/1A는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1비트의 플래그 필드(0/1A)를 포함한다. DCI 포맷 0은 UL 그랜트를 위한 것이고, DCI 포맷 1A는 DL 그랜트를 위한 것이다. 앞의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DL 그랜트와 UL 그랜트가 전송되는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구분되어 있거나, UL 그랜트 사이즈가 DL 그랜트 사이즈와 다를 경우, DCI 포맷 0/1A의 구분을 위한 플래그 필드는 필요가 없다. 따라서, DCI 포맷 0/1A의 구분을 위한 플래그 필드를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배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 1A/1B/1D는 L/DVRB 지시 필드(L/DVRB)를 포함한다. 만약, 릴레이의 경우, DVRB가 항상 디스에이블되고(OFF) LVRB만 지원되도록 제한된다면, L/DVRB 지시 필드를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배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 1/2/2A/2B는 RA 타입 0/1을 지시하기 위한 자원 할당 헤더 필드(RA Hdr.)를 포함한다. 만약, RA 타입이 상위 계층(예, RRC)에 의해 반-정적으로 시그널링 된다면, RA 타입을 지시하기 위한 필드를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배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RRC 시그널 + RBG 지시
다음으로,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예, UL 그랜트의 존재/배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RRC 시그널에 의존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기존의 DCI 포맷의 각 필드는 그대로 유지하고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 또는 UL 그랜트 집합 레벨과 관련된 정보를 RRC로 알려 주는 방법이 가능하다. 특히, DL/UL 그랜트의 집합 레벨과 관련된 정보는 RN-특정하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N별로 고유의 채널 품질을 겪고 백홀 특성 상 채널의 변화가 빠르지 않을 것이므로 적어도 집합 레벨은 RRC로 시그널링 해줘도 무방하다. 여기서 집합 레벨과 관련된 정보는 DL/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예, 1 CCE, 2 CCE 등) 또는 심지어 DL/UL 그랜트가 차지하는 자원 영역(혹은 자원 배치)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RA 비트(예, RBG 지시 비트)는 그대로 재해석해서 사용할 수 있다. RRC 시그널과 RA 비트 재-해석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기존 DCI 포맷에서 특정 비트를 차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예를 들어, RRC로 CCE 집합 레벨을 알려주고 DL RA 비트로 두 번째 슬롯에서 UL 그랜트 존재 여부, 데이터 존재 여부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UL 그랜트 또는 (R-)PDSCH의 유무를 서브프레임 베이시스(basis)로 동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9는 UL 그랜트의 배치(placement)를 RRC로 알려주는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RBG=4RBs이고 4-CCE DL 그랜트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29는 총 5가지의 UL 그랜트 배치 조합을 예로 들었으나 더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만약, UL 그랜트 배치 조합을 5가지만으로 제한한다면 5가지 배치 정보를 RN별로 RRC 시그널링 할 수 있다. 그리고, RA 비트(즉, RBG 지시 비트)를 해당 RBG 내의 UL 그랜트 존재 유무를 구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으로 (a)∼(d) 중 하나를 지시한다면, 릴레이는 RA 비트 해석에 의해 두 번째 슬롯의 사용 상태를 (a) 또는 (e)로 해석할 수 있다. 만약 RRC 시그널링 비트의 크기가 문제되지 않는다면 모든 경우에 대한 배치를 시그널링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할수록 최적화된 자원 할당을 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는 RA 비트가 0인 경우, 해당 RBG 내에서 (a)∼(d)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RA 비트 해석과 함께 또는 별개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DCI 필드(혹은 비트)(예, 타입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실제 전송된 UL 그랜트 배치를 알려줄 수 있다.
도 30은 RBG=3RBs이고 2-CCE DL 그랜트인 경우에 UL 그랜트가 배치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모두 도시하였다. 도 29와 마찬가지로 RRC 시그널을 이용하여 UL 그랜트 위치를 제한하고, RBG 지시 비트를 이용하여 UL 그랜트 존재유무를 알 수 있다.
도 31은 RBG=1RB이고 1-CCE DL 그랜트인 경우에 UL 그랜트가 배치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모두 도시하였다. 도 29∼30와 달리, 도 31은 UL 그랜트의 할당 단위가 더 작아진 경우를 예시한다. 도 29∼30은 두 번째 슬롯의 RB에 하나의 CCE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고 도 31은 두 번째 슬롯의 RB에 두 개의 CCE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도 도 29와 마찬가지로 RRC 시그널을 이용하여 UL 그랜트 위치를 제한하고, RBG 지시 비트를 이용하여 UL 그랜트 존재유무를 알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RRC 시그널링이 RN-특정 시그널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했지만, 이는 예시로서 RRC 시그널링은 RN-공통 시그널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는 RN 공통 채널이 존재한다면 가능하다. 또한, RN-공통 시그널은 모든 릴레이-기지국 링크의 채널 특성이 거의 유사한 경우 바람직하다.
RA 비트 해석
도 32는 RA 비트 해석에 대해 보다 다양한 방안을 예시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RA 비트의 해석에 대해 다음 4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Alt#1∼Alt#4).
방안#1(Alt#1)
- DL 그랜트가 검출된 RBG에서 DL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는 RB 쌍 (또는 주파수 영역)은 항상 DL 그랜트의 대상인 RN의 데이터(예, (R-)PDSCH) 전송에 사용된다.
- 해당 RBG에 대한 RA 비트는 DL 그랜트를 포함하는 RB 쌍에서 두 번째 슬롯의 용도를 가리킨다.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RA 비트가 0이면 해당 자원 영역에 UL 그랜트 전송이 있을 수 있고(UL 그랜트/엠프티), RA 비트가 1이면 해당 자원 영역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RA 비트는 이와 반대로도 해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RA 비트가 0이면 DL 그랜트를 포함하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 항상 UL 그랜트 전송이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방안#2(Alt#2)
- DL 그랜트가 검출된 RBG에서 DL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는 RB 쌍(또는 주파수 영역)은 항상 DL 그랜트의 대상인 RN의 데이터 (R-PDSCH)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다.
- 해당 RBG에 대한 RA 비트는 DL 그랜트를 포함하는 RB 쌍에서 두 번째 슬롯의 용도를 가리킨다.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RA 비트가 0이면 해당 자원 영역에 UL 그랜트 전송이 있을 수 있고(UL 그랜트/엠프티), RA 비트가 1이면 해당 자원 영역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RA 비트는 이와 반대로도 해석될 수 있다.
방안#3(Alt#3)
- DL 그랜트가 검출된 RBG에서 DL 그랜트를 포함하는 RB 쌍에서 두 번째 슬롯의 자원은 항상 DL 그랜트의 대상인 RN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다.
- 해당 RBG에 대한 RA 비트는 DL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는 RB 쌍 (또는 주파수 영역)의 용도를 가리킨다.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RA 비트가 0이면 해당 자원 영역에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고, RA 비트가 1이면 데이터가 전송된다. RA 비트는 이와 반대로도 해석될 수 있다.
방안#4(Alt#4)
- DL 그랜트가 검출된 RBG에서 해당 RBG의 RA 비트로 DL 그랜트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 영역의 용도를 가리킨다.
-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RA 비트가 0이면 해당 자원 영역에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 경우, DL 그랜트가 있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은 UL 그랜트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RA 비트가 1이면, RBG 내에서 DL 그랜트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 영역 모두에서 데이터가 전송된다. RA 비트는 이와 반대로도 해석될 수 있다.
도 32의 방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위 계층(예, RRC) 시그널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DL 그랜트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에 따라 특정 방안으로 폴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그랜트가 차지하는 RB 쌍이 일정 수(예, 3) 이상이면 방안#1이나 방안#2 중에서 사전에 정해진 것(즉, 폴백 모드)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드, 인터리빙 여부(즉, 인터리빙 모드 또는 논-인터리빙 모드), R-PDCCH RS 타입(예, DM RS, CRS)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방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백 동작처럼 기본 방안이 설정되어 있고, 각 구성 모드에 따라 특정 방안이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2의 방안#1∼방안#4에서 0과 1을 구분하는 시그널은 RA 비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안#1∼방안#4에서 0과 1을 구분하는 시그널은 DCI 내의 일부 비트(예, 도 28 설명 참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안#1∼방안#4에서 0과 1을 구분하는 시그널은 RRC 비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안#1∼방안#4에서 각 상태를 구분하는 시그널은 RA 비트 + RRC 비트로 구성된 새로운 포맷의 지시자일수 있다. 예를 들어, RA 1비트 + RRC 시그널 1비트를 조합하여 4가지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방안에 대해 추가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방안#1∼방안#4에서 각 상태를 구분하는 시그널은 RA 비트 + 추가 비트(예, 타입 지시 비트 등)로 구성된 2비트 시그널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 32에서 UL 그랜트의 위치는 UL 그랜트이거나 빈(empty) 상태를 의미한다. RN 입장에서는 UL 그랜트 디코딩 실패 시 해당 영역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R-)PDSCH 디코딩 시에 엠프티 상태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기지국 입장에서는 UL 그랜트를 보내는 것과 보내지 않는 것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어느 관점이냐에 따라 도면의 표기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2는 DL 그랜트의 크기(집합 레벨 또는 자원 영역)와 그에 따른 UL 그랜트 크기는 사전에 같다고 가정한 것이며, 이는 예시로서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된다. 이 경우, 각 방안에 대해 더 많은 경우의 수가 존재하고 이를 위해 2비트 이상의 시그널이 필요할 수 있다.
비대칭적 또는 대칭적 서브프레임 할당을 고려한 RA 비트 해석
도 33∼34는 DL 그랜트와 UL 그랜트가 항상 짝지워진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와 각각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33∼34를 참조하면, RA 비트의 해석에 대해 다음 6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Alt#5∼Alt#10). RA 비트(또는 다른 필드 또는 새로운 비트)가 DL/UL 그랜트, 데이터의 위치/배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안#5(Alt#5)를 보면 DL 그랜트가 2개의 RB 쌍에 걸쳐 검출되고(예, 집합 레벨=2), UL 그랜트도 2개의 RB 쌍의 두 번째 슬롯 (예, 집합 레벨=2)에 전송된다고 가정된다. 이 경우, 지시 비트(예, RA 비트)가 0이면 해당 RBG의 남은 자원 영역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지시 비트(예, RA 비트)가 1인 경우 해당 RBG의 남은 자원 영역에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방안#6(Alt#6)과 방안#7(Alt#7)은 DL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 즉 UL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적용될 수 있다. 방안#6은 지시 비트(예, RA 비트)가 1일 경우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까지 데이터로 채워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방안#7(Alt#7)은 지시 비트(예, RA 비트)가 1일 경우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DL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남은 RB 쌍에만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방안#6/#7에서 지시 비트(예, RA 비트)가 0이면 RBG 내에서 DL 그랜트가 있는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34에 있는 방안#8(Alt#8), 방안#9(Alt#9), 방안#10(Alt#10)은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 또는 자원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주의할 것은 단일 CCE 사이즈로 인해 DL와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이 동일하더라고 DL 그랜트는 2개의 RB, UL 그랜트는 1개의 R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예시는 집합 레벨보다는 도시된 것과 같은 RB 맵핑을 의미한다.
상술한 RA 해석 방식은 백홀 서브프레임 할당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이 쌍으로 백홀에 할당되는 경우(즉, DL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UL 백홀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방안#5나 방안#8과 같이 항상 UL 그랜트가 전송된다는 가정 하에서 RA 해석을 적용할 수 있다. 반면, HARQ 타임라인 상에서 UL 그랜트를 전송할 UL 서브프레임이 동반되지 않는 DL 서브프레임에서는(DL standalone 서브프레임으로 불릴 수 있음) 방안#6, #7, #9, #10과 같이 UL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서 RA 해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방안에 따르면, DL+UL 그랜트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과 DL 스탠드 얼론(stand alone) 서브프레임에서 시그널 0/1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더라도, 릴레이는 보통의 서브프레임에서는 방안#5, #8과 같은 해석을 하고, DL 스탠드 얼론 서브프레임에서는 방안#6, #7, #9, #10과 같은 해석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집합 레벨을 고려한 RA 해석
도 35는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이 변할 경우 이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RA 비트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RA 비트가 1이면, 해당 RBG가 DL 그랜트와 (R-)PDSCH 데이터로만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즉, DL 그랜트가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검출된 RB를 제외한 곳은 모두 데이터로 채워서 전송한다는 의미이다. 한편 RA 비트가 0이면, UL 그랜트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은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즉, DL 그랜트가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면 해당 RB를 제외한 영역에 대해서 RA 비트=0 또는 RA 비트=1이 적용된다. RA 비트=0일 경우, 릴레이는 UL 그랜트가 차지하는 영역도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서 UL 그랜트가 1개의 RB만 차지하는 경우 나머지 영역은 데이터로 채워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UL 그랜트가 복수의 RB에 걸쳐 있는 경우, 블라인드 디코딩을 거쳐 얻어진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를 제외한 영역은 데이터로 사용된다. 하지만, DL 그랜트가 걸쳐있는 RB보다 UL 그랜트가 걸쳐있는 RB가 더 큰 경우 첫 번째 영역에서 DL 그랜트가 전송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비워둘 수 있다. 즉, RB 쌍 내에서 UL 그랜트만 두 번째 슬롯에서 전송될 때는 해당 RB 쌍에서 첫 번째 슬롯은 항상 비워둘 수 있다. 즉, UL 그랜트가 전송되는 RB 쌍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자원은 DL 그랜트를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고 데이터를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RA 비트가 0이지만 두 번째 슬롯에서 UL 그랜트의 블라인드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는 UL 그랜트가 어느 영역까지 존재하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야 하며 이는 데이터 디코딩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UL 그랜트의 블라인드 디코딩 실패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아니므로, 이 경우 데이터 디코딩을 포기할 수 있다. 즉, UL 그랜트 디코딩 실패시는 데이터를 버리는(discard)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은 항상 DL 그랜트와 UL 그랜트가 함께 전송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를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RA 비트의 역할을 설명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도 35에서 RA 비트가 1에 해당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UL 그랜트가 존재한다고 해서 반드시 DL 그랜트 집합 레벨과 동일하다고 보장할 수는 없으므로 도 35에서 RA 비트가 0인 경우에 열거된 4가지 모두 유효하다. 따라서, 본 예에서 RA 비트는 도 35에서 0인 경우들을 두 그룹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그랜트가 차지하는 RB가 DL 그랜트가 차지하는 RB보다 같거나 커지는 경우를 RA 비트=0으로 지시하고, 그 반대인 경우를 RA 비트=1로 지시할 수 있다. RA 비트=1인 경우를 보면 최소한 1개의 RB 쌍에 DL 그랜트 + 데이터의 조합이 항상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를 지시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실제 UL 그랜트가 몇 개의 RB에 걸쳐 있는지(즉, 집합 레벨)는 블라인드 디코딩에 의해 알 수 있다. 따라서, UL 그랜트를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인 실패할 경우 해당 RBG의 데이터는 버리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추가 비트(예, 타입 지시 비트)가 사용된다면 4가지 경우를 모두 구별할 수 있다(RA 비트 + 타입 비트 = 2 비트). 따라서, 블라인드 디코딩 없이 UL 그랜트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의 배치에 제한이 있는 경우 추가 비트 없이 1비트로 시그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DL 그랜트와 UL 그랜트의 사이즈의 비율을 제한하거나, 집합 레벨을 제한함으로써, 도 36에 예시된 경우에서 두 개의 경우를 제외할 수 있다.
자원 사용 방안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시그널링
도 37은 두 번째 슬롯의 자원 사용 방안을 시그널링하는 예를 설명한다. 편의상, 도 37에 도 32에서 예시한 방안#1∼방안#4를 다시 한번 도시하였다. 따라서, 방안#1∼방안#4에 관한 사항은 도 32를 참조한다.
도 37을 참조하여 방안#1(Alt#1)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안#1은 DL 그랜트가 존재하면 항상 자기 데이터가 존재한다. 여기에는, DL 그랜트 사이즈에 따라 UL 그랜트 사이즈가 정해진다는 가정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실제 자원 영역의 크기 측면 또는 CCE 집합 레벨 측면에서, DL 그랜트 사이즈보다 UL 그랜트 사이즈가 같거나 작다는 가정이 있을 수 있다. 방안#1은 자원 이용 측면과 UL 그랜트 디코딩 에러 케이스 핸들링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RS 형식 및 인터리빙 등을 고려하면 경우에 따라 방안#4, 방안#3 등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방안들을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방안#1과 방안#4를 둘 다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구분하는 시그널링 (예, RRC)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L 그랜트가 여러 RBG에 전송될 경우 "한 RBG 내에서 DL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는 RB들은 데이터로 사용된다"라는 가정을 모든 RBG에 동일하게 확대 적용하는 가정/제한이 필요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RBG가 1개 증가할 때마다 1비트씩 추가 시그널링 정보가 요구된다. 물론 RRC로 시그널링 한다면 비트 수의 제약은 문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방안#1, #3, #4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방안#3의 경우 인터리빙이 적용되었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인터리빙될 경우 두 번째 슬롯에 UL 그랜트의 일부가 존재하든 하지 않든 상관없이 해당 자원 영역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리빙이 사용되는 경우는 방안#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 모드에 따라 방안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리빙 여부(즉, 인터리빙 모드 또는 논-인터리빙 모드), R-PDCCH RS 타입(예, DM RS, CRS)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방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백 동작처럼 기본 방안이 설정되어 있고, 각 구성 모드에 따라 특정 방안이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DL/UL 그랜트 DCI 포맷간의 연관(association)
하나의 RB 쌍을 통해 함께 전송될 수 있는 DL/UL 그랜트 DCI 포맷을 연관 관계를 고려하여 제한할 수 있다. 연관 관계를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CI 포맷 사이즈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DL 그랜트에 DCI 포맷 1을 사용하면 UL 그랜트는 DCI 포맷 0를 사용하고, DCI 포맷 2, 2x를 사용하면 UL 그랜트에는 DCI 포맷 3 (New UL MIMO 포맷)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DL 그랜트 사이즈와 UL 그랜트 사이즈를 거의 같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UL 그랜트가 존재하는 두 번째 슬롯의 자원 영역이 크기 때문에 UL 그랜트 크기가 DL 그랜트의 크기를 초과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에러 케이스 핸들링
도 38은 도 29의 경우를 참조하여 에러 케이스 핸들링 방안에 대해 예시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RA 1비트로 데이터의 유무를 알려주고, UL 그랜트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한다. 이 경우, UL 그랜트의 사이즈를 정확히 알려 주기 위해 추가 비트(L1/L2, RRC 시그널링)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9∼40은 도 35를 참조하여 에러 케이스 핸들링 방안에 대해 예시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DL 그랜트 사이즈가 M일 때 UL 그랜트 사이즈 N을 M보다 작게 제한함으로써 UL 그랜트를 배치하기 위한 경우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그랜트 사이즈가 3(=M)일 때 UL 그랜트 사이즈를 2(=N)이하로 유지한다면(즉, 1 또는 2로 제한)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D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이 3 CCE일 경우, UL 그랜트의 집합 레벨이 2 CCE 이하라고 가정하면 시그널링 또는 RA 비트가 0일 경우에 (a)∼(d) 중에서 (c) 또는 (d)로 경우의 수가 좁혀지므로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도 40은 도 39에서 설명한 UL 그랜트 사이즈를 제한하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도 39에서 시그널링 비트 (예, RA 비트)가 1에 해당하는 경우를(왼쪽 도면) 제외할 수 있도록 송수신기간에 약속이 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릴레이는 두 가지 경우(즉, (c) 및 (d))만을 구별하면 되기 때문에 1비트 시그널링으로 충분히 지시할 수 있다. 다시 언급하자면, 기본적인 가정으로서 DL 그랜트 사이즈가 M일 때 UL 그랜트 사이즈(N)는 M보다 작아야 하고 UL 그랜트의 배치 경우의 수가 두 종류로 제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L 그랜트 사이즈가 3(=M)일 때 UL 그랜트 사이즈는 2(=N)보다 작게 유지한다면(즉, 1 또는 2로 제한) 1비트 지시로 가능하다.
"DL 그랜트 온리 케이스" 및 "DL 그랜트 + UL 그랜트 케이스"의 지원
도 41 및 42는 또 다른 형태의 R-PDCCH/데이터 배치 지시 규칙을 예시한다. 특히 DL 그랜트 + 대응하는 UL 그랜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는 방안#5(Alt#5), 방안#8(Alt#8) 규칙을 적용할 수 있고, DL 그랜트만 존재하는 경우(즉, 대응하는 UL 그랜트가 부재) 방안#6(Alt#6), 방안#7(Alt#7) 및 방안#9(Alt#9), 방안#10(Alt#10)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두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a) DL 그랜트가 존재하고 그에 따른 UL 그랜트가 항상 존재하는 경우
(b) DL 그랜트만 존재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UL 그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a)에 해당하는 경우 방안#5, 방안#8 규칙을 따르고, (b)의 경우 방안#6, #7, #9, #10 규칙을 따른다. (a)와 (b)가 공존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a)의 경우가 발생한 특정 서브프레임에서는 (a)에 적용 가능한 방안 중 하나를 사용하고, (b)가 발생했을 경우 (b)에 적용 가능한 방안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사전에 셋을 미리 정의해 두고 이를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같은 상황에서는 방안#5 규칙에 따라 R-PDCCH 및 데이터의 배치 형태를 파악해 내고, (b) 상황이 발생하면 방안#6에 제시된 규칙에 따라 R-PDCCH 배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방안#5, 방안#6을 하나의 셋으로 묶고 이를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a)만 사용하는 모드 1과 (a)와 (b)가 혼재하는 모드 2로 구분하고 모드 설정은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대칭적 서브프레임 할당을 고려하면 (a)의 경우가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TDD 구조에서는 (b)도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모드 1 (예, 방안#5)과 모드 2(예, 방안#5, 방안#6)를 혼재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모두 1과 모드 2의 적용은 서브프레임 타입에 따라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브프레임 할당 패턴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따라 묵시적으로 알 수 있다. 하나의 모드에서 여러 방안이 적용될 수 있는 경우(예, 모드 2 - 방안#5와 방안#6), 모드 2에서 방안#5와 방안#6의 구분은 블라인드 디코딩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모드 2에서 방안#5와 방안#6의 구분은 L1/L2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서도 가능하고 또는 서브프레임 할당 패턴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따라서 묵시적(implicitly)으로 알 수 있다.
백홀 자원을 최대화하기 위한 인덱스 오더링
이하의 설명은 백홀 자원의 활용을 위해 다음의 가정이 있다고 전제한다. 설명을 위해, R-PDCCH (혹은 릴레이) 그룹 0, 1, 2가 있다고 가정한다.이 경우, 릴레이는 자신이 속하는 그룹(예, 그룹 1)에서는 R-PDCCH가 RB 쌍의 첫 번째 슬롯에 항상 존재한다고 가정하므로 RB 쌍의 두 번째 슬롯만 R-PDSCH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타 그룹 (그룹 0 또는 2)의 RB 쌍을 이용하여 R-PDSCH를 전송하고 하는 경우(즉, RA 지시가 있는 경우) 두 번째 슬롯뿐만 아니라 첫 번째 슬롯까지 R-PDSCH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는 릴레이가 자신이 속하는 그룹과 자신이 속하는 그룹이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RA 지시 비트를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43은 그룹 인덱스 순서에 따라 R-PDCCH를 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3은 RBG가 4개의 RB로 구성되고 총 R-PDCCH의 수가 8개인 경우를 가정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그룹 인덱스 순서(예, 논리 RB 인덱스 순서)에 따라 8개의 R-PDCCH(RN1∼RN8)가 RB 인덱스 0부터 시작해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 1에 속하는 RN4는 그룹 0에 속하는 RB 쌍의 첫 번째 슬롯을 사용할 수 없다. 그룹 1의 RN4 이전 RB(RB 인덱스 0∼2)가 다른 RN의 R-PDCCH(RN1∼RN3)로 모두 채워졌기 때문이다.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기존 가정(즉, RN4가 속한 그룹 1을 제외한 다른 그룹에서는 RA 지시가 있을 경우 첫 번째 슬롯부터 R-PDSCH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는 가정)이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인덱스 오더링을 적용할 경우 새로운 규칙이 필요하다. 또한 그룹 인덱스 오더링을 어떻게 할 것인지도 정해져야 한다.
하나의 방법으로 기지국이 상대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보내야 되는 RN에게는 높은 인덱스 값을 줄 수 있다(예, 그룹 2). 반면, 기지국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보내야 되는 RN 또는 보내야 될 데이터가 없는 RN(예, DL 그랜트 온리 케이스)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덱스 값을 줄 수 있다. 이때 규칙을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데이터 양에 따라 그룹 인덱스 오더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정렬을 할 경우, 릴레이는 자신보다 낮은 RB 인덱스에 할당된 자원이 존재할 경우와 자신보다 큰 RB 인덱스에 할당된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RA 지시 비트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도 44∼46에 이와 관련된 내용을 도시하였다. 각 도면은 서로 다른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도 44는 각 RB가 논리 RB와 인덱스를 의미하는 경우나 한 RB 단위의 자원 할당일 경우에 부합되는 예시이다. 도 45는 RBG 단위의 자원 할당일 경우에 부합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45는 UL 그랜트를 별도로 패킹(packing)하여 한번에 또는 일정 크기의 그룹 단위로 인터리빙할 경우를 예시한다.
도 44는 RN2의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이 비어 있는 경우(예, DL 그랜트 얼론(alone) 케이스), RN6을 위해 빈 자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4는 상술한 빈 자원 이외에 RN6의 DL 그랜트가 존재하는 RB 쌍의 두 번째 슬롯과 다른 RN이 사용하지 않는 RB 쌍에도 RN6을 위한 데이터를 보내려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RN1 또는 RN2에 비해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RN6에게 전송하는 셈이다. 이는 그룹 인덱스 오더링이 해당 릴레이에게 보내려고 하는 데이터의 크기로 정렬되었다고 가정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RA 비트 해석이 각각에 대해서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즉, RN6 이전에 존재하는 RB(왼쪽 방향의 RBs)에 대한 RA 비트는 오직 두 번째 슬롯에만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알려준다. 첫 번째 슬롯은 이미 RN2와 같이 낮은 그룹 인덱스 값을 갖는 RN들에 의해서 모두 점유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RN6가 존재하는 RB 인덱스보다 큰 RB(오른쪽 방향의 RBs)에 RN6의 R-PDSCH 할당 시 RA 비트는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 모두에 R-PDSCH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알려준다. 즉, 릴레이는 그룹 인덱스를 고려하여 RB 쌍의 두 번째 슬롯, 또는 모든 슬롯에서 R-PDSCH가 전송된다고 가정하고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을 다음의 규칙으로 정리할 수 있다.
1. 검색 공간에서 자신의 R-PDCCH (또는 자신의 R-PDCCH 그룹)와 이전의 R-PDCCH(s) (또는 R-PDCCH 그룹(들))에 의해 점유된 RB 쌍(들)에 대해 RA 비트가 데이터(예, (R-)PDSCH) 할당을 지시하는 경우, 릴레이는 해당 RB 쌍의 첫 번째 슬롯에서는 DL 그랜트가 전송되고 두 번째 슬롯에서 자신의 데이터가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릴레이는 해당 RB 쌍에서 첫 번째 슬롯에는 데이터 전송이 없다고 가정하고 (R-)PDSCH 디코딩을 수행한다.
2. 검색 공간에서 자신의 R-PDCCH의 의해 점유된 RB 쌍(들)보다 다음 RB 쌍(들)(즉, 높은 인덱스의 RB)에 대해 RA 비트가 데이터(예, (R-)PDSCH) 할당을 지시하는 경우, 릴레이는 해당 RB 쌍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슬롯 모두에서 데이터가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릴레이는 해당 RB 쌍의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 모두에서 데이터 전송이 있다고 가정하고 (R-)PDSCH 디코딩을 수행한다.
본 제안에 따르면, 릴레이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몇 개의 RBs가 R-PDCCH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몇 개의 R-PDCCH 그룹이 있는지 알 필요가 없다.
도 45는 RBG 개념을 도입했을 경우의 예시이다. RBG 단위로 자원을 할당하다 보면 RBG에 속하는 PRB를 모두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하지 못하는 RB가 많을수록 상술한 제안 방법은 백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45는 RN2를 위해 RN1이 속하는 RBG의 1RB를 사용하고 또한 RN2가 속한 RBG뿐만 아니라 RN의 R-PDCCH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RB 쌍에서 RN2를 위한 R-PDSCH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RN2가 속하는 RBG보다 낮은 인덱스를 갖는 RBG 인덱스에 대한 RA 비트 해석과 RN2가 속하는 RBG 인덱스보다 큰 경우의 PRB에 대한 RA 비트 해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도 46은 UL 그랜트가 DL 그랜트에 비해 적을 경우 UL 그랜트를 낮은 인덱스로 몰아서 패킹(packing)하는 예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UL 그랜트가 점유하는 RB를 제외한 모든 RB를 제안한 규칙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기지국과 릴레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설명은 릴레이와 단말의 관계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에서 기지국은 릴레이로 대체되고, 릴레이는 단말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을 예시한다.
도 4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릴레이(RN, 130) 및 단말(UE, 130)을 포함한다. 편의상, 릴레이에 연결된 단말을 도시하였으나, 단말은 기지국에 연결될 수도 있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릴레이(120)는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무선 주파수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130)은 프로세서(132), 메모리(134) 및 RF 유닛(13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4)는 프로세서(13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3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36)은 프로세서(13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기지국(110), 릴레이(120) 및/또는 단말(13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 릴레이,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가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RB(Resource Block) 쌍 세트의 1번째 슬롯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RB 쌍 세트의 2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검출된 RB 쌍과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은 상기 RB 쌍의 2번째 슬롯 상에 상기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고, 상기 R-PDCCH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논-인터리빙 되게 설정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관한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을 위한 비트맵을 포함하고, 각 비트는 대응하는 RB 또는 RBG(Resource Block Group)의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보다 작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2번째 슬롯의 자원 상에서의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배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PDCCH(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RB(Resource Block) 쌍 세트의 1번째 슬롯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RB 쌍 세트의 2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검출된 RB 쌍과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은 상기 RB 쌍의 2번째 슬롯 상에 상기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고, 상기 R-PDCCH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논-인터리빙 되게 설정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 관한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을 위한 비트맵을 포함하고, 각 비트는 대응하는 RB 또는 RBG(Resource Block Group)의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보다 작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2번째 슬롯의 자원 상에서의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배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34204A 2010-04-13 2011-04-13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1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04824A JP5736446B2 (ja) 2010-04-13 2011-04-13 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装置
EP11769076.8A EP2560451B1 (en) 2010-04-13 2011-04-13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t a relay and corresponding relay
AU2011241273A AU2011241273B2 (en) 2010-04-13 2011-04-13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US13/635,009 US9197363B2 (en) 2010-04-13 2011-04-13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CA2795761A CA2795761C (en) 2010-04-13 2011-04-13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PCT/KR2011/002633 WO2011129610A2 (ko) 2010-04-13 2011-04-13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201180019186.XA CN102845121B (zh) 2010-04-13 2011-04-13 用于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装置
JP2015084996A JP6030694B2 (ja) 2010-04-13 2015-04-17 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装置
US14/924,330 US10574333B2 (en) 2010-04-13 2015-10-27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384210P 2010-04-13 2010-04-13
US61/323,842 2010-04-13
US32430410P 2010-04-15 2010-04-15
US61/324,304 2010-04-15
US32708610P 2010-04-22 2010-04-22
US61/327,086 2010-04-22
US33415910P 2010-05-12 2010-05-12
US33410110P 2010-05-12 2010-05-12
US61/334,101 2010-05-12
US61/334,159 2010-05-12
US33418610P 2010-05-13 2010-05-13
US61/334,186 2010-05-13
US34600810P 2010-05-18 2010-05-18
US61/346,008 2010-05-18
US34921110P 2010-05-28 2010-05-28
US61/349,211 2010-05-28
US35130210P 2010-06-04 2010-06-04
US61/351,302 2010-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492A KR20110114492A (ko) 2011-10-19
KR101712911B1 true KR101712911B1 (ko) 2017-03-07

Family

ID=4502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204A KR101712911B1 (ko) 2010-04-13 2011-04-13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30694B2 (ko)
KR (1) KR101712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173A (ko) * 2017-09-28 2019-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090856A1 (ko) * 2021-11-16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론트홀 전송에서의 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4663B (zh) * 2012-01-30 2019-02-1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下行链路控制信道的资源分配的方法及其设备
SG11201907185YA (en) * 2017-02-03 2019-09-2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3398B (zh) * 2008-08-01 2014-07-02 Lg电子株式会社 在包括中继站的无线通信系统中的对于回程链路和接入链路的资源分配方法
KR101527978B1 (ko) *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9517B1 (ko) * 2008-09-18 2015-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홉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및 장치
US8649281B2 (en) * 2009-04-27 201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design for backhaul relay to support multiple HARQ processes
GB201000449D0 (en) * 2010-01-12 2010-02-24 Nec Corp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43059A1 (en) * 2010-04-05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leaving data in a 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pdcc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173A (ko) * 2017-09-28 2019-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07853B1 (ko) * 2017-09-28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447195A (zh) * 2017-09-28 2019-11-1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接收下行链路数据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设备
US10805919B2 (en) 2017-09-28 2020-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data and device therefor
CN110447195B (zh) * 2017-09-28 2022-03-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接收下行链路数据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设备
WO2023090856A1 (ko) * 2021-11-16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론트홀 전송에서의 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30694B2 (ja) 2016-11-24
KR20110114492A (ko) 2011-10-19
JP2015164340A (ja)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4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36446B2 (ja) 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装置
US10420091B2 (en) Mapping of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channel elements
KR1018639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68622B1 (ko) R-pdcch 전송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
US9398562B2 (en) Configuration of uplink and downlink grant search spaces in a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7878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773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US89583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s
WO2011142576A2 (ko)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030694B2 (ja) 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ダウン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装置
CA2795761C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