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818B1 - 와위(臥位) 변경 장치 - Google Patents

와위(臥位) 변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818B1
KR101712818B1 KR1020150140517A KR20150140517A KR101712818B1 KR 101712818 B1 KR101712818 B1 KR 101712818B1 KR 1020150140517 A KR1020150140517 A KR 1020150140517A KR 20150140517 A KR20150140517 A KR 20150140517A KR 101712818 B1 KR101712818 B1 KR 10171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xtension
fastening
receiv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1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means for turning-over the pati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위 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진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쪽인 상기 연장부의 일부에, 타단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쪽인 상기 받침부의 일부와 연결되어 신체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신체의 누운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위(臥位) 변경 장치{DECUBITUS POSITION CHANGER}
본 발명은 누운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 장애인, 노인, 나아가 의식이 없는 사람 등이 침상에 누워있는 경우 거동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이들의 행동 또는 이들에 대한 행위에 제약이 많을 수 있고, 위험할 수 있다.
침대의 시트를 갈거나 이들에 대한 의료, 미용 등의 행위를 할 때, 이들의 신체 자세를 변경하려면 여러 사람의 협력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정 자세에서 심초음파와 같은 검사를 위해 변경한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나 체중을 재야 하는 경우 이러한 행위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268793호는 침대의 수평 상태를 일부 변화시킴으로써 환자의 누운 자세를 변경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장치의 설치 범위 및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며 작동 범위, 기동성 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8793호
본 발명은 신체의 누운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와위(臥位)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진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쪽인 상기 연장부의 일부에, 타단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쪽인 상기 받침부의 일부와 연결되어 신체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가 바닥에 닫는 면에 받침부만이 바닥에 닿아도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무게중심면을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3. 위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무게중심면에 체중계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중계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실린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체결부는 상기 체중계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위 변경 장치.
5. 위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굽은 측의 반대 측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6. 위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굽은 측에 충격완화 쿠션을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7. 위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복수 개로서 각각의 굽어진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인, 와위 변경 장치.
8. 위 7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받침부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1 병합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병합체결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받침부를 병합하는 제1 병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 개로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인, 와위 변경 장치.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및 상기 연장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인, 와위 변경 장치.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받침부의 일부에 미리 마련된 홈을 통해 상기 받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는 것인, 와위 변경 장치.
12. 위 9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2 병합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병합체결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를 병합하는 제2 병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의 일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부는 각각 제1 고정체결부 및 제2 고정체결부를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에 닿아 상기 연장부의 하중을 견디어 상기 연장부의 일부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의 밑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가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가 구비되는, 와위 변경 장치.
16. 위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닿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단에 지면과의 관계에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일단에 걸리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지지보조부를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는, 와위를 변경하는데 안전하고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는 와위를 변경하고 변경 후의 와위를 유지하는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는 누운 자세의 신체의 체중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는 누운 자세의 신체의 아래에 깔린 물체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는 누운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 및 유지함으로써, 심초음파의 영상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사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의 몸체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위 변경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 일부분의 개략적인 측면 분해도이다.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진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쪽인 상기 연장부의 일부에, 타단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쪽인 상기 받침부의 일부와 연결되어 신체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신체의 누운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와위(臥位) 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병합체결부, 제2 병합체결부, 제1 병합부재(410), 제2 병합부재(420), 제1 고정부(200)체결부 및 제2 고정부(200)체결부의, 제1 및 제2의 의미는 그의 개수를 한정하는 의미가 아니라, 서로를 구별하는 의미에 지나지 않고, 각각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행 또는 수직은 기하학적으로 평행 또는 수직인 것은 물론, 실질적으로 평행 또는 수직인 것 및 정확히 평행 또는 수직이 아니라도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평행 또는 수직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와위 변경 장치는 몸체부(100),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 몸체부 (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진 받침부(110) 및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된 연장부(150)를 포함한다.
연장부 (150) 및 받침부 (11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연장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신체와 바닥 사이로 몸체부(100)를 삽입하기에 용이하고 삽입 후에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받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와위 변경 시 지레의 원리를 바탕으로 신체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시 또는 변경 후에도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받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부(150)와 받침부(110)의 조합으로 와위의 변경 및 변경 후 와위의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와 연장부(150)는 당 분야에 공지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소재로 이어져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의 받침부(110) 및 연장부(150)는 탈부착될 수 있다. 받침부(110) 및 연장부(150)가 탈부착될 수 있음으로써, 본 실시예를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본 실시예를 사용 시 받침부(110) 하나 당 연장부(150)의 개수를 결정 내지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부착의 수단은 받침부(110) 및 연장부(150)가 탈부착될 수 있으면서, 받침부(110) 및 연장부(150)가 부착된 경우에는 사용 시 부착된 받침부(110) 및 연장부(150)가 신체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부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50)는 받침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고, 반대로 연장부(150)가 받침부(11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움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50)가, 받침부(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마련된 받침부(110) 상의 홈 또는 연장부(150) 상의 홈과 같은 연장부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받침부(11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움직일 수도 있다. 연장부(150)가 받침부(11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본 실시예를 사용 시, 사용하는 목적이나 와상 신체의 구조 등에 따라 연장부(150)의 위치를 결정 내지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50) 및 받침부(110)의 경계의 반대 쪽인 연장부(150)의 일부를 누운 자세의 신체와 바닥 사이로 밀어 넣어 신체에 받침부(110)를 밀착시킨 후(도 2의 (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해 도시된 신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연장부(150)를 들어올리면, 누운 자세의 신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및 회전 후 몸체부(100)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도 2의 (나)). 이에 따라, 누운 자세의 신체가 용이하게 변경 및 유지(도 2의 (다))될 수 있으며, 누운 자세의 신체의 아래에 깔린 물체(침대 시트 등)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와위 자세의 변경은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신체의 자세를 변경할 수도 있고, 신체의 일부는 그대로 두고 일부 신체에만 사용하여 자세를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장부 (15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장부(150)의 형상, 크기, 소재 등은,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50)가 누운 자세의 신체와 바닥 사이로 삽입되어 그 반대 쪽 신체와 바닥 사이로 표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와위 변경 중 또는 변경 후에 몸체부(100)가 받는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 크기, 소재 등에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장부(150)의 형상은 판, 막대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받침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50)의 반대 쪽 끝단까지의 길이가 신체의 정면 어깨 또는 정면 허리의 너비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그 소재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 나무 등일 수 있으며, 연장부(150) 표면의 소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마찰이 적은 소재로서 투명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50)가 판 등 넓은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연장부(150)는 와상 신체를 덮는 적어도 일 부분에 관통부를 가지거나, 투명한 소재일 수 있다. 연장부(150)가 이러한 관통부 또는 투명한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의 (가) 또는 도 2의 (나)와 같이 와상 신체가 기울어진 상태와 같은 경우에, 와상 신체의 후면이 와상 신체를 다루는 자의 시야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와상 신체를 다루는 자가 와상 신체를 다루는 자와 와상 신체 사이에 연장부(150)를 두고도 와상 신체의 후면을 다루거나 관찰할 수 있다.
제2 병합체결부 및 제2 병합부재 (420)
필요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50)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연장부(150)는 받침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장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시 보다 넓은 범위의 신체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와위가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복수 개의 연장부(150)는 신체의 굴곡에 따른 신체와 바닥 사이의 틈이 넓은 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나)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연장부(150)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2 병합체결부를 구비하고, 제2 병합체결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연장부(150)를 병합하는 제2 병합부재(4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시 보다 넓은 범위의 신체에 고르게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와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병합체결부는 제2 병합부재(420)와 연장부(150) 사이에서 제2 병합부재(420)와 연장부(150)를 병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소재 및 방식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받침부 (11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받침부(110)의 형상, 크기, 소재 등은, 와위 변경 시 또는 변경 후에도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받쳐진 상태를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와위 변경 중 또는 변경 후에 몸체부(100)가 받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 크기, 소재 등에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받침부(110)의 소재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 나무 등일 수 있다.
받침부(110)의 형상은 와위 변경 시 또는 변경 후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진 형상으로서 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한 폭 및 길이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각진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와위 변경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받침부(110)의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진 정도는 와위를 변경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몸체부(100)를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더라도 신체를 받칠 수 있을 정도이면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몸체부(100)를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는 정도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받침부(110)가 상기와 같은 와위의 신체를 원 와위를 기준으로 약 180°로 회전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받침부(110)일 경우는, 받침부(110)의 연장부(150)가 연결되지 않은 일단이 신체를 충분히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신체를 충분히 연장됨으로써, 신체가 원 와위를 기준으로 약 180°로 회전된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받침부(110)에 받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다시 종전 원 와위로 복귀하는데 용이하고 안전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받침부(110)는 각각의 굽어진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받침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시 보다 넓은 범위의 신체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와위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병합체결부 및 제1 병합부재 (410)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받침부(110)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1 병합체결부를 구비하고, 제1 병합체결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받침부(110)를 병합하는 제1 병합부재(410)를 더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시 신체의 전체에 고르게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와위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와위 변경 시 받침부(110)의 뒤틀림 현상 등이 방지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와위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병합체결부는 제1 병합부재(410)와 받침부(110) 사이에서 제1 병합부재(410)와 받침부(110)를 병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소재 및 방식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무게중심면 (112)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는 받침부(110)가 바닥에 닫는 면에 몸체부(100) 중 받침부(110)만이 바닥에 닿아도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무게중심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중심면(112)을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후에 본 실시예의 와위 변경 장치가 다른 지지 없이 단독으로 균형을 잡고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세 변경 대상 신체를 다루는 자가 자세 변경 및 변경 후 처리를 단독으로 하는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가 무게중심면(112) 및 후술할 체중계(114)를 더 포함할 경우, 신체의 정확한 체중 측정을 위해 무게중심면(112)을 제외한 나머지 받침부(110)의 바닥을 향하는 면은 최대한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측면 두께 또한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체중계(114)가 포함되는 부분을 제외한 와위 변경 장치의 나머지 부분이 바닥으로부터 잘 이격될 수 있고, 신체의 체중 측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체중계(114) 및 체중계체결부 (116)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는, 상기 무게중심면(112)에 체중계체결부(1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중계체결부(116)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실린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체의 무게를 젤 수 있는 체중계(1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와위의 신체에 대한 체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체중계(114)의 크기, 형상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낮고, 중량이 가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위 변경 장치가 와위 자세 변경 후 받침부(110)만이 바닥에 닿은 상태로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경우로서, 바닥에 닿는 받침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체중계(114)가 배치되면, 와위 변경 장치의 무게를 제외한 무게가 본 실시예의 받침부(110)에 받쳐진 신체의 무게가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받침부(110)로 형성될 경우는 그에 상응하는 수의 체중계(114)가 구비되고 이들에 의해 측정된 무게의 합으로 받침부(110)에 의해 받쳐진 신체의 무게가 계산될 수 있다.
다만, 와위 변경 장치에 체중계(114)가 일체로서 구비되지 않는 경우 체중계(114) 상에 와위 변경 장치를 직접 들어 올려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와위 변경 장치를 이와 일체가 아닌 체중계(114) 상에 올려 놓는 행위가 와위 변경 장치를 굴려 체중계(114) 상에 올려놓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바닥으로부터 체중계(114) 상판까지의 높이차 때문에 와상 변경 장치를 체중계(114) 상에 올려 놓는 작업에 완력이 많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와위 변경 장치를 굴려 체중계 상에 올려 놓는 과정에서 바닥에 미리 놓여진 체중계(114)가 원래 놓여진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틀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와위 변경 장치가 미끌어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와위 변경 장치에 받쳐진 신체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부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가 체중계체결부(116)를 더 포함함으로써, 체중계(114)를 몸체부(100)의 바닥과 닿는 면에 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체중계(114)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와위 변경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와위의 신체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체결부(116)는 체중계(114)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중계체결부(116)는 체중계(114)에 미리 구비된 대응체결부(118)와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체결부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와 나사의 나사산과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소켓이 체중계체결부(116) 및 체중계(114)의 대응체결부(118)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응되는 한 쌍의 찍찍이가 각각 하나씩 체중계체결부(116) 및 체중계(114)의 대응체결부(118)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10)의 무게중심면(112)의 어느 한 쌍의 위치에 "ㄷ" 또는 "ㄴ" 형상의 한 쌍의 체중계체결부(116)가 대향하여 구비되고, 체중계(114)의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ㄷ" 또는 "ㄴ" 형상의 만곡된 부분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대응체결부(118)를 구비할 수 있다. "ㄷ" 또는 "ㄴ" 형상 및 대응체결부(118)의 형상은 체중계(114)가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각지거나 그렇지 않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체중계(114)를 받침부(110)에 체결하는 수단들은 그 체결 기능만 수행할 수 있으면 되므로 전술한 체중계체결부(116)의 형상 및 대응체결부(118)의 형상이 각각 반대로 체중계(114)와 무게중심면(112)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손잡이(120)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는 상기 굽은 측의 반대 측에 손잡이(1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장치의 작동이 용이할 수 있다. 손잡이(120)의 배치는 와위 변경 장치의 작동이 용이할 수 있는 배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손잡이(120)는 연장부(150)의 끝단, 받침부(110) 등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10)의 굽은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122)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0)는 쿠션(122)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쿠션(122)의 위치는 사용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위치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받침부(110)의 굽은 측 또는 굽은 측의 반대 쪽일 수도 있다. 쿠션(122)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받침부(110)의 굽은 측일 수 있다.
쿠션(122)의 형상은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철 형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쿠션(122)의 인체와 닿는 부위의 형상이 인체의 굴곡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요철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형상은, 예를 들어 쿠션(122) 상에 목이 위치할 부분과 허벅지가 위치할 부분 각각의 두께가 허리가 위치할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도 있다.
쿠션(122)의 소재는 사용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성이 있는 소재를 비롯하여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고 있는 소재일 수도 있다.
<고정부(2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단이 연장부(150) 및 받침부(110)의 경계의 반대 쪽인 연장부(150)의 일부에, 타단이 연장부(150) 및 받침부(110)의 경계의 반대 쪽인 받침부(110)의 일부와 연결되어 신체를 몸체부(10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고정부(200)를 포함함으로써, 와위 변경 장치를 사용할 때 몸체부(100)에 신체를 밀착시킨 후 고정부(200)와 받침부(110)를 제1 고정체결부(210)로, 고정부(200)와 연장부(150)를 제2 고정체결부(220)로 연결하면, 와위 변경 장치를 통해 와위를 변경하는 중에 신체가 와위 변경 장치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안전하고 용이하게 와위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부(200)의 소재는 신체의 와위를 안전하게 변경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부드러운 소재이거나 탄성을 가진 소재일 수 있고, 가요성 소재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0)의 형식은 신체의 크기에 따라 신체 고정을 위한 조이는 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형식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나 결합식 벨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이는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0)의 개수는, 와위 변경 장치를 통해 와위를 변경하는 중에 신체가 와위 변경 장치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면 별다른 제한이 없다.
고정부(200)가 복수로 포함될 경우 사용 시 각 고정부(200)의 일단이 복수의 각 제1 고정체결부(210)에 연결되고, 각 고정부(200)의 타단이 복수의 각 제2 고정체결부(22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연결 방식은 연장부(15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고정부(200)가 제1 고정체결부(210) 및 제2 고정체결부(22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수개의 고정부(200)가 엇갈리도록 고정부(200)가 제1 고정체결부(210) 및 제2 고정체결부(2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고정체결부 (210) 및 제2 고정체결부 (22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가 연결되는 연장부(150) 및 받침부(110)는 각각의 일부분에 제1 고정체결부(210) 및 제2 고정체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체결부(210) 및 제2 고정체결부(220)의 위치는 와위의 신체가 몸체부(100)에 밀착되어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50) 및 받침부(110) 각각의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와위의 신체가 몸체부(100)에 밀착되어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면 연장부(150) 또는 받침부(110)의 중단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체결부(210) 및 제2 고정체결부(220)는 고정부(200)와 받침부(110) 및 고정부(200)와 연장부(150)를 각각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제1 고정체결부(210) 및 제2 고정체결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부(200)를 받침부(110) 또는 연장부(1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고정부(200)를 연장부(150) 또는 받침부(110)에 연결 및 연결 후 분리를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 (30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연장부(150)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에 닿아 연장부(150)의 하중을 견디어 연장부(150)의 끝단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150)의 일면 중 바닥과 닿는 연장부(150)의 밑면에 상기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00)를 포함함으로써,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 사용 목적에 따라 와위의 신체가 특정 와위를 유지하도록 와위 변경 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초음파의 영상 촬영에 적합한 와위를 유지하여 영상이 잘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부(300)가 구비되는 방식은 상기 연장부(150)의 끝단이 공중에 부양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0)는 연장부(150)의 일면에 밀착되어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150)의 밑면에 연결된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운동을 하여 상기 타단이 바닥에 닿도록 펼쳐짐으로써 구비되거나, 지지부(300)가 연장부(150)에 연결된 상태가 아니라 별도로 구비되어 특정 와위를 유지하기 위해 연장부(150)의 밑면과 바닥 사이에 끼움으로써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150)의 끝단이 공중에 부양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300)의 개수, 소재, 크기 및 형상 등은 상기 연장부(15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개수, 소재, 크기 및 형상 등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와 지지부(300)가 연결되는 연장부(150)의 밑면 사이에는 지지부(300)가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 시 원하는 와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장부(150)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된 지지부(300)를 펼쳐 와위 변경 장치의 기울어진 정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는 연장부(150)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지부(300)의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이면 그 개수, 소재 및 형상에 별다른 제한이 없다.
지지보조부(31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지지부(300)가 연장부(150)와 연결된 쪽의 반대 쪽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보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보조부(310)를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닿는 지지부(300)의 타단에 지면과의 관계에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어 지지부(300)가 지지부(300)의 일단에 걸리는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지지보조부(310)의 형상, 소재, 크기 등은 지면과의 관계에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 소재, 크기 등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무 소재일 수 있다.
100 : 몸체부
110 : 받침부
112 : 무게중심면
114 : 체중계
116 : 체중계체결부
118 : 대응체결부
120 : 손잡이
122 : 쿠션
150 : 연장부
200 : 고정부
210 : 제1 고정체결부
220 : 제2 고정체결부
300 : 지지부
310 : 지지보조부
320 : 힌지
410 : 제1 병합부재
420 : 제2 병합부재

Claims (16)

  1. 신체를 받칠 수 있도록 굽어지고, 그 굽어진 면을 따라 신체를 회전 시킬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의 상기 연장부와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측 일단에,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상기 연장부와 상기 받침부의 경계의 반대 측 일단에 연결되어 신체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가 누운 자세의 신체와 바닥 사이로 삽입되어 그 반대 쪽 신체와 바닥 사이로 표출되어 상기 받침부와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경계의 반대 측이 들어올려짐으로써 신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받침부의 경계로부터 반대 측 끝단까지의 길이가 신체의 정면 허리 너비 이상인 것인, 와위 변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가 바닥에 닫는 면에 받침부만이 바닥에 닿아도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무게중심면을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무게중심면에 체중계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중계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실린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체결부는 상기 체중계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위 변경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신체가 닿지 않는 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신체가 닿는 면에 충격완화 쿠션을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복수 개로서 각각의 굽어진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인, 와위 변경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받침부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1 병합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병합체결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받침부를 병합하는 제1 병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 개로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인, 와위 변경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및 상기 연장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인, 와위 변경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받침부의 일부에 미리 마련된 홈을 통해 상기 받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는 것인, 와위 변경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2 병합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병합체결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를 병합하는 제2 병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의 일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부는 각각 제1 고정체결부 및 제2 고정체결부를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에 닿아 상기 연장부의 하중을 견디어 상기 연장부의 일부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의 밑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가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한 재료 또는 힌지가 구비되는, 와위 변경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닿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단에 지면과의 관계에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일단에 걸리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지지보조부를 포함하는, 와위 변경 장치.
KR1020150140517A 2015-10-06 2015-10-06 와위(臥位) 변경 장치 KR10171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17A KR101712818B1 (ko) 2015-10-06 2015-10-06 와위(臥位) 변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17A KR101712818B1 (ko) 2015-10-06 2015-10-06 와위(臥位) 변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818B1 true KR101712818B1 (ko) 2017-03-07

Family

ID=5841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17A KR101712818B1 (ko) 2015-10-06 2015-10-06 와위(臥位) 변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8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918A (en) * 1978-06-22 1982-12-07 Kjell Roisaeth Devices and method for handling a person on a base
JP2010508953A (ja) * 2006-11-02 2010-03-25 ローエフ,マルコ ヨハネス ヘラルデュス ファン 横臥位の人を回転するための機器
KR101268793B1 (ko) 2012-10-30 2013-05-2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US8925126B2 (en) * 2010-11-01 2015-01-06 Timothy J. Summers Patient pos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918A (en) * 1978-06-22 1982-12-07 Kjell Roisaeth Devices and method for handling a person on a base
JP2010508953A (ja) * 2006-11-02 2010-03-25 ローエフ,マルコ ヨハネス ヘラルデュス ファン 横臥位の人を回転するための機器
US8925126B2 (en) * 2010-11-01 2015-01-06 Timothy J. Summers Patient positioning system
KR101268793B1 (ko) 2012-10-30 2013-05-2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0130A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7020918B1 (en) Cushion set for positioning a human body
US7959222B1 (en) Chair device for accommodating stomach, neck, and body
CA2935571C (en) Lower extremity isolating leg brace
US5125883A (en) Abdominal exercise method
US11491065B2 (en) Standing aid for helping a person stand up
CA2437662A1 (en) Hand based weight distribution system
KR101712818B1 (ko) 와위(臥位) 변경 장치
EP3097949B1 (en) Case for medical equipment
US9936832B2 (en) Dressing aid device
US9055806B2 (en) Ergo cargo
US20230233406A1 (en) Foot-based massage apparatus
US9301601B2 (en) Hands-free reading holder
EP0561833B1 (en) Therapeutical device
US10675172B2 (en) Spinal therapy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210059570A1 (en) Diagnostic measurement devices and methods
JP3304079B2 (ja) 体力の左右均衡度測定装置
US20080110483A1 (en) Mobile system for amputees
KR20170004273U (ko) 착용식 척추보호장치
US20220248998A1 (en) Smart muscle test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110711066A (zh) 一种下颌支撑器
RU65356U1 (ru) Накладное сиденье
CN211651854U (zh) 一种防摔的额温枪
KR101454075B1 (ko) 다목적 슬링
US4154233A (en) Human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