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61B1 -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 Google Patents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061B1
KR101712061B1 KR1020160004614A KR20160004614A KR101712061B1 KR 101712061 B1 KR101712061 B1 KR 101712061B1 KR 1020160004614 A KR1020160004614 A KR 1020160004614A KR 20160004614 A KR20160004614 A KR 20160004614A KR 101712061 B1 KR101712061 B1 KR 101712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nozzle
unit
sludg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주
송수동
임종규
Original Assignee
김일주
송수동
임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주, 송수동, 임종규 filed Critical 김일주
Priority to KR102016000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0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8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cleaning watercourses or other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for recovering water sludge. The ejector for recovering water sludge includes: a body unit including a fluid inlet formed in order for a fluid in the outside to flow inside, a fluid outlet formed o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fluid flowing inside to the outside, and a nozzle insertion unit formed o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nozzle unit inserted into the body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nozzle insertion unit and including a sludge inlet formed o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a sludge outlet formed o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body unit, and a screw-shaped nozzl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n a central axis; and a gap control unit formed on the nozzle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to control the length in which the nozzle unit is inserted into the body unit. Therefore, the an inflow speed and an outflow speed of the fluid are increased by rotation of the fluid flowing inside, and the inflow speed and the outflow speed of the sludge are increased. Also, a gap between the body unit and the nozzle unit is controlled by the gap control unit in order to the amount of the inflowing fluid to be controlled. Also, the amount of the fluid is controlled, and, therefore, fluid waste is prevented.

Description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본 발명은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으로 인해 유체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for recovering underwater slu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jector for recovering underwater sludge from an underwater sludge recovering apparatus,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of inflow and outflow of fluid due to rotation of an inflow fluid is increased, To a recovering ejector.

문명과 산업기술을 발달과 함께 인간의 생활 수준은 크게 향상되었지만, 그에 따라 수질오염, 대기오염, 생태계의 파괴 등과 같은 각종 오염 및 공해에 대한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생활 오폐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 폐기물들이 항만 연안, 호수 또는 강으로 유출되면서 이들 오폐수에 포함된 다량의 무기 혹은 유기 물질들이 바다와 강의 저면에 축적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human living standards have been greatly improved, but there have been a lot of problems related to various pollution and pollution such as water pollution, air pollution, destruction of ecosystem. Especially, various wastewater discharged from households and industrial wastes generated from industrial sites are discharged into coastal waters, lakes or rivers, and a large amount of inorganic or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wastewater is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sea and river.

이와 같이 항만 연안이나 강에 육상의 슬러지가 유입되어 저면에 퇴적물이 축적되면 조류에 의한 영양공급원이 증가되어 부영양화가 초래되고, 이로 인해 바다에서는 적조현상으로 어패류가 사멸하게 되고 강이나 호수에서는 적조현상으로 물의 자연정화 능력이 소실되어 죽은 물로 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바다나 강의 저면에 조류의 극심한 번성으로 인하여 어패류에 대한 산소결핍 등의 원인이 되어 주변 환경이 황폐화되어지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 바다에 발생되는 적조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황토를 뿌리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 같은 처리는 임시 방편에 지나지 않을 뿐 해저면의 부영양화물질은 그대로 잔류하기 때문에 적조현상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방법보다는 적조 및 녹조의 원인이 되는 해저면과 강의 바닥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sediment accumulates on the bottom of the harbor coast or river, the nutrient supply by the algae increases, resulting in the eutrophication. As a result, fish and shellfish are killed by the red tide phenomenon in the sea, and red tide phenomenon The natural purification ability of the water is lost and the water is turned into dead wat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extreme prosperity of algae on the bottom of the sea or river, oxygen deficiency or the like to fish and shellfish is cause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evastated. Especially, in order to remove the red tide phenomenon that has recently occurred in the sea, the method of roughening the loess is carried out. However, this treatment is only a provisional measure and the eutrophication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remains as it is, It is tru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fundamental solution for removing the sludge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sea bed and the steel which causes red tide and green tide rather than the above-mentioned treatment method.

해저면 또는 강의 바닥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13631호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퇴적물 수거 시스템'과 같이 별도로 형성되는 슬러지 제거장치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와 함께 슬러지가 배출관을 통해 부상되도록 하는 장치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의 경우 기본적으로 장치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슬러지를 흡입하는 데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A sludge removing apparatus, such as a conventional sediment collection system using high-pressure air, which i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removing sludge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a sea floor or a steel,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Utility Registration No. 20-0213631 There is a device for allowing the sludge to float through the discharge pipe.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evice, the size of the device is basically large, which causes a drawback in that it takes a lot of energy to suck the sludge.

다른 종래기술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63223호 지하수 관정과 토사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은 토사 슬러지를 부양시켜 흡입하도록 스크류 펌프를 포함하고 있으나, 스크류 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부양시킬 경우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슬러지와 부딪히게 되며 스크류와 슬러지가 지속적으로 부딪히게 될 경우 이로 인해 스크류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63223', a device for discharging a soil slurry and a method for discharging a soil slurry includes a screw pump for lifting up the soil sludge, but when the sludge is floated using a screw pump, When the screw and the sludge continue to hit each other, the screw may be damaged.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13631호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Utility Utility Model No. 20-021363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63223호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46322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으로 인해 유체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jector for underwater sludge recovery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and outflow speed of the fluid increas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inflow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inflow and outflow speed of the sludge.

또한 간격조절부를 통해 바디부와 노즐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며, 유체의 양 조절을 통해 유체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jector for underwater sludge recovery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nozzle part is adjusted through the gap adjusting part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inflowing fluid and to prevent the waste of the flui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fluid.

상기한 목적은, 외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체유입구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배출구와,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에 형성된 노즐삽입구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노즐삽입구를 통해 상기 바디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슬러지유입구와,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슬러지배출구와, 중심축선을 따라 외표면에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노즐홈을 포함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가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a fluid ej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fluid inlet formed to allow an external fluid to flow therein; a fluid outlet formed at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fluid introduced therein to the outside;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portion; A sludge inlet inserted into the body part through the nozzle insert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t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and a sludge inlet formed at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nozzle portion including a sludge discharge port and a nozzle-shaped nozzle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long a central axis; And a gap adjusting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nozzle unit and the body uni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nozzle unit inserted into the body unit.

여기서, 상기 바디부의 내표면은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바디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홈 및 상기 바디홈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류 형상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screw-shaped body groove formed along a central axis, and the nozzle groove and the body groove may have a screw shap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체배출구가 형성된 제1바디와, 상기 유체유입구 및 상기 노즐삽입구가 형성된 제2바디로 분해가능하며,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는 제1플랜지부가,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에 대응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와; 일단은 상기 노즐부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단은 가이드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노즐부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may be decomposed into a first body having the fluid outlet formed therein, a second body having the fluid inlet and the nozzle insertion port,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flan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portion, wherein the gap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axis; A guide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rotrusion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 guide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insert the guide part, and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nozzle part is adjusted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member; And a fixing uni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unit to fix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으로 인해 유체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and outflow speed of the fluid increas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inflow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inflow and outflow speed of the sludge.

또한 간격조절부를 통해 바디부와 노즐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며, 유체의 양 조절을 통해 유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nozzl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fluid, and waste of the fluid can be preven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flui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의 작동 상태도이다.1 and 2 are operational states of an under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10)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under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10)는 바디부(100)와, 바디부(100) 내에 삽입되는 노즐부(300)와, 바디부(100)와 노즐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0)를 포함한다.1, the under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10 includes a body part 100, a nozzle part 300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00, and a nozzle part 300 interposed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nozzle part 300. As shown in FIG. 1, And an interval adjusting unit 500 for adjusting the interval.

바디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유체유입구(131), 유체배출구(111) 및 노즐삽입구(133)를 포함한다. 이때 바디부(10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30)로 결합 및 해제가능하도록 구분되며, 제1바디(110)에는 유체배출구(111)가 형성되고, 제2바디(130)에는 유체유입구(131) 및 노즐삽입구(1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바디(110)와 결합되는 제2바디(130)의 일단은 바디부(100)에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직경이 감소된 제2바디(130)의 일단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제1바디(110)가 형성되며, 제1바디(110)는 직경이 그대로 유지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유체배출구(111)로 배출되는 유체 및 슬러지가 여러 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수중 슬러지를 회수하기 위하여 이젝터(1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노즐부(300)에 슬러지가 잔존하게 된다. 이때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30)를 분해하여 이를 세척하거나 또는 바디부(100)나 노즐부(300)를 수리하도록 하며, 세척 또는 수리가 완료된 경우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30)를 다시 결합시켜 슬러지를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The body 100 has an inner hollow cylindric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fluid inlet 131, a fluid outlet 111, and a nozzle inlet 133. At this time, the body part 100 is divided into and out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the fluid outlet 111 is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the second body 130 The fluid inlet 131 and the nozzle inlet 133 are formed. Here, one end of the second body 130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gradually decreasing diameter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one end of the second body 130 having a reduced diameter, and the first body 1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diameter maintained unchanged. The fluid and the sludge discharged to the fluid outlet 111 are discharged in a certain direction without spreading in various directions. When the ejector 10 is continuously used to recover the underwater sludge, the sludge remains in the nozzle unit 300.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may be disassembled and cleaned or the body 100 or the nozzle unit 300 may be repaired. When the washing or repair is completed, The second body 130 may be coupled again to allow the sludge to be recovered again.

이와 같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30)가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제1바디(110)에는 제1플랜지부(113)가 형성되며, 제2바디(130)에는 제1플랜지부(113)에 대응하는 제2플랜지부(135)가 형성된다. 제1플랜지부(113) 및 제2플랜지부(135)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플랜지부(113) 및 제2플랜지부(135)는 각각 암나사 및 숫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이 되거나, 제1플랜지부(113) 및 제2플랜지부(135)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클램핑부재를 통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결합 및 해제시킬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제1플랜지부(113) 및 제2플랜지부(135)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 first flange 113 is formed on the first body 110 and a second flange 113 is formed on the second body 130 so tha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can be engaged and disengaged. A second flange portion 135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13 is formed. The first flange portion 113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The first flange portion 113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may be threadedly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female thread and a male thread and may be threaded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separate clamping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flange portion 113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And can be engaged and disengaged in a clamping mann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memb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y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first flange portion 113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to each other.

바디부(100)의 내표면에는 바디부(100)의 축선을 따라 스크류 형상의 바디홈(137)이 형성된다. 바디홈(137)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부(100)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직선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크류 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스크류 형상에 의해 유체가 회전하면서 유체배출구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 회전하게 되면 유속이 증가하게 되고, 유속 증가로 인해 슬러지를 흡입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 형상의 바디홈(137)이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적은 양의 유체로 슬러지 흡입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스크류 형상의 바디홈(137)은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0, a screw-shaped body groove 137 is formed along the axis of the body 100. Since the body groove 13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crew, the fluid flowing into the body 100 moves along the screw shape without moving in a straight line. That is, the fluid is discharged by the screw shape to the fluid outlet. When the fluid is rotated in this way, the flow rate is increased and the speed of sucking the sludge due to the increase of the flow rate is further increased. Accordingly, the sludge suction speed can be increased with a smaller amount of fluid than when the body groove 137 in the form of a screw is not pres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shaped body grooves 137 are formed at least at one or more intervals.

유체유입구(131)는 외부의 유체가 바디부(100) 내로 고압으로 공급됨으로 인해 수중에서 존재하는 슬러지가 흡입되고, 흡입된 슬러지가 외부로 압송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액체가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 압축된 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체유입구(131)는 바디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바디부(100)로부터 분기된 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는 별도의 유체공급수단인 에어컴프레셔, 고압펌프 등을 통해 공급되며, 이를 위해 유체유입구(131)는 유체공급수단과 결합된다.The fluid inlet 131 is supplied with high-pressure external fluid into the body 100, so that the sludge present in the water can be sucked, and the sucked sludge can be pressure-fed to the outside. Here, the liquid is preferably a liquid,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pressed gas in some c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id inlet 13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ube branched from the body 10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Further, the fluid is supplied through an air compressor, a high-pressure pump or the like, which is a separate fluid supply means, and the fluid inlet 131 is coupled to the fluid supply means.

유체유입구(131)와 대응하여 형성된 유체배출구(11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 형성되며, 유체유입구(131)를 통해 바디부(100)에 유입된 유체가 유체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유체배출구(111)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The fluid outlet 111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luid inlet 131 is formed at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100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luid inlet port 13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discharge port (111). The fluid outlet 111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as described above,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에는 노즐삽입구(133)가 형성된다. 노즐삽입구(133)는 노즐부(300)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노즐부(300)가 끼움결합 되도록 한다. 즉 노즐부(300)와 바디부(100) 사이에 유체나 슬러지가 유입 및 유출되지 않도록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nozzle inlet 133 is formed at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nozzle inserting port 133 has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nozzle unit 300, so that the nozzle unit 300 is fitted and fitt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no empty space between the nozzle unit 300 and the body unit 100 so that fluid or sludge does not flow in and out.

바디부(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삽입구(133)에 삽입되는 노즐부(300)는, 슬러지유입구(310) 및 슬러지배출구(330)를 포함한다. 노즐부(30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러지가 노즐부(300)의 내부로 흡입 및 배출된다. 슬러지유입구(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부(300)의 일단에 형성되어 바디부(100)의 외부에 배치되며, 슬러지배출구(3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부(300)의 타단에 형성되어 바디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슬러지유입구(310)는 수중에 노출되어 수중에 부유하거나 가라앉은 슬러지를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노즐부(300) 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노즐부(300) 내로 유입된 슬러지는 슬러지배출구(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nozzle unit 300 inserted into the nozzle insertion port 13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includes a sludge inlet 310 and a sludge outlet 330. The nozzle unit 300 has an internal hollow shape, and the sludge is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nozzle unit 300. The sludge inlet 3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unit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100. The sludge outlet 3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unit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That is, the sludge inlet 310 is made to flow into the nozzle unit 300 by the flow of fl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sludge floating or submerged in the water is exposed to water, and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nozzle unit 300 flows into the sludge outlet (330).

노즐부(300)의 외표면에는 노즐부(300)의 중심축선을 따라 스크류 형상의 노즐홈(350)이 형성된다. 노즐홈(350)은 바디홈(137)과 마찬가지로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부(137)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직선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크류 형상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노즐홈(350)이 형성될 경우 바디홈(137)만 있을 때보다 유체의 회전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회수 속도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노즐홈(350) 및 바디홈(137)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스크류 형상이 형성될 경우 유체가 회전하는 방향이 서로 달라져 유체가 유체배출구(111)로 배출되는 데 필요한 외부 공급 압력이 오히려 증가하게 된다. 스크류 형상의 노즐홈(350)은 바디홈(137)과 마찬가지로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unit 300, a screw-shaped nozzle groove 350 is formed along the center axis of the nozzle unit 300. Since the nozzle groove 350 is formed in a screw shape like the body groove 137, the fluid flowing into the body portion 137 can be moved along the screw shape without moving in a straight line. When the nozzle groove 35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luid becomes faster than when only the body groove 137 is provided,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ollection speed of the sludg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groove 350 and the body groove 137 have a screw shape in the same direction. If the screw shape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lui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external supply pressure necessary for the fluid to be discharged to the fluid outlet 111 is increased. Like the body groove 137, the nozzle groove 350 having a screw shape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at one or more predetermined intervals.

노즐부(300)가 바디부(10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노즐부(300) 및 바디부(100)의 외표면에는 간격조절부(500)가 형성된다. 간격조절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00)와 바디부(10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체유입구(131)로 유입된 유체가 유체배출구(111)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수되는 슬러지의 양이 많을 경우 도 2와 같이 간격조절부(500)를 통해 노즐부(300)와 바디부(100) 간의 간격을 넓게 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도록 한다. 이동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지면 슬러지를 많이 회수할 수 있다. 반대로 회수되는 슬러지의 양이 적을 경우 도 1과 같이 노즐부(300)와 바디부(100) 간의 간격을 좁게 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양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노즐부(300)와 바디부(100) 간에 간격이 좁아지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노즐부(300)와 바디부(100) 간 간격이 좁아지면 유속이 증가하여 슬러지를 빨리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 gap adjusting part 5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nozzle part 300 and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length of the nozzle part 300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00 can be adjusted. The gap adjusting unit 500 adjusts the gap between the nozzle unit 300 and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2 to discharg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131 to the fluid outlet 111 Can be adjusted. That is, when the amount of collected sludge is large, the gap between the nozzle unit 300 and the body unit 100 is widened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500 as shown in FIG. If the amount of fluid to be moved is large, a large amount of sludge can be recovered. Conversely, when the amount of collected sludge is small, the gap between the nozzle unit 300 and the body unit 100 may be narrowed as shown in FIG. 1 to reduce the amount of fluid to be moved. That is, if the gap between the nozzle unit 300 and the body 100 is narrowed, the amount of fluid to be supplied can be reduced, so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fluid can be prevented. At this time, if the interval between the nozzle unit 300 and the body 100 is narrowed, the flow rate increases and the sludge can be recovered quickly.

간격조절부(500)는 돌출부(510), 가이드부(530), 지지부(550) 및 고정부(5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부(510)는 바디부(100)의 타단에 배치되며 바디부(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510)는 바디부(100)의 외표면을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530)는 일단이 돌출부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고정되며, 노즐부(300)를 향하도록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가이드부(530)는 바디부(100)의 유체유입구 방향이 아닌 노즐부(300)의 슬러지유입구(310)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The gap adjusting unit 500 includes a protrusion 510, a guide unit 530, a support unit 550, and a fixing unit 570. The protrusion 51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and protrudes from the center axis of the body 100. At this time, the protrusions 510 are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but they may be formed separately as needed. The guide part 530 is fixed to one of the protruding areas at one end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toward the nozzle part 300. That is, the guide part 530 extends toward the sludge inlet 310 of the nozzle part 300, not toward the fluid inlet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지지부(550)는 일단이 노즐부(300)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공(590)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단은 돌출부(510)와 평행하도록 바디부(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딩공(590)은 바디부(100)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지지부(550)의 슬라이딩 이동 영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부(55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노즐부(300)가 바디부(100) 내로 삽입 또는 외부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존재한다.The support part 55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part 300 at one end thereof and slides through a sliding hole 59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550 is parallel to the protrusion part 510, And is protru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part 100. [ The sliding hole 590 is formed in the body part 100 and functions to limit the sliding movement area of the supporting part 550 slidingly moving. That is, when the support unit 550 is slidably moved, the nozzle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0 or protrudes to the outside.

지지부(550)의 타단은 가이드통과공(551)이 형성되어 가이드부(530)가 삽입되고, 가이드부(5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바디부(100)와 노즐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바디부(100)와 노즐부(300) 간에 간격이 조절되면 고정부(570)를 통해 지지부(550)를 고정하여 간격이 변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570)는 가이드부(530)의 타단에 형성되어 나사를 조으는 형식으로 지지부(55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570)는 나사 방식이 아닌 클램핑 방식 등 지지부(5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 중 원하는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550 is formed with a guide passage hole 551 to insert the guide part 530 and slide along the guide part 530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nozzle part 300 . When the gap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nozzle unit 300 is adjusted, the support unit 550 is fixed through the fixing unit 570 so that the gap is fixed without being changed. The fixing portion 57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ortion 530 to fix the supporting portion 550 in a manner of screwing. The fixing unit 570 can be changed to a desired shape such as a clamping type, not a screw type, in which the supporting unit 550 can be fixed.

상기 노즐부(300)에는 상기 간격조절부(500)를 통해 조절되는 간격이 표시된 간격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표시부는 눈금으로 형성되어 노즐부(300)가 어느 정도 삽입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nozzl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va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terval adjusted by the interval adjusting unit 500. The interval display unit is formed as a scale so as to visually confirm to what extent the nozzle unit 300 is inserted.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바디홈(100) 및 노즐홈(30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바디부(100) 내로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여 유체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유입 및 유출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간격조절부(500)를 통해 또한 간격조절부(500)를 통해 바디부(100)와 노즐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며, 유체의 양 조절을 통해 유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ody groove 100 and the nozzle groove 300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rotates to increase the inflow and outflow speed of the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inflow and outflow rate of the gas.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nozzle part 300 is adjusted through the gap adjusting part 500 and the gap adjusting part 500 to adjust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flu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the battery.

10: 이젝터 100: 바디부
110: 제1바디 111: 유체배출구
113: 제1플랜지부 130: 제2바디
131: 유체유입구 133: 노즐삽입구
135: 제2플랜지부 137: 바디홈
300: 노즐부 310: 슬러지유입구
330: 슬러지배출구 350: 노즐홈
500: 간격조절부 510: 돌출부
530: 가이드부 550: 지지부
551: 가이드통과공 570: 고정부
590: 슬라이딩공
10: Ejector 100: Body part
110: first body 111: fluid outlet
113: first flange part 130: second body
131: fluid inlet port 133: nozzle inlet port
135: second flange portion 137: body groove
300: nozzle unit 310: sludge inlet
330: sludge outlet 350: nozzle groove
500: gap adjusting portion 510: protrusion
530: guide part 550: support part
551: guide passage hole 570:
590: Sliding ball

Claims (5)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에 있어서,
외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체유입구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배출구와,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에 형성된 노즐삽입구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노즐삽입구를 통해 상기 바디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슬러지유입구와,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슬러지배출구와, 중심축선을 따라 외표면에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노즐홈을 포함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가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와;
일단은 상기 노즐부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단은 가이드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노즐부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눈금으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부를 통해 조절되는 간격이 표시되는 간격표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회수되는 슬러지의 양이 많을 경우 상기 노즐부와 상기 바디부 간의 간격을 넓게 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도록 하고, 회수되는 슬러지의 양이 적을 경우 상기 노즐부와 상기 바디부 간의 간격을 좁게 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양이 감소되도록 하여 유체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In an under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A body portion including a fluid inlet formed to allow an external fluid to flow into the body, a fluid outlet formed at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body to the outside, and a nozzle insertion port formed at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sludge inlet inserted into the body part through the nozzle insert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t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and a sludge inlet formed at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nozzle portion including a sludge discharge port and a nozzle-shaped nozzle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long a central axis;
And a gap adjusting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nozzle unit and the body unit to adjust a length of the nozzle unit inserted into the body unit,
Wherein the interval adjusting unit comprises:
A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axis;
A guide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rotrusion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 guide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insert the guide part, and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nozzle part is adjusted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member;
A fix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art to fix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And an interval display unit formed with a scale and displaying the interval adjusted by the interval adjusting unit,
When the amount of sludge to be recovered is large, the interval between the nozzle unit and the body uni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luid to be moved. When the amount of recovered sludge is small, Wherein an amount of the fluid to be moved is reduced by narrowing the interval to reduce the amount of the flui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flu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표면은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바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crew-shaped body groove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홈 및 상기 바디홈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류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ozzle groove and the body groove are formed in a screw shape in the sam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체배출구가 형성된 제1바디와, 상기 유체유입구 및 상기 노즐삽입구가 형성된 제2바디로 분해가능하며,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는 제1플랜지부가,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에 대응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decomposable into a first body having the fluid outlet and a second body having the fluid inlet and the nozzle inlet,
Wherein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flan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portion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Ejector.
삭제delete
KR1020160004614A 2016-01-14 2016-01-14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KR101712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614A KR101712061B1 (en) 2016-01-14 2016-01-14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614A KR101712061B1 (en) 2016-01-14 2016-01-14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061B1 true KR101712061B1 (en) 2017-03-03

Family

ID=5841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614A KR101712061B1 (en) 2016-01-14 2016-01-14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0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545A (en) * 2016-01-26 2018-09-17 퐁’스 내셔널 엔지니어링 (썬전) 컴퍼니 리미티드 Adjustable nozzle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631Y1 (en) 2000-09-05 2001-02-15 김성근 Air lifting system capturing stored waste material
JP2008064021A (en) * 2006-09-07 2008-03-21 Denso Corp Ejector and ejector type refrigerating cycle
KR20110105123A (en) * 2010-03-18 2011-09-26 투인텍주식회사 A vacuum pump ejector and a vacuum pump having the same
KR101463223B1 (en) 2014-02-24 2014-11-21 한국농어촌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local emission and precipitated sand of underground water excavation and geothermal heat excav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631Y1 (en) 2000-09-05 2001-02-15 김성근 Air lifting system capturing stored waste material
JP2008064021A (en) * 2006-09-07 2008-03-21 Denso Corp Ejector and ejector type refrigerating cycle
KR20110105123A (en) * 2010-03-18 2011-09-26 투인텍주식회사 A vacuum pump ejector and a vacuum pump having the same
KR101463223B1 (en) 2014-02-24 2014-11-21 한국농어촌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local emission and precipitated sand of underground water excavation and geothermal heat excav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545A (en) * 2016-01-26 2018-09-17 퐁’스 내셔널 엔지니어링 (썬전) 컴퍼니 리미티드 Adjustable nozzle unit
KR102135751B1 (en) * 2016-01-26 2020-07-21 퐁’스 내셔널 엔지니어링 (썬전) 컴퍼니 리미티드 Adjustable nozz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947B1 (en) Sewage purification apparatus
EP3281919A1 (en) Nanobubble-and-hydroxyl-radical generator and system for processing polluted water without chemicals using same
KR101959780B1 (en) Apparatus for oxygen supply for water treatment
CN201729726U (en) High-efficiency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KR20160117981A (en) prevention apparatus of contamination by oil spill on the sea
KR101712061B1 (en) Water sludge recovery ejector
WO2012118000A1 (en) Water hammer generation device
CN204246892U (en) A kind of buried filter cell rinse flow control apparatus for water
KR20090020471A (en) Pipe line pipe water way siphon cistern structure aquarium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213631Y1 (en) Air lifting system capturing stored waste material
RU193335U1 (en) SPRAY PUMP FOR SILT DRAINAGE AND TRANSPORTATION
CN205687752U (en) A kind of river water cleaning ship
CN207633478U (en) A kind of sewage closure works system
CN207451704U (en) A kind of sewage collecting pool with automatic start-stop pump drainage function
CN207347246U (en) It is a kind of to be used to handle the submersible sewage pump cavitation erosion of MBBR ponds, the device of blockage problem
CN201254498Y (en) Mobile sewage treatment device
CN104368178B (en) A kind of buried filter cell rinse flow control apparatus for water
JP6666176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moving vaporizable substances out of the system
KR101543723B1 (en) Spraying structure for purifying aquatic sediment and method for spraying as the same
CN204454819U (en) Lapping liquid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CN109011732A (en) A kind of hydraulic disturbance device for being disturbed to sewage pool bottom sediments mud
US20090223886A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N216997983U (en) Be used for garden view water treatment facilities
CN207375838U (en) Water correction plant is irrigated in a kind of river
CN103011415A (en) Simple water treatment and recovery device for large-size wet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