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724B1 - 고양이용 용변장치 - Google Patents

고양이용 용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724B1
KR101711724B1 KR1020150028891A KR20150028891A KR101711724B1 KR 101711724 B1 KR101711724 B1 KR 101711724B1 KR 1020150028891 A KR1020150028891 A KR 1020150028891A KR 20150028891 A KR20150028891 A KR 20150028891A KR 101711724 B1 KR101711724 B1 KR 10171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
sand
toilet
groov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260A (ko
Inventor
박용식
손병재
Original Assignee
박용식
손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손병재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102015002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7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2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adapted to fit on conventional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용 용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변기 상에 설치되되, 고양이가 올라가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판부를 구비하되, 상판부 내부의 소정 영역에 고양이 배설물이 좌변기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변기 몸체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홈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 상기 모래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 상기 변기 몸체부 상에 설치되되, 홈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영역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할 때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이 접촉되는 상판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감지판부;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가 이동하도록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양이용 용변장치{TOILET DEVICE FOR CATS}
본 발명은 고양이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에 설치하여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한 고양이용 용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완용 동물로서,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고양이용 먹이관련, 위생관련, 배설물 처리 및, 미용관련 분야 등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짐과 함께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고양이 배설물 처리 분야의 고양이 화장실과 관련하여, 고양이는 모래에 배설을 하고 배설물을 모래로 덮는 습성이 있다. 이에 따라, 고양이 화장실로서 넓은 용기에 모래를 채워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한편,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특허문헌으로서, 공개 특허 제10-2010-0121932호(공개일자 2010년 11월 19일)에는 배변 유도가 용이한 고양이 화장실이 있다. 이것은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단에 관통공이 구비되어 하단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내측경사면을 형성하는 원추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경사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배변유도가 용이한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특허문헌 및 상기의 일반적인 고양이 배설물 처리 방식은, 배치된 모래 상에 직접 배설이 이루어지므로, 위생이나 냄새 등의 이유로 모래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고양이를 위탁해야하는 주된 이유가 되었다.
공개 특허 제10-2010-0121932호(공개일자 2010년 11월 19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눈속임을 통해 고양이가 모래에 용변을 본다고 착각하게 하고 실제로는 모래가 아닌 좌변기 내로 배설물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한 고양이용 용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는, 좌변기 상에 설치되되, 고양이가 올라가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판부를 구비하되, 상판부 내부의 소정 영역에 고양이 배설물이 좌변기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변기 몸체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홈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 상기 모래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 상기 변기 몸체부 상에 설치되되, 홈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영역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할 때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이 접촉되는 상판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감지판부;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가 이동하도록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구비하되, 상기 감지센서부의 접촉 감지신호가 설정된 시간만큼 연속적으로 입력된 후부터 다시 비접촉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모래 용기부가 홈을 개방하도록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기 몸체부는, 고양이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진입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 몸체부의 상판부는, 홈의 지름이 모래 용기부의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분리 구조체를 더 구비하여, 상판부의 위쪽에서 모래 용기부의 탈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의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모래 용기부가 홈을 개방한 후 다시 막도록 이동기구부를 제어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버튼 구동부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양이의 용변 동작에 대한 학습 기간 동안에는, 용변장치의 오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입판부와 인접한 감지판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해서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래 용기부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변기 몸체부의 상판부는, 일 실시예로써, 감지판부가 설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판부가 오목부 내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양이용 용변장치를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 고양이 배설물이 모래에 직접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모래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 청소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모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배설물 처리를 자동화함으로써, 위생적인 환경 속에서 고양이를 키울 수 있다.
3. 고양이는 먹이량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배설물 처리를 자동화함에 따라,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고양이를 위탁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고양이 위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고양이 용변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일실시예로서, 도 3(a)는 감지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나타내며, 도 3(b)는 이동기구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나타내며, 도 3(c)는 버튼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A영역에 대한 실시예로서, 분리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판부의 오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래 용기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는, 좌변기(200) 상에 설치되되, 고양이가 올라가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판부(12)를 구비하되, 상판부 내부의 소정 영역에 고양이 배설물이 좌변기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되어 있는 변기 몸체부(10); 상기 상판부(12)의 하부에서 홈(H)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30); 상기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0); 상기 변기 몸체부(10) 상에 설치되되, 홈(H)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영역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할 때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이 접촉되는 상판부(12)의 영역에 설치되는 감지판부(50);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5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부(70); 및 상기 감지센서부(70)의 접촉 또는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는,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하되, 상기 감지센서부(70)의 접촉 감지신호가 설정된 시간만큼 연속적으로 입력된 후부터 다시 비접촉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기 몸체부(10)는, 고양이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진입판부(16)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진입판부(16)는 상판부(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는 일부의 외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고양이 용변시 고양이의 변이 홈(H)을 통과하여 좌변기(200) 상으로 떨어질 때 물이 튀는 것을 줄이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기존 좌변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상판부(12)는 좌변기의 앞쪽(즉 도 1에서 볼 때 왼쪽 방향)으로 배치되고, 진입판부는 뒷쪽(즉, 도 1에서 볼 때 오른 쪽 방향, 또는 급수 탱크(210) 쪽)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와 고양이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학습된 고양이는 변기 몸체부(10)의 진입판부(16)로 올라간다. 진입판부(16)에 오른 고양이는 홈(H) 아래에 있는 모래용기부(30)의 모래를 향해 상판부(12)로 진입한다. 진입한 고양이는 모래를 보기 시작하여 잠시 머뭇거리다가 더 전진하여 홈(H)을 지나 용변자세(즉, 대변 또는 소변자세)를 취한다. 이때,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하게 되면 앞다리 혹은 뒷다리가 감지판부(50)를 밟게 된다.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하고 난 후 설정된 시간(대략 3 ~ 5초)이 지나면 대변이나 소변이 나온다. 여기서, 제어부(8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고양이가 감지판부(50)를 연속적으로 누른 설정된 시간을 넘어서면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여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어부(80)는 고양이가 용변을 다 보는 동안 홈(H)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고양이의 배설물은 홈(H)을 관통하여 좌변기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고양이가 용변을 다 본 후 움직이면서 감지판부(50)를 밟지 않게 되면 제어부(80)는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여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다시 막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학습을 통해 고양이가 변기 몸체부의 상판부(12) 내부에서 대략 일정하게 용변자세를 잡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는 고양이 눈속임을 통해 고양이는 모래에 용변을 한다고 착각하게 하고 실제로는 모래가 아닌 좌변기 내로 배설물이 떨어지도록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고양이 용변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일실시예로서, 제어부(80)는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기구부(40)에 제어신호로서 개방 동작 신호 또는 폐쇄(닫힘) 동작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a), (b)에서와 같이, 감지센서부(70)로부터 수신되는 접촉 감지신호가 설정된 시간동안(t1)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제어부(80)는 이동기구부(40)에 개방 동작 신호를 전달하고, 그 외에 비접촉 감지신호가 수신되거나 접촉 감지신호가 설정된 시간보다 작을 때에는 이동기구부(40)에 폐쇄 동작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하기 전후에 있어서 감지판부(50)를 짧게 여러번 누르는 경우에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여 홈(H)을 개방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를 이용한 지연 동작은 공지된 지연 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감지신호의 설정된 시간은 고양이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험값으로서, 예로써 3 ~ 5 초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로써, 3초로 설정된 스위치 혹은 5초로 설정된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 때, 상기 제어부(80)는,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한 후 다시 막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버튼 구동부(9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c)에서와 같이, 제어부(80)가 버튼 구동부(90)에 제어신호를 전달함에 있어서, 고양이가 용변을 본 후 용변 장치를 떠나는 기간을 고려하여,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한 후 다시 막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고 나서, 소정 시간 t2(예로써, 10초) 후에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버튼 구동부(90)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70)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각각 고양이가 앞발 또는 뒷발로 각각 감지판부(50)나 진입유도판부(18)를 밟을 때, 누르는 압력 등에 의해 고양이의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공지된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및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고양이의 용변 동작에 대한 학습 기간 동안에는, 용변장치의 오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입판부(16)와 인접한 감지판부(50)의 미리 설정된 영역(도 2의 C 영역)에 대해서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용변자세에 대한 학습 기간 동안에는 사람이 고양이를 들어서 변기 몸체부(10)의 진입판부(16)에 놓는다. 이 때, 고양이의 얼굴이 모래 용기부(30)를 향하도록 놓는다. 학습 기간 동안에는 모래를 보고 진입하는 고양이가 미리 설정된 영역(도 2의 C 영역)에서 잠시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설정된 영역의 감지판부(50)가 설정된 시간동안 눌려져서 의도치 않게 모래용기부(30)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기간 동안에는 안정적으로 고양이가 홈(H)을 지나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게 진입판부(16)와 인접한 감지판부(50)의 미리 설정된 영역 C의 감지센서를 오프(off)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학습이 완료되면 고양이의 특성을 보고 미리 설정된 영역의 감지센서를 온(on) 동작시켜 감지판부(50) 전체가 센싱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12)의 홈(H)은,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좌변기의 형상을 고려할 때 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변기 몸체부(10)의 상판부(12)는, 홈(H)의 지름이 모래 용기부(30)의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분리 구조체(18)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부(12)의 위쪽에서 더 커진 홈(H)을 통해 이동기구부(40)와 결합된 모래 용기부(30)의 탈부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래 용기부(30)의 모래를 교체하거나, 세척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모래 용기부(3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기 몸체부(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모래가 담겨지는 용기에 비유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변기 몸체부(10)의 아래 부분에 별도로 모래 용기부(30)와 이동기구부(40) 및 제어부(80)를 도시하였으나, 일체형으로서 모래 용기부(30)와 이동기구부(40) 및 제어부(80)가 모두 변기 몸체부(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기구부(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제어부(80)의 개방 동작 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위치이동시키고, 또는 제어부(80)의 폐쇄 동작 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막도록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기구부(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모래 용기부(30)를 일정 구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면 어떤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예로써, 바퀴, 밸트 또는 볼 스크류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서와 같이, 감지판부(50)는 비록 상판부(12) 상에 설치되지만, 상판부(12)의 표면과 높이 차이가 거의 나지 않도록 얇은 두께(대략 1 ~ 3 m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감지판부(50)와 상판부(12)는 상면의 높이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계 부위에서는 약 1mm 정도의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양이는 용변 자세를 취할 때 그 경계 부위에서 움직이는 앞발 또는 뒷발의 움직임을 멈추게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 몸체부(10)의 상판부(12)는, 감지판부(50)가 설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판부(50)가 오목부(14) 내에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판부(50)의 두께는 오목부(14)의 깊이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지판부(50)와 상판부(12)의 경계 부위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판부(12)의 오목부(14) 폭은 감지판부(5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판부(50)의 폭은 학습을 통한 실험값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할 때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이 접촉가능한 범위를 갖는 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의 움직임이 멈추는 것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감지판부(50)와 상판부(12)의 상부에 고무판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고무판부는 고양이가 그 경계 부위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고무판부의 재질은 고무만이 아니라 고양이가 불편을 느끼지 않게 유도할 수 있고, 경계 부위에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떤 재질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버튼 구동부(90)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변기의 물내기기 버튼(220)을 누른 후, 다시 복귀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버튼 구동부(90)는 제어부(80)의 구동신호에 따라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여,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버튼 구동부(90)는 좌변기의 급수탱크(210) 내의 충전된 물이 내려가게 하기 위한 스위치적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래 용기부(30)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려할 때 모래 용기부(30)의 모래가 튀어 나가 고양이용 용변장치의 다른 구성 특히 이동기구부(40)를 손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전원장치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원장치는 배터리일 수도 있고 외부전원으로부터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스위치 조작부(100)를 통해, 전원 온오프 동작, 접촉 감지신호의 설정된 시간(예로써 3초 또는 5초) 설정 동작, 감지판부(50)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지센서의 온/오프 제어 동작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용 용변장치를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허권리범위는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10 : 변기 몸체부 12 : 상판부
14 : 오목부 16 : 진입판부
18 : 분리 구조체
30 : 모래 용기부 31 : 모래
35 : 모래집기방지 돌기부 40 : 이동기구부
50 : 감지판부 70 : 감지센서부
80 : 제어부 90 : 버튼 구동부
100 : 스위치 조작부 200 : 좌변기
210 : 급수탱크 220 : 물내리기 버튼

Claims (10)

  1. 고양이용 용변장치로서,
    좌변기 상에 설치되되, 고양이가 올라가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판부(12)를 구비하되, 상판부 내부의 소정 영역에 고양이 배설물이 좌변기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되어 있는 변기 몸체부(10);
    상기 상판부(12)의 하부에서 홈(H)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30);
    상기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0);
    상기 변기 몸체부(10) 상에 설치되되, 홈(H)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영역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할 때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이 접촉되는 상판부(12)의 영역에 설치되는 감지판부(50);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5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부(70); 및
    상기 감지센서부(70)의 접촉 또는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 몸체부(10)의 상판부(12)는, 홈(H)의 지름이 모래 용기부(30)의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분리 구조체(18)를 더 구비하여, 상판부(12)의 위쪽에서 모래 용기부(3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타이머를 구비하되,
    상기 감지센서부(70)의 접촉 감지신호가 설정된 시간만큼 연속적으로 입력된 후부터 다시 비접촉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몸체부(10)는, 고양이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진입판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80)는,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한 후 다시 막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버튼 구동부(90)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70)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고양이의 용변 동작에 대한 학습 기간 동안, 용변장치의 오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입판부(16)와 인접한 감지판부(50)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해서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용기부(30)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몸체부(10)의 상판부(12)는, 감지판부(50)가 설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판부(50)가 오목부(14)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용변장치.
KR1020150028891A 2015-03-02 2015-03-02 고양이용 용변장치 KR101711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91A KR101711724B1 (ko) 2015-03-02 2015-03-02 고양이용 용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91A KR101711724B1 (ko) 2015-03-02 2015-03-02 고양이용 용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60A KR20160106260A (ko) 2016-09-12
KR101711724B1 true KR101711724B1 (ko) 2017-03-02

Family

ID=5695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891A KR101711724B1 (ko) 2015-03-02 2015-03-02 고양이용 용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5379A (zh) * 2017-03-10 2017-05-17 孟然 猫用自动冲水坐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972B1 (ko) 2009-05-11 2012-03-20 장우혁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
KR20110097263A (ko) * 2010-02-25 2011-08-31 유정근 좌변식 고양이화장실
KR20120004948A (ko) * 2011-12-16 2012-01-13 신다은 일회용 고양이 화장실
KR101527007B1 (ko) * 2013-10-16 2015-06-09 손병재 고양이용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60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038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837824B1 (ko) 애완동물 배변기
US4011836A (en) Pet commode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572631B1 (ko) 애완동물 배변기
EP2902472A1 (en) Soap recycl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CA2496247A1 (en) Pet toilet
KR20200015193A (ko)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JP2009142384A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170016662A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KR101711724B1 (ko) 고양이용 용변장치
CN201911158U (zh) 排便训练装置及应用其的宠物笼
KR20170008137A (ko) 양변기 사용 고양이를 위한 자동물내림장치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1527007B1 (ko) 고양이용 변기
KR102078698B1 (ko)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KR20140050311A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KR20160001264A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JP5808875B1 (ja) 洋風便器
WO2012058818A1 (zh) 排便训练装置及应用其的宠物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