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580B1 -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 Google Patents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580B1
KR101711580B1 KR1020150139160A KR20150139160A KR101711580B1 KR 101711580 B1 KR101711580 B1 KR 101711580B1 KR 1020150139160 A KR1020150139160 A KR 1020150139160A KR 20150139160 A KR20150139160 A KR 20150139160A KR 101711580 B1 KR101711580 B1 KR 10171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accommodating portion
wall
float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희
김종원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nucle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는, 관리인원이 거주하는 거주구를 구비하는 부유식탑재부; 핵반응에 의해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원자로; 및 상기 원자로가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탑재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자로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FLOATING TYPE NUCLEAR REACTOR FACILITY}
본 발명은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로의 냉각시스템 이상 및 원자로 과열 시, 인명피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안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는 연쇄핵분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고 이 스팀을 이용해 터빈을 회전시켜 이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원자로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시 그 위험성이 노출된 바와 같이 핵연료의 연소 조절에 실패하거나 냉각시스템이 쓰나미 등에 의해 작동을 멈추는 경우, 원자로심이 과열로 인해 손상되고 원자로 내에서 폭발이 일어나 다량의 방사능 물질이 누출되는 등 외부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위험도 갖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부지선정을 하고자 하는 자는 위와 같은 원자력발전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예정부지 인근 주민의 반대에 부딪히게 된다. 그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 또는 폐기물 처리장 등의 관련 시설 건설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인근 주민의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소모하게 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부유식 원자로는 문자 그대로 바다나 큰 호수 위에 원자로가 선박처럼 떠 있도록 한 것으로, 육상에 설치되는 원자로에 비해 부지선정이 용이하고, 지진이나 쓰나미로부터 원자로를 보호하기에도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70773호(2015.06.18. 공개) 및 미국공개특허 제2015/0170770호(2015.06.18. 공개)에는 이러한 부유식원자로의 예로서, 원자로가 과열되면 바닷물이 원자로 외면으로 유입되어 냉각시키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5/0170773호(2015.06.18. 공개) 미국공개특허 제2015/0170770호(2015.06.1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자로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를 차단하고, 신속하게 원자로를 냉각하여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부유식 원자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는, 관리인원이 거주하는 거주구를 구비하는 부유식탑재부; 핵반응에 의해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원자로; 및 상기 원자로가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탑재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자로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 냉각을 위한 냉각수로서 해수를 공급하는 비상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탑재부의 하측에는, 상기 원자로수용부가 탑재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원자로수용부는 상기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에 삽입설치되며, 비상 시 상기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원자로수용부의 외벽과 상기 원자로수용부가 삽입 시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원자로수용부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수용부의 외벽 및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의 외벽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는, 상기 원자로수용부 외벽의 홈에 설치되어 상기 원자로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라 신장되는 열팽창부재; 및 상기 원자로수용부 외벽의 홈과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 외벽의 홈 양자에 삽입되고, 상기 열팽창부재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 외벽의 홈 쪽으로 이동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수용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자로수용부 내부의 열을 받아들이는 수열부; 및 상기 수열부와 상기 열팽창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원자로수용부 외벽을 관통하는 열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수용부가 상기 부유식탑재부로부터 분리 시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상기 부유식탑재부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은 상기 원자로를 통제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수용부의 측벽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를 개방 또는 봉쇄하는 봉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쇄부재는 녹는점이 400도 미만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원자로수용부가 관리인원이 거주하는 거주구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사고 수습 또는 비상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의 부분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의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에서 원자로수용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에서 원자로수용부가 분리되어 가라앉은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에서 원자로수용부가 분리된 후 주변의 물이 투입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의 부분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의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에서 원자로수용부(10)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에서 원자로수용부(10)가 분리되어 가라앉은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에서 원자로수용부(10)가 분리된 후 주변의 물이 투입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는 상부에 거주구(9)를 구비하고, 하부에 발전부(2)를 구비할 수 있다.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는 해수나 호수와 같은 담수에 부유되어 설치되며, 해류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계류설비에 의해 계류될 수 있다.
거주구(9)는 수면 위에 위치하고, 발전부(2)는 수면 아래 가라앉도록 부력이 조정될 수 있다. 거주구(9)가 수면 위로 노출되므로 거주 인원들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공기와 햇빛 등을 공급받을 수 있고, 발전부(2)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므로 발전시설 작동 시 필요한 물을 공급받기 쉽다.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격실을 형성하여 거주구(9)와 발전시설을 구비할 수 있다.
거주구(9)에는 발전부(2)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관리인원들이 체류하며, 거주구(9) 내에 발전부(2)를 제어하는 제어실도 설치될 수 있다. 발전부(2)에는 원자로(11)가 탑재되어, 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발전부(2)에는 냉각수저장탱크(5), 발전설비실(6), 원자로수용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발전설비실(6)과 원자로수용부(10)는 발전부(2)의 중앙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냉각수저장탱크(5)는 발전설비실(6)과 원자로수용부(10)의 바깥쪽을 에워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전설비실(6)은 거주구(9)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며, 발전설비실(6)의 하부에는 원자로수용부(10)가 탑재될 수 있는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은 아래쪽이 개방되어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의 하부에 원자로수용부(10)가 삽입설치될 수 있다. 거주구(9), 발전설비실(6), 냉각수저장탱크(5)는 총칭하여 원자로수용부(10)가 탑재되는 부유식탑재부라고 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10)는 발전설비실(6)이나 냉각수저장탱크(5)의 외벽과는 별도인 외벽에 의해 보호되며, 발전부(2)에서 분리될 수 있는 모듈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10)의 측벽(18) 외면과 냉각수저장탱크(5)의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 측 벽면(8)은 서로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10)가 자중에 의해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자로수용부(10)의 외벽(18)과 냉각수저장탱크(5)의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 측 벽면(8) 사이에는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10)는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에 의해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 구체적으로는 냉각수저장탱크(5)의 내측벽면(8)에 고정되고,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의 고정기능이 해제되면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으로부터 이탈되어 원자로수용부(10)가 거주구(9)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의 상세구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원자로수용부(10)에는 원자로(11), 가압기(13), 증기발생기(15), 펌프(1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원자로(11)는 핵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원자로(11)와 증기발생기(15), 가압기(13)는 냉각수 등의 냉각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배관은 냉각매체를 순환시키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원자로(11)와 증기발생기(15) 사이의 배관에는 펌프(17)가 설치되어 냉각수 등의 냉각매체를 강제순환시킬 수 있다. 증기발생기(15)는 원자로(11)에서 전달받은 열을 이용해 증기를 발생시킨다. 가압기(13)는 원자로(11)에 공급되는 냉각매체를 가압하여 원자로(11)의 냉각을 원활하게 한다.
발전설비실(6)에는 증기발생기(15)에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해 발전을 하는 터빈(3)과 발전기(4)가 설치될 수 있다. 터빈(3)은 증기의 열 및 압력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4)에서 전기를 생산한다. 터빈(3)을 통과한 증기는 냉각수저장탱크(5)로 유입되어 응축되고, 이 냉각수가 다시 증기발생기(15)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증기발생기(15)에서 발생된 증기를 터빈(3), 냉각수저장탱크(5) 순으로 순환시키도록 냉각수배관(41, 42, 43)이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 냉각수배관(41, 42, 43)은 원자로(11)와 증기발생기(15), 가압기(13)를 연결하는 배관과는 별도의 루프를 형성하고, 증기발생기(15)에서 열교환에 의해 냉각수가 증기로 변환된다. 냉각수저장탱크(5) 출구 측의 냉각수배관(41)에는 냉각수펌프(7)가 설치되어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킨다.
원자로수용부(10) 내부에는 냉각수저장탱크(5)와 증기발생기(15) 사이를 연결하는 냉각수배관(41)과 병렬하여 바이패스관(47)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바이패스관(47)에는 비상펌프(19)가 설치되고, 냉각수배관(41)에는 역지밸브(14)가 설치됨으로써, 냉각수펌프(7)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비상펌프(19)에 의해 냉각수가 증기발생기(15)로 공급될 수 있다.
증기발생기(15)에서 터빈(3)으로 연장되는 배관(43)과 냉각수저장탱크(5)에서 펌프(7)를 지나 증기발생기(15)로 연장되는 배관(41)은 원자로수용부(10)의 상부,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의 상부와 발전설비실(6)의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데, 이 배관(41, 43) 중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에 형성되는 부위의 일부는 취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한 고취성부(44, 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수용부(10)가 자중에 의해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에서 분리될 때, 고취성부(44, 45)가 쉽게 파괴되어 배관(41, 43)이 깨끗하게 절단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 상단의 벽 하면과 원자로수용부(10) 상부 벽의 상면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브라켓(21, 22)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한쌍의 브라켓(21, 22)에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와 원자로수용부(10)를 연결하는 연결선(23)의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연결선(23)은 밧줄이나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자로수용부(10)가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에서 분리되더라도 양자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원자로수용부(1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자로수용부(10)에 설치되는 시설들을 통신선을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는 원자로수용부(10)를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수용부(10)의 외벽(18)에 형성된 홈(83)과 이와 마주보는 냉각수저장탱크(5) 외벽(8)에 형성된 홈(81) 양자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양자를 고정한다. 이 고정부재(40)가 이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저장탱크(5) 외벽(8)에 형성된 홈(81)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부재(40)가 원자로수용부(10)의 외벽(18)을 더 이상 지탱하지 않게 되므로 원자로수용부(10)가 냉각수저장탱크(5) 및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20)과 분리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10) 외벽(18)에 형성된 홈(83)에는 열팽창부재(35)가 설치될 수 있다. 열팽창부재(35)는 고정부재(40)보다 홈(83)의 내측에 설치되며, 열전달부(33) 및 수열부(31)와 연결된다. 수열부(31)는 원자로수용부(10) 벽의 내측에 설치되며, 열전달부(33)는 원자로수용부(10) 벽(18)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수용부(1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열이 수열부(31)와 열전달부(33)를 통해 열팽창부재(35)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열에 의해 열팽창부재(35)가 팽창하여 신장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수용부(10) 측 홈(83)과 냉각수저장탱크(5) 측 홈(81) 사이에 끼워져 있던 고정부재(40)가 밀려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저장탱크(5) 측 홈(8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열팽창부재(35)는 원자로수용부(10) 외벽(18)에 형성된 홈(8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열팽창 시 원자로수용부(10) 측 홈(83)에 꽉 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자로(11) 냉각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원자로(11)의 온도가 300도를 넘어가면 원자로(11)가 제어불능 상태가 되거나 폭발하는 등의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원자로(11)의 온도가 300도가 넘어가는 상태에 맞춰 열팽창부재(35)가 원자로수용부(10) 측 홈(83)을 꽉 채우는 정도로 팽창할 수 있도록 열팽창부재(35)의 크기를 설계할 수 있다.
냉각수저장탱크(5) 측 홈(81)의 고정부재(40) 안 쪽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7)가 설치되어 평상 시 고정부재(40)를 원자로수용부(10) 측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고정부재(40)가 열팽창부재(35)와 밀착하게 되고, 열팽창부재(35)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고정부재(40)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40)의 상하에는 구름부재(49)가 설치되어 고정부재(40)와 홈(81, 83) 내벽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상황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30)의 고정이 해제되면, 원자로수용부(10) 및 이에 설치되는 설비들의 자중에 의해 원자로수용부(10)가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 하부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 때, 발전설비실(6)과 원자로수용부(10)를 연결하는 냉각수배관(41, 43) 중 고취성부(44, 45)가 파괴되면서 배관이 절단되고, 평상 시 원자로수용부(10)의 상부에 접혀있던 연결선(23)이 펼쳐지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수용부(10)가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로부터 분리되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호수 또는 바다의 바닥면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때, 원자로수용부(10)가 거주구(9)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므로 인명피해의 위험성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연결선(23) 중 통신선으로 관리인원이 원자로(11)를 제어하여 사고 수습을 시도할 수 있다.
통신선으로의 원자로(11) 제어 또는 냉각시스템의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기타 고장으로 원자로(11) 과열을 막을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원자로수용부(10) 주변의 물을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의 온도가 낮아지며, 이 물이 원자로수용부(10)의 냉각에 활용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47)에 설치된 비상펌프(19)가 작동되면 원자로수용부(10) 상부로 노출된 배관(41, 43)으로부터 증기발생기(15)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원자로(11) 냉각에 일조할 수 있다. 관리인원이 연결선(23)을 통해 비상펌프(19)를 제어하여 비상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독립된 제어장치를 두어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원자로수용부(10)의 양측벽(18)에는 개구(16)가 형성되고, 이 개구(16)를 봉쇄하는 봉쇄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봉쇄부재(50)는 주석, 납, 아연이나 마그네슘 등 녹는점이 비교적 낮은 금속, 특히 녹는점이 400도 미만인 금속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원자로수용부(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봉쇄부재(50)가 녹아 개구(16)가 개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자로(11) 온도가 300도를 초과하면 원자로수용부(10)를 분리하고 그 후에도 계속 온도가 올라 원자로수용부(10) 내부의 온도가 400도를 초과하면 더 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최후수단으로 개구(16)를 개방한다. 원자로수용부(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방사능유출의 위험도와 내부 장비 손상의 위험이 커지지만, 노심융용이나 폭발 등의 사고방지가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평상 시에는 원자로수용부(10) 외벽 및 봉쇄부재(50)에 의해 원자로수용부(10)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분리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시 원자로수용부(10) 내부온도가 올라가면 이 봉쇄부재(50)가 녹아 개구(16)를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원자로 냉각시스템의 제어 불능, 냉각시스템을 이루는 장치의 고장, 원자로(11) 온도제어 불능 등 비상 사고 발생 시 일차로 원자로수용부(10)를 거주구(9)가 위치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1)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한 후, 연결선(23)에 의한 통신으로 원자로(11) 및 냉각시스템 제어를 시도하고, 이 것이 불가능한 경우 비상펌프(19)를 통하여 비상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렇게 해도 원자로(11)가 과열되는 경우 외부의 물이 직접 원자로수용부(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다단계에 걸쳐 사고를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2; 발전부
5; 냉각수저장탱크 6; 발전설비실
10; 원자로수용부 11; 원자로
14; 역지밸브 19; 비상펌프
23; 연결선 30;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
35; 열팽창부재 40; 고정부재
44, 45; 고취성부

Claims (10)

  1. 관리인원이 거주하는 거주구를 구비하는 부유식탑재부;
    핵반응에 의해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원자로; 및
    상기 원자로가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탑재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자로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식탑재부의 하측에는, 상기 원자로수용부가 탑재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원자로수용부는 상기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에 삽입설치되며, 비상 시 상기 원자로수용부탑재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냉각을 위한 냉각수로서 해수를 공급하는 비상펌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수용부의 외벽과 상기 원자로수용부가 삽입 시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원자로수용부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수용부의 외벽 및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의 외벽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자로수용부고정장치는,
    상기 원자로수용부 외벽의 홈에 설치되어 상기 원자로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라 신장되는 열팽창부재; 및
    상기 원자로수용부 외벽의 홈과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 외벽의 홈 양자에 삽입되고, 상기 열팽창부재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마주보는 부유식탑재부 외벽의 홈 쪽으로 이동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수용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자로수용부 내부의 열을 받아들이는 수열부; 및
    상기 수열부와 상기 열팽창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원자로수용부 외벽을 관통하는 열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수용부가 상기 부유식탑재부로부터 분리 시 상기 원자로수용부와 상기 부유식탑재부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원자로를 통제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9. 삭제
  10. 관리인원이 거주하는 거주구를 구비하는 부유식탑재부;
    핵반응에 의해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원자로; 및
    상기 원자로가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탑재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자로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자로수용부의 측벽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를 개방 또는 봉쇄하는 봉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쇄부재는 녹는점이 400도 미만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KR1020150139160A 2015-10-02 2015-10-02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KR10171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60A KR101711580B1 (ko) 2015-10-02 2015-10-02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60A KR101711580B1 (ko) 2015-10-02 2015-10-02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580B1 true KR101711580B1 (ko) 2017-03-02

Family

ID=5842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160A KR101711580B1 (ko) 2015-10-02 2015-10-02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705B1 (ko) 2020-09-24 2022-03-03 한국원자력연구원 선박의 피동냉각 설비 및 피동냉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308A (en) * 1971-05-24 1974-09-24 Sanders Associates Inc Floating power plant
KR20120093909A (ko) * 2009-10-02 2012-08-23 데쎄엔에스 베이스를 구비한 수중 발전 모듈
US20150170770A1 (en) 2013-12-17 2015-06-18 Palvannanathan Ganesan Floating nuclear power reactor with a self-cooling containment structure
US20150170773A1 (en) 2013-12-17 2015-06-18 Palvannanathan Ganesan Floating nuclear power reactor with a self-cooling containment structure and an emergency heat exchan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308A (en) * 1971-05-24 1974-09-24 Sanders Associates Inc Floating power plant
KR20120093909A (ko) * 2009-10-02 2012-08-23 데쎄엔에스 베이스를 구비한 수중 발전 모듈
US20150170770A1 (en) 2013-12-17 2015-06-18 Palvannanathan Ganesan Floating nuclear power reactor with a self-cooling containment structure
US20150170773A1 (en) 2013-12-17 2015-06-18 Palvannanathan Ganesan Floating nuclear power reactor with a self-cooling containment structure and an emergency heat exchang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705B1 (ko) 2020-09-24 2022-03-03 한국원자력연구원 선박의 피동냉각 설비 및 피동냉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0299B (zh) 自包含的应急废核燃料池冷却系统
EP2715734B1 (en) Passive decay heat removal and related methods
JP6305936B2 (ja) 水中発電モジュール
KR20150036689A (ko) 핵 기지 정전 동안에 수동 전력 생산
US9679667B2 (en) Submerged electricity production module
KR102109991B1 (ko) 전기 생산 모듈
KR101711580B1 (ko) 부유식원자로탑재설비
RU2607474C2 (ru) Погружной модул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нергии
WO2015147952A2 (en) Floating nuclear power reactor with a self-cooling containment structure and an emergency heat exchange system
RU2606209C2 (ru) Погружной или подводный модул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JP2013007727A (ja) 原子炉非常対策方法
RU2606207C2 (ru) Погружной модул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KR101711579B1 (ko) 잠수식원자로탑재설비
RU2188466C2 (ru) Плавучая атом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101404646B1 (ko) 열담수화를 위한 고유안전 수냉각형 원자로 계통
WO2015171187A2 (en) Floating nuclear power reactor with a self-cooling multiple component containment structure and an automatic radiation scrubbing containment structure
Achkasov et al. An integrated nuclear reactor unit for a floating low capacity nuclear power plant designed for power supply in remote areas with difficult access
Collins Technical evaluation of the susceptibility of safety-related systems to flooding caused by the failure of non-Category I systems for Turkey Point Nuclear Power Plant, Units 3 and 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