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210B1 -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 Google Patents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210B1
KR101711210B1 KR1020160088090A KR20160088090A KR101711210B1 KR 101711210 B1 KR101711210 B1 KR 101711210B1 KR 1020160088090 A KR1020160088090 A KR 1020160088090A KR 20160088090 A KR20160088090 A KR 20160088090A KR 101711210 B1 KR101711210 B1 KR 10171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central
connection
ho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준화
Original Assignee
(주)우연산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연산림산업 filed Critical (주)우연산림산업
Priority to KR102016008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2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bag connecting assembly. The soil bag connect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xates at least one soil bag coming into contact with an upper part or a lower part of the soil bag connecting assembly. The soil bag connecting assembly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with multiple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multiple first protrusions formed into a sharp shape in a part where the multiple holes are not formed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multiple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multiple second protrusions formed into a sharp shape in a part where the multiple holes are not formed, and multiple coupling units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ultiple second protrusions around the multiple holes. The multiple coupling units ar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multiple hol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multiple first protrusions and the multiple second protrusions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oil bag connecting assembly easy to carry and install.

Description

토낭 연결 조립체{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본 발명은 토낭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호 연결 구조 및 형태가 가변적인 토낭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irrel-cag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quirrel-cage assembly in which the interconnect structure and shape are variable.

일반적으로 옹벽은 경사면의 흙이 토압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쌓아올리는 벽체를 말하고, 절개지 또는 해안 등에 축조되는 건축 구조물의 일종이다. 이러한 옹벽은 철근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하거나, 콘크리트 또는 성형 수지재로 이루어진 호안 블록을 쌓아 올려 축조된 구조 또는 토낭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서 축조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Generally, a retaining wall is a wall that is piled up so that the soil on the slope is not collapsed by the earth pressure, and is a kind of building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on a cutout or a shore. It is known that these retaining walls are constructed by using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or constructed by building up a block of a revetment block made of concrete or a molding resin and filling the constructed structure or the crane with soil or sand.

콘크리트 옹벽이나 호안 블록에 의한 구조물은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반면, 토낭을 이용한 옹벽은 축조 시간이 짧고 자연친화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It is pointed out that the structures made of concrete retaining walls and revetment blocks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On the other hand, retaining walls using squatters have advantages of short construction time and nature friendly.

하지만, 토낭을 이용한 옹벽은 구조물의 강도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토낭과 토낭 사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연결 패널, 토낭 받침대, 연결재 등이 알려져 있다.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a retaining wall using a squat is weak in strength of a structure. To solve this problem, a connecting panel, a supporter, and a connecting material for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ac and the sac is known.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토사마대, 복수의 연결재, 보강재 및 덮개판으로 이루어진 그린월 구조를 개시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green wall structure using a tobacco column and a connecting material.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green wall structure composed of a toe sand ba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 reinforcement and a cover plate. 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nstallation is difficult.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상부 및 하부에 돌기를 구비한 평판과 물끓기 턱을 구비한 연결 패널을 개시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2는 연결 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가 불편하고, 보관이나 유통시에 돌기가 파손되기 쉬우며, 연결 패널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경우에 결합 돌부에 인장력이 집중되므로 결합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connection panel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connecting panel having a flat plate with protrusions at the top and bottom and a water boiling jaw. However, in Patent Document 2, sinc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panel, it is inconvenient to carry, protrusions are liable to break at the time of storage and distribution, and when the connection panel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is broken.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0753958호(2007.8.24)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No. 10-0753958 (Aug. 24, 2007)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0927819호(2009.11.13)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No. 10-0927819 (November 13, 2009)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 및 설치가 쉽고, 토낭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확장 설치를 할 수 있는 토낭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knockout connection assembly which is easy to carry and install, and can be install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a knockou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낭 연결 조립체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낭을 고정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장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과 상기 복수의 홀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는 뾰족한 형상인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한 제1 연결 부재 장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과 상기 복수의 홀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는 뾰족한 형상인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홀의 주위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체결부를 구비한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nuckle connection assembly for fixing at least one knuckle which i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knuckle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a major axis direction; A first connec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portions formed in an area no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e plurality of holes being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portions around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이 경우에, 상기 토낭 연결 조립체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X자 형태 토낭 연결 유닛을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hook connecting assembly forms an X-shaped hook connecting unit by inserting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이 경우에, 상기 뾰족한 형상은 원뿔 또는 직각삼각형 또는 이들의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상이다.In this case, the pointed shape is a cone, a right triangle,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hese.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홀은 원형이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holes are circular.

한편, 상기 복수의 체결부는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의 원주에 각각 형성되고, 각 체결부는 머리부와 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에서 넓은 크기로 커지는 삽입부와 상기 목부의 직경과 동일한 연결부로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and the fastening portions are composed of a head portion and a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linking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neck portion.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체결부의 상기 머리부는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에 삽입될 때, 상기 머리부의 복수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홀을 통과하면서 줄어들고, 상기 머리부가 홀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머리부의 복수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원상 회복한다.In this case, when the hea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when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head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head is restored when the head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hole.

한편,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1개의 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종단부에 각각 2개의 홀이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one hole at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wo holes at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이 경우에,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의 설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홀의 직경보다 크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ar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linking member, and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link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connecting member.

한편, 상기 X자 토낭 연결 유닛은 직렬 연결, 병렬 연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X-pin couplings form a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by series connection, parallel conne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이 경우에, 상기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는, T, I, ㅠ, H, ㅁ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이다.In this case, the multi-access point connection assembly is at least one of T, I, T, H, or K.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토낭 연결 조립체를 보관하기 용이하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휴대와 이동이 편하며, 옹벽 축조시 설치가 쉽고, 다양한 토낭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확장 설치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tore and connect, and it is easy to carry and move because it does not take up a lot of volume, and it is easy to install when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he effect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낭 연결 조립체가 축조식 옹벽에 설치된 예시적인 도면,
도 2는 적층식 토낭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연결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연결 부재의 하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연결 부재의 체결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연결 부재의 체결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자 형태의 토낭 연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직렬 형태의 토낭 연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of a telescopic connec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laminated messenger,
3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4,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5,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fastening part of a second lin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X-shaped knuckl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cad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multi-connection to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면의 축적이나 비율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시 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양, 형태, 치수 또는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urther, the accumulation or ratio of the drawings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exemplary, and the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designed differently in shape, form, size, or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낭 연결 조립체가 축조식 옹벽에 설치된 예시적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telescopic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aft retention wall; Fig.

도 1을 참고하면, 도 1은 사면 보강형 토낭 축조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사면(20)에는 복수의 토낭(10)을 쌓는 방식으로 옹벽을 축조한다. 본 발명에서 토낭(10)은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모래 또는 흙으로 채워지고, 토낭(10)에서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물토낭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lope reinforcing type squatting method. On the slope 20,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kneaders 10 are stack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quat 10 may be composed of a plant flock which is filled with sand or soil in which the plant can grow, and in which the plant can grow in the squat 10.

복수의 토낭(10)이 쌓여지는 뒷 공간에는 뒷채움 다짐 토양(40)으로 채워진다. 복수의 토낭(10) 중 지표면(50)과 맞닿는 토낭은 지오그리드(30)에 의해서 둘러쌓인다. 토낭 조립 연결체(100)는 지오그리드(30)와 결속한다. 조립 연결체(100)는 토낭과 토낭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토낭과 토낭 사이에 결속력을 갖게 해준다.The rear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squatters 10 are piled up is filled with the backfill compaction soil 40. Of the plurality of squatters 10, the squat contacted with the ground surface 50 is surrounded by the geogrid 30. The knuckle assembly assembly 100 is bound to the geogrid 30. The assembled connector 100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bladder and crotch, and has a binding force between the bladder and the crotch.

도 2는 적층식 토낭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부 토낭(10-1)은 하부 토낭(10-2)보다 크기가 작게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상부 토낭(10-1)은 하부 토낭(10-2)보다 크기가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상부 토낭(10-1)은 사면을 향하는 반대면에서 하부 토낭(10-2)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적층됨으로써 토낭 옹벽은 계단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laminating catapult. Fig. Referring to FIG. 2, the upper squadron 10-1 is shown to be smaller than the lower squadron 10-2.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upper squadron 10-1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lower squadron 10-2. However, the upper squadron 10-1 is stacked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lower squadron 10-2 on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slope, so that the squadron retaining wall can be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도 2에서 상부 토낭(10-1)과 하부 토낭(10-2) 사이에 토낭 연결 조립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토낭 연결 조립체(미도시)에 의해서 상부 토낭(10-1)과 하부 토낭(10-2)이 상호 결속된다.In FIG. 2, a knuckle connection assembly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quadron 10-1 and the lower squadron 10-2, and the upper squadron 10-1 and lower The squad 10-2 are bound togeth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연결 부재(110)는 양측 종단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판넬 형태의 기판(111)을 기본 형상으로 한다. 이러한 제1 연결 부재(110)의 기본 형상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110)는 기판(111)의 하부에 복수의 돌출부(113-1, 113-2)를 구비하고, 장축 방향으로 복수의 홀(115-1 내지 115-5)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1 돌출부(113-1, 113-2)의 돌출 방향은 기판(111)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면으로 돌출되고, 이하 설명하는 제2 연결 부재(110)의 복수의 제2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다르게 돌출된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has a basic shape of a substrate 111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nel having both ends rounded. The basic shape of the first linking member 11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3-1 and 113-2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111 and a plurality of holes 115-1 to 115-5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13-1 and 113-2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and protrudes from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10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연결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연결 부재(130)는 양측 종단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판넬 형태의 기판(131)을 기본 형상으로 한다. 이러한 제2 연결 부재(130)의 기본 형상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130)는 기판(131)의 상부에 복수의 제2 돌출부(133-1 내지 133-2)를 구비하고, 장축 방향으로 복수의 홀(135-1 내지 135-5)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33-1 내지 133-2)의 돌출 방향은 앞서 설명한 제1 연결 부재(110)의 복수의 제1 돌출부(113-1 내지 113-2)의 돌출 방향과 반대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2 돌출부(133-1 내지 133-2)가 토낭 연결 조립체(100)의 상부로 돌출되면, 복수의 제1 돌출부(113-1 내지 113-2)는 토낭 연결 조립체(100)의 하부로 돌출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has a basic shape of a substrate 131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nel having both ends rounded. The basic shape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13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133-1 to 133-2 on the substrate 131 and a plurality of holes 135-1 to 135-5 in the major axis direction do.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133-1 to 133-2 is opposite to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113-1 to 113-2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133-1 to 133-2 are proj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pillary connection assembly 100,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113-1 to 113-2 are connected to the capillary connection assembly 100, (Not shown).

그리고, 제2 연결 부재(130)는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를 구비한다.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는 복수의 홀(135-1 내지 135-5)이 구비된 위치에서 복수의 제2 돌출부(133-1 내지 133-2)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second linking membe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hrough 137-5.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are formed so as to be opposed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ng portions 133-1 to 133-2 at positions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135-1 to 135-5 are provided .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연결 부재의 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연결 부재(130)는 하부에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를 구비한다.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는 복수의 홀(135-1 내지 135-5)에 각각 형성되고, 각 체결부는 각 홀의 원주에 형성된다. 복수의 홀(135-1 내지 135-5)의 중심은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의 중심과 일치한다.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하에서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The second linking member 13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135-1 to 135-5,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each hole.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holes 135-1 to 135-5 coincide with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The specific shap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연결 부재의 체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체결부(137-1 내지 137-5)는 복수의 홀(135-1 내지 135-5)의 원주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원호 영역에 형성된다. 각 체결부는 홀의 2개 이상의 원호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2개 파트로 나누어진다. 체결부를 복수의 원호 영역에 복수의 파트로 나누어서 설계하는 이유는 다른 홀에 삽입 시에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삽입 해제를 쉽게하기 위함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37-1 to 137-5 are formed in at least two arc regions of the circumferential regions of the plurality of holes 135-1 to 135-5. Each fastening por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by being formed in two or more arc regions of the hole. The reason for designing the fastening portion by dividing the fastening portion into a plurality of parts in a plurality of arcuate regions is that the insertion is easy at the time of inserting into another hole, but the insertion is easily released.

예를 들어, 체결부를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설계하고, 원통형의 종단부의 직경을 홀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한다면, 해당 체결부는 다른 홀에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한번 체결된 이후에 체결을 해제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For example, if the fastening portion is design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central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end portion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the fastening portion may not be easily inserted into another hole, It is not easy to do.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부는 중심이 비어있는 원통형을 기본 형상으로 하되, 체결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2개 이상의 파트로 구획됨으로써, 제1 연결 부재에 형성된 다른 홀에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접속을 해제할 경우에도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체결부에 의해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가 상호 접속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center,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in the same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other hol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can be easily released even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Hereinaf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interconnected by the fasten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연결 부재의 체결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연결 부재(130)에 구비된 체결부(137)는 2개이 파트로 구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개의 파트는 형상이 동일하고, 2개의 파트 중 하나를 살펴보면, 제2 연결 부재(130)는 머리부(137a)와 목부(137b)로 구분된다. 머리부(137a)는 직경이 a1이고, 목부(137b)는 직경이 a2이다. 즉, 제2 연결 부재(130)의 머리부(137a)의 직경은 제1 연결 부재(110)의 홀의 직경(a3)보다 크고, 제2 연결부 부재(130)의 목부(137b)의 직경은 제1 연결부재 (110)의 홀의 직경(a3)보 작거나 같게 설계할 수 있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fastening portion of a second lin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wo fastening portions 137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two parts are of the same shape, and if one of the two parts is examine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is divided into a head part 137a and a neck part 137b. The head portion 137a has a diameter a1 and the neck portion 137b has a diameter a2. That is, the diameter of the head 137a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a3 of the hol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diameter of the neck 137b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is 1 can be designed so that the diameter a3 of the hol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iameter a3 of the hol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

체결부(137)의 머리부(137a)는 적어도 2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제1 연결 부재(110)의 홀에 삽입될 때 머리부(137a)의 2개 부분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홀을 통과할 수 있다. 머리부(137a)가 제1 연결 부재(110)의 홀을 완전히 통과하면 머리부(137a)의 2개 부분 사이의 거리는 원 상태로 회복하여 머리부(137a)의 직경(a1)은 제1 연결 부재(110)의 홀의 직경(a3)보다 커진다. Since the head portion 137a of the fastening portion 137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por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rtions of the head portion 137a becomes small when the hole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Lt; / RTI > When the head 137a passes completely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arts of the head 137a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so that the diameter a1 of the head 137a Becomes larger than the diameter a3 of the hole of the member (110).

머리부(137a)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부(137a)는 삽입부와 연결부로 구성되고, 삽입부는 제1 연결 부재(110)의 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홀에 접촉하는 부분의 직경이 b1에서 b2로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구조로 설계된다. 연결부는 삽입부와 목부를 연결시켜주는 부분으로써, 연결부의 직경은 목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계된다. 또한 머리부(137a)는 홀을 완전히 통과한 이후에 머리부(137a)의 2개 부분 사이의 거리가 원상태로 회복됨으로써, 머리부(137a)는 홀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The structure of the head portion 137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head portion 137a is composed of an inser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The inserting portion is a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ntacting the hole gradually decreases from b1 to b2 do. The connecting part connects the insertion part and the neck part, and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rt is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neck part. Further, after the head 137a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hol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rtions of the head 137a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so that the head 137a does not easily fall out from the hole.

이러한 체결부(137)의 체결 방식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110)와 제2 연결 부재(130)는 상호 접속시킨다. 또한, 체결부(137)의 머리부(137a)의 2개 파트에 외력을 가하여 2개 파트 사이의 거리를 좁히면, 제2 연결 부재(130)를 제1 연결 부재(110)로부터 쉽게 접속 해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stening method of the fastening portion 137,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re mutually connecte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arts is narrow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wo parts of the head portion 137a of the fastening portion 137,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can be easily disconnec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자 형태의 토낭 연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연결 부재(110)는 제2 연결 부재(130)의 하부에서 중심홀에서 체결부(137)에 의해서 상하 접속되어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호 결속된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X-shaped knockout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110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portion 137 at a center hole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110)의 돌출부(113-1, 113-2)는 하부로 돌출하고, 제2 연결 부재(130)의 돌출부(133-1, 133-2)는 상부로 돌출한다. 제1 연결부재(110)의 돌출부(113-1, 113-2)는 하부에 접촉하는 토낭에 침투하여 하부 토낭과의 접속력을 강화하고, 제2 연결 부재(130)의 돌출부(133-1, 133-2)는 상부에 접촉하는 토낭에 침투하여 상부 토낭과의 접속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제1 연결 부재(110)와 제2 연결 부재(130)는 중심홀에서 체결부(137)에 의해서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부 토낭과 하부 토낭은 토낭 연결 조립체(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113-1 and 113-2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protrude downward and the protrusions 133-1 and 133-2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protrude downward, Protrudes upward. The protrusions 113-1 and 113-2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penetrate into the pawl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to reinforce the connecting force with the lower pawl and the protrusions 133-1 , 133-2) penetrate into the upper contact pawl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upper pawl. The first link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1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portion 137 at the center hol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laps can be interconnected by the togand connecting assembly 100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직렬 형태의 토낭 연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X자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는 4개가 직렬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는 X자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 4개가 직렬 접속된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X자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가 계속 연결되어 5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즉 토낭 연결 조립체의 총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X자 형태 제1 토낭 연결 조립체(100-1)는 X자 형태 제2 토낭 연결 조립체(100-2)와 2개의 접속 지점(J1, J2)에서 상호 접속한다. 토낭 연결 조립체의 접속 방식은 앞서 설명한 X자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의 접속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pentin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four X-shaped knuckle connection assemblies can be connected in series. Here, although only four X-shaped knuckle connection assemblies are connected in series, an X-shaped knuckle connection assembly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five or more. That is, the total length of the knuckle connection assembly may vary. The X-shaped first communicating assembly 100-1 interconnects with the X-shaped second communicating assembly 100-2 at two connection points J1, J2.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coupler assembly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X-shaped coupler assembly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X자 형태 제3 토낭 연결 조립체(100-3) 및 X자 제4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100-4)는 동일한 방식으로 상호 접속하고, X자 형태 제1 내지 제4 토낭 연결 조립체(100-1 내지 100-4)는 상호 직렬 형태로 접속함으로써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를 형성한다.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는 복수의 X자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인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X-shaped third communicating assembly 100-3 and the X-shaped fourth communicating assembly 100-4 interconnect in the same manner and the X-shaped first to fourth communicating assemblies 100-1 To 100-4 form a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1000 by connecting them in an inter-serial fashion. The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1000 may be formed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X-shaped socket connection assemblies in various manner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0, a multi-connection to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1 내지 1000-3)을 이용해서 I자 형태의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multi-connection to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1000-1 to 1000-3 can be used to form an I-shaped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제1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1)는 제2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2)와 2개 지점(J1, J2)에서 상호 접속한다. 제2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2)는 제3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1000-3)와 2개 지점(J3, J4)에서 상호 접속한다.The first multi-connection point connection assembly 1000-1 interconnects with the second multi-connection point connection assembly 1000-2 at two points J1 and J2. The second multi-connection point connection assembly 1000-2 interconnects with the third multi-connection point connection assembly 1000-3 at two points J3 and J4.

이처럼 본 발명은 X자형 토낭 연결 조립체를 복수 개 상호 접속시켜서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상호 접속시켜서 다양한 형태를 구성함으로써, 직렬 접속 형태뿐만 아니라 T자형, I자형, ㅠ자형, H자형, ㅁ자형 및 이들의 조합 등으로 다양하게 다중 접속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X-shaped socket connection assemblies, and configuring various forms by mutu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ies, Shape, letter shape, letter shape, letter shape, letter shape, letter shape, and combinations thereof.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다중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토낭의 형태, 크기, 모양에 상관없이 토낭 연결 조립체를 조립하여 토낭과 토낭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토낭 사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Because multiple connections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knuckle connection assembly regardless of the shape, size, and shape of the knuckle and to place it between the knuckle and the knuckl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knuckles.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Although illustrative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etailed description, but is capable of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토낭 20 : 사면
30 : 지오그라드 40 : 뒷채움 다짐 토양
40 : 지표면 100 : X자 형태 토낭 연결 조립체
110 : 제1 연결 부재 111 : 기판
113 : 돌출부 115 : 홀
130 : 제2 연결 부재 131 : 기판
133 : 돌출부 135 : 홀
137 : 체결부 1000 :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
10: Panic 20: Slope
30: Geograd 40: Backfilling compaction soil
40: ground surface 100: X-shaped knuckle connection assembly
110: first connecting member 111: substrate
113: protrusion 115: hole
130: second connecting member 131: substrate
133: protrusion 135: hole
137: fastening part 1000: multi-connection knob connection assembly

Claims (10)

상부 또는 하부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낭을 고정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중심부에 제1중앙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양단부에 각각 제1양단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복수의 제1 돌출부가 돌출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중심부에 제2중앙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양단부에 각각 제2양단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복수의 제2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 중앙홀 및 상기 제2 양단홀의 원주 주위에 각각 하방향으로 돌출된 중앙체결부 및 양단체결부를 구비한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체결부는,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각각 제1중앙홀보다 직경이 작은 목부와 상기 목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중앙홀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목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목부와 직경이 동일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체결부가 상기 제1중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중앙체결부의 상기 머리부의 복수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중앙홀을 통과하면서 줄어들고, 상기 중앙체결부의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1중앙홀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중앙체결부의 상기 머리부의 복수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원상 회복하며,
상기 제1중앙홀에 상기 중앙체결부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X자 형태 토낭 연결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CLAIMS 1. A knuckle connection assembly for securing at least one knuckle contacting upper or lower,
A first connecting member in which a first central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so as to pene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end holes formed in both 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ng portions project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A second center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center ho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second both-end hole formed in both ends thereof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a central engaging portion and a both end engaging portion projecting downwar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enter hole and the second both-end holes,
Wherein the central fastening portion comprises a neck portion having a hollow central portion and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entral hole and a head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neck portion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central hole,
The head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neck portion and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neck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cross-
Wherein when the central fasten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entral hole, a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head of the central fastening portion is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entral hole, and the head portion of the central fastening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head portion of the central fastening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central fasten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enter hole to form an X-shaped toe connect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원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conical in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홀, 상기 제2 중앙홀, 상기 제1 양단홀 및 상기 제2 양단홀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enter hole, the second center hole, the first both-end holes, and the second both-end holes are circul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체결부는,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각각 제1양단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1목부와 상기 제1목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양단홀보다 직경이 큰 제1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머리부는,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목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목부와 직경이 동일한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has a first neck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both end holes and a first head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neck portion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both end holes,
The first head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has a first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neck part and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neck part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a first insert having a shape that is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first inse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단홀은,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종단부에 각각 2개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양단홀은,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종단부에 각각 2개의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end holes may have two holes at the end of the first linking member,
And the second both end holes are each provided with two holes at a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낭 연결 조립체는 복수 개이고,
어느 하나의 토낭 연결 조립체의 제1양단홀에 다른 하나의 토낭 연결 조립체의 양단체결부가 삽입 체결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토낭 연결 조립체의 제1양단홀에 상기 어느 하나의 토낭 연결 조립체의 양단체결부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knuckle connection assemblies are provided,
The two end fastening portions of the other knockout connection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first both end holes of one of the knockout connection assemblies,
Wherein the one end fastening portion of the one of the two toe coupling assemblies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d holes of the another toe coupling assembly to thereby form the multi-connection hook connecting assemb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접속 토낭 연결 조립체는, T, I, ㅠ, H, ㅁ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연결 조립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ulti-connection socket connection assembly is at least one of a T, I, T, H, or K shape.
KR1020160088090A 2016-07-12 2016-07-12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KR101711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90A KR101711210B1 (en) 2016-07-12 2016-07-12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90A KR101711210B1 (en) 2016-07-12 2016-07-12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210B1 true KR101711210B1 (en) 2017-03-03

Family

ID=5841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090A KR101711210B1 (en) 2016-07-12 2016-07-12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21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747A (en) * 2004-05-06 2005-11-11 파센리테이닝(주)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using linkage unit
KR200407940Y1 (en) * 2005-11-04 2006-02-07 김윤희 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KR100753958B1 (en) 2007-05-31 2007-09-04 김학은 Green wall structure
KR100927819B1 (en) 2009-06-01 2009-11-23 김수덕 Soil pocket building breast wall construction connection panel
KR20140123351A (en) * 2013-04-12 2014-10-22 권완 Soil bag for vegetation gusset pla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747A (en) * 2004-05-06 2005-11-11 파센리테이닝(주)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using linkage unit
KR200407940Y1 (en) * 2005-11-04 2006-02-07 김윤희 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KR100753958B1 (en) 2007-05-31 2007-09-04 김학은 Green wall structure
KR100927819B1 (en) 2009-06-01 2009-11-23 김수덕 Soil pocket building breast wall construction connection panel
KR20140123351A (en) * 2013-04-12 2014-10-22 권완 Soil bag for vegetation gusset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5445B (en) Drainage body
KR101700830B1 (en) The Constructing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For Wall
MX2013001254A (en) Retaining wall system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same.
KR101711210B1 (en) Connection assembly for soil bag
JP2012092612A (en) Gabion with hollow holes and gabion connected body
KR10128412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2012092614A (en) Gabion with connection rod and gabion connected body
CN101982635A (en) Floorslab through hole template device and fastening assembly thereof
KR101068857B1 (en) Mould for cone type foundation
KR100927819B1 (en) Soil pocket building breast wall construction connection panel
KR200366898Y1 (en) A concrete pile in the shape of atop
KR101164989B1 (en)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assembly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KR102191389B1 (en) Bar connec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N206346179U (en) A kind of new multidirectional GSZ
KR100736827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using linkage unit
KR100545398B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N203213102U (en) Butt-joint member of prestressed concrete pipe pile
JP2011174228A (en) L-shaped concrete block and retaining wall
KR102217090B1 (en) Reinforced earth block
KR20120128955A (en) Aseismatic reinforcement block a 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of
KR101069326B1 (en) Mould for cone type foundation
KR102316592B1 (en)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CN205712135U (en) A kind of longitude and latitude foundation pit supporting construction
CN213805463U (en) Composite construction water conservancy stake basis
KR200339473Y1 (en) Reinforced retaina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