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196B1 -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96B1
KR101711196B1 KR1020160059451A KR20160059451A KR101711196B1 KR 101711196 B1 KR101711196 B1 KR 101711196B1 KR 1020160059451 A KR1020160059451 A KR 1020160059451A KR 20160059451 A KR20160059451 A KR 20160059451A KR 101711196 B1 KR101711196 B1 KR 10171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nnamon
fabric
fumigation
repellen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관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비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상형의 직물지; 및 상기 직물지에 흡착되며,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기피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기피물질은 계피가루 30~60중량%, 폴리비닐알콜 39~68중량%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 1~2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피추출물이 훈증되는 중간에 상기 계피가루가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FUMIGATION REPELLENT CART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될 수 있는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살충제를 사용하여 모기를 방제하지만 여름철의 야외 활동 및 레져 인구가 증가하면서 모기 기피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모기 기피제의 보편적 성분은 DEET(diethyltoluamide)이며, 국내외에서 모기기 피제의 주요 성분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DEET를 이용한 국내 모기기피제의 제형은 에어로졸제(Aerosol), 액제(Liquid), 로션제(Lotion)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에어로졸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기기피제는 인체에 직접 적용하고, 야외활동 시 휴대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안정성 차원에서 절실히 요구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기피제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1144호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에서는 목초정제액과 식물 정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해충 특히 모기에 대해 우수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지만 목초정체액과 식물 정유 모두 천연 추출물로 환경 오염이나 인간에 대한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고 개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052호 "울금잎을 함유하는 천연 모기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살충제나 화학 방향제 등의 성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모기 기피효과가 뛰어난 천연식물인 울금잎을 함유하는 천연 모기향 조성물로 종래 천연모기향을 태울 경우 매캐한 냄새로 인하여 어린이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은은한 향을 풍겨 지속효과가 뛰어나고, 사포닌 성분에 의해 코 막힘이나 축농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착화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연소가 용이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고 개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1144호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052호 "울금잎을 함유하는 천연 모기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될 수 있는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상형의 직물지; 및 상기 직물지에 흡착되며,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기피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기피물질은 계피가루 30~60중량%, 폴리비닐알콜 39~68중량%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 1~2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피추출물이 훈증되는 중간에 상기 계피가루가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물지의 표면과 이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기피물질의 흡착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계피가루 30~60중량%, 폴리비닐알콜 39~68중량%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 1~2중량%로 이루어진 기피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피물질을 분사하거나 롤러로 도포하여 직물지에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기피물질이 흡착된 직물지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기피물질이 흡착된 직물지를 훈증기 크기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피물질 성분인 원액으로 농축된 방향성이 강한 계피추출물이 먼저 훈증되어 해충, 특히 모기를 초기에 강력하게 기피시키고 이어서 계피가루가 폴리비닐알콜의 도움을 받아 장시간 동안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되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킬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지만 기피물질의 흡착면적이 확대된 직물지로 인해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되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킬 수 있다.
또한, 계피추출물 및 계피나무가 모두 천연물질로서 환경 오염이나 인간에 대한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를 나타낸 평면 사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를 나타낸 배면 사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의 훈증에 대한 그래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는 판상형의 직물지(10)와, 직물지(10)에 흡착되며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기피물질(20)을 포함한다.
70∼150℃ 이상의 열을 방출하는 훈증기에 직물지(10)가 장착되고, 70∼150℃ 이상의 열을 받은 기피물질(20)이 직물지(10)로부터 훈증되어 해충, 특히 모기를 효과적으로 기피시킨다.
직물지(10)는 천연섬유 또는 화학섬유로 직조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가볍고 액체를 흡수하여도 조직 강도가 변하지 않는 합성섬유사인 폴리프로필렌사로 직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물지(10)는 0.8∼1mm의 두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표면과 이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홈들(11)(13)이 형성되어 기피물질(20)의 흡착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홈들(11)(13)은 직물지(10)의 직조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얇지만 표면과 이면에 서로 교차하게 형성된 홈들(11)(13)로 인해 표면적, 즉 흡착면적이 확대된 직물지(10)는 기피물질(20)의 흡착량을 크게 높여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을 발휘시킴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피물질(20)은 고형분인 계피가루, 폴리비닐알콜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계피는 우리나라에서는 녹나무과의 육계(Cinnamomum cassia Blume : 肉桂)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를 말한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으며 일본은 육계와 함께 옥계(Cinnamomum zeylanicum Blume: 玉桂)를 공정생약으로 수재하고 있다.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나무껍질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잎맥의 가운데 주맥과 양쪽의 측맥이 도드라져 보여 규(圭)자를 연상하게 해서 식물명에 사용하게 되었는데 규(圭)란 홀기(笏記) 즉, 제사의 차례를 적은 부채모양의 도구로 여러 갈래의 잎맥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육계나무가 규(圭)를 들고 있는 관리처럼 모든 약을 총괄하기 때문에 규라는 글자를 쓰게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육계나무를 침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다른 나무를 침범해서 해를 끼친다고 뜻으로 육계나무가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며 이 나무로 다른 나무 뿌리에 못질을 하면 나무가 바로 죽는다고도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반관상 또는 말려 들어간 관상을 이루고 바깥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꺾은 면은 적갈색을 띠고 엷은 갈색의 엷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이와 같은 계피는 최근 해충 특히, 모기에 대한 기피효력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공개된 특허자료에서는 육계 추출물 또는 그 정유를 제조하여 모기 기피제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고, 육계 추출물은 그 수피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조추출한 추출물 또는 계피유라고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피물질(20)은 고형물인 계피가루와 액상의 계피추출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되, 무색, 무취, 무독의 폴리비닐알콜을 첨가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계피추출물만으로 이루어졌던 기존 기피제의 문제, 즉 기피효력이 장시간 발휘될 수 없다는 문제를 해소하였다. 장시간 기피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계피추출물의 용량을 늘려야 하는데 이는 경제적 문제가 따른다.
폴리비닐알콜은 강력한 접착성능으로 계피가루와 계피추출물을 직물지(10)에 견고히 흡착시키고, 우수한 휘발성으로 계피가루의 훈증을 촉진시키고 확산시킨다.
이와 같은 기피물질(20)은 계피추출물이 훈증되는 중간에 계피가루가 훈증됨으로써 기피효력이 장시간 발휘하여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킨다.
도 4의 그래프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여 열을 발산하는 훈증기에 놓인 직물지(10)에 열을 가하면, 원액으로 고농축된 액상의 계피추출물이 먼저 열에 반응하여 폭발적으로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킨다. 이때, 고형물인 계피가루는 훈증이 적게 일어난다. 액상의 계피추출물은 3분동안 강력한 기피효력을 발휘하여 초기에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킨다.
계피추출물은 3분이 경과하면 그 기피효력이 서서히 감소되고, 3분동안 충분히 열을 받은 계피가루가 활성화 되어 폴리비닐알콜의 도움을 받아 강력한 기피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며, 이와 같은 계피가루의 강력한 기피효력은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휘된다.
이와 같이 원액으로 농축된 계피추출물이 먼저 훈증되어 해충, 특히 모기를 초기에 강력하게 기피시키고 이어서 계피가루가 폴리비닐알콜의 도움을 받아 장시간 동안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되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킬 수 있고, 결국 계피추출물만으로 이루졌던 기존 기피제의 문제, 즉 기피효력이 장시간 발휘될 수 없다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피물질(20)은 계피가루 30~60중량%, 폴리비닐알콜 39~68중량%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 1~2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피가루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중량% 미만이면 기피효력이 장시간 발휘되는데 문제가 있고, 60중량%를 초과하면 특히 폴리비닐알콜의 함량에 영향을 주어 계피가루의 훈증성 및 확산성에 영향을 주고 직물지(10)에 대한 흡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폴리비닐알콜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9중량% 미만이면 계피가루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계피가루의 훈증성 및 확산성에 영향을 주고 직물지(10)에 대한 흡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68중량%를 초과하면 특히 계피가루의 함량에 영향을 주어 기피효력의 장시간 발휘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계피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중량% 미만이면 초기 즉, 3분이내 강력한 기피효력을 얻을 수 없고, 2중량%를 초과하면 3분 이후 비록 단시간이지만 기피효력은 높아지나 계피가루의 함량에 영향을 주어 기피효력의 장시간 발휘를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는 계피가루 30~60중량%, 폴리비닐알콜 39~68중량%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 1~2중량%로 이루어진 기피물질(20)을 준비하는 단계; 기피물질(20)을 분사하거나 롤러로 도포하여 직물지(10)에 흡착시키는 단계; 기피물질(20)이 흡착된 직물지(10)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기피물질(20)이 흡착된 직물지(10)를 훈증기 크기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제조방법은 기피제 원액에 원단을 담궈서 원액을 침전시킨 후 그 원단을 몇겹으로 적층하였기 때문에 제작 및 설비의 사용량이 복잡하고,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직물지(10)에 기피물질(20)을 분사하거나 롤러로 도포하는 인쇄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작 및 설비의 사용량이 혁신적으로 적어지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피물질(20) 성분인 원액으로 농축된 방향성이 강한 계피추출물이 먼저 훈증되어 해충, 특히 모기를 초기에 강력하게 기피시키고 이어서 계피가루가 폴리비닐알콜의 도움을 받아 장시간 동안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되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킬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지만 기피물질(20)의 흡착면적이 확대된 직물지(10)로 인해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우수한 기피효력이 발휘되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기피시킬 수 있다.
또한, 계피추출물 및 계피나무가 모두 천연물질로서 환경 오염이나 인간에 대한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직물지
11,13: 홈
20: 기피물질

Claims (3)

  1. 전기를 인가받아 열을 발산하는 훈증기에 장착되는 크기로 이루어진 판상형의 직물지; 및
    상기 직물지에 흡착되며, 상기 훈증기의 열로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기피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기피물질은 계피가루 30~60중량%, 폴리비닐알콜 39~68중량% 및 액상의 계피추출물 1~2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물지의 표면과 이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기피물질의 흡착면적을 확대하며,
    초기 상기 계피추출물이 훈증되어 해충을 기피시키고, 상기 계피추출물이 훈증되는 중간에 상기 계피가루가 상기 폴리비닐알콜에 의해 훈증되고 확산되어 해충을 기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2. 삭제
  3. 삭제
KR1020160059451A 2016-05-16 2016-05-16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1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51A KR101711196B1 (ko) 2016-05-16 2016-05-16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51A KR101711196B1 (ko) 2016-05-16 2016-05-16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196B1 true KR101711196B1 (ko) 2017-03-03

Family

ID=5841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451A KR101711196B1 (ko) 2016-05-16 2016-05-16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95B1 (ko) * 2022-04-07 2022-11-01 임창호 혹파리 해충 방제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26A (ko) * 2003-07-28 2005-02-04 대한민국(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해충 기피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지
KR20090089614A (ko) * 2008-02-19 2009-08-24 윤희천 모기 퇴치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6513A (ko) * 2008-05-07 2009-11-11 이대희 모기퇴치용 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1090052B1 (ko) 2011-04-14 2011-12-07 김미옥 울금잎을 함유하는 천연 모기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1144B1 (ko) 2010-08-02 2013-09-03 양승희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26A (ko) * 2003-07-28 2005-02-04 대한민국(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 해충 기피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지
KR20090089614A (ko) * 2008-02-19 2009-08-24 윤희천 모기 퇴치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6513A (ko) * 2008-05-07 2009-11-11 이대희 모기퇴치용 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1301144B1 (ko) 2010-08-02 2013-09-03 양승희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KR101090052B1 (ko) 2011-04-14 2011-12-07 김미옥 울금잎을 함유하는 천연 모기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95B1 (ko) * 2022-04-07 2022-11-01 임창호 혹파리 해충 방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8784B (zh) 茉莉花杀虫剂
CN103535389B (zh) 植物源果树杀虫剂
WO2012138108A1 (ko) 천연 살균 탈취제
CN104054758A (zh) 无害植物灭虫剂
CN101390525B (zh) 植物源蚊虫驱杀剂
KR20150134947A (ko)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CN106035332B (zh) 茶尺蠖性信息素及其制备方法和诱芯
KR101711196B1 (ko) 훈증용 기피제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01144B1 (ko)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CN112106783A (zh) 一种防治油茶蛀干天牛的组合物
CN106922751A (zh) 天然植物灭虫剂
KR101416984B1 (ko) 천연 모기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17956A (ko) 피톨을 이용한 해충 기피 조성물
KR102221700B1 (ko)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CN109221108A (zh) 一种熏蒸组合物及其在防治草菇害虫中的应用
KR101692667B1 (ko)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CN107467083A (zh) 一种八桂生物除虫剂
CN103444794A (zh) 一种植物提取液制备的杀菌剂
CN109874809B (zh) 一种园林绿化树干驱虫用药包
CN106857635A (zh) 家用杀虫剂及其用途
CN109392964B (zh) 一种烟草甲的驱避剂及其制备方法
CN111134150A (zh) 一种用于杀灭温室大棚地下害虫的高效熏蒸组合物
CN112586516A (zh) 一种无公害草莓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5532761A (zh) 一种艾叶蚊香及其制作方法
US20190021340A1 (en) Fly repellent, its preparation method and its use in fly repell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