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757B1 -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 Google Patents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757B1
KR101710757B1 KR1020140146472A KR20140146472A KR101710757B1 KR 101710757 B1 KR101710757 B1 KR 101710757B1 KR 1020140146472 A KR1020140146472 A KR 1020140146472A KR 20140146472 A KR20140146472 A KR 20140146472A KR 101710757 B1 KR101710757 B1 KR 10171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hole
present
kit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410A (ko
Inventor
이정관
윤기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7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류 시료를 선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량의 곡류 시료들로부터 식물병에 걸린 시료를 단시간 내에 쉽게 선별해 낼 수 있게 하는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단축된 시간 안에 대량의 오염된 곡류 시료를 선별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키트가 제조될 수 있어 대량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며, 식물병의 원인균을 분리배양하는 절차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Kit for selection of cereals}
본 발명은 곡류 시료를 선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량의 곡류 시료들로부터 식물병에 걸린 시료를 단시간 내에 쉽게 선별해 낼 수 있게 하는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식물 병원성 미생물, 특히 곰팡이로부터 생산되는 아플라톡신(aflatoxin), 오크라톡신 A(ochratoxin A), 지랄레논(zearalenone) 등과 같은 독소들은 인축에 심각한 독성을 야기한다. 따라서, 식물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거나 이들에 의해 오염된 곡류를 분류하는 작업은 이들 미생물 자체의 연구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곡류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또한, 최근 원료곡물의 수입량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농산물의 개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입 검역 과정에서도 병에 걸린 곡류를 분리하고, 원인균을 동정하는 방법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오염된 곡류를 선별하는 작업은 낱알들을 수작업으로 분리 및 계대배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검역이나 연구 과정에서 이러한 분리 및 계대배양 절차를 간소화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대량의 곡류 시료들을 단시간 내에 선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4-1667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곡류 시료를 용이하게 정렬시켜 단시간 내에 대량의 시료로부터 식물병에 감염된 시료를 선별하게 해주는 곡류 시료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식물병에 감염된 곡류 시료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 원인균을 분리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표면에 시료인 곡류의 씨앗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부통공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직경의 하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통공과 하부통공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었을 시 시료가 통과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하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그 하부면 양 단부에 상기 하판이 슬라이딩되어 후방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공은, 상단부 가장자리 영역에 시료가 상부통공으로 유입될 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가장자리 영역에 시료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일단부에 인출입될 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키트를 이용하여 곡류 시료를 해당 곡류에 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균에 대한 선택배지 위에 정렬시키고 배양함으로써 식물병에 감염된 곡류 시료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방법은 1차적으로는 상기 선별장치를 통해 정렬된 곡류 시료의 외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2차적으로는 해당 곡류에서 문제가 되는 식물병의 원인균에 대한 선택배지 위에 상기 정렬된 곡류 시료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적 선별방법과 2차적 선별방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방법은 곡류 시료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선택배지 위에 상기 본 발명의 키트를 이용하여 곡류 시료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배지 위에 정렬된 곡류 시료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배지는 특정 병원균만을 생장시키고 그 이외의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미생물의 배양배지를 말하며, 미생물의 배양을 위한 기본배지에 위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방법은 벼 키다리병에 걸린 벼 시료를 선별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벼 키다리병의 원인균인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의 선택배지 위에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벼 시료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배지는 PCNB (pentachloronitrobenzene)가 첨가된 최소배지(minimal medi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키트를 이용하여 식물병의 원인균을 분리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양 방법은 곡류 시료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선택배지 위에 상기 본 발명의 키트를 이용하여 곡류 시료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배지 위에 정렬된 곡류 시료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단축된 시간 안에 대량의 오염된 곡류 시료를 선별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키트가 제조될 수 있어 대량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며, 식물병의 원인균을 분리배양하는 절차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하판이 외측으로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를 이용하여 곡류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하판이 외측으로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곡류의 시료 분리용 키트는, 표면에 시료인 곡류의 씨앗 크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상부통공(11)이 형성되는 상판(10)이 구비된다. 상기 상판(1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부통공(11)은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는 하판(20)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판(20)은, 상기 상부통공(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직경의 하부통공(21)이 형성되고, 상부통공(11)과 하부통공(21)의 위치가 서로 일치 되었을 시 시료가 통과되어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20)은, 일단부에 인출입될 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손잡이(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10)은, 그 하부면 양 단부에 상기 하판(20)이 슬라이딩되어 후방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2)는, 그 단면의 형상이 L형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판(20)의 가장자리 영역을 수용하여 하판(20)이 인출입될 시 이를 가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10)은, 가장자리 영역에 시료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차단부(13)가 구비된다. 상가 차단부(13)는 상판(10)의 상부면에 소정량의 시료를 올려놓은 뒤 시험자가 이를 흔들어 상부통공(11)으로 유입되도록 상하좌우로 흔들게 되는데 이때 시료가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통공(11)은, 상단부 가장자리 영역에 시료가 상부통공(11)으로 유입될 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경사부(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10)의 상부면에 소정량의 시료를 올려놓은 뒤 시험자가 이를 흔들어 상부통공(11)으로 유입되도록 흔들게 되는데, 이때 시료가 상기 경사부(14)를 통하여 부드럽게 상부통공(11)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를 이용하여 곡류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최초 시험자는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공(11) 및 하부통공(21)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판(20)을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인출하게 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소정량을 상판(10)의 표면에 올려놓은 후 시험자는 키트를 파지한 채 흔들게 된다.
이후, 흔들림에 의해 흩어진 시료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공(11)으로 유입된다.
이후, 테이블 또는 지면에 백색의 천 또는 종이를 깔은 상태에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2)를 가압하게 되면, 도 3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공(11) 및 하부통공(21)은 서로 일치되며, 그로 인해 시료는 하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된 시료들의 크기 및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정상시료 즉, 정상의 곡류 씨앗과 병에 걸린 씨앗을 선별할 수 있다.
이 때 위 백색의 천 또는 종이 대신 상술한 식물병원균의 선택배지를 놓고 그 위에 시료를 배출시킨 뒤 이를 배양함으로써 식물병에 걸린 시료를 정확히 선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위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분리배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상판 11 : 상부통공
12 : 가이드 13 : 차단부
14 : 경사부 20 : 하판
21 : 하부통공 22 : 손잡이

Claims (8)

  1. 표면에 시료인 곡류의 씨앗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부통공(1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영역에 시료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로 차단부(13)가 돌출형성되는 상판(10); 및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통공(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직경의 하부통공(21)이 형성되고, 상부통공(11)과 하부통공(21)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었을 시 시료가 통과되어 배출되도록 하며, 일단부에 인출입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2)가 돌출형성되는 하판(2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0)은, 그 하부면 양 단부에 상기 하판(20)이 슬라이딩되어 후방부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L'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1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통공(11)은, 상단부 가장자리 전체 영역에 시료가 상부통공(11)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경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된 곡류 시료는 그 시료에 식물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한 선택배지 위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에 걸린 곡류 시료를 선별하기 위한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곡류 시료 분리용 키트를 이용하여, 곡류 시료에 식물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선택배지 위에 상기 곡류 시료를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배지 위에 정렬된 곡류 시료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곡류 시료에서 상기 원인균의 생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에 걸린 곡류 시료를 선별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벼 키다리병에 걸린 벼 시료를 선별하는 방법이며, 상기 선택배지는 벼 키다리병의 원인균인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를 선택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배지는 PCNB (pentachloronitrobenzen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146472A 2014-10-27 2014-10-27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KR101710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472A KR101710757B1 (ko) 2014-10-27 2014-10-27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472A KR101710757B1 (ko) 2014-10-27 2014-10-27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10A KR20160049410A (ko) 2016-05-09
KR101710757B1 true KR101710757B1 (ko) 2017-02-27

Family

ID=5602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472A KR101710757B1 (ko) 2014-10-27 2014-10-27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7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394Y2 (ja) * 1992-12-15 1996-11-27 泰二 岩脇 育苗用の種蒔装置
JP4810151B2 (ja) * 2005-07-22 2011-11-09 出光興産株式会社 イネの育苗時期に発生する病害に対する防除剤
KR20140016673A (ko) 2012-07-31 2014-02-10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대립종자 정렬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10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08555A1 (en) Multi-Part Sifter for De-Seeding and Sorting Plant Material
KR101683382B1 (ko) 귀뚜라미용 선별기구
Alami et al. Age-stage, two-sex life table of the tomato looper, Chrysodeixis chalcites (Lepidoptera: Noctuidae), on different bean cultivars
Şenol et al. New additions and invasive aphids for Turkey’s aphidofauna (Hemiptera: Aphidoidea)
CA171475S (en) Automated device for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and analyte detection
Melchinger et al. High-throughput platform for automated sorting and selection of single seeds based on time-domain nuclear magnetic resonance (TD-NMR) measurement of oil content
Dawson et al. The development of quick, robust, quantitative phenotypic assays for describing the host–nonhost landscape to stripe rust
KR101710757B1 (ko) 곡류 시료 선별용 키트
KR101243702B1 (ko) 초파리 알 채집용기
Tran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llination requirement in red pitaya (Hylocereus spp.)
Sivaramakrishnan et al.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their symbiotic bacteria
Rezende et al. Mites (Mesostigmata, Prostigmata, Astigmatina) associated with weeds among physic nut crops (Jatropha curcas L.: Euphorbiaceae) in Brazil
Zhen et al. A protocol for assessing resistance to Aphelenchoides fragariae in hosta cultivars
CN210546174U (zh) 一种种子清选盘
CN211185519U (zh) 果蝇培养罐
CN211856075U (zh) 一种浮游生物分选除杂培养皿
Violeta et al. PHENOTYPIC EVALUATION OF SOME VARIETIES AND LOCAL POPULATIONS OF DWARF FRENCH BEAN.
CN208026521U (zh) 一种简易土壤线虫分离装置
Khan et al. A New Predatory MiteSpecies of the Genus Agistemus (Agistemus layyahensis) Stigmaeidae: Acari from Punjab, Pakistan.
Zhang et al. Wolbachia Transinfection Via Embryonic Microinjection
Mottaghinia et al. Effect of vermicompost on functional response of the parasitoid wasp Aphidius colemani (Hym., Braconidae) to the melon aphid, Aphis gossypii (Hem., Aphididae)
US11911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ggregating sampling
Ahamed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ree Agaricus Species from Jammu and Kashmir, India
CN211510290U (zh) 一种可视化金龟甲饲养装置
CN208554914U (zh) 蜡螟幼虫分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