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325B1 -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325B1
KR101709325B1 KR1020160165338A KR20160165338A KR101709325B1 KR 101709325 B1 KR101709325 B1 KR 101709325B1 KR 1020160165338 A KR1020160165338 A KR 1020160165338A KR 20160165338 A KR20160165338 A KR 20160165338A KR 101709325 B1 KR101709325 B1 KR 10170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impeller
suction
fluid
retur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아륙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륙전기 filed Critical (주)아륙전기
Priority to KR102016016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는 육상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상기 임펠러의 중앙으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둘레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육상펌프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고 둘레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탈착구가 형성된 흡입연장부, 상기 흡입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탈착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도어, 상기 탈착구를 통해 상기 흡입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흡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물질이 쌓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체의 흡입공간을 확보하는 스트레이너, 상기 스트레이너가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의 정지 시 상기 스트레이너를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여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로에 따른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쌓임에 따라 유체의 흡입량을 확보하여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a Land pump capable of removing sludge}
본 발명은 육상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는 육상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흡입하여 토출하는 장치로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에 설치되는 육상펌프와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펌프로 구분된다.
한편, 수중펌프와 육상펌프는 모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함께 흡입할 경우, 파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너가 설치되는데, 수중펌프는 수중에 위치되어 흡입구만 밀폐하도록 스트레이너를 설치하면 되지만, 육상펌프는 흡입구가 육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유체가 흡입되는 관로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수중펌프의 스트레이너보다는 육상펌프의 스트레이너가 구조적으로 복잡하다.
종래의 육상펌프의 스트레이너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10969호(2012.12.11.공고)에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는 유체 흡입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 되는 필터부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의 상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거름망이 상기 필터부에 조립 또는 해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일체형의 몸체; 및 상기 삽입구에 볼트체결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흡입구에 마주보고 위치하며, 소정의 높이만큼 경사면을 이루며 설치된 제1격벽; 상기 제1격벽과 하기 제2격벽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격벽의 상단과 상기 제2격벽의 하단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거름망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안착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가 되도록 중앙부위가 개방된 메쉬 타입의 거름면; 상기 제1격벽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에 마주보며 위치하고, 경사면을 이루며 설치된 제2격벽; 및 상기 제1격벽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거름면으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토출구로 유도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필터부를 지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펌프가 이물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복잡하여 유체의 흡입량이 작아지고, 이물질이 거름망을 일정부분을 막을 경우, 유체가 흡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름망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쌓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덮개의 볼트를 제거하고 재설치해야하는 등 이물질의 제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로의 변경 없이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난류에 의한 흡입량이 하락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막힘에 따른 유체의 흡입이 차단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부의 탈착과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이물질이 일정량 채워진 경우, 이물질의 제거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육상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상기 임펠러의 중앙으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둘레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육상펌프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고 둘레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탈착구가 형성된 흡입연장부, 상기 흡입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탈착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도어, 상기 탈착구를 통해 상기 흡입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흡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물질이 쌓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체의 흡입공간을 확보하는 스트레이너, 상기 스트레이너가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의 정지 시 상기 스트레이너를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여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제한부재는 상기 흡입연장부에 지지되는 지지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링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지지링에서 상기 복귀스프링의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가 상기 임펠러가 위치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외부에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흡입구에 위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스위치, 및 상기 임펠러가 결합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근접하게 위치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구와 일직선상으로 스트레이너가 설치되어 난류 발생을 최소화시켜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이 쌓이는 량과 비례하여 스트레이너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흡입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의 정지 시 복귀스프링에 의해 스트레이너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뿐만 아니라, 탈착구를 통해 스트레이너를 탈착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에 걸러진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한부재에 의해 스트레이너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에 이물질이 일정량 채워진 경우, 경고부가 작동하여 외부에서도 스트레이너에 이물질을 제거해야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에서 스트레이너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의 스트레이너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이물질의 쌓임에 따라 스트레이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임펠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임펠러(120)는 회전하여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임펠러(120)는 복개의 날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임펠러(120)는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둘레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120)는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둘레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임펠러(12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싱(130)은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30)은 임펠러(120)를 감싸며 측면 중앙에는 유체를 흡입하는 유체흡입구(131)가 형성되고, 케이싱(130)의 상면에는 유체흡입구(131)로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토출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구동모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모터(110)는 임펠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10)는 케이싱(13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10)는 구동축(111)이 케이싱(130)을 관통하여 케이싱(130)의 내부에 위치된 임펠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10)와 임펠러(120)의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에 의해 상호 간의 구동축을 연결하거나, 커플링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싱에 위치되는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에는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씰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10)는 전기에 의해 구동축(111)이 회전하는 전기모터 또는 연료에 의해 구동축(111)이 회전하는 엔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흡입연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흡입연장부(140)는 흡입구(131)를 연장시킨 부분으로서 별도의 관을 흡입구(131)에 설치하거나, 케이싱(130)과 일체로 흡입구(131)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흡입연장부(140)는 중앙 둘레부분에 일부 절개되어 개방되는 탈착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탈착구(141)로는 하기에 설명될 스트레이너(15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연장부(140)에는 하기에 설명될 위치제한부재(160)가 걸쳐지는 걸림턱(14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개폐도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개폐도어(145)는 탈착구(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탈착구(141)를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145)와 탈착구(141)의 사이에는 흡입연장부(140)를 지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씰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145)에는 탈착구(141)를 밀폐한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스트레이너(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트레이너(150)는 흡입연장부(140)를 통해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150)는 흡입구(131)가 위치된 방향은 막히고, 반대방향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150)는 전체적으로 일정크기의 이물질은 걸러지고 유체는 배출될 수 있도록 망 형태 또는 유체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이너(150)는 개방된 상단부분에는 테두리부(1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151)는 흡입연장부(140)에 형성된 걸림턱(143)에 걸쳐질 수 있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이너(150)는 탈착구(141)를 통해 흡입연장부(140)로 삽입되고, 흡입연장부(140)에서 흡입구(131)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이너(150)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흡입구(131)가 막힐 수 있는데, 이때 임펠러(120)가 회전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스트레이너(150)는 흡입력에 의해 임펠러(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물질의 쌓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 부분으로 유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이 쌓여 흡입구(131)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복귀스프링(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복귀스프링(170)은 임펠러(120)의 회전에 따라 스트레이너(150)가 흡입연장부(140)에서 임펠러(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임펠러(120)의 회전이 정지되어 흡입력이 상실되면 스트레이너(150)를 흡입연장부(140)에서 위치되었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복귀스프링(170)은 일단이 흡입연장부(140)의 걸림턱(143)에 지지되고 타단이 스트레이너(150)의 테두리에 걸쳐질 수 있으며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복귀스프링(170)의 중앙으로 스트레이너(15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복귀스프링(170)은 임펠러(120)의 흡입력의 해제시 스트레이너(150)를 흡입연장부(140)에 위치되었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추후 탈착구(141)를 통해 스트레이너(15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위치제한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위치제한부재(160)는 스트레이너(150)가 흡입구(131)가 위치된 케이싱(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거리 즉, 흡입연장부(140)에서 스트레이너(15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120)의 흡입력에 의해 스트레이너(150)의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지 않을 경우,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하는 임펠러(120)에 접촉되어 스트레이너(15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위치제한부재(160)는 흡입연장부(140)에서 걸림턱(143)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170)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의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위치제한부재(160)는 걸림턱(143)과 복귀스프링(170)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턱(143)에서 복귀스프링(170)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위치제한부재(160)는 지지링(161)과 위치조절링(16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링(161)은 중앙으로는 스트레이너(150)가 삽입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연장부(140)의 걸림턱(143)에 걸쳐질 수 있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링(161)에는 외주에는 스트레이너(150)가 삽입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연장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링(165)은 지지링(161)과 대응되는 둘레를 가지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조절링(165)은 나사연장부(162)가 삽입되어 끼워지며, 위치조절링(165)의 내주에는 나사연장부(162)와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연장부(162)에서 위치조절링(165)의 나사체결에 따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복귀스프링(170)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링(161)의 나사연장부(162)에 나사체결된 위치조절링(165)을 회전시켜 나사체결에 의해 걸림턱(143)에 걸쳐지는 지지링(161)에 근접하도록 이동할수록 스트레이너(150)가 흡입구(131)측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되고, 지지링(161)의 나사연장부(162)에 나사체결된 위치조절링(165)을 회전시켜 나사체결에 의해 걸림턱(143)에 걸쳐지는 지지링(16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할수록 스트레이너(150)가 흡입구(131)측에서 더 멀어지게 위치되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경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고부(180)는 임펠러(120)의 흡입력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할 경우, 스트레이너(150)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이너(150)는 이물질의 쌓이는 량이 증가할수록 임펠러(120)의 흡입력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임펠러(120)가 위치되는 방향 측으로 비례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경고부(180)는 스트레이너(150)의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경우, 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이 충진되어 제거를 유도하도록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경고부(180)는 스트레이너(150) 감지스위치와 경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50) 감지스위치는 스트레이너(150)에서 흡입구(131)에 위치된 스트레이너(15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150) 감지스위치는 자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마그네틱 스위치(181)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120)가 결합되는 구동축(111)의 끝단에는 자석(183)이 설치되어 스트레이너(150)의 단부가 임펠러(120)에 근접하면 구동축(111)에 구비된 자석(183)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틱 스위치(181)가 온 또는 오프 작동하여 경고수단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경고수단은 흡입연장부(140)의 외부에 위치되어 스트레이너에 구비된 마그네틱 스위치(181)와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있으며, 경고수단은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램프,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 스위치(181)는 무선송신기를 포함하여 자석(183)에 의해 마그네틱 스위치(181)가 작동된 경우, 작동한 신호를 외부에 위치된 경고수단에 무선으로 송신하여 신호를 수신한 경고수단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고수단은 휴대단말기로 구현되고, 무선송신기는 휴대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휴대한 사람이 경고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키면, 케이싱(130)의 내부에 위치된 임펠러(120)가 회전하며, 회전하는 임펠러(120)는 중앙으로는 유체를 흡입하고 둘레로는 유체를 토출하여 흡입연장부(140)를 통해 케이싱(130)의 흡입구(131)로 유체가 유입되며 케이싱(13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케이싱(130)의 토출구(135)로 토출된다.
한편, 임펠러(120)에 의해 흡입연장부(140)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는 흡입연장부(140)에 설치된 스트레이너(150)를 지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데, 이물질이 일정 량이 쌓이게 되면 스트레이너(150)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흡입구(131)가 막힌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20)에서는 흡입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150)가 임펠러(12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흡입연장부(14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물질이 쌓이지 않은 부분이 케이싱(130)의 내부로 노출되어 그 사이로 흡입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계속적으로 흡입된다.
여기서, 스트레이너(150)에 쌓이는 이물질은 중력에 의해 스트레이너(150)의 바닥쪽 보다는 흡입력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임펠러(120)와 마주하는 면에 이물질이 걸려 쌓인다.
한편, 계속적으로 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스트레이너(150)가 임펠러(120)의 구동축(111)에 점점 근접되면서 스트레이너(150)의 단부에 설치된 마그네트 스위치가 구동축(111)에 설치된 자석(183)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경고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스트레이너(15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해야됨을 외부에 경고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10)에 의해 임펠러(120)가 정지되면, 임펠러(120)에 근접하였던 스트레이너(150)는 복귀스프링(170)에 의해 다시 흡입연장부(14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관리자는 개폐도어(145)을 개방하고, 흡입연장부(140)의 탈착구(141)를 통해 스트레이너(150)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는 다시 탈착구(141)에 스트레이너(150)를 설치하고 개폐도어(145)를 회전시켜 탈착구(141)를 밀폐하고 개폐도어(145)를 고정수단에 의해 재고정한 후 구동모터(110)를 재가동 시킬 수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15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할 때에는 지지링(161)에서 복귀스프링(170)을 지지하는 위치조절링(165)을 회전시켜 나사체결에 의해 나사연장부(162)에서 위치조절링(165)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100)는 유로의 변경 없이 유로와 일직선 상에 스트레이너(150)를 설치하여 난류발생에 따른 토출성능이 하락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트레이너에 일정량 이물질이 쌓여도 스트레이너(150)의 이동에 따라 흡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막힘 없이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120)의 작동이 중지되면 스트레이너(150)가 복귀스프링(17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개폐도어(145)가 설치되어 스트레이너(150)를 탈착시켜 스트레이너(150)에 걸러진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이 일정량 채워진 경우, 경고부(180)가 작동하여 스트레이너(150)에서 이물질을 제거해야함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110: 구동모터
111: 구동축 120: 임펠러
130: 케이싱 131: 흡입구
135: 토출구 140: 흡입연장부
141: 탈착구 143: 걸림턱
145: 개폐도어 150: 스트레이너
151: 테두리부 160: 위치제한부재
161: 지지링 162: 나사연장부
165: 위치조절링 170: 복귀스프링
180: 경고부 181: 마그네틱 스위치
183: 자석

Claims (4)

  1.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상기 임펠러의 중앙으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둘레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육상펌프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고 둘레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탈착구가 형성된 흡입연장부,
    상기 흡입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탈착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도어,
    상기 탈착구를 통해 상기 흡입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흡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물질이 쌓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체의 흡입공간을 확보하는 스트레이너,
    상기 스트레이너가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의 정지 시 상기 스트레이너를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여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연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제한부재는 상기 흡입연장부에 지지되는 지지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링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상기 지지링에서 상기 복귀스프링의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가 상기 임펠러가 위치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외부에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흡입구에 위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스위치, 및
    상기 임펠러가 결합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근접하게 위치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KR1020160165338A 2016-12-06 2016-12-06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KR10170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38A KR101709325B1 (ko) 2016-12-06 2016-12-06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38A KR101709325B1 (ko) 2016-12-06 2016-12-06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325B1 true KR101709325B1 (ko) 2017-02-23

Family

ID=5831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338A KR101709325B1 (ko) 2016-12-06 2016-12-06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2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25B1 (ko) 2018-01-26 2018-06-12 (주)오비스 클로즈드 임펠러를 지닌 오배수 펌프의 실링기구
CN108895200A (zh) * 2018-08-24 2018-11-27 苏州胜璟电磁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过滤装置的电磁阀
CN110319025A (zh) * 2018-03-29 2019-10-11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3A (zh) * 2018-03-29 2019-10-11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4A (zh) * 2018-03-29 2019-10-11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KR102164321B1 (ko) * 2020-02-21 2020-10-12 (주)제우스이엔지 여과커버의 막힘방지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
KR102431585B1 (ko) * 2022-01-26 2022-08-11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스트레이너챔버에 의해 막힘을 방지한 오배수패키지 시스템
CN116292432A (zh) * 2023-04-11 2023-06-23 泰州康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盘片泵用防震底座
CN117847304A (zh) * 2024-03-07 2024-04-09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防阻塞阀门
CN117847304B (zh) * 2024-03-07 2024-05-31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防阻塞阀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481A (ja) * 2007-09-11 2009-04-02 Nikuni:Kk 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481A (ja) * 2007-09-11 2009-04-02 Nikuni:Kk ポンプ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25B1 (ko) 2018-01-26 2018-06-12 (주)오비스 클로즈드 임펠러를 지닌 오배수 펌프의 실링기구
CN110319025B (zh) * 2018-03-29 2024-04-09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5A (zh) * 2018-03-29 2019-10-11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3A (zh) * 2018-03-29 2019-10-11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4A (zh) * 2018-03-29 2019-10-11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3B (zh) * 2018-03-29 2024-04-09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10319024B (zh) * 2018-03-29 2024-04-09 王喜冬 两栖式可空转矿用立泵
CN108895200A (zh) * 2018-08-24 2018-11-27 苏州胜璟电磁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过滤装置的电磁阀
KR102164321B1 (ko) * 2020-02-21 2020-10-12 (주)제우스이엔지 여과커버의 막힘방지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
KR102431585B1 (ko) * 2022-01-26 2022-08-11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스트레이너챔버에 의해 막힘을 방지한 오배수패키지 시스템
CN116292432A (zh) * 2023-04-11 2023-06-23 泰州康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盘片泵用防震底座
CN116292432B (zh) * 2023-04-11 2023-11-14 泰州康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盘片泵用防震底座
CN117847304A (zh) * 2024-03-07 2024-04-09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防阻塞阀门
CN117847304B (zh) * 2024-03-07 2024-05-31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防阻塞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325B1 (ko)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육상펌프
US6443715B1 (en) Pump impeller
KR102164321B1 (ko) 여과커버의 막힘방지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
EP0619070B1 (en) External filtr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aquariums and ornamental water tanks
CN105917054A (zh) 排水阱
US20210095694A1 (en) Pump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101019998B1 (ko) 역세척 여과 장치
CN214693835U (zh) 淤泥分离泵
BR112015023734B1 (pt) Dispositivo de suprimento de combustível
US8714917B2 (en) Anti-airlock pump
KR101830114B1 (ko) 임펠러 갭 가변형 인서트링이 구비된 수중모터펌프
KR101682057B1 (ko) 지하수계량기 및 송수관로 보호장치
KR20170045157A (ko) 관내 삽입형 여과기
US5522987A (en) External filter device particularly for aquariums
JP5081725B2 (ja) 水中ポンプ
US4130488A (en) Device for cleaning and circulating a liquid
CN117500574A (zh) 自清洁过滤装置
CN211946540U (zh) 一种水泵隔渣装置
JP2008144629A (ja) 先行待機型水中ポンプ装置
CN210889502U (zh) 低噪音排水泵和包括该排水泵的洗涤装置
JP2009254308A (ja) 呼び水装置及び該呼び水装置を備えた外部濾過装置
KR101729772B1 (ko) 공동주택용 하수구 역류방지장치
KR101157884B1 (ko)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KR102489161B1 (ko) 이물질 끼임 방지용 수중펌프
CN111742149B (zh) 排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