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922B1 -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922B1
KR101708922B1 KR1020160053749A KR20160053749A KR101708922B1 KR 101708922 B1 KR101708922 B1 KR 101708922B1 KR 1020160053749 A KR1020160053749 A KR 1020160053749A KR 20160053749 A KR20160053749 A KR 20160053749A KR 101708922 B1 KR101708922 B1 KR 10170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ed
touch panel
window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텍
Priority to KR102016005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은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 하면에 형성되어 터치가 감지되는 터치감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층은 도전성 잉크로 인쇄된 전극패턴층과 실버 잉크로 인쇄된 수신 패턴이 형성된 송신패턴층과 절연잉크로 전극패턴층과 연결할 수 있는 비아(Via)가 형성되도록 인쇄된 절연층과 실버잉크로 인쇄된 송신 패턴이 형성된 송신 패턴층과 모든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잉크로 인쇄된 전면절연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기존의 정정용량 방식을 필름을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다층구조의 한장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어 원가를 60%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TOUCH PANEL PRINTED BY SILVER SCREEN}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의 필름을 윈도우 배면에 다층의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구성한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에 입력 장치로 터치패널이 많이 사용된다.
터치패널에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은 내구성이 우수하며 멀티 터치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서 최근 휴대폰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더욱 얇고 큰 터치패널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윈도우렌즈 일체형 터치패널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종래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에 증착된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의 도전성막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의 투명한 도전성막이 코팅된 PET 필름의 도전성막을 식각(ething)하여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도전성 전극패턴을 각각 형성하고, 도전성 전극패턴이 형성된 PET필름 외곽에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거나 금속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도전성 회로 배선(bus-line)을 형성시키되 각 도전성 회로 배선의 한쪽 끝은 각각의 도전성 전극패턴들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도전성 전극패턴이 형성된 PET 필름, 회로보호용 하드 코팅(hard coating)막이 코팅된 PET필름이 OCA(Optically Clear Adhesive)로 접착된다.
그리고, 도전성 전극패턴과 한쪽 끝이 연결된 도전성 회로 배선들의 다른 쪽 끝부분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 종래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은 애플사의 아이폰(iPhone)처럼 유리기판에 ITO를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리기판의 양면에 도전성 전극패턴을 각각 형성하고, 윈도우렌즈와 유리기판 사이를 OCA(120)로 접착하게 된다.
이때, 도전성 전극패턴에는 도전성 회로 배선(bus-line)이 연결되고, 도전성 회로 배선(bus-line)에는 FPCB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도전성 전극패턴은, 예를 들어 제1 도전성 전극패턴이 X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도전성 전극패턴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 동일 평면상에서 한 쌍의 도전성 전극패턴이 교차 배치된다. 이때, 제1 도전성 전극패턴과 제2 도전성 전극패턴 간의 절연을 위해, 제1 도전성 전극패턴과 제2 도전성 전극패턴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1 도전성 전극패턴의 일부인 브릿지패턴을 형성한 후, 브릿지패턴의 하부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2 도전성 전극패턴과 브릿지패턴 이외의 제1 도전성 전극패턴을 형성한 후, 각각의 도전성 전극패턴에 연결되는 도전성 회로 배선을 형성시켰다.
이러한 터치패널 제조 방식은 그 제조 설비 투자비가 저렴한 대신 공정의 단계가 길고, 제조 과정에서 이물이 유입되거나 기포가 남아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패널의 크기가 클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 심각해지고, 불량률 상승으로 인한 급격한 수율의 감소와 터치패널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터치패널 기기의 경박화가 요구됨에 따라 배선의 두께 또한 낮아질 것이 요구되나, 종래의 도전성 회로 배선은 Mo-Al-Mo 또는 Mo-Ag-Mo 또는 NiCr-Cu-NiCr 3중막 등의 다층배선으로 이루어져 그 두께가 두꺼워서 경박화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는 한 장의 PET 필름에 제1 도전성 전극패턴과 연결되는 도전성 회로배선을 인쇄하고 다른 한 장의 PET 필름에 제2 도전성 전극패턴과 연결되는 도선성 회로배선을 인쇄하여 양면점착시트를 사용하여 이 두 장의 필름을 결합하여 터치필름을 구성하고 이를 윈도우에 양면점착시트를 사용하여 패널을 구성한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098호(2012.11.01)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ITO방식을 투명전도성 잉크로 대체한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장수에 인쇄하여 상호 접착하고 이를 다시 윈도우에 접착하는 구조의 정전용량 방식의 필름을 윈도우 배면에 다층의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은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 하면에 형성되어 터치가 감지되는 터치감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층은 도전성 잉크로 인쇄된 전극패턴층을 형성하고 이와 연결되는 실버 잉크로 인쇄된 수신 패턴이 형성된 수신패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체잉크(Insulation ink)로 전극패턴층과 연결을 할 수 있는 비아(VIA)가 구성된 절연층을 인쇄하여 형성하고 그 위에 실버잉크로 인쇄된 송신 패턴이 형성된 송신패턴층을 형성하고 전체 패턴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연체잉크(Insulation ink)로 전면 인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패널은 윈도우 하면에 전극패턴층, 이와 연결되는 수신패턴층, 절연층, 송신패턴층, 전면절연층으로 다층 적층 인쇄를 하여 터치감지층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에 의하면, 기존의 정정용량 방식 필름을 윈도우 후면에 다층 적층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원가를 60%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터치 감지층의 상세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극 패턴의 배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의 적층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커버 윈도우(110)의 하면에 터치 감지층(120)이 구성되고, 터치감지층(120)의 하면에 포론 테이프(Poron tape;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윈도우(110)는 전자기기의 외곽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강도가 높은 강화 글라스 또는 강화 아크릴 및 PC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데, 투명한 재질의 글라스(Glas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아크릴 (Acryl), PC (polycarbonate) 또는 PMMA (Polymethylmethacrylate)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10)는 상하면에 블랙의 하면층(Back Printing)과 팬톤칼라(Pantone 424C)의 상면(Front Printing)으로 구성된다.
터치감지층(120)은 윈도우(110) 후면에 터치가 감지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을 가진 잉크로 다층의 적층 인쇄를 하여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터치감지층(120)은 윈도우(110) 후면에 도전성 잉크로 인쇄하여 전극패턴층(121)을 구성하고 실버잉크(Silver ink)로 수신패턴층(122)을 패터닝하고 , 절연잉크로 전극패턴층(121)과 연결을 할 수 있는 비아(Via)를 형성하여 절연층(123)을 인쇄하고 그 위에 실버잉크(Silver ink)로 전극패턴층(121)와 연결하는 송신패턴층(124)을 패터닝하고 다시 그 위에 전체의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연잉크로 전면 인쇄하여 전면절연층(12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송신패턴(Tx Pattern)과 수신패턴(Rx Pattern)은 도전성 회로 배선(bus-line)이 연결되고, 도전성 회로 배선(bus-line)은 FPCB(미도시) 등으로 구현하여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구조의 터치 감지층(120)으로 인하여 기존의 ITO 터치 패널대비 약 40%의 단가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패턴층(121)과 연결되는 송신패턴층(124)과 수신패턴층(122) 중 전기적으로 외부의 영향에 민감한 수신패턴층(122)을 송신패턴층(124)보다 우선 인쇄하여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와 최대한 격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극패턴(121)의 배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각 전극패턴(121)은 개별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윈도우 120 : 터치 감지층
121 : 전극패턴층 122 : 수신패턴층
123 : 절연층 124 : 송신패턴층
125 : 전면절연층 130 : 포론 테이프

Claims (3)

  1.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하면에 형성되어 터치가 감지되는 터치감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층은
    전도성 잉크로 인쇄된 전극패턴이 형성된 전극패턴층과, 상기 전극패턴층과 연결되는 실버 잉크로 인쇄된 수신 패턴이 형성된 수신패턴층과, 상기 전극패턴층과 연결되는 비아(Via)가 형성되도록 절연잉크로 인쇄된 절연잉크층과, 실버잉크로 인쇄된 송신 패턴이 형성된 송신패턴층 및 절연잉크로 전면 인쇄된 전면절연잉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패턴층은 외부와 전기적, 환경적으로 격리되도록 상기 송신패턴층보다 먼저 인쇄하여 상기 윈도우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패턴이 상기 송신패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개별 버튼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송신 패턴 및 상기 수신 패턴과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3. 삭제
KR1020160053749A 2016-05-02 2016-05-02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KR10170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49A KR101708922B1 (ko) 2016-05-02 2016-05-02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49A KR101708922B1 (ko) 2016-05-02 2016-05-02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922B1 true KR101708922B1 (ko) 2017-02-22

Family

ID=5831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749A KR101708922B1 (ko) 2016-05-02 2016-05-02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9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098A (ko) 2012-09-20 2012-11-01 주식회사 트레이스 커버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9528A (ko) * 2012-03-27 2013-10-08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528A (ko) * 2012-03-27 2013-10-08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20120120098A (ko) 2012-09-20 2012-11-01 주식회사 트레이스 커버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698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circuit substrate for touch screen
US9270267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86965B2 (en) Single-layer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97551B1 (en) Touch panel having border without color differe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164639B2 (en) Touch panel
KR102481443B1 (ko)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915979B2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10254778A1 (en) Slim type touch device
CN105718114A (zh) 智能手机
CN102135845A (zh) 传感器元件和显示装置
US20180217693A1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thod of touch screen
KR20130118083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5718110A (zh) 触摸面板
KR20110051048A (ko)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9763A (ko) 터치패널
KR2020002157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US20180077827A1 (en) Touch panel with singl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06085A (ko) 터치패널
CN110858107A (zh) 触控显示装置
CN103677385A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WO2010117186A2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저항방식 터치 센서
CN110769099B (zh) 电子设备
KR101708918B1 (ko)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KR101708922B1 (ko) 윈도우 일체형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의 터치 패널
US20130264184A1 (en) Capacitive tou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