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179B1 -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 Google Patents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179B1
KR101708179B1 KR1020150086477A KR20150086477A KR101708179B1 KR 101708179 B1 KR101708179 B1 KR 101708179B1 KR 1020150086477 A KR1020150086477 A KR 1020150086477A KR 20150086477 A KR20150086477 A KR 20150086477A KR 101708179 B1 KR101708179 B1 KR 10170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caissons
wire rope
adjacen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50145A (en
Inventor
박우선
이진학
원덕희
서지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8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179B1/en
Publication of KR2016015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슨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케이슨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서로 연결하여 결속함으로써 케이슨의 밀림을 방지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에 들고리(11)가 형성된 케이슨(10)을 복수 개 횡방향으로 나란히 정거치하는 단계; 정거치된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20)를 채우고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들고리들이 서로 연결된 후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를 마저 채우는 단계; 및 상치블록(50)을 상기 케이슨 상에 상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isson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caulking of a caisson, which is caused in a caisson construction process, by connecting the supporting rods of neighboring caissons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sk, comprising: vertic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caissons (10) having a top (11) formed thereon in a lateral direction; Filling the filler (20) partially inside the fixed caisson and connecting the carry-outs (11) of the neighboring caissons to each other; 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after the hol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face block (50) on the caisson (40).

Description

안정성을 높인 케이슨 시공 방법{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본 발명은 케이슨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케이슨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서로 연결하여 결속함으로써 케이슨의 밀림을 방지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 cais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isson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a caisson from being pinched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supporting rods of neighboring caissons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a caisson .

일반적으로, 케이슨은 항만 건설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체이다. 예를 들면 중력식 안벽, 케이슨 방파제 등 항만의 중요 시설에 적용되고 있다.Generally, a caisson is a structure that is essential for port construction. For example, it is applied to important facilities of port such as gravity type wall, caisson breakwater.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해서 해수면이 상승되고, 설계파고가 빠르게 증가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점차 높아가고 있다. 방파제의 경우는 설계파고 증가에 따라 대형화되고 있으나 50년 설계파 또는 그 이상의 파가 언제 내습하지 몰라 대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육측의 중력식 안벽의 경우는 선박의 대형화에 대한 추가적인 안정성 확보에 고민하고 있다.Recently, global warming has raised the sea level and the design peak is rapidly increasing. If it does not cope with these changes, it is increasingly possible to lead to a major accident. In the case of breakwaters, the size of the breakwaters is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in design wave height. However, in reality, it is the reality that the wave of design wave of 50 years or more is not invaded when it is invasion. .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설계파 증가, 선박 대형화 등 항만 물류 조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 즉, 수평력 증대에 대한 대처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easures to actively cope with changes in port logistics conditions, such as increase in design wave and enlargement of vessels due to climate change.

한편, 케이슨을 해저에 정거치한 후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가 다 채워지기 전에는 케이슨이 설계 하중을 발휘하지 못하여 파랑에 취약하다. 이러한 케이슨에 채움재를 채우는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예상치 못한 파랑이 발생하면 케이슨이 파도에 밀려 멀리 떠내려가버리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처럼 시공 중 케이슨이 파도에 의해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aisson is fixed to the seabed, the caisson can not exert the design load until the filler is filled in the caisson, which is vulnerable to blue. If unexpected waves occur before such filling of the caisson is completed, the caisson is pushed by the waves and drifts awa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vent the caisson from being pushed by the waves during construction.

또한 이러한 사항은 케이슨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이다. 케이슨을 밀어낼 수 있는 파도는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는 물론 시공 후에도 파도에 의해 케이슨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This is still a valid issu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aisson is completed. Since any waves that can push the caisson can occur,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aisson from being pushed by the wave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s well as after construction.

등록특허공보 제1220537호Patent No. 122053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슨의 시공 과정은 물론 시공 후에도 케이슨이 밀리지 않도록 이웃하는 케이슨을 서로 결속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과,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케이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caisson which binds adjacent caissons to each other so that the caisson is not pushed,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상단에 들고리(11)가 형성된 케이슨(10)을 복수 개 횡방향으로 나란히 정거치하는 단계;A plurality of caissons (10) formed on the top of which the holding members (11) are formed;

정거치된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20)를 채우고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Filling the filler (20) partially inside the fixed caisson and connecting the carry-outs (11) of the neighboring caissons to each other;

들고리들이 서로 연결된 후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를 마저 채우는 단계; 및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after the hol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상치블록(50)을 상기 케이슨 상에 상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And placing the block (50) on the caisson (40).

상기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를 마저 채운 후 상치블록을 상치하기 전, 상기 들고리들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After the filler is completely filled in the caisson, the connecting rod can be disconnected before the upper block is mounted.

상기 상치블록 내에 상기 들고리들의 연결 구조가 매립되도록 상치할 수 있다.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rrier can be embedded in the block.

상기 케이슨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The step of partially 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comprises:

분할공간(12)에 모두 골고루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것일 수 있다.It may be possible to partially fill the filling space evenly all over the dividing space 12.

상기 케이슨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The step of partially 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comprises:

일부 분할공간(12)에만 채움재를 모두 채워 넣는 것일 수 있다.It may be possible to fill all of the filling material into only some of the divided spaces 12.

상기 채움재가 모두 채워지는 일부 분할공간은 케이슨 내의 복수의 분할공간 중 파랑의 힘을 받는 면에 인접한 분할공간일 수 있다.Some of the divided spaces into which the filler material is filled may be divided spaces adjacent to the fac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spaces in the caisson which receive the force of the blue.

상기 채움재가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케이슨 내부 공간의 부피 비는 케이슨 내부 공간의 전체 부피의 25~50%일 수 있다.The volume ratio of the caisson inner space in which the filling material is partially filled may be 25 to 50% of the total volume of the caisson inner space.

상기 부피는 30%일 수 있다.The volume may be 30%.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The step of coupling the carrying rods of the adjacent caissons to one another,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상호 와이어로프(30)로 직접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And connecting the carrying rods of two adjacent caissons directly to the mutual wire rope 30.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 holding levers (11) of the two caissons connected by the wire rope (30) can be positioned diagonally to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The diagonal slopes of the holding levers 11 of the two caissons 10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can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의 들고리들(11)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The step of interconnecting the ridges (11) of the neighboring caissons (10)

개별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일체화부재(40)로 체결한 후,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일체화부재(40)를 와이어로프(30)로 상호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n connecting the interconnecting members 40 of the two adjacent caissons to the wire rope 30 after the holding members of the individual caissons are fastened by the unifying member 40.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결 방향은 대각선 방향일 수 있다.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wire rope may be a diagonal direction.

상기 일체화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So that the diagonal slopes of the wire ropes interconnecting the integrated members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The integrating member can integrally connect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which is adjacent to the adjacent caisson.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member can integrally connect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s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es.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과,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may integrally connect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that is adjacent to the adjacent caisson and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on.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The step of coupling the carrying rods of the adjacent caissons to one another,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일체화부재로 체결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And tightening the carrying rods of two adjacent caissons with an integral member.

상기 일체화부재는 판재일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may be a plate member.

상기 일체화부재는 플렉시블한 메쉬 타입의 부재일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may be a member of a flexible mesh type.

상기 메쉬 타입의 부재는 스틸라스 또는 메탈라스일 수 있다.The member of the mesh type may be steel lath or metal lath.

상기 복수의 와이어로프에는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70)가 각각 설치되고,The plurality of wire ropes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djusters 7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

복수의 와이어로프들에 각각 설치된 조절구를 조이는 힘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와이어로프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s so that the forces for tightening the adjuster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wire ropes are substantially equal.

상기 조절구는 서로 나사산 결합된 수나사부(71)와 암사나부(72)를 포함하며, The control member includes a male screw portion (71) and a female screw portion (72) threadedly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와이어로프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수나사부에 대해 암나사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때, 각 와이어로프들의 조절구에 걸리는 회전력을 모두 일치시키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s may include an operation of matching all the rotational forces applied to the control rods of the wire ropes when the length of the wire rope is adjusted by relatively rotating the female thread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le thread portion.

상기 조절구에 걸리는 회전력을 모두 일치시키는 작업은 토크 렌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regulator by the torque wrench can be achieved.

상기 각 와이어로프들의 조절구에 걸리는 회전력을 모두 일치시키는 작업을 진행한 후, 각 조절구의 수나사부에 대해 암사나부를 상대적으로 풀어 각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늘리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하되, 상기 각 조절구에서 암나사부를 푸는 회수를 모두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control rods of the respective wire ropes is performed and then the length of each wire rope is increased by relatively loosening the waved nos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le thread portion of each control ro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ame number of times that the female screw portion is loose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케이슨이 나란히 정거치되고,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issons are fixedly arranged side by side,

이웃하는 케이슨 상부에 형성된 들고리(11)들이 서로 와이어로프(30)로 연결되고,The carrying legs 1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djacent caiss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e rope 30,

상기 케이슨의 내부 공간은 채움재로 채워지고,The inner space of the caisson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로프(30)가 매립되도록 상치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And the upper portion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so that the wire rope 30 is embedded.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 holding levers (11) of the two caissons connected by the wire rope (30) can be positioned diagonally to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The diagonal slopes of the holding levers 11 of the two caissons 10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can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케이슨이 나란히 정거치되고,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issons are fixedly arranged side by side,

각각의 케이슨 상부에 형성된 들고리(11)들이 일체화부재(40)로 체결되고,The holding levers 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fastened by the unifying member 40,

이웃하는 케이슨 상부의 일체화부재(40)가 서로 와이어로프(30)로 연결되고,The integrated members 40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adjacent caiss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rope 30,

상기 케이슨의 내부 공간은 채움재로 채워지고,The inner space of the caisson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 상기 일체화부재(40)와 와이어로프(30)가 매립되도록 상치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And a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so that the integrated member (40) and the wire rope (30) are embedded.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결 방향은 대각선 방향일 수 있다.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wire rope may be a diagonal direction.

상기 일체화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The diagonal slopes of the wire ropes interconnecting the integrated members may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The integrating member can integrally connect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which is adjacent to the adjacent caisson.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can integrally connect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s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es.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과,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may integrally connect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that is adjacent to the adjacent caisson and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케이슨이 나란히 정거치되고,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issons are fixedly arranged side by side,

이웃하는 케이슨 상부에 형성된 들고리(11)들이 서로 일체화부재(40)로 연결되고,The holding levers 1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djacent caiss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grated member 40,

상기 케이슨의 내부 공간은 채움재로 채워지고,The inner space of the caisson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 상기 일체화부재(40)가 매립되도록 상치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And the upper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so that the integrated member 40 is embedded.

상기 일체화부재는 판재일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may be a plate member.

상기 일체화부재는 플렉시블한 메쉬 타입의 부재일 수 있다.The integrated member may be a member of a flexible mesh type.

상기 메쉬 타입의 부재는 스틸라스 또는 메탈라스일 수 있다.The member of the mesh type may be steel lath or metal lath.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 시공방법에 의하면, 케이슨의 시공 과정의 취약 시기에도 파랑의 최대 수평력을 평활화하여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isson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aisson construction process is weak, the maximum horizontal force of the wave can be smoothed to increase the resistance against the horizontal force.

또한 이러한 시공 방법에서 들고리를 서로 결속한 구조를 시공 후에도 그대로 유지할 경우에는, 수평력에 대한 저향력이 여전히 유지되므로,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대비하여 케이슨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lders are coupled together in this construction method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construction, since the horizontal force is still maintained, the load of the caisson can be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따른 케이슨의 중량 감소는 경제성과 시공 용이성에 직결된다.Further, the weight reduction of the caiss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ease of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은 들고리를 결속하는 것이므로, 수중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더욱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he carry handle,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underwater operation, and the construction is easier.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케이슨 시공 방법의 개략적인 시공 순서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바다의 해저면에 케이슨을 정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정거치된 케이슨에 채움재를 일부 채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채움재가 일부 채워진 좌우 케이슨 간의 들고리를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좌우 케이슨 간에 들고리를 채운 후 케이슨의 내부공간에 채움재를 마저 채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들고리를 연결한 구조물을 매립하며 케이슨 상에 상치 블록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케이슨 내에 채움재를 일부 채우는 방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케이슨 내에 채움재를 일부 채우는 방식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각각의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에 체결하여 일체화하고, 이웃하는 케이슨에 각각 설치된 일체화부재를 들고리로 연결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각각의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에 체결하여 일체화하고, 이웃하는 케이슨에 각각 설치된 일체화부재를 들고리로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일체화부재의 일례로서 스틸라스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21은 와이어로프의 길이 조절구로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턴버클이 설치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to 5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chematic construction procedure of a caisson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isson is fixed on a sea floor of a sea,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ler is partly filled in a caisson fixedly mounte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caissons between which the filling material is partially fill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er is completely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isson afte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caisses,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ucture connected with the carry-in is embedded and a block is installed on a caisson,
Figure 6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the manner in which a filler is partially filled in the caisson,
Figure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ner in which a filler is partially filled in the caisson,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to a wire,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to a wire,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to a wire,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in which the carrying leg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fastened and integrated with the unifying member,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fastening and integrating the holding members of the respective caissons to the integrated member and holding the integrated members provided respectively to the neighboring caissons and connecting them with each other;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arrying leg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carrying leg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carrying leg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carrying leg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necting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with an integrating member,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connecting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with an integrating member,
19 is a view showing a steel lance as an example of an integrated member,
2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ry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is connected by a wire, and
2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urnbuckle having a male screw portion and a female screw portion is provided as a length adjuster of a wire ro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시공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Overview of Construc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의 시공 방법을 전반적으로 간단히 살펴본다.First, a method of constructing a cais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케이슨 거치 작업 해상 현장에 접근 가능한 가까운 육상에 케이슨 야드를 선정하고, 육상 공사를 실시한다. 육상 공사는 바닥정지 작업, 철근 조립, 거푸집 조립, 콘크리트 타설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야드 상에서 케이슨을 완성한다.Caisson Mounting Work Choose a caisson yard near the sea, accessible to the marine scene, and undertake land construction. Onshore construction is done in the order of floor stopping work, rebar assembly, form assembly, concrete pouring, and completes the caisson on the yard.

다음으로 케이슨의 들고리를 해상크레인의 후크에 체결하여 해상으로 이동시키고 가거치한다.Next, the caisson is moved to the sea by fastening it to the hook of the crane.

그리고 해상의 작업 현장에 기초사석이 투하되고 기초 고르기가 완성된 후에는 가거치된 케이슨을 부양하여 해상 현장까지 예인한다.After the base stone is dropped on the work site and the foundation is completed, the caisson is lifted and towed to the sea sit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케이슨 시공 방법의 개략적인 시공 순서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바다의 해저면에 케이슨을 정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정거치된 케이슨에 채움재를 일부 채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채움재가 일부 채워진 좌우 케이슨 간의 들고리를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좌우 케이슨 간에 들고리를 채운 후 케이슨의 내부공간에 채움재를 마저 채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상기 들고리를 연결한 구조물을 매립하며 케이슨 상에 상치 블록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to 5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chematic construction procedure of a caisson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isson is fixed on a sea floor of a sea, Fig. 2 is a view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ler is partially filled in a caiss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caissons holding a filler are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ucture having the above-mentioned holding bridges is buried and a block is installed on the caisson.

먼저 해상 현장에 예인된 케이슨의 내부에 주수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10)을 침강시켜 정거치한다. 주수 침강속도는 분당 10cm 내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해저의 기초 고르기면(B)에 50cm 내외까지 케이슨(10)이 근접 침강되면, 케이슨에 대한 주수를 중단하고 최종적으로 케이슨이 설치될 위치를 확인 수정하며, 다시 신속하게 케이슨에 주수하여 기초고르기 바닥에 케이슨을 안착시킨다. 케이슨 구조물은 중량물이고, 작업 현장의 일기, 조류, 기초고르기면의 상태 등에 영향을 받아 케이슨의 거치작업이 단 한번에 끝나기는 쉽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4회 정도의 반복을 통해 정거치를 완료할 수 있다. First, the caisson 10 is pour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isson which is towed at the sea site, and the caisson 10 is settled as shown in Fig. The main sedimentation speed can be kept around 10cm / min. When the caisson (10) is closely settled to the basal plane (B) of the seabed, the ceiling of the caisson is stopped, and finally, the position where the caisson is to be installed is confirmed and corrected. Place the caisson on. The caisson structure is heavy, and it is not easy for the caisson to be fixed once,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diary of the work site, the tide, the condition of the foundation, etc. However, .

이어서 이미 정거치된 케이슨에 이웃하여 그 측면에 다시 케이슨을 거치하는 작업을 실시하며, 이 때 케이슨과 케이슨이 서로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슨에 타이어휀다 등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케이슨의 1차 접촉시 파손을 방지하고, 정밀거치시 타이어휀다를 제거한다.Next, a caisson is mounted next to the previously fixed caisson, and then a caisson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aisson. In order to prevent the caisson and the caisson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breakage when touching the car, remove the tire fender at precise mounting.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내부의 분할공간(12)에 채움재(20)를 채운다. 채움재는 해수보다 비중이 크면 클수록 바람직하다. 채움재로 사석을 사용하거나 철강 제련 등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사용할 수 있고,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바텀애쉬 등을 채움재로 활용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filler 20 is filled in the dividing space 12 inside the caisson. The great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ller than the seawater, the better. It is possible to use slag as a filler, slag generated in steel smelting, etc., or to use bottom ash from a thermal power plant as a filler.

해상구조물로 복수 개의 케이슨을 측면으로 나란히 배열하고 그 내부에 채움재를 모두 채우는 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이처럼 케이슨 내부에 속채움재가 채워지기 전에는 케이슨의 자중이 당초 설계한 것만큼 크지 않으므로, 예상치 못한 파랑이 어떤 하나의 케이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케이슨이 밀리거나 떠내려가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rrange a plurality of caissons side by side in a marine structure and to fill all the filler materials therein. Since the weight of the caisson is not as large as that of the original design before the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caisson, if the unexpected wave acts on one caisson intensively, the caisson will be pushed or floa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케이슨 내부 공간의 25~50% 정도를 채워 자중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즉시 이웃하는 케이슨 간에 인터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슨 내부 공간의 30% 정도를 채움재로 채운 후 이웃하는 케이슨 간에 인터록킹 작업을 실시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about 25 to 50% of the caisson inner space is filled, and interlocking is immediately performed between neighboring caissons in a state in which the weight is secured to some extent. Preferably, about 30%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isson is filled with a filler, and inter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neighboring caissons.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구조물의 상부 테두리 변에 돌출되어 있는 들고리(11)를 인터록킹 구조에 활용한다. 즉 측면으로 나란히 정거치되고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가 채워진 케이슨(10)들의 들고리(11)를 서로 연결하여 인터록킹 되도록 한다. 인터록킹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30)나 일체화부재(4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carrying lug 11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caisson structure is utilized in the interlocking structure. That is, the side faces 11 of the caissons 10, which are fixed to each other side by side and partially filled with filler,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wire rope 30 and the integral member 40 used for interlocking will be described later.

종래의 인터록킹 작업은 수중에서 실시하거나 또는 거대한 인터록킹 부재를 해상 현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점에서 작업이 곤란하거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고, 그만큼 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인터록킹 방식은 중 하중물을 운반하거나 작업자가 수중에 잠수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들로 즉시 작업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이 모두 절약된다.Conventional interlocking work has been a difficult task in that it has to be carried out under water or a large interlocking member has to be moved to a marine sit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work is long,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ost. However, the interlock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aves both cost and time since it can be operated immediately with simple configurations without having to carry heavy loads or dive underwater.

이렇게 인터록킹 작업이 완료되면, 어느 하나의 케이슨에 파랑이 집중되더라도 그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기 때문에 불측의 기상 조건에도 불구하고 케이슨 거치 작업에 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상 조건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도 시공의 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When the interlocking operation is completed, even if the blur is concentrated on one of the caissons, the resistance to the caisson increases, so that the caisson is not greatly affected by the caustic operation despite the unstable weather conditio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time of construction without greatly influencing weather conditions.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를 마저 채우는 작업을 실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를 다 채우게 되면 케이슨을 설계한대로 파랑에 대한 저항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시공 과정에서 설치하였던 인터록킹 구성(30, 40)을 제거해도 무방하다. 즉 인터록킹 구성(30, 40)은 케이슨이 거치되고 아직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가 다 채워지기 전의 취약 상태를 보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 an operation of filling the filler even inside the caisson is executed.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ller is filled in the caisson, the caisson is designed to exhibit resistance to blue. Therefore, the interlocking structures 30 and 40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shown in FIG. 3 may be removed. That is, the interlocking structures 30 and 40 can be utilized as a structure for compensating for the weak condition before the caisson is mounted and the filler is still filled in the caisson.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킹 구성(30, 40)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치블록(50)을 시공함으로써, 상치블록 내에 인터록킹 구성이 매립되도록 하면, 인터록킹 구성에 의해 이웃하는 케이슨 간의 인터록킹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특히 인터록킹 구성으로서 와이어로프나 메탈라스를 사용하는 경우,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상치블록이 철근으로 연결된 것과 같은 일체화 효과를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interlocking structure is embedded in the upper level block by installing the upper level block 50 in a state where the interlocking structures 30 and 40 are not removed, The interlocking function between neighboring caissons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wire rope or a metal lath as an interlocking structure, an integration effect is obtained such that the block of the adjacent two caissons is connected by a reinforcing bar.

이하 각 시공 단계의 구체적인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crete working method of each construction step will be described.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방식][How to partially fill the filler]

먼저 도 2에 도시된 시공 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은 케이슨 내에 채움재를 일부 채우는 방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케이슨 내에 채움재를 일부 채우는 방식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rst, the construction step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artially filling a filler in a caiss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partially filling a filler in the caisson.

앞서 설명한 도 2의 작업에서 정거치된 케이슨(10)에 채움재(20)를 일부 채우는 방식으로는, 먼저 도 6과 같이 케이슨(10) 내의 모든 분할공간(12)에 골고루 채움재를 채우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파랑에 의해 케이슨(10)에 어떠한 방향으로 수평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슨(10)의 저항력이 균일하게 발휘되도록 하여 준다.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FIG. 2, a method of partially filling the filler 20 with the fixed caisson 10 includes filling the filler 12 uniformly in all the divided spaces 12 in the caisson 10 as shown in FIG. 6 . In this manner, the resistance of the caisson 10 can be uniformly exer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horizontal force acting on the caisson 10 by the wav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10) 내의 특정 분할공간(12)에만 집중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방식도 활용할 수 있다. 가령 파랑의 방향이 거의 일정하게 정해진 위치에 케이슨을 거치한다면, 파랑이 밀려오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에 있는 케이슨의 분할공간(12)에 채움재를 집중적으로 채워, 부력에 대한 케이슨의 저항력을 더 높일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 a method of concentrating filler only in the specific divided space 12 in the caisson 10 may be utilized. For example, if the caisson is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direction of the wave is almost constant, the filler is intensively filled in the dividing space 12 of the caiss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ve is pushed to increase the caisson resistance against buoyancy .

[측방으로 들고리들을 연결하는 방식][How to hold the sideways and connect the leads]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시공 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Next, the construction steps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1. One. 들고리들을Hold Riddle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 Direct connection with wire rope

도 8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0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carry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to a wire,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carry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to a wire,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carry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to a wire.

이웃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들은 와이어로프(30)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면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케이슨(10)의 서로 마주하는 두 모서리에 위치하는 들고리(11)을 대각선으로 와이어로프(30)를 이용하여 대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슨이 파랑에 의해 받는 수평력은 케이슨의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어떤 하나의 케이슨에 집중적으로 수평력이 작용하면 그 케이슨은 후방으로 밀리는 힘을 크게 받게 된다. 케이슨의 자중이 이러한 파랑의 수평력을 견딘다면 문제가 없지만, 케이슨의 자중이 수평력을 견디지 못하고 후방으로 밀리는 순간 케이슨의 양측 변에 있는 와이어로프(30)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로프(30)가 팽팽해지면, 이웃하는 케이슨의 자중과 와이어로프의 장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던 케이슨의 저항력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처럼 이웃하는 케이슨들에 인터록킹된 케이슨은 집중적인 수평 하중을 받더라도 그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The carry 11 of the two adjacent caissons 10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wire rope 30. As shown in FIG. 8, the holding levers 11, which are located at two opposing corners of two adjacent caissons 10, can be diagonally connected with the wire rope 30 diagonally. The horizontal force that the caisson receives by the wave act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caisson, and when the vertical force acts on the one caisson at that time, the caisson receives a great force to push backward. The wire rope 30 on both sides of the caisson is pulled out as soon as the weight of the caisson is pushed backward without enduring the horizontal force, The resistance of the caisson pushed rearward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adjacent caisson and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is greatly increased. Thus, caissons that are interlocked with adjacent caissons will be able to withstand even intensive horizontal loads.

장력은 와이어로프의 길이방향으로만 작용하게 되므로, 인터록킹을 할 때 와이어로프(30)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각선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ension acts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rop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wire ropes 30 diagonally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when interlocking.

다음으로, 이웃하는 두 케이슨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슨이 후방으로 밀릴 때 와이어로프의 단위길이당 변형율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와이어로프의 길이와 와이어로프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어진 각도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좋다. 즉 케이슨이 밀릴 때 이웃하는 케이슨과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로프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에만 집중적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면, 해당 와이어로프, 또는 이와 연결된 들고리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케이슨이 밀릴 때 이와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로프에 그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야 한다. Next, in order to make the deformation rates per unit length of the wire rope equal to each other when one of the two caissons adjacent to each other is pushed rearward,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wire ropes and the diagonal inclination angle of the wire rope Substantially the same is preferred. That is, if a caulking force is applied to only one of the wire ropes of the plurality of wire ropes connected to the adjacent caisses when the caisson is pushed, the wire rope or the wire rope connected thereto may be damag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the load must be uniformly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wire ropes connected to the caisson when the caisson is pushed.

즉 복수의 와이어로프에 대해 이러한 하중의 분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복수의 와이어로프의 길이와 와이어로프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어진 각도를 모두 동일하게 하여 복수의 와이어로프의 단위길이당 변형율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That is,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od dispersion of the load on the plurality of wire ropes,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wire ropes and the inclined angles of the wire ropes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made the same so that the strain rate per unit length of the plurality of wire ropes is uniform It is good to do.

한편, 와이어로프(3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서, 앞서 도 8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연결구조와 달리 인터록킹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하나의 케이슨이 밀리는 순간 이웃하는 케이슨과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로프는 대각선으로 경사지게 되므로, 밀리는 케이슨이 주변의 케이슨으로부터 인터록킹된 저항력을 받게 된다. 다만 이 ‹š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장력 중 케이슨이 밀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도 9의 와이어로프에는 도 8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장력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비해 도 9의 구조에서는 직경이 더 큰 와이어로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의 와이어로프 연결 방식은 들고리(11)에도 더 큰 하중을 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ire rope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not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9, interlocking is not unlike the wire rope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As soon as one of the caissons is pushed, the wire rope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caisson is diagonally inclined so that the caisson being pushed is subjected to interlocking resistance from the surrounding caisson. However, since the specific gravity occupied by the component ac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isson is pushed out among the tensile forces acting on the wire rope is small, a relatively larger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rope of Fig. 9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Therefore, in the structure of Fig. 9 as compared to Fig. 8, it is necessary to use a wire rope having a larger diameter. Likewise, the wire rope connection scheme of FIG. 9 gives greater load to the handle 11 as well.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30)가 대각선 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도 8과 같이 대각선으로만 와이어로프를 연결한 것보다는 와이어로프의 사용 효율(즉 와이어로프의 사용 길이 대비 와이어로프가 견디어 주는 하중의 크기의 비)은 조금 떨어지지만, 와이어로프가 연결될 수 있는 두 케이슨 사이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두 케이슨이 인터록킹되어 견딜 수 있는 총 하중의 크기는 대각선으로만 와이어로프를 연결한 경우보다 더 크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ire ropes 30 ar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this structure, the efficiency of use of the wire rope (i.e., the ratio of the load that the wire rope can withstand against the use length of the wire rope)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wire rope connected diagonally only as shown in Fig. 8, Using the space between two possible caissons more efficiently, the total load capacity that the two caissons can tolerate interlocking is greater than if the wire rope was connected diagonally.

2. 2. 들고리를Hari Lee 일체화부재와And 와이어로프로 연결하는 방식 Wire-to-wire connection method

도 11은 각각의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에 체결하여 일체화하고, 이웃하는 케이슨에 각각 설치된 일체화부재를 들고리로 연결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각각의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에 체결하여 일체화하고, 이웃하는 케이슨에 각각 설치된 일체화부재를 들고리로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각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fastening and integrating the carrying members of respective caissons to an integrated member and carrying them together by carrying an integrated member provided to each of the neighboring caissons. FIG. 12 is a cross-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arrying leg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necting each carrying member of the respective caissons with an integral member,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caissons of th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caissons of the caissons are connected by an integral member, Fig. 16 is a cross- Fig.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슨 인터록킹 구조는, 개별 케이슨 상에 있는 들고리(11)들을 먼저 일체화부재(40)로 연결한 후, 이웃하는 두 케이슨(10)의 일체화부재(40)를 와이어로프(30)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두 케이슨을 연결할 수 있다.11 and 12, the caisson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carrying lugs 11 on the individual caissons are first connected by the unifying member 40, (40) to the wire rope (30).

이처럼 일체화부재(40)를 사용하면, 이웃하는 케이슨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슨이 밀리게 될 때, 와이어로프(30)에 작용하는 하중이 일체화부재(40)에서 통합된 후 다시 개별 들고리(11)들에 골고루 분산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와이어로프(30)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두 개만 X자 형태로 설치하더라도 하중이 개별 들고리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와이어로프에 골고루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앞서 도 8 내지 도 10의 와이어로프 직결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러한 부담이 덜하다.The use of the integration member 40 allows the load acting on the wire rope 30 to be integrated in the integrated member 40 and then be lifted up and down again when any one of the adjacent caissons is pushed. It has the effect of evenly distributing it. Therefore, even if only two wire ropes 30 are installed in the X-shape as shown in FIG. 12, the loads can be evenly dispersed in the individual holdings. This is relatively less burdensome than the wire rope direct connection structure of FIGS. 8 to 10, which requires consideration of a uniform load applied to a plurality of wire ropes.

그리고 일체화부재(40)와 와이어로프(30)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는, 도 8 내지 도 10의 와이어로프 직결 구조와 대비하였을 때, 케이슨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들고리들까지 인터록킹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도 13 내지 도 16의 일체화부재(40)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좌우측방에 배치된 들고리들 뿐만 아니라 전후방에 배치된 들고리들에도 인터록킹에 필요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rods of two adjacent caiss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integrating member 40 and the wire rope 3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ire rope direct connection structure of Figs. 8 to 10, It should be noted that a deployed carrying ring can be utilized for interlocking. 13 to 16, the loads necessary for interlocking can be dispersed even in the forward and rearward movable leg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rooms facing each other, as well as the front and rear legs.

3. 3. 들고리를Hari Lee 일체화부재로As the integrated member 연결하는 방식 How to connect

도 17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9는 일체화부재의 일례로서 스틸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necting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with an integrating member, FIG.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connecting carrying rings of neighboring caissons with an integrating member, Showing a steel lance as an example of a member.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웃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들을 도시된 바와 일체화부재(40)로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형태로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복수 개의 일체화부재(40)를 사용하여 두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연결하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된 일체화부재(40)를 사용하여 두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연결할 수 있다.17 and 18,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grally connect the holding levers 11 of two adjacent caissons 10 to the unified member 40 as shown. As shown in FIG. 17, a plurality of integrated members 40 may be used to connect the supporting rods of the two caissons, or a single integrated member 40 may be used as shown in FIG. Can be connected.

이러한 구조는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In this structure,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wire ropes 30 is omitted, and the construction is very simple.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일체화부재(40)는, 여러 들고리들이 끼워지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판재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일체화부재에 형성된 구멍이 들고리들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체화부재를 복수 개의 들고리에 끼우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들고리와 구멍 사이에 간극을 둠으로써 이웃하는 두 케이슨이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들고리와 구멍이 서로 딱 맞는 크기라면, 어느 케이슨이 하중을 받을 때 케이슨이 자중으로 이에 저항하기에 앞서 케이슨이 받는 하중이 일체화부재와 들고리에 집중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슨(10)의 들고리(11)와 일체화부재(40)의 구멍 사이에 간극을 둠으로써, 케이슨이 파랑의 수평력을 자신의 자중으로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하고, 파랑이 케이슨의 자중에 의한 저항력을 넘어서서 케이슨이 실제로 밀리기 시작할 때 비로소 일체화부재(40)와 들고리(11)에 하중이 전달되도록 하였다. 즉 일체화부재를 사용하기는 하나 어느 정도 결합 구조에는 유연성을 둔 것이다.The integrating member 40 used in this embodiment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a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are fitted. At this time, the holes formed in the integration member ar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dges,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fitting the integrated member into a plurality of holders, and further, by providing a clearance between the holders and the hole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low control valve so that the flow can be performed. If the bearing and the hole are of the same size, the caisson's load may concentrate on the integral member and the bearing before the caisson resists its own weight when the caisson undergoes the loa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gap between the hole 11 of the caisson 10 and the hole of the integrated member 40, the caisson can sufficiently hold the horizontal force of the blue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load is transferred to the integrated member 40 and the handle 11 only when the caisson begins to actually be pushed. That is, although the integrated member is used, the coupling structure is somewhat flexible.

이러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일체화부재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틸라스 또는 메탈라스를 활용할 수도 있다. 스틸라스 또는 메탈라스는 그 자체로는 꽤 견고하지만, 케이슨과 같은 고 하중의 구조물에 대비하면 굉장히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secure such flexibility, steel lathes or metal lathes as shown in Fig. 19 may be utilized as an integrated member. Stirras or metal laths are quite robust in their own right, but they can operate very flexibly in case of high load structures like caissons.

[와이어로프의 장력 조절 방법][How to adjust tension of wire rop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케이슨에 집중적으로 수평 하중이 가해져서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에 동시에 하중이 걸릴 때,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에 골고루 하중이 분산되도록 와이어로프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horizontal load is concentrated on one of the caissons and a load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a plurality of wire ropes, the load is preferably distributed evenly. 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a wire rope in such a manner that load is evenly distributed among a plurality of wire ropes will be described.

도 20은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1은 와이어로프의 길이 조절구로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턴버클이 설치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rying ring of a neighboring caisson is connected by a wire, and FIG. 2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urnbuckle having a male screw portion and a female screw portion is provided as a length adjusting means of a wire rop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랑에 따른 수평 하중이 케이슨에 작용할 때, 먼저 케이슨의 자중이 충분히 이에 저항하도록 하고, 파랑의 수평 하중이 케이슨의 자중에 의한 저항력을 넘어설 때 비로소 인터록킹된 구성(30,40)이 하중을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load along the wave acts on the caisson, the caisson's self weight is sufficiently resisted first, and the interlocked configuration 30, when the horizontal load of the wave exceeds the resistivity by the caisson's own weight, 40 are subjected to a load.

따라서 앞서 들고리들을 와이어로프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나, 들고리를 일체화부재와 와이어로프로 연결하는 방식에서 두 케이슨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는 팽팽하지 않고 오히려 약간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Therefore, the wire rope connecting the two casings in the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the lead wire to the lead wire directly, or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lead wire to the integrated member and the wire in a pro connection, should be not loosened but rather loosely connected.

그런데 와이어로프를 팽팽하게 연결하면서 각 와이어로프들에 걸리는 장력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슨하게 축 처진 와이어로프(30)의 장력을 측정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느슨하게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작업일 수 있다.However, it is not so difficult to tie the wire ropes together to match the tension on each wire rope. However, as shown in Fig. 20, it is not easy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30 loosely held. Thus, matching the tension of loosely connected wire ropes to each other can be a very difficult task.

이에 본 발명에서는 느슨하게 연결된 와이어로프들의 장력이 모두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를 연결하는 방안을 안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rope is connected so that tension of loosely connected wire ropes can be uniform.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30)로 서로 연결되되, 와이어로프(30)가 느슨하게 연결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rods 11 of two adjacent caisson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rope 30, and the wire ropes 30 are loosely connec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과 같은 조절구(70)를 개재하여 들고리(11)를 와이어로프(30)로 연결한다. 그리고 턴버클을 돌려 와이어로프(30)를 팽팽하게 한다. 즉 턴버클을 조임으로써 와이어로프의 길이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1,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handle 11 with the wire rope 30 through a control rod 70 such as a turnbuckle. Then turn the turnbuckle to tighten the wire rope (30). That is, by tightening the turnbuckle, the wire rope length is reduced.

이처럼 와이어로프가 팽팽하게 되면 장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턴버클(70)의 암나사부(72) 부분을 토크렌치로 조이면서 렌치에 걸리는 토크를 확인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wire rope is tightened like this, the tension can be accurately measured.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However, a method of checking the torque applied to the wrench while tightening the female screw portion 72 of the turnbuckle 70 with the torque wrench can be utilized.

이처럼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에 각각 연결된 턴버클을 조일 때 모든 턴버클을 조이는 회전력이 일치하도록 턴버클을 조인다. 턴버클을 조이는 회전력이 서로 일치한다는 것은 두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현재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ightening the turnbuck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re ropes as described above, tighten the turnbuckles so that the turning forces of all the turnbuckle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oincidence of the turning forces to tighten the turnbuckle means that the tension on the two wire ropes is now the same.

이렇게 모든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모두 일치하도록 한 후, 다시 모든 턴버클을 동일한 횟수만큼 풀어서 와이어로프가 느슨하게 되도록 해준다. 그러면 턴버클의 나사산의 피치 내지 리드는 모두 일치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가 늘어지는 길이 역시 모두 동일하게 된다.After all the tension on all the wire ropes has been matched, all the turnbuckles are loosened again to make the wire rope loose. Then, since the pitches or leads of the threads of the turnbuckles are all the same, the length of the wire rope is also equalized.

이러한 상태가 되면, 케이슨이 그 자중으로 파랑의 수평력에 저항하다가, 케이슨의 자중을 넘어서는 파랑의 하중이 케이슨에 작용하면 모든 와이어로프가 동일한 정도로 당겨지면서 동일한 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발명의 의도대로 인터록킹이 완성된다.In such a state, the caisson resists the horizontal force of the wave due to its own weight, and when the load of the wave exceeding the caisson's own weight acts on the caisson, all the wire ropes are pulled to the same degree and the same tensile force acts. Locking is comple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케이슨
11: 들고리
12: 분할공간(셀)
20: 채움재
30: 와이어로프
40: 일체화부재
50: 상치블록
70: 조절구
71: 수나사부
72: 암나사부
O: 바다
B: 해저
10: Caisson
11: Hurry up
12: Split space (cell)
20: Filler
30: Wire rope
40:
50: Settlement block
70: Regulator
71: Male threads
72: female thread part
O: Sea
B: Submarine

Claims (37)

상단에 들고리(11)가 형성된 케이슨(10)을 복수 개 횡방향으로 나란히 정거치하는 단계;
정거치된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20)를 채우고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을 복수개의 와이어로프(30)로 서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와이어로프(30)에는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조절구(70)로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 조절구에서 각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동일한 정도로 늘려 와이어로프를 느슨하게 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느슨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로프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들고리들이 서로 연결된 후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를 마저 채우는 단계; 및
상치블록(50) 내에 상기 들고리들의 연결 구조가 매립되도록 상기 상치블록을 상기 케이슨 상에 상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A plurality of caissons (10) formed on the top of which the holding members (11) are formed;
Filling the filler (20) partially inside the fixed caisson and connecting the holding levers (11) of neighboring caissons to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wire ropes (30);
When the length of the wire rope is adjusted by the adjuster 70,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By further increasing the length of each wire rope in each of the control rods to the same extent by loosening the wire rope in a state of being taut by substantially the same degree,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are loosened to substantially the same degre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s to be connected;
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after the hol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d placing the retaining block on the caisson so that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arrying rope is embedded in the retaining block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
분할공간(12)에 모두 골고루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것인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artially 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comprises:
Wherein the dividing space (12) is filled with a filler partly even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내부에 부분적으로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
일부 분할공간(12)에만 채움재를 모두 채워 넣는 것인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artially filling the filler inside the caisson comprises:
Wherein the filler is filled only in some of the divided spaces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가 모두 채워지는 일부 분할공간은 케이슨 내의 복수의 분할공간 중 파랑의 힘을 받는 면에 인접한 분할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ome of the divided spaces into which the filler material is filled are divided spaces adjacent to the fac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spaces in the caisson which receive the force of the wave.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가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케이슨 내부 공간의 부피 비는 케이슨 내부 공간의 전체 부피의 2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the volume ratio of the caisson inner space in which the filling material is partially filled is 25 to 50% of the total volume of the caisson inner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상호 와이어로프(30)로 직접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upling the carrying rods of the adjacent caissons to one another,
And connecting the carrying rods of two adjacent caissons directly to the interconnecting wire rope (3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인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11) of the two caissons connected by the wire rope (30) are located diagonally to each oth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agonal slopes of the holding levers (11) of the two caissons (10)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의 들고리들(11)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
개별 케이슨의 들고리들을 일체화부재(40)로 체결한 후, 이웃하는 두 케이슨의 일체화부재(40)를 와이어로프(30)로 상호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nterconnecting the ridges (11) of the neighboring caissons (10)
And connecting the interconnecting members (40) of the two neighboring caissons to the wire rope (30) after the holding members of the individual caissons are fastened by the unifying member (4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결 방향은 대각선 방향인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necting direction of the wire rope is a diagonal dire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agonal slopes of the wire ropes connecting the interconnecting members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egra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s two or more supporting rods located on a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ing which is in contact with an adjacent caiss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egra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s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sides of the upper edge of the caisson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adjacent caisson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과,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egra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s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a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which is in contact with an adjacent caisson and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a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on, Construc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설치되는 조절구(70)는 서로 나사산 결합된 수나사부(71)와 암사나부(7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로프(30)에 각각 설치되는 조절구(70)의 나사산의 리드는 모두 동일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수나사부에 대해 암나사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때, 와이어로프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 와이어로프들의 조절구에 걸리는 회전력을 모두 일치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킨 후, 각 조절구의 수나사부에 대해 암사나부를 상대적으로 푸는 회수를 모두 동일하게 하며 각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늘림으로써 와이어로프를 느슨하게 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rods (70) provided on the wire rope (30) include a male threaded portion (71)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72) threadedly coupled to each other, ) Are all the same,
Wherei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s comprises rotating the wire rope relative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rope relative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is mad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and then the number of times of relatively loosening the female thread portion relative to the male thread portion of each control rod is made equal and the length of each wire rope is substantially equalized to loosen the wire rope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caisson is further performed.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에 걸리는 회전력을 모두 일치시키는 작업은 토크 렌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시공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control member is performed by a torque wrench.
삭제delete 청구항 1의 케이슨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됨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슨이 나란히 정거치되고,
이웃하는 케이슨 상부에 형성된 들고리(11)들이 서로 와이어로프(30)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들의 길이가 조절되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가 모두 동일한 정도로 느슨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슨의 내부 공간은 채움재로 채워지고,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로프(30)가 매립되도록 상치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By being constructed by the caisson construction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caissons are fixedly installed side by side,
The holding levers 1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djacent caiss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rope 30 so that the lengths of the wire ropes are adjusted so that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are loosely connected to the same extent,
The inner space of the caisson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And an upper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to embed the wire rope.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의 들고리(11)들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인 해양구조물.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carrying rods (11) of the two caissons connected by the wire rope (30) are positioned diagonally to each other.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에 의해 연결되는 두 케이슨(10)의 들고리(11)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해양구조물.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diagonal slopes of the holding levers (11) of the two caissons (10)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청구항 11의 케이슨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해양구조물로서,
복수 개의 케이슨이 나란히 정거치되고,
각각의 케이슨 상부에 형성된 들고리(11)들이 일체화부재(40)로 체결되고,
이웃하는 케이슨 상부의 일체화부재(40)가 서로 와이어로프(30)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들의 길이가 조절되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가 모두 동일한 정도로 느슨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슨의 내부 공간은 채움재로 채워지고,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 상기 일체화부재(40)와 와이어로프(30)가 매립되도록 상치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An offshore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claim 11,
A plurality of caissons are fixedly installed side by side,
The holding levers 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caissons are fastened by the unifying member 40,
The integrated members 40 on the upper side of the adjacent caiss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rope 30 so that the lengths of the wire ropes are adjusted so that the plurality of wire ropes 30 are all loosely connected to the same extent,
The inner space of the caisson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Wherein the upper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so that the integrated member (40) and the wire rope (30) are embedded.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결 방향은 대각선 방향인 해양구조물.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wire rope is a diagonal direction.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들의 대각선 방향의 기울기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해양구조물.
29.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diagonal slopes of the wire ropes interconnecting the integration members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integra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s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a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that abuts an adjacent caisson.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integra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s two or more supporting rods located on sides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adjacent caissons.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부재는 케이슨의 상부 테두리 변 중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과, 인접하는 케이슨과 접하지 않는 변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들고리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integrated member comprises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rim of the caisson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on and two or more holding rods located on th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aisson,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86477A 2015-06-18 2015-06-18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KR101708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77A KR101708179B1 (en) 2015-06-18 2015-06-18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77A KR101708179B1 (en) 2015-06-18 2015-06-18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45A KR20160150145A (en) 2016-12-29
KR101708179B1 true KR101708179B1 (en) 2017-02-21

Family

ID=5773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77A KR101708179B1 (en) 2015-06-18 2015-06-18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1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735B1 (en) 2020-12-08 2022-04-06 현대건설주식회사 Caisso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idal level differ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118Y1 (en) * 2001-04-03 2001-10-10 주식회사 한경 An assembly square housing founding at a breast wall
JP2008190254A (en) * 2007-02-06 2008-08-21 Toa Harbor Works Co Ltd Existing breakwater reinforcing method
KR101220537B1 (en) * 2010-08-03 2013-0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mbination method of breakwater caisson structures
KR101326773B1 (en) * 2012-04-05 2013-1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rbor Structures Easily respond to Differential Sett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118Y1 (en) * 2001-04-03 2001-10-10 주식회사 한경 An assembly square housing founding at a breast wall
JP2008190254A (en) * 2007-02-06 2008-08-21 Toa Harbor Works Co Ltd Existing breakwater reinforcing method
KR101220537B1 (en) * 2010-08-03 2013-0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mbination method of breakwater caisson structures
KR101326773B1 (en) * 2012-04-05 2013-1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rbor Structures Easily respond to Differential Sett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735B1 (en) 2020-12-08 2022-04-06 현대건설주식회사 Caisso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idal level differ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45A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886B1 (en) Open Cell Caiss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785258B2 (en) Root reinforcement
US7740417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underground pipes for high-tension cables by using trough
US20020054791A1 (en) Earth retaining system such as a sheet pile wall with integral soil anchors
CN106864672A (en) Subsea anchor system and method
CN104631602B (en) Sewage deep sea emission engineering marine site pipeline construction method
CN103998692A (en) Foundation structure, which can be installed with a low level of noise, for an offshore plant, in particular an offshore wind energy plant,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CN105532549A (en) Assembled type anchoring system comprising grasping anchor hooks
US10487803B2 (en) Offshore wind farm
KR101825739B1 (en) Submarine protection block assembly
CN105908772A (en) Offshore wind turbine gravity type base, base system and gravity type base construction method
KR10185944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temporary facility of complex steel using connecting means between cofferdam walls
US7736096B1 (en) Modular interlocking retaining wall/seawall having reduced installation time
KR101708179B1 (en) Stability-Enhanced Caisson Construction Method by Connecting Anchors thereof
CN113756637B (en) Grounding installation assembly
CN214784257U (en) Be used for deep horizontal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of supporting construction soil body
CN105862908A (en) Offshore wind power bottle-shaped gravity foundation
NO832777L (en) ANCHORING DEVICE
US20050271479A1 (en) Elongated structural members for use in forming barrier walls
CN205530250U (en) Novel outer anchor head multiple protection of prestressed anchorage cable device
CN104762965B (en) A kind of concrete breast-stroke anchor for Large Steel well foundation lo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CN107859017A (en) A kind of fabricated ocean engineering concrete architectural structure system
JP6230854B2 (en) Ne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99692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bollard
JP3105178B2 (en) Rope mooring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