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885B1 - 음파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음파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885B1
KR101707885B1 KR1020160094231A KR20160094231A KR101707885B1 KR 101707885 B1 KR101707885 B1 KR 101707885B1 KR 1020160094231 A KR1020160094231 A KR 1020160094231A KR 20160094231 A KR20160094231 A KR 20160094231A KR 101707885 B1 KR101707885 B1 KR 101707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ound wave
unit
sensor uni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972A (ko
Inventor
이희승
오광명
사성진
박성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8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bstract

매체에 설치되는 음파 센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는 입력된 음파 신호를 처리하는 센서유닛과, 센서유닛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와, 센서유닛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를 매체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수용홈의 개구를 마감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접속부는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일 측이 센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이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음파 센서 장치{APPARATUS OF ACOUSTIC WAVE SENSOR}
본 발명은 음파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에 설치되는 음파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파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음파 센서(Acoustic wave sensor)는 외부의 충격 및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기 위해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래에 음파 센서의 하우징을 대상물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접착 방법으로 음파 센서를 대상물에 부착하는 경우 주위의 오염물질, 온도 또는 습도 등의 환경 요인, 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착부위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음파 센서를 부착하는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부착 강도 및 장착 위치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편차는 정확한 음파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해서는 접착 부위를 제거해야 하고, 재 장착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3787호에는 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하는 동안에도 차량의 속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차속 센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3787호(1999년 10월 5일 공개)
본 발명은 멤브레인을 보호하는 하우징을 매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작업 표준화가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음파 센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음파 신호를 처리하는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상기 센서유닛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매체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마감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일 측이 상기 센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음파 센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볼트,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제1매체와 제2매체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주위에는 상기 하우징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진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일 면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접속부가 접속되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상기 캡부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볼트,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 수용홀은 상기 결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단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의 일 면은 상기 수용홈 또는 상기 캡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 주위에는 상기 하우징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진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진동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주위에는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진동공간이 형성되고, 성기 접속부 수용홀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진동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접속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는 매체에 기계적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음파 센서 장치를 장착한 공정을 표준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품별로 균일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된 결합부를 해제하는 것 만으로 매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재 장착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의 장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의 장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도 10의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는 음파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음파의 파형을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파형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는 다양한 매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음파 센서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음파 센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외부의 음향을 인식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두드림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인식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는 음파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센서유닛(120)과 센서유닛(120)을 지지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센서유닛(120)은 음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22)와, 입력부(12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123)와, 입력부(122)와 회로부(123)가 접속되는 기판(121)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일 예로,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멤브레인(Membrane)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22)는 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멤브레인의 진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2)는 음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23)는 일 예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123)는 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입력부(122)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입력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음파의 존재 여부에 따른 ON/OFF 신호일 수 있고, 음파의 파형에 따라 달라지는 연속적인 신호일 수 있다.
기판(121)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21)은 입력부(122) 및 회로부(123)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21)의 일 면에 입력부(122)와 회로부(123)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회로부(123)는 기판(1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121)은 회로를 형성하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기판(121)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파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123)는 기판(121)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입력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120)은 접속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24)는 기판(121)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입력부(122)로부터 입력된 음파에 관한 정보 및 회로부(123)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차량의 ECU 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접속부(124)는 일 측이 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 측이 하우징(110) 외면에 노출되는 커넥터(Connector)일 수 있다. 커넥터는 전도성 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센서유닛(120)이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되는 몸체부(111)와, 수용홈(114)의 개구를 마감하는 캡부(112)와, 몸체부(111)를 매체(10)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일 측면에서 요입되는 수용홈(11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홈(114)에는 센서유닛(120)이 수용될 수 있다. 캡부(112)는 몸체부(111)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캡부(112)는 센서유닛(120)을 외부와 밀폐시키도록 마감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포함하도록 마감할 수 있다. 한편, 수용홈(114)은 캡부(112)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몸체부(111)와 캡부(112)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111)와 캡부(112)는 센서유닛(120)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센서유닛(120)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센서유닛(120)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는 의미는 밀봉하는 것뿐 만 아니라, 센서유닛(120)의 주위를 둘러싸서 외부의 접근을 막는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기판(121)은 캡부(112)의 일 면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121)과 캡부(112)의 고정은 기계적인 결합 또는 접착을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부(122)와 회로부(123)는 기판(121)의 일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21)의 일 면에는 입력부(122)와 회로부(123)가 고정되고, 타 면에는 캡부(112)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122)와 회로부(123)는 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된다.
캡부(112)는 접속부(124)가 관통하는 접속부 수용홀(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24)는 일 측이 기판(1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 측이 캡부(112)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캡부(112)에 형성되는 접속부 수용홀(112a)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속부(124)의 노출된 면은 케이블 등과 연결되어 ECU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11)의 수용홈(114) 외측면에는 캡부(112)를 지지하는 지지턱(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112)는 지지턱(114a)에 지지된 채로 몸체부(111)와 고정될 수 있다. 캡부(112)와 몸체부(111)의 고정은 기계적인 결합과 접착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몸체부(111)의 수용홈(114)과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수용홈(114)과 입력부(122) 사이에 진동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하우징(110)이 진동하면 진동공간(115) 내부의 공기가 진동하고, 진동공간(115) 내부의 공기의 진동이 입력되는 입력부(122)가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진동공간(115) 내부의 공기의 진동이 입력부(122)의 멤브레인을 진동시키고, 멤브레인의 진동은 전류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21)과 입력부(122)와 회로부(123)는 캡부(112)에 지지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112)가 지지턱(114a)에 지지된 상태에서 입력부(122)의 일 면은 수용홈(114)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22)와 수용홈(114) 사이에는 몸체부(111)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진동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결합부(113)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의 장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0-1)의 장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결합부(113)의 외면에는 나사산(11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3)는 매체(10: 11, 12)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합부(113)는 나사, 볼트, 또는 리벳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결합부(113)가 몸체부(111)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결합부(113)는 몸체부(111)로부터 요입되는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결합부(113)는 일 측이 개구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하우징(110)은 제1매체(11)와 제2매체(12)를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113)는 제1매체(11)와 제2매체(12)를 관통하는 홀에 결합되는 볼트일 수 있다.
제2매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13)에는 결합대응부(116)가 결합되어 제1매체(11)와 제2매체(12)를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대응부(116)는 결합부(113) 외면의 나사산(113a)에 결합되는 너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제1매체(11)와 제2매체(12)를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는 것뿐 아니라, 매체(10)에 센서유닛(120)을 매체(10)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센서유닛(120)을 매체(10)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대신 결합부(113)가 매체(10)와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센서유닛(120)을 매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113-1)는 제1매체(11)를 관통하여 제2매체(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하우징(110-1)은 제1매체(11)와 제2매체(12)를 서로 결합하는 동시에 센서유닛(120)을 매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결합부(113)가 제1매체(11)에만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부(113-1)는 리벳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1)의 기판(121)은 저면이 수용홈(114)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유닛(120)의 입력부(122)와 회로부(123)는 기판(121)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124)는 일 면이 기판(121)의 상면에 접속되고, 타 면이 캡부(1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입력부(122)는 캡부(112)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캡부(112)가 수용홈(114)에 형성되는 지지턱(114a)에 지지된 상태에서 입력부(122)의 일 면은 캡부(112)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22)와 캡부(112) 사이에는 몸체부(111)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진동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112)는 외부와 진동공간(115)을 연통하는 공기유입홀(117)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17)은 입력부(1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력부(122)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17)을 통해 진입하는 음파는 진동공간(115) 내의 공기를 진동시키고, 입력부(122)는 진동공간(115) 내의 공기의 진동을 변환하여 출력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1)는 공기유입홀(117)을 통해 음파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진동을 입력 신호로 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정밀한 음파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파의 파형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하여 진동하는 하우징(110)의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송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음파 센서 장치(101-1)의 접속부(124)는 입력부(122) 또는 회로부(123)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1)의 너비는 한정되기 때문에, 기판(121)의 일 면에 입력부(122)와 회로부(123)와 접속부(124)가 모두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장치의 크기에 제약이 발생한다. 이 때, 도 8과 같이, 기판(121)과 접속하는 접속부(124)의 일 측이 요입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형성되는 공간으로 입력부(122) 또는 회로부(123)가 수용될 수 있어, 입력부(122) 또는 회로부(123)의 배치 및 크기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도 캡부(112)를 통해 노출되는 접속부(124)의 너비는 필요한 너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와 접속하는 데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접속부(124)는 일 측이 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접속부(124)를 수용하는 접속부 수용홀(118)을 포함한다.
접속부 수용홀(118)은 몸체부(111) 또는 결합부(113)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는 수용홈(114)의 저부로부터 몸체부(111)와 결합부(113)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통되는 접속부 수용홀(118)이 도시되어 있으며, 접속부 수용홀(118)을 따라 케이블 형상의 접속부(124)가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파 센서 장치(10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도 10의 C-C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고하면, 진동공간(115)을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유입홀(117)이 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기판(121)의 일 면은 캡부(112)에 고정되고, 기판(121)의 타 면에는 입력부(122)와 회로부(1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122)는 수용홈(114)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입력부(122) 주위에 진동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1)의 외측에는 수용홈(114)과 연통되는 공기유입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17)은 진동공간(115)과 연통되어, 외부의 음파가 직접 입력부(122)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입홀(117)은 몸체부(111)의 외측에 마련됨으로써 외부의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음파 센서 장치(103-1)는 공기유입홀(117)과 접속부 수용홀(118)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 형상의 접속부(124)는 공기유입홀(117)을 통해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접속부 수용홀(118)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매체, 100: 음파 센서 장치,
110: 하우징, 111: 몸체부,
112: 캡부, 112a: 접속부 수용홀,
113: 결합부, 114: 수용홈,
114a: 지지턱, 115: 진동공간,
116: 결합대응부, 117: 공기유입홀,
118: 접속부 수용홀, 120: 센서유닛,
121: 기판, 122: 입력부,
123: 회로부, 124, 125: 접속부.

Claims (11)

  1. 입력된 음파 신호를 처리하는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상기 센서유닛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매체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마감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일 측이 상기 센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음파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볼트,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파 센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매체와 제2매체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음파 센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의 주위에는 상기 하우징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진동공간이 형성되는 음파 센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일 면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접속부가 접속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음파 센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캡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음파 센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볼트,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 수용홀은 상기 결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단부로 노출되는 음파 센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일 면은 상기 수용홈 또는 상기 캡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주위에는 상기 하우징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진동공간이 형성되는 음파 센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진동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되는 음파 센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음파 센서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주위에는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진동공간이 형성되고,
    성기 접속부 수용홀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진동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접속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수용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음파 센서 장치.
KR1020160094231A 2016-07-25 2016-07-25 음파 센서 장치 KR101707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31A KR101707885B1 (ko) 2016-07-25 2016-07-25 음파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31A KR101707885B1 (ko) 2016-07-25 2016-07-25 음파 센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15A Division KR101685890B1 (ko) 2015-01-20 2015-01-20 음파 센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72A KR20160092972A (ko) 2016-08-05
KR101707885B1 true KR101707885B1 (ko) 2017-02-17

Family

ID=5671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31A KR101707885B1 (ko) 2016-07-25 2016-07-25 음파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8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091A (ja) 2000-08-11 2002-02-22 Nippon Soken Inc 車両クリアランスソナー用超音波センサ
JP2009540706A (ja) 2006-06-14 2009-11-19 ヴァレオ・シャルター・ウント・ゼンゾーレン・ゲーエムベーハー 超音波センサ、特に自動車用超音波センサ
JP2011209233A (ja) 2010-03-30 2011-10-20 Denso Corp 車両用距離センサ及びその取付け構造
US20130147633A1 (en) 2011-12-08 2013-06-13 Ernest Newton Sumrall Modular Data Acquisition for Drilling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847B1 (ko) 1998-03-03 2000-04-15 정몽규 음파 센서를 이용한 차속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091A (ja) 2000-08-11 2002-02-22 Nippon Soken Inc 車両クリアランスソナー用超音波センサ
JP2009540706A (ja) 2006-06-14 2009-11-19 ヴァレオ・シャルター・ウント・ゼンゾーレン・ゲーエムベーハー 超音波センサ、特に自動車用超音波センサ
JP2011209233A (ja) 2010-03-30 2011-10-20 Denso Corp 車両用距離センサ及びその取付け構造
US20130147633A1 (en) 2011-12-08 2013-06-13 Ernest Newton Sumrall Modular Data Acquisition for Drilling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72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890B1 (ko) 음파 센서 장치
CN107439058B (zh) 控制器
US7490520B2 (en) Pressure sensor having improved arrangement of sensor chip for minimizing influence of external vibrations
WO2003001150A1 (en) Composite sensor for detecting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
US9107009B2 (en)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EP3703385A1 (en) Water and dustproof external microphone apparatus
KR101806158B1 (ko)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EP2767979A1 (en) Voice input device and noise suppression method
CN209526837U (zh) 一种骨声纹传感器及电子设备
CN211930818U (zh) 振动组件、骨声纹传感器和电子设备
US7263194B2 (en) Hearing device
CN112333618A (zh) 骨声纹传感器模组和电子设备
US20180092240A1 (en) Control unit
US9235937B1 (en) Mounting method for satellite crash sensors
KR101707885B1 (ko) 음파 센서 장치
JP2005531459A (ja) プリント基板を積重ねたセンサー組立体の共通固着手段による組立て
US11425504B2 (en) Acoustic module and electronic product
CA2165376C (en) Piezoelectric type acceleration sensor with metallic case and resin package
JP2019149698A (ja) マイクロホン
CN212486781U (zh) 骨声纹传感器模组和电子设备
US20060233412A1 (en) Microphone apparatus for a hearing aid
CN209057366U (zh) 一种传感器的电连接结构和电子设备
KR200380983Y1 (ko) 오작동 및 작동불량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경보기
JP3955276B2 (ja) マイクロフォンユニッ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CN109462807A (zh) 一种传感器的电连接结构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