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56B1 -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56B1
KR101707456B1 KR1020150138412A KR20150138412A KR101707456B1 KR 101707456 B1 KR101707456 B1 KR 101707456B1 KR 1020150138412 A KR1020150138412 A KR 1020150138412A KR 20150138412 A KR20150138412 A KR 20150138412A KR 101707456 B1 KR101707456 B1 KR 10170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amplification
heater module
film
pressing plate
type 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남호
이석재
이문근
이태재
이경균
신수정
김병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티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티엔에스(주)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3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7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icrofluidic devices, e.g. used for lab-on-a-c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05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 B01L2300/1822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using Pelti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05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 B01L2300/1827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using resistive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3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using fluid heat transfer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61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using radiation
    • B01L2300/1872Infrar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94Cooling means; Cryo coo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는 증폭할 유전자를 포함하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하여 유전자 증폭시키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이고, 상부에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배치되고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하부 히터모듈; 유전자 증폭시 하부 히터모듈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히터모듈; 및 전체 유전자 증폭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하부 히터모듈 또는 상부 히터모듈에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는 적어도 1 이상의 압력밸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APPRATUS FOR FILM BASED PCR}
본 발명은 유전자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형의 유전자 증폭칩이 탑재 가능한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자 진단은 DNA, RNA 및 단백질 등의 생체 지표 물질을 검출하거나 분석하는 분야로 1985년 Cetus Corporation의 Mullis에 의해 개발된 유전자 증폭기술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과 사람은 물론 동물, 식물 및 감염균의 유전체 지도의 완성을 기반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분석 중에서 유전자(DNA, RNA) 기반의 분석이 진단의 핵심이며 특히 유전자 증폭 기술이 가장 핵심이다.
기존에는 유전자 증폭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용 제품인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을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은 뚜껑이 있는 얇은 튜브형태의 플라스틱 용기에 타겟 DNA 및 유전자 증폭 시약을 함께 넣은 후, 유전자 증폭기의 히터블록에 상기 유전자 증폭 튜브를 삽입하고, 상기 히터블록을 PCR의 각 단계별 온도로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면서 유전자 증폭 튜브 내부에 있는 유전자를 증폭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의 경우 유전자를 유전자 증폭 튜브에 담고, 증폭 후 유전자 추출, 유전자 증폭 튜브 용기 관리 등 번잡한 과정들을 많이 수반하는 바, 보다 간편하고 유전자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 하여 유전자 증폭할 수 있을 뿐더러, 유전자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폭할 유전자를 포함하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하여 유전자 증폭시키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이고, 상부에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배치되고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하부 히터모듈; 유전자 증폭시 상기 하부 히터모듈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히터모듈; 및 전체 유전자 증폭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히터모듈 또는 상부 히터모듈에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는 적어도 1 이상의 압력밸브가 형성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력밸브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형성된 밸브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히터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방열 기판; 및 상기 상부 히터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방열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 방열 기판은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반대방향으로 복수의 방열핀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히터모듈과 제1 방열 기판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모듈과 제2 방열 기판 사이에는 방열 콤파운드가 개재되고, 상기 방열 콤파운드는 내열성을 갖는 점착제, 접착제, 솔더링, 또는 써멀 그리스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열 기판의 하부와 상기 제2 방열 기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공냉 방식의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열 기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거치되는 지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에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테두리 모양과 상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열 기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압 플레이트;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승강블럭;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와 직각을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럭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열 기판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스톱퍼 기둥부재; 상기 스톱퍼 기둥부재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가압 플레이트 하부면 네 모서리에 결합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스톱퍼 기둥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걸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하부 히터모듈 및 상부 히터모듈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나사봉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봉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나사봉의 회전시에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상기 나사봉을 축으로 하여 승강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는 튜브 형태가 아닌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하여, 유전자 증폭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에 비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밸브홀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홀을 막음으로써 미세채널의 유로를 폐쇄시켜 샘플 유체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홀을 막는 밸브를 상부 히터모듈에 형성시킴으로써 본 장치에서의 유전자 증폭시 샘플 유체가 증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가압 플레이트를 통해 상부 히터모듈을 2차적으로 가압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특히 가압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가 탄력적으로 가변하게 함으로써 상하부 히터모듈이 보다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는 바, 보다 유전자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에서 하부 히터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에서 상부 히터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에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의 높이조절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유전자'는 검사 내지 진단 대상이 되는 타겟핵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목적에 따라서 DNA, RNA,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전자 증폭 방법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반응)일 수 있다. PCR은 DNA 사슬 중에서 목적하는 일부를 대량으로 증폭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는 열변성(denaturation), 결합(annealing) 및 신장(elongation)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는 각각 다른 온도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3 단계 중 두 개의 단계가 동일한 온도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유전자 증폭 장치는 이러한 PCR의 각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온도순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단계가 수행되는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테면, PCR 방법은 DNA 주형을 대략 95℃ 가량의 고온에서 열변성시킨 후, 변성된 단일가닥 DNA에 프라이머를 보다 낮은 온도(대략 50~65℃)에서 결합시킨 후, 폴리머라제가 적정 온도(대략 72~75℃)에서 프라이머로부터 DNA를 합성해 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PCR 방법은 공지의 것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는 종래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과는 달리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하여 유전자 증폭이 가능하므로, 상기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에 비해 간편하고 유전자 증폭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은 미세채널(11)이 형성된 중간 기판과, 상기 중간 기판의 상하부에 접합되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을 평면도로 도시하였고, 상기 기판들이 구분되어 도시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상기 기판들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투명성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가 반드시 투명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나, 투명성을 가질 경우 샘플 유체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미세채널(11)은 직선 또는 곡선 패턴(나선형, 서펜틴형, 지그재그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패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미세채널(11)의 형성은 레이저 컷팅, 컷팅 플로터 가공, 컷팅 프린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세부적인 내용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사항인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미세채널(11)의 폭(width)이나 깊이(depth)는 특정되지 않으며 마이크로미터급 내지 밀리미터급의 폭 및/또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에는 진단 대상 샘플 유체가 주입되는 샘플 주입구(미표기) 및 샘플 배출구(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샘플 유체는 상기 샘플 주입구를 통해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 내부에 주입되어 미세채널(11)을 따라 흐르고 다시 상기 샘플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샘플 주입구 및 샘플 배출구는 기계적 천공, 레이저 천공, 화학적 에칭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세부적인 내용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사항인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에는 미세채널(11)의 중간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밸브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홀(12)은 유전자 증폭 과정에서 샘플 유체의 증발을 막기 위해 미세채널(11)을 폐쇄시키기 위해 물리적 형태의 밸브(미도시)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밸브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미세채널(11)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가 원통형인 경우에 밸브홀(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형태의 밸브는 밸브홀(12)을 막을 수 있는 필름 형태일 수도 있다(예컨대 밀봉 테이프). 이 경우 밸브홀(12)은 밸브 외형에 상응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채널(11)의 설계에 따라 밸브홀(12)의 위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밸브홀(12)의 형성 위치, 형태 및 개수 등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도 1에서와 같이 밸브홀(12)이 미세채널(11)의 중앙부 모서리 부근에 2개씩 한 쌍을 이루어 총 8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밸브홀(12)의 폭(width) 및 깊이(depth) 역시 특정되지 않으며, 다만 미세채널(11)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미세채널(11)의 폭 및 깊이보다 소정 정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밸브홀(12)의 폭 및 깊이는 미세채널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하부 히터모듈(11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상부 히터모듈(12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상술한 것과 같은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 도 1 참고)을 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포함되는 유전자를 PCR 방법을 통해 증폭시키는 기능을 한다.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 히터모듈(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배치되고, 유전자 증폭시에는 상부 히터모듈(120)이 하부 히어모듈(110)의 상부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상부 히터모듈(120)은 하부 히터모듈(110)의 상부 공간에 하부 히터모듈(110)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평상시에 하부 히터모듈(110) 및 상부 히터모듈(120)은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으나, 유전자 증폭시에는 상부 히터모듈(120)이 하강하여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밀착됨으로써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상부 히터모듈(120) 및 하부 히터모듈(110) 사이에 게재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상하부 히터모듈(110,120)을 통해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부 히터모듈(110) 및 상부 히터모듈(12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히터모듈(120)의 승강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히터모듈(110)은 히터(미도시) 및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구동 동안의 온도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가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 되고, 특정 종류의 열원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열원 수단의 예로는 접촉식으로는 펠티어 소자와 같은 열전 소자, 저항열을 이용하는 히터 등이 있으며, 비접촉식으로는 근적외선, 원적외선, 열풍, 마그네트론 등이 있다. 여기에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은 열원 수단과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접촉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체 유전자 증폭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히터모듈들을 구동시키거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등과 같은 유전자 증폭을 위한 온도 제어, PCR 각 단계에서의 처리 시간 제어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유전자 증폭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가공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단말 등과 통신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시한 기능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유전자 증폭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전자적 제어가 필요한 모든 부분들은 제어부(130)에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30)는 전자제어회로와, 제어를 위해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유전자 증폭 진행 프로세스, 결과 및 제어 내용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와, 제어내용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액정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디스플레이를 채용 가능하다. 조작부(132) 역시 버튼식, 터치식 등으로 공지의 입력수단을 채용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은 제어부(1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는 일측면에 디스플레이부(131) 및 조작부(132)가 배치될 수 있으나, 제어부(130)의 형태 및/또는 하우징의 형태가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조작부(132)를 통해 진단하고자 하는 샘플 유체에 따른 PCR 온도, 시간 등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31)를 통해 PCR 세팅값을 확인하고, PCR이 진행됨에 따른 온도, 시간 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하부 히터모듈(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방열 기판(140)과, 상부 히터모듈(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방열 기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식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방열 기판(140) 및 제2 방열 기판(150)은 유전자 증폭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기본 형태로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2 방열 기판(140,15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의 예로는 알루미늄, 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1,2 방열 기판(140,150)과 상하부 히터모듈들(110,120) 사이에는 방열 콤파운드가 개재되어 방열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콤파운드의 예로는 내열성을 갖는 점착제, 접착제, 솔더링, 써멀 그리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2 방열 기판(140,150)은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반대방향으로 복수의 방열핀(141,151)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핀(141,151)은 방열면적을 크게하는 효과가 있는 바,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냉각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단(160)은 유전자 증폭시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낮추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PCR 방법에 따른 유전자 증폭에서는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온도 범위가 상이하므로, 온도를 올리거나 낮추는 것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바, 이러한 냉각수단을 통해 온도 변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냉각수단(160)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방열 기판(140)의 하부와 제2 방열 기판(15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식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냉각수단(160)은 공냉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쿨링팬 등 일 수 있다.
한편 제1 방열 기판(140)의 하부에 냉각수단(160)을 설치하고 구동시키기 위해, 제1 방열 기판(140)은 지지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상기 지지대는 제어부(130)가 설치된 하우징의 상부면에 해당하며, 일단부가 상기 상부면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제1 방열 기판(140)의 네 모서리와 결합하는(볼트 결합 등) 기둥(미표기)을 통해 제1 방열 기판(140)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거치되는 지그(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142)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안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방열 기판(14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식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열 기판(140)의 상부면에는 'ㄷ'자 형태의 지그(14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그(142)의 중앙부에 하부 히터모듈(110)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지그(142)에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테두리 모양과 상응하는 홈(14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상기 홈(142a)에 안치됨으로써 지정된 위치에 안치되는 효과가 있다. 지그(142)는 유전자 증폭시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 방열 기판(140)과 동일한 소재(예컨대, 알루미늄, 철 등)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히터모듈(110) 또는 상부 히터모듈(120)에는 적어도 1 이상의 압력밸브(121)가 형성될 수 있다. 압력밸브(121)는 유전자 증폭 과정에서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 내부의 샘플 유체 증발을 막기 위해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형성된 미세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압력밸브(121)가 상부 히터모듈(120)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시된 도면 또한 그러하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의 미세채널(11)의 중간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밸브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홀(12)은 미세채널(11)의 폐쇄를 위해 물리적 형태의 밸브가 삽입되는 곳인데, 여기에서 상기 물리적 형태의 밸브가 상부 히터모듈(120)에 형성된 압력밸브(121)일 수 있다. 압력밸브(121)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이 하부 히터모듈(110) 상에 배치되었을 때,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에 형성된 밸브홀(1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히터모듈(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밸브(121)의 형태는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압력밸브(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밸브(121)의 폭 및 깊이는 특정되지 않으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의 밸브홀(12)이 갖는 폭 및 깊이와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력밸브(121)의 개수 역시 특정되지 않으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밸브홀과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1의 밸브홀(12)이 미세채널(11)의 중앙부 모서리 부근에 2개씩 한 쌍을 이루어 총 8개가 형성되어 있는 바, 도 4의 압력밸브(121) 역시 이와 상응하는 위치에 총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밸브(121)는 유전자 증폭시 상부 히터모듈(120)이 하강하여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밀착되었을 때, 하부 히터모듈(110) 및 상부 히터모듈(120) 사이에 개재된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10)에 형성된 밸브홀(12)에 삽입됨으로써 유전자 증폭시 발생 가능한 샘플 유체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샘플 유체의 증발이 방지됨에 따라, 유전자 증폭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부 히터모듈(120)의 승강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에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가압 플레이트(170), 승강블럭(181) 및 높이조절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70)는 제2 방열 기판(150)의 상부에 간격을 두어 결합된다. 이 때, 상기간격에는 제2 방열 기판(150)의 상부에 결합된 냉각수단(160)이 위치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70)와 제2 방열 기판(150)의 결합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가압 플레이트(170)의 일측부에는 승강블럭(181)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식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블럭(181)은 도 5에서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블럭(181)은 가압 플레이트(170)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럭(181)의 앞면은 가압 플레이트(170)의 일측부와 결합되고, 승강블럭(181)의 뒷면은 높이조절부(180)와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80)는 가압 플레이트(170)와 직각을 이루어 설치되고, 승강블럭(181)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부(180)는 승강블럭(181)이 연결되는 가이드바(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승강블럭(181)이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은 모터 등을 이용한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블럭(181)은 가압 플레이트(170)와 결합되어 있고, 가압 플레이트(170)는 제2 방열기판(150)과 결합되어 있고, 제2 방열기판(150)의 하부면에는 상부 히터모듈(12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강블럭(181)이 승강하면 상부 히터모듈(120)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유전자 증폭시 상부 히터모듈(120)을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밀착시키기 위해 승강블럭(181)을 하강시키면, 상부 히터모듈(120)이 함께 하강함으로써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증폭이 종료되거나 필요에 따라 승강블럭(181)을 상승시키면, 상부 히터모듈(120)이 함께 상승함으로써 하부 히터모듈(110)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하부 히터모듈(110) 및 상부 히터모듈(120)이 밀착된 상태에서, 양 챔버의 보다 정밀하고 균일한 접촉을 위하여 2차적으로 상부 히터모듈(120)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가압 플레이트(170)와 제2 방열 기판(150)의 결합 구성에 대해 기재하도록 한다.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제2 방열 기판(150)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스톱퍼 기둥부재(152)와, 스톱퍼 기둥부재(152)에 일부가 수용되며 가압 플레이트(170)의 네 모서리에 결합되는 기둥부재(171)와, 기둥부재(171)를 수용하며 스톱퍼 기둥부재(152)의 상단부에서 제2 방열 기판(150)의 하부면에 걸쳐 설치되는 탄성 부재(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 기둥부재(1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열 기판(150)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는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식 결합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톱퍼 기둥부재(152)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톱퍼 기둥부재(152)의 내부로 기둥부재(171)가 삽입될 수 있다.
기둥부재(171)는 가압 플레이트(170)의 하부면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는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식 결합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둥부재(171)는 스톱퍼 기둥부재(152)와 상응하도록 배치되며, 기둥부재(171)는 스톱퍼 기둥부재(152)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탄성 부재(172)는 예컨대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기둥부재(152)를 수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172)는 스톱퍼 기둥부재(152)의 상단부에서 가압 플레이트(170)의 하부면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72)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170)가 지지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70)가 하강하면 탄성 부재(172)는 압축되며, 상기 압축은 가압 플레이트(170)가 스톱퍼 기둥부재(152)의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압 플레이트(170)의 하강을 위하여,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는 가압 플레이트(170)를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수단(190)은 가압 플레이트(170)를 하방향으로 가압시켜 가압 플레이트(170)와 연결된 상부 히터모듈(120)을하부 히터모듈(110)에 보다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가압 플레이트(17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탄성 부재(172)는 압축 정도가 탄력적으로 가변함으로써, 상부 히터모듈(120)과 하부 히터모듈(110)이 보다 균일한 접촉을 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 히터모듈(120)이 하강하여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밀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모든 면에 대해서 균일하게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부분적으로 미세한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부분적 이격을 줄이기 위해 가압 플레이트(170)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가압 플레이트(170)의 네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172)가 압축된다. 이 때, 하부 히터모듈(110),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 및 상부 히터모듈(120)의 접촉면들의 이격 정도에 따라 탄성 부재(172)의 압축 정도는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접촉면들의 이격 정도가 큰 곳에 상응하는 탄성 부재(172)는 보다 압축 정도가 클 것이고, 상기 접촉면들의 이격 정도가 작은 곳에 상응하는 탄성 부재(172)는 보다 압축 정도가 작게 된다. 이렇듯 탄성 부재(172)들의 압축 정도가 탄력적으로 가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부 히터모듈(110),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 및 상부 히터모듈(120)의 보다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수단(190)은 가압 플레이트(170)를 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면 되고,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단(190)은 가압 플레이트(17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봉(191)과, 지지봉(191)을 가이드하며 높이조절부(180)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판(192)과, 가이드판(192) 상부에 배치되어 가압 플레이트(170)를 가압 구동시키는 구동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93)는 모터(193a)와, 모터(193a)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가압플레이트(170)와 결합하는 나사봉(19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나사봉(193b)은 가압 플레이트(170)를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봉(193b)이 회전하면 가압 플레이트(170)가 나사봉(193b)을 축으로 해서 승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의 높이조절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100)의 높이조절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한 후 유전자 증폭을 위해서 상부 히터모듈(1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부 히터모듈(120)의 하강은 높이조절부(180)를 구동시킬 때 높이조절부(180)에 연결된 승강블럭(181)이 하강함에 따라 승강블럭(181)에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170), 가압 플레이트(170)에 연결된 제2 방열 기판(150)이 함께 하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구동부(193)를 이루는 모터(193a)가 회전하여 모터(193a)의 회전축과 연결된 나사봉(193b)이 회전함으로써 가압 플레이트(170)의 하강을 보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히터모듈(110) 상부에 상부 히터모듈(120)이 밀착한 후,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이격 공간을 없애기 위해 구동부(193)를 이루는 모터(193a)가 2차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봉(193b)의 회전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170)는 추가적으로 하강한다. 가압 플레이트(170)가 하강함에 따라 탄성 부재(172)가 압축하게 되며, 가압 플레이트(170)의 하강은 가압 플레이트(170)가 스톱퍼 기둥부재(152)의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는 시점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하부 히터모듈(110),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 및 상부 히터모듈(120)의 접촉면들의 이격 정도에 따라 탄성 부재(172)의 압축 정도가 탄력적으로 가변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부 히터모듈(110),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 및 상부 히터모듈(120)의 보다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는 튜브 형태가 아닌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하여, 유전자 증폭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튜브 기반의 유전자 증폭 시스템에 비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밸브홀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홀을 막음으로써 미세채널의 유로를 폐쇄시켜 샘플 유체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홀을 막는 밸브를 상부 히터모듈에 형성시킴으로써 본 장치에서의 유전자 증폭시 샘플 유체가 증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가압 플레이트를 통해 상부 히터모듈을 2차적으로 가압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특히 가압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가 탄력적으로 가변하게 함으로써 상하부 히터모듈이 보다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는 바, 보다 유전자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 11: 미세채널
12: 밸브홀 100: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110: 상부 히터모듈 120: 상부 히터모듈
121: 압력밸브 130: 제어부
131: 디스플레이부 132: 조작부
140: 제1 방열기판 141,151: 방열핀
150: 제2 방열기판 160: 냉각수단
152: 스톱퍼 기둥부재 170: 가압 플레이트
171: 기둥부재 172: 탄성부재
180: 높이조절부 181: 승강블럭
190: 가압수단

Claims (10)

  1. 증폭할 유전자를 포함하는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을 탑재하여 유전자 증폭시키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이고,
    상부에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배치되고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하부 히터모듈;
    상기 하부 히터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방열 기판;
    유전자 증폭시 상기 하부 히터모듈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히터모듈;
    상기 상부 히터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방열 기판;
    상기 제1 방열 기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이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테두리 모양과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지그; 및
    전체 유전자 증폭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방열 기판은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반대방향으로 복수의 방열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히터모듈 또는 상부 히터모듈에는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는 적어도 1 이상의 압력밸브가 형성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밸브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필름형 유전자 증폭칩에 형성된 밸브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히터모듈과 제1 방열 기판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모듈과 제2 방열 기판 사이에는 방열 콤파운드가 개재되고, 상기 방열 콤파운드는 내열성을 갖는 점착제, 접착제, 솔더링, 또는 써멀 그리스인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기판의 하부와 상기 제2 방열 기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공냉 방식의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 기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압 플레이트;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승강블럭;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와 직각을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럭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 기판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스톱퍼 기둥부재;
    상기 스톱퍼 기둥부재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가압 플레이트 하부면 네 모서리에 결합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스톱퍼 기둥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걸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하부 히터모듈 및 상부 히터모듈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나사봉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봉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나사봉의 회전시에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상기 나사봉을 축으로 하여 승강 가능한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KR1020150138412A 2015-10-01 2015-10-01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KR10170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12A KR101707456B1 (ko) 2015-10-01 2015-10-01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12A KR101707456B1 (ko) 2015-10-01 2015-10-01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56B1 true KR101707456B1 (ko) 2017-02-17

Family

ID=5826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12A KR101707456B1 (ko) 2015-10-01 2015-10-01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968B1 (ko) 2018-05-30 2018-08-27 티엔에스(주) 하이브리드 유전자칩
KR101891558B1 (ko) 2018-06-15 2018-08-27 티엔에스(주) 하이브리드 유전자칩용 유전자 분석 장치
KR101911021B1 (ko) 2017-02-27 2018-10-25 한국과학기술원 필름기반 통합칩 및 이의 핵산 검출 방법
KR102166494B1 (ko) * 2019-05-27 2020-10-15 김은근 Pcr 장치
KR20230025573A (ko) * 2021-08-12 2023-02-22 주식회사 아리젠 Pcr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5350A (ja) * 1997-03-03 2001-09-18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ミネソタ アルミナプレートを使用する熱サイクル又は温度制御装置
WO2008034896A2 (en) * 2006-09-22 2008-03-27 Eppendorf Array Technologies S.A.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 plurality of biological (micro)organisms or their components
JP4930872B2 (ja) * 2006-03-16 2012-05-16 秋田県 核酸検出システム及び核酸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5350A (ja) * 1997-03-03 2001-09-18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ミネソタ アルミナプレートを使用する熱サイクル又は温度制御装置
JP4930872B2 (ja) * 2006-03-16 2012-05-16 秋田県 核酸検出システム及び核酸検出方法
WO2008034896A2 (en) * 2006-09-22 2008-03-27 Eppendorf Array Technologies S.A.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 plurality of biological (micro)organisms or their componen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21B1 (ko) 2017-02-27 2018-10-25 한국과학기술원 필름기반 통합칩 및 이의 핵산 검출 방법
KR101891968B1 (ko) 2018-05-30 2018-08-27 티엔에스(주) 하이브리드 유전자칩
KR101891558B1 (ko) 2018-06-15 2018-08-27 티엔에스(주) 하이브리드 유전자칩용 유전자 분석 장치
KR102166494B1 (ko) * 2019-05-27 2020-10-15 김은근 Pcr 장치
WO2020242189A1 (ko) * 2019-05-27 2020-12-03 김은근 Pcr 장치
KR20230025573A (ko) * 2021-08-12 2023-02-22 주식회사 아리젠 Pcr 장치
KR102543705B1 (ko) 2021-08-12 2023-06-15 퓨쳐이엔지 주식회사 Pcr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56B1 (ko) 필름 기반 유전자 증폭 장치
US20210121887A1 (en) Heater unit for microfluidic diagnostic system
US20240076724A1 (en) Automated Method For Performing An Assay
US20240033733A1 (en) Fluidic Test Cassette
US1010684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rmally-mediated chemical reactions
US7666664B2 (en) Instrument for heating and cooling
EP1539920B1 (en) Sample b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microcard on a sample block
US8828712B2 (en) Genetic detection and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gene reactor, and incubator
EP2520667A1 (en) Cooling in a thermal cycler using heat pipes
US91685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st PCR heating
US20170266667A1 (en) Thermal Cycler With Optimized Sample Holder Geometry
US20140302562A1 (en) Fast pcr heating
US10315198B2 (en) Clamp for fast PCR heating
CN109957506B (zh) 通过试剂容器以热对流进行定量聚合酶链式反应的装置
CN115672417A (zh) 数字微流控装置及其驱动方法
US20020192806A1 (en) Thermal and fluidic cycling device for nucleic acid hybridization
TW200925605A (en) Separate-reaction-field jig and reaction-chip processor with this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