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5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59B1
KR101706959B1 KR1020127005209A KR20127005209A KR101706959B1 KR 101706959 B1 KR101706959 B1 KR 101706959B1 KR 1020127005209 A KR1020127005209 A KR 1020127005209A KR 20127005209 A KR20127005209 A KR 20127005209A KR 101706959 B1 KR101706959 B1 KR 101706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ode
terminal
data
base s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245A (ko
Inventor
권영현
드라간 뷔시
문성호
한승희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은 채널 상태에 따라 단말의 전송 모드를 최적화해야 스펙트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채널 상태에 따라 단말의 전송 모드를 최적화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
첫 번째는 초기 접속 과정이다.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기다린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임의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디폴트 요청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코딩한다. 즉, 초기 접속 과정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의 구성이나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단말은 디폴트 전송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단말은 채널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전송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주파수 이득 또는 다이버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두 번째는 넌스케줄드 전송(non-scheduled transmission)이다. 넌스케줄드 전송은 레이턴시가 낮은 전송 또는 단말 액티브 시간이 짧은 동작에서 사용된다. 넌스케줄드 전송 과정에서도 기지국이 단말의 구성이나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단말은 디폴트 전송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초기 접속 과정과 넌스케줄드 전송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구성 및 채널 특성을 알 수 없다. 그러나, 단말은 채널 특성을 알 수 있고, 채널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과 같이, 초기 접속 과정과 넌스케줄드 전송에서 단말이 채널 상황과 무관하게 디폴트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자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기계 통신 시에 시스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채널 상황에 따라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의 컨스텔레이션 위상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게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지기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고, 상기 자원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단말은 채널 상황에 따라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이 최적의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전송 모드를 기지국에게 알려줌으로써 스펙트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접속 과정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이동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2 802.16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2 802.16 시스템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자원 구조에 대해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 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이하 "TTI"라 함)이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ms이고 하나의 슬롯은 0.5 ms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OFDM(orthogh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기간으로 불리울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순환 전치(cyclic prefix, 이하 "CP"라함)의 길이에 따라 7개 또는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시스템에는 일반 CP(normal CP)와 확장된 CP(extened CP)가 있다. 일반 C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은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확장된 C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은 6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된 CP는 딜레이 스프레드(delay spread)가 큰 경우에 사용된다.
도 2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하나의 슬롯이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는 하나의 OFDM 심볼과 하나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이루어진 자원 영역이고,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복수의 OFDM 심볼과 복수의 부반송파로 이루어진 자원 영역이다. 예를 들어,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이 포함하는 자원 블록의 개수는 하향링크 대역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단말이 채널 상황이나 단말 버퍼 상태에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택하면, 기지국이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전송 모드를 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단말이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3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전송 자원의 일부 심볼에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매핑하는 방법이다. 즉,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심볼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나 심볼 펑처링(puncturing)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는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변동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가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말이 한번의 시도로 전송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가 변동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송 모드 지시자는 고정 정보와 변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정보는 MIMO 전송 인덱스이고, 변동 정보는 프리코딩 행렬, 랭크 정보, 타이밍 조정(adfustment) 등과 같은 전송 관련 정보일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위상 회전이나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 재정렬과 같이 심볼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는 컨스텔레이션 위상 또는 재정렬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컨스텔레이션 위상은 전송 모드에 따라 변할 수 있고, 기지국은 컨스텔레이션 위상에 따라 전송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채널 부호화는 컨스텔레이션의 구조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즉, QPSK, 16QAM, 64QAM 등에 대한 채널 코딩은 특정한 포맷 및 파라미터로 구성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은 컨스텔레이션만을 검출하고도 채널 부호화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은 위상 부호 변화나 컨스텔레이션 재정렬 같은 것은 사용하지 않고도 전송 모드를 기지국이 검출할 수 있는 형태다. 하지만 같은 컨스텔레이션에서 서로 다른 채널 부호화 형태를 사용할 수는 없다.
세 번째 방법은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이하 "DM-RS"라 함)를 이용하여 전송 모드를 지시하는 방법이다.
DM-RS의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를 이용하여 전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M 개의 사이클릭 시프트가 있고, 하나의 DM-RS를 사용한다면 M 개의 전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단말은 전송 모드에 따라 DM-RS를 사이클릭 시프트시켜서 전송하면, 기지국은 DM-RS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에 따라 전송 모드를 알아낼 수 있다. 다른 예로, M 개의 사이클릭 시프트가 있고, N 개의 DM-RS가 전송된다면 M*(M-1)*...*(M-N+1)/(N*(N-1)*...*1)개의 전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은 DM-RS 사이클릭 시프트 공간의 에너지 감지 과정에 의해 쉽게 전송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DM-RS 심볼이 전송된다면, 단말은 각 OFDM 심볼의 DM-RS들을 다른 위상 이동값으로 위상 이동시켜서 전송 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같은 주파수 대역에 있는 다른 OFDM 심볼의 DM-RS들의 위상 변화를 비교하거나 같은 OFDM 심볼에 있는 다른 주파수 위치의 DM-RS들의 위상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감지한 전송 모드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32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접속 과정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접속 과정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초기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서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은 할당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전송한다.
단말이 넌스케줄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넌스케줄드 전송용으로 할당되어 있는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전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이때, 전송 모드들 각각을 나타내는 프리앰블이 미리 정의되어 있으면, 단말은 단말의 전송 모드에 따라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한다. 또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루트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등과 같은 임의 접속 물리 자원이 전송 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나, 프리앰블 또는 물리 자원으로 정확한 전송 모드를 나타내기는 힘들다. 따라서, 단말은 프리앰블 또는 물리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의 전송 모드가 종래 단말과 다르다는 것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단말은 프리앰블 또는 물리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의 전송모드가 디폴드 모드가 아님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TE-A 단말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LTE-A 단말은 임의 접속 과정 및 전송 포맷이 LTE 단말과 다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비록 LTE-A 단말의 정확한 전송 모드는 알지 못하더라도 LTE 단말과 다른 LTE-A 단말의 전송 신호 포맷을 수신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LTE-A 단말에게 종래와 다른 형태의 임의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임의 접속 응답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포맷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상샹링크 자원 할당에 관한 그랜트(grant) 메시지를 방송한다(S510). 이때, 그랜트 메시지는 전송 모드 세트를 포함한다.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그랜트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모드 세트 중에서 채널 상황에 따라 전송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전송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S520), 수신된 데이터를 블라인드 디코딩한다(S530).
초기 접속 과정에서는 임의 접속 응답이 위에서 설명한 그랜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위에서 설명한 그랜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응답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때, 자원 할당 정보는 물리 자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랜트 메시지의 자원 할당 필드는 종래의 그랜트 메시지와 동일할 수도 있고, 홉핑 지시자(hopping indication)가 없는 분산된 자원 할당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해당 비트는 다른 용도(예: 전송 모드 지시자)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레이턴시가 낮은 전송의 경우에는 적응적인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적응적인 전송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전송 스타일이 미리 정의되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의 홉핑 시퀀스가 고정적으로 정의되거나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가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못한데, 기지국이 이 상황을 모르는 경우에 단말이 데이터를 재전송할 때 상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를 홉핑하며 사용하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즉, 주어진 개수의 상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단말은 홉핑 시퀀스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한다. 이때, 후보 상향링크 콤포넌트 캐리어는 고정된 오프셋에 따라 고정적으로 정의 될 수도 있고, 그랜트 메시지를 통해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이동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단말(AMS) 및 기지국(ABS)은 정보, 데이터, 신호 및/또는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600, 610),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Tx module, 640, 650),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Rx module, 660, 670), 기지국과의 통신과 관련된 정보 들을 저장하는 메모리(680, 690) 및 송신모듈, 수신모듈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620, 630)를 각각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은 팸토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안테나(600, 610)는 전송모듈(640, 65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모듈(660, 6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안테나(MIMO)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620, 63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 또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 630)는 다양한 메시지들의 암호화를 제어할 수 있는 암호화 모듈 및 다양한 메시지들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타이머 모듈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단말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프로세서(620)는 수시된 전송 모드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초기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기지국의 프로세서(620)는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한다.
단말의 프로세서(630)는 채널 상황에 따라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단말이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전송 자원의 일부 심볼에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매핑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위상 회전이나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 재정렬과 같이 심볼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이고, 세 번째 방법은 DM-RS를 이용하여 전송 모드를 지시하는 방법이다.
전송 모듈(640, 650)은 프로세서로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600, 610)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의 전송 모듈(650)은 단말의 프로세서(630)가 선택한 전송 모드에 따라 단말의 프로세서(630)가 생성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이 초기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전송 모듈(650)은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으면, 할당된 자원을 통해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기지국의 전송 모듈(640)은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수신모듈(660, 670)은 외부에서 안테나(600, 6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620, 630)로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의 수신 모듈(660)은 단말로부터 단말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초기 접속 과정에서는 기지국의 수신 모듈(660)은 단말로부터 초기접속용 프리앰블을 수신한다.
단말의 수신 모듈(670)은 초기 접속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680, 690)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동국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시스템 정보, 스테이션 식별자(STID), 플로우 식별자(FID), 동작 시간(Action Time), 영역할당정보 및 프레임 오프셋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모드는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한 전송 모드인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컨스텔레이션 위상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5. 삭제
  6.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게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 단계;
    채널 상황에 따라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신호를 상기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일부 영역에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컨스텔레이션 위상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삭제
  11. 단말로부터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컨스텔레이션 위상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 수신 모듈;
    채널 상황에 따라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기지국에게 초기 접속용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신호를 상기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일부 영역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컨스텔레이션 위상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 기준 신호의 사이클릭 시프트 값은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7005209A 2009-09-29 2010-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706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654009P 2009-09-29 2009-09-29
US61/246,540 2009-09-29
PCT/KR2010/003966 WO2011040696A1 (ko) 2009-09-29 2010-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245A KR20120085245A (ko) 2012-07-31
KR101706959B1 true KR101706959B1 (ko) 2017-02-27

Family

ID=4382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209A KR101706959B1 (ko) 2009-09-29 2010-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37914B2 (ko)
KR (1) KR101706959B1 (ko)
WO (1) WO2011040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6748B2 (en) * 2012-09-21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Cyclic shift delay detection using signaling
WO2016131475A1 (en) * 2015-02-17 2016-08-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 efficiency
WO2016153130A1 (ko) * 2015-03-23 2016-09-2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9194730A1 (en) * 2018-04-05 2019-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dentification of hybrid arq (harq id) and repetition window for autonomous repeated uplink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6750A1 (en) * 2000-07-25 2002-01-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ink quality determination of a transmission link in an OFDM transmission system
CA2853156C (en) 2000-11-15 2015-03-24 Wi-Lan, Inc. Improved frame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modulation
US20020183010A1 (en) * 2001-06-05 2002-12-05 Catreux Severine 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adaptive channelization and link adaptation
KR100517237B1 (ko) * 2002-12-09 2005-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채널품질 추정과 링크적응 방법 및 그 장치
US8149810B1 (en) * 2003-02-14 2012-04-03 Marvell International Ltd. Data rate adaptation in multiple-in-multiple-out systems
US7376117B2 (en) * 2003-12-02 2008-05-20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rleaving circuit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US20100284359A1 (en) * 2007-12-28 2010-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09084925A1 (en) * 2008-01-03 2009-07-09 Lg Electronics Inc. Frame for flexibly supporting heterogeneous modes and tdd/fdd mode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the same
US8913672B2 (en) * 2008-09-12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ly identifying system waveform in uplink transmission
US8472464B2 (en) * 2008-11-14 2013-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KR101327131B1 (ko) * 2010-02-12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044489B2 (en) * 2010-10-22 2018-08-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nhanced inter-network access node scheduling coordination and signaling support for advanced receiver algorithms
WO2013055128A2 (ko) * 2011-10-11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번들링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te Goldsack, ‘HSUPA Overview’, Agilent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0696A1 (ko) 2011-04-07
KR20120085245A (ko) 2012-07-31
US8937914B2 (en) 2015-01-20
US20120182959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331B2 (en) Power and resource efficient uplink DMRS sequences for IFDMA
US20220030617A1 (en)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using more than one beam pair link
KR1020670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3735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498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833739B2 (en) Reference signal and Tx/Rx precoding for UE multiplexing in NR SS
CN111492694A (zh) 用于独立的nr未许可频谱上的初始接入块的方法和装置
CN109417455B (zh) 下行链路传输的配置
KR102500920B1 (ko) 인터레이싱된 fdm 업링크 dmrs를 위한 시그널링
US11569878B2 (en) PMI feedback for type II CSI feedback in NR-MIMO
EP2777353B1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JP5993238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US20120082119A1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transmission diversity techniq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8942A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124677A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3491770A1 (en) 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pdcch) mapping design
CN110800242A (zh) 多个无线电接入技术共存场景中的共享信道重映射
US11277186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KR1017069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014407A1 (en) Transmission mode arrangement for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ing (tdd)
US11196474B2 (en) Methods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in vehicular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