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11B1 -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11B1
KR101706711B1 KR1020090127631A KR20090127631A KR101706711B1 KR 101706711 B1 KR101706711 B1 KR 101706711B1 KR 1020090127631 A KR1020090127631 A KR 1020090127631A KR 20090127631 A KR20090127631 A KR 20090127631A KR 101706711 B1 KR101706711 B1 KR 10170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financial
information
server
r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156A (ko
Inventor
설우재
이승훈
심기태
윤상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컨대 금융 업무 중 현금자동지급기(ATM),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에서의 송금 또는 자금 이체 등의 다양한 금융 거래를 함에 있어서, 송금인이 수취인의 계좌번호 대신 수취인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 및 이체를 가능하게 하려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금융망에 접속하는 송금인의 이체에 대한 계좌가 관리되는 제1 금융서버; 상기 송금인의 이체가 이루어지는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는 제2 금융서버; 상기 제1 금융서버 및 제2 금융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송금인의 계좌관련정보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처리하는 계좌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수취인에게 이체 승인 여부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2 금융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수취인의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마이닝부를 포함하는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화번호, 송금, 이체, 콜백

Description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금융 업무 중 현금자동지급기(ATM),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에서 송금 또는 자금 이체 등의 다양한 금융 거래를 함에 있어서, 송금인이 수취인의 계좌번호 대신 수취인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 및 이체를 가능하게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거래에 있어, 현금 서비스, 현금 이체, 서비스 이체 등의 거래는 필수적인 정보 입력, 예컨대 송금인의 계좌 비밀번호,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정보 입력은 해당 거래 은행에서 소정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음에 따른 거래 인증 정보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개인 정보는 은행과의 신규 거래시 고객이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정보이며 고객의 자택 주소, 회사명, 회사 주소, 자택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회사 전화 번호, 주민등록 번호, 생년월일 등의 정보가 이에 해당된다.
제공된 정보는 해당 금융 업체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발급된 신 규 계좌번호와 연동되어 고객과 해당 금융 업체간의 금융 거래시 이용될 뿐 아니라, 개인과 개인 사이의 금융 거래시에도 해당 정보를 토대로 거래의 정확성을 높이게 된다.
근래에 와서는 송금, 계좌 이체 등의 금융 서비스가 휴대폰을 이용한 텔레뱅킹 및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또한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송금인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송금액 및 수취인의 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휴대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입력된 정보는 해당 금융 업체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송금인의 거래 내역을 검색함으로써 송금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된 결과에 따라 수취인의 계좌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수취인의 계좌번호, 예금주 등의 정보를 통해 송금 확인 절차와 더불어 송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송금 방법은 송금인이 은행에 직접 가지 않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쉽게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향후 통신을 통한 금융 거래 시스템의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그 활용도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기존의 송금 방법은 송금인이 해당 은행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에 한해서만 거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 거래에 제약이 뒤따랐다.
또한, 통신망을 이용한 송금 시스템은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포함한 송금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수취인으로부터의 정보 즉 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절차가 번거로워 금융 거래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거래시 송금인이 알고 있는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금융망에 접속하는 송금인의 이체에 대한 계좌가 관리되는 제1 금융서버; 상기 송금인의 이체가 이루어지는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는 제2 금융서버; 상기 제1 금융서버 및 상기 제2 금융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송금인의 계좌관련정보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처리하는 계좌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수취인에게 이체 승인 여부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2 금융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수취인의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마이닝부를 포함하는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는 이체를 원하는 송금인이 금융망에 접속하여 제공한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아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송금인의 이체에 따른 수취 여부를 상기 수취인에게 요청하고, 수취 승인시 수취계좌 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 상기 송금인의 송금 완료 및 상기 수취인의 수취 완료시 상기 송금인과 상기 수취인에게 각각 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처리부; 및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변경시,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취인의 수취계좌와 관련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마이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거래 방법은 이체를 원하는 송금인이 금융망에 접속하여 적어도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송금액을 입력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결과를 상기 송금인에게 공지하여 이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송금인의 이체 승인 후, 상기 수취인에게 수취 여부를 요청하고, 상기 수취 승인시 상기 수취인의 수취계좌관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수취계좌관련정보를 제공받아 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거래 방법은 이체를 원하는 송금인이 금융망에 접속하여 제공한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아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송금인의 이체에 따른 수취 여부를 상기 수취인에게 요청하고, 상기 수취 승인시 수취계좌 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송금인의 송금 완료 및 상기 수취인의 수취 완료시 상기 송금인과 상기 수취인에게 각각 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의 구성 및 방법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알아야 하거나 가상 계좌를 설정하지 않아도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간단하게 수취인의 원하 는 계좌에 자금을 송금 또는 이체할 수 있어 금융 거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바뀌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전 번호와 상관없이 새로운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 또는 이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송금 또는 이체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본인 명의의 실 계좌를 기반으로 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 거래가 편리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금융망에 접속하는 송금인의 이체에 대한 계좌가 관리되는 제1 금융서버(100), 송금인의 이체가 이루어지는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는 제2 금융서버(130), 제1 금융서버(100) 및 제2 금융서버(130)와 접속하여 송금인의 계좌관련정보 및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처리하는 계좌통합관리서버(110), 및 계좌통합관리서버(110)와 접속하여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121), 수취인에게 이체 승인 여부 및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123) 및 제2 금융서버(130)와 접속하여 수취인의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마이닝부(127)로 이루어지는 통신사 서버(12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1 금융서버(100)는 예를 들어 송금인의 계좌가 관리되고 있는 해당 금융사의 서버를 나타낸다. 제1 금융서버(100)는 은행과 같은 제1 금융권, 저축은행과 같은 제2 금융권 및 증권사의 금융 계좌 등을 관리하는 금융사의 서버를 포함하게 되며, 계좌통합관리서버(110)와 서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금융서버(100)는 현금자동지급기(ATM)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 유선상의 인터넷뱅킹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및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이때,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폰뱅킹 및 무선 인터넷뱅킹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 제1 금융서버(100)는 고객, 즉 송금인으로부터 제공된 전화번호,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번호를 통해 송금액의 송금 또는 이체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송금인은 ATM, 인터넷뱅킹, 폰뱅킹시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송금액을 입력하여 송금 및 이체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예컨대 금융결제원의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제1 금융서버(100), 제2 금융서버(130) 및 통신사 서버(120)와 서로 접속하고 있으며, 제1 금융서버(100) 및 제2 금융서버(130)에서 제공된 금융거래 고객들의 계좌번호와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신규 고객이라 하더라도 제1 금융서버(100)에서 제공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이어 통신사 서버(120)와의 연계 하에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수취인으로부터 직접 제공받아 전화번호와 계좌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송금인이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모르고 있다 하더라도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나 새로이 저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송금인이 제1 금융서버(100)에서 수취인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액을 송금 및 이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제1 금융서버(100)로부터 송금인의 이체 승인(혹은 이체 실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고 있는 제2 금융사, 즉 제2 금융서버(130)로 이체를 완료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제2 금융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사 서버(120)(혹은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는 예를 들어 에스케이텔레콤 등의 이동통신사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사 서버(120)는 계좌통합관리서버(110) 및 제2 금융서버(130)와 접속하여 서로 업무적으로 연계하고 있으며, 계좌 통합관리서버(110)에서 제공된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아 그 인증 결과를 계좌통합관리서버(110)에 다시 제공하게 된다. 또한, 통신사 서버(120)는 콜백(call back) 시스템을 통해 수취인에게 송금액의 수취 여부(Y/N) 및/또는 예컨대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의 계좌번호 전송(또는 신용정보 활용)에 동의하는지의 여부를 요청하고, 요청에 동의시 수취계좌관련 정보도 요청하여 해당 결과는 공인인증(결과)과 동시에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공인인증 과정은 예를 들어 수취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저장된 공인인증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통신사 서버(120)는 송금인의 이체 완료 및 수취인의 수취 완료시 송금인에게 송금 또는 이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수취인에게도 수취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더 나아가 통신사 서버(120)는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그 관련정보를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고 있는 해당 은행, 즉 제2 금융서버(130)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위의 내용들에 근거해 볼 때, 통신사 서버(120)는 인증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인증처리부(121), 수취인의 수취계좌관련정보를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123), 송금인 및 수취인에게 송금 및 수취가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처리부(125) 및 수취인의 전화번호 변경시 해당 정보를 수시로 갱신하여 제2 금융서버(130)에 제공하는 데이터 마이닝부(127)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제2 금융서버(130)는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고 있는 금융사 서버로서, 금융결제원의 계좌통합관리서버(110) 및 이동통신사의 통신사 서버(120)와 서로 접속하여 업무를 연계하고 있다. 제2 금융서버(130)는 계좌통합 관리서버(110)로부터 송금인의 이체 신청에 따라 이체가 완료되었음을 통보받게 되고, 통신사 서버(120)를 통해서는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위의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도 1의 송금인의 이체 및 송금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인증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수취계좌정보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메시지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방법은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금인의 이체 또는 송금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송금인이 제1 금융사의 금융망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송금인은 제1 금융사에 마련되어 있는 현금자동지급기나, 집 또는 사무실에 배치된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뱅킹, 또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뱅킹을 통해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송금액을 입력하고, 입력된 관련 정보는 금융결제원의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제공된다.
이어, 도 3에서와 같이 고객인증 과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금융결제원은 계좌통합관리서버(110)를 통해 통신사 서버(120)에 고객인증을 요청하게 된다. 다시 말해,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제1 금융서버(100)에서 제공된 수취인, 즉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수취인 본인과 서로 일치하는지와 관련하여 통신사 서버(120)에 인증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증이 요청되면 통신사 서버(120)는 해당 결과를 계좌통합관리서버(110)에 제공하게 되고,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이를 다시 제1 금융서버(1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인증 결과 송금인이 제공한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수취인과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1 금융서버(100)는 이를 송금인에게 알려 거래를 중단시킬 수 있고, 반면 인증 결과 관련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송금인에게 이를 알리고 이체를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송금인이 이체를 수행하게 되면 제1 금융사는 이에 대한 정보를 다시 금융결제원에 제공하게 된다. 즉, 관련 정보는 제1 금융서버(100)에서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전달된다.
그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수취계좌정보처리 과정이 이루어진다. 통신사 서버(120)는 수취인에게 수취정보를 접수토록 하기 위하여 수취인에게 송금인이 송금을 원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여 이에 대하여 승인할 것인지 아니면 거부할 것인지에 대한 결과를 콜백 문자를 통해 전송한다. 본 단계에 이어서는 추가적으로 수취인의 계좌정보를 예컨대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하거나 그 계좌정보를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는지의 여부도 함께 묻는 콜백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의 해당 결과는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전달되며, 수취 승인 및/또는 계좌정보 전송에 동의시 통신사 서버(120)의 수취계좌정보처리부(123)는 다시 수취계좌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한 다음, 공인인증 단계를 거쳐 그 해당 결과를 금융결제원, 즉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전달하게 된다. 만약 이때 이전에 거래한 정보가 있는 고객이라면 통신사 서버(120)는 해당 은행과 계좌번호를 알리고 해당 계좌로 이체를 원하는지 아니면 다른 계좌로 이체를 원하는지에 대하여 요청하게 된다. 이는 다시 말해 이동전화요금을 계좌이체를 통해 정기적으로 납부하는 수취인의 경우, 최초에 이동통신사에 기 등록되어 있는 납부 계좌를 기본적으로 보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만약 신규 고객 등의 경우에는 수취인이 수취은행을 선택하고 해당 은행의 계좌번호를 입력하며 또한 관련정보를 서버에 저장해도 되는지에 대하여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그 관련 정보는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전달된다. 이때 수취인의 수취계좌관련정보는 통신사 서버(120)에 전송된 후 계좌통합관리서버(110)로 다시 전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수취인의 해당 계좌관련정보를 제공받은 계좌통합관리서버(110)는 송금인의 이체 수행시 금액에 대한 결제를 완료하고 이에 대한 관련정보를 제2 금융서버(130)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체가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사 서버(120)는 메시지처리부(125)를 통해 송금인과 수취인에게 각각 송금완료 메시지와 수취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휴대폰의 경우라면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신사 서버(120)는 데이터 마이닝부(127)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그 변경된 정보를 제2 금융서버(130)로 제공하게 된다. 그 결과, 수취인의 전화번호 변경이 있다 하더라도 송금인이 수취인의 전화번호만으로 수취인의 해당 계좌로 송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송금인의 금융 거래 과정 및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금인은 제1 금융사의 금융망, 바람직하게는 자신이 거래하는 제1 금융사의 ATM, 인터넷뱅킹 또는 모바일뱅킹을 통해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송금액을 입력하게 된다(S700).
이때, 입력된 수취인의 송금액 및 전화번호는 금융결제원의 계좌통합관리서버로 제공되고 계좌통합관리서버는 다시 입력된 전화번호가 수취인의 것인지에 대한 본인인증을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아(S702a) 다시 제1 금융사, 즉 제1 금융서버에 전송한다. 이는 물론 송금인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화면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그 후, 송금인은 수취인 정보를 확인하고, 즉 이체가 가능한지에 대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S702). 예컨대, 이러한 수취인 정보는 수취인의 이름과 성명을 공지하고 위 정보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정보가 일치하면 송금인은 이체를 실행하고 이체가 최종적으로 완료된 후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된 송금 완료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게 된다(S704).
확인 결과 만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송금인은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된 송금이 불가능하다는 실패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S706).
만약 위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면 오류 메시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메시지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데 가령 ATM을 사용하여 송금을 하는 경우에는 ATM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화면이고,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뱅 킹인 경우에는 모니터에 나타나는 화면이 되며, 모바일뱅킹을 통해 ARS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음성메시지가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모바일뱅킹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바일장치의 스크린에 나타나는 화면에 해당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수취인의 대응 및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질적으로 이의 경우에는 수취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취인은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전송받게 된다(S800a). 이때, 문자 메시지는 아무개 송금인이 송금하기를 원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휴대폰번호 송금서비스임을 공지하고 이에 대하여 승인할 것인지 아니면 거부할 것인지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수취인은 이체 승인 여부를 선택하게 된다(S800). 본 단계는 더 나아가서 이체 승인시 수취인의 신용정보 즉 계좌번호를 활용하여 예컨대 금융결제원 등에 제공하는 것에 동의하는지의 여부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거부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송금인에게 알리게 된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송금인의 이체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수취인이 거부하게 되는 경우 송금인은 접속하고 있는 ATM, 인터넷 또는 모바일장치를 통해 수취인이 이체를 거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수취인이 승인하게 되면,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취계좌정보 입력을 요청받아 이에 대한 정보 제공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802). 본 단계는 공인인증 절차 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의 경우에 수취인은 공인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공인인증은 수취인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저장된 공인인증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서도 이미 설명되었지만 통신사는 이동통신요금을 자동이체하기 위한 거래 계좌가 지정되어 있는 고객이라면 해당 계좌를 표시해주고 동일 계좌로 송금받고자 하는지 아니면 다른 계좌를 선택하여 송금받을 것인지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신규 고객 등이라면 수취은행을 선택하고,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 관련 정보를 통신사의 서버에 저장을 해도 무관한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위의 해당 결과는 금융결제원의 계좌통합관리서버 및/또는 제1 금융사의 제1 금융서버로 전송되어 이체가 이루어지게 된다(S802a).
이와는 별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지만, 만약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라면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는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고 있는 제2 금융사의 제2 금융서버에 이를 알려 전화번호를 수정하도록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S802b).
이체 완료 후 수취인은 통신사 서버로부터 송금액의 수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받게 된다(S804). 예컨대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상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금인이 수취인의 전화번호로 송금 또는 이체를 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됨으로써 간편한 금융 거래가 가능하게 되고, 수취인의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바뀐 전화번호를 통해 금융 거래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송금인 및 수취인이 자주 사용하고 있는 실질 계좌를 기반으로 하므로 금융 거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송금인의 이체 및 송금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인증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수취계좌정보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메시지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송금인의 금융 거래 과정 및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수취인의 대응 과정 및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3)

  1. 금융망에 접속하는 송금인의 이체에 대한 계좌가 관리되는 제1 금융서버;
    상기 송금인의 이체가 이루어지는 수취인의 계좌가 관리되는 제2 금융서버;
    상기 제1 및 제2 금융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송금인의 계좌관련정보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처리하는 계좌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수취인에게 이체 승인 여부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2 금융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수취인의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취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2 금융서버로 송신하여 처리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마이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처리부는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도록 계좌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송금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1금융서버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2금융서버와 서로 접속하여 해당 계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수취계좌정보처리부에서 요청된 이체 승인 여부 및 계좌관련정보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제1 금융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금융서버는 상기 이체 승인에 대한 결과를 상기 송금인에게 제공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는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2 금융서버로의 이체 완료 후, 상기 송금인 및 상기 수취인에게 이체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융서버는 상기 송금인이 제공한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송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망은 현금자동지급기(ATM)를 이용한 뱅킹,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6. 송금 또는 이체를 원하는 송금인이 금융망에 접속하여 제공한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아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송금인의 이체에 따른 수취 여부를 상기 수취인에게 요청하고, 수취 승인시 수취계좌 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
    상기 송금인의 송금 완료 및 상기 수취인의 수취 완료시 상기 송금인과 상기 수취인에게 각각 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처리부; 및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변경시,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취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2 금융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수취인의 수취계좌와 관련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마이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처리부는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도록 계좌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송금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1금융서버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2금융서버와 서로 접속하여 해당 계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수취계좌정보처리부에서 요청된 이체 승인 여부 및 계좌관련정보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제1 금융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금융서버는 상기 이체 승인에 대한 결과를 상기 송금인에게 제공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계좌정보처리부에서 요청한 상기 수취인의 수취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송금인의 수취계좌관련정보는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에 제공되며,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수취인의 수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금융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송금인이 상기 제1 금융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한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및 송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금융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에 결과는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제1 금융서버에 제공되어 상기 결과에 따라 상기 송금인이 이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
  11. 삭제
  12. 이체를 원하는 송금인이 금융망에 접속하여 제공한 수취인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아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송금인의 이체에 따른 수취 여부를 상기 수취인에게 요청하고, 상기 수취 승인시 수취계좌 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송금인의 송금 완료 및 상기 수취인의 수취 완료시 상기 송금인과 상기 수취인에게 각각 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거래방법은 상기 수취인의 전화번호 변경시,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취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2 금융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수취인의 수취계좌와 관련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인증처리부는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도록 계좌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송금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1금융서버 및 상기 수취인의 계좌를 관리하는 제2금융서버와 서로 접속하여 해당 계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계좌통합관리서버는 수취계좌정보처리부에서 요청된 이체 승인 여부 및 계좌관련정보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제1 금융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금융서버는 상기 이체 승인에 대한 결과를 상기 송금인에게 제공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거래 방법.
  13. 삭제
KR1020090127631A 2009-12-21 2009-12-21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170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31A KR101706711B1 (ko) 2009-12-21 2009-12-21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31A KR101706711B1 (ko) 2009-12-21 2009-12-21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003A Division KR101803900B1 (ko) 2016-12-06 2016-12-06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56A KR20110071156A (ko) 2011-06-29
KR101706711B1 true KR101706711B1 (ko) 2017-02-27

Family

ID=4440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631A KR101706711B1 (ko) 2009-12-21 2009-12-21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43B1 (ko) 2003-02-18 2006-04-12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전화번호와 계좌잔액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6221434A (ja) 2005-02-10 2006-08-24 Takeshi Yoshihara 金融業務処理システム
KR100885980B1 (ko) * 2008-01-30 2009-03-03 (주)디와이빌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하고 사후 승인으로 수금하는송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098A (ko) * 2004-07-23 2006-01-26 가이아인포넷(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43B1 (ko) 2003-02-18 2006-04-12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전화번호와 계좌잔액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6221434A (ja) 2005-02-10 2006-08-24 Takeshi Yoshihara 金融業務処理システム
KR100885980B1 (ko) * 2008-01-30 2009-03-03 (주)디와이빌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하고 사후 승인으로 수금하는송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56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398B2 (ja) エイリアスを使用したモバイル・ペイメント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286926A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ulti-part alias identifier
US8504450B2 (en) Mobile remittances/payments
US20150073984A1 (en) Atm provided payment process
CN108885747A (zh) 适应性认证处理
US10657503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customer with method of making a payment to a third party using a remote dispensing machine
JP2008533625A (ja) 送金者が受金者から受信した入金要請を承認し、口座振込みを行う口座振込みシステム及びその口座振込み方法
US20140095383A1 (en) System for anonymous funds transfer using adhoc staging accounts
JP2017505960A (ja) 送金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109323A (ko) 자금 이체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5281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인증 및 결제방법
KR20160147015A (ko) 크레딧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6831A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5705A (ko) 관계형 금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977028B1 (ko) 인터넷에 통장의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노출 없이 송금하는 시스템 및 송금 방법
CA2865798A1 (en) Card account identifiers associated with conditions for temporary use
KR101803900B1 (ko)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16378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06711B1 (ko)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1697103B1 (ko) 온라인 등록금 카드 납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3001291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송금 서비스 시스템
KR20130132151A (ko) 수취인 기반의 송금거래 서비스 방법
KR20120132729A (ko) Cms 기능을 이용한 송금 대행 서비스 방법 및 송금 대행 시스템
JP7109717B2 (ja) 送金支援サーバ、送金支援システム、送金支援方法、および送金支援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604656B1 (ko) 자동이체 및 결제 동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