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43B1 -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 Google Patents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343B1
KR101706343B1 KR1020140106104A KR20140106104A KR101706343B1 KR 101706343 B1 KR101706343 B1 KR 101706343B1 KR 1020140106104 A KR1020140106104 A KR 1020140106104A KR 20140106104 A KR20140106104 A KR 20140106104A KR 101706343 B1 KR101706343 B1 KR 10170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configuration
uplink
downlink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0849A (en
Inventor
김진수
정호석
임지성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0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43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according to time elapses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 frame of the signal, Determining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switching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scription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0001]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0002]

본원은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repeater for switching uplink and downlink.

시분할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3GPP LTE/LTE-A TDD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가 스위칭되며,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위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어떤 유형인지 알 필요가 있다. 이 때, 3GPP LTE/LTE-A TDD시스템의 경우, 7가지의 서로 다른 유형의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존재하고, 여기에 각각의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18가지(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와 관련된 10가지와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와 관련된 8가지의 합)의 서로 다른 유형의 스페셜 서브프레임(SSF: Special Subframe) 구조까지 고려하면, 총 126 가지의 서로 다른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In a time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in a 3GPP LTE / LTE-A TDD system, a downlink or an uplink is switch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over time,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for uplink and downlink switching In order to generate a signal,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is most important. In this case, in case of 3GPP LTE / LTE-A TDD system, there are seven different types of time-division frame structures, and there are 18 (related to general periodic prefixes and 10 Considering the different types of special subframes (SSFs) of the eight sums associated with periodic prefix calls, a total of 126 different time-division frame structures may exist.

사용자 단말은 현재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어떤 것인지 알아야 통신이 가능하므로,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셀 전체에 브로드캐스팅하면,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 및 디코딩하여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3년 11월 6일자로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10-2013-0046607호에는 기지국에서 전송한 시스템 정보 블록을 사용자 단말이 수신 및 디코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Since the user terminal needs to know which time-division frame structure currently used by the base station is capable of communication, when the base station broadcast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throughout the cell, the base station receives and decodes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time-division frame structu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gard, a configura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46607 published on Nov. 6, 2013 is such that a user terminal receives and decode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한편,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 중계기 역시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위해 중계기가 사용자 단말과 같이 시스템 정보 블록의 디코딩에 필요한 모든 기능 및 리소스를 갖추도록 한다면, 중계기의 시스템 복잡도는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중계기의 가격 경쟁력 역시 낮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using a repeater, the repeater also needs to know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ase station. However, if the repeater is provided with all the functions and resources necessary for decoding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such as a user terminal, the system complexity of the repeater is increased and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repeater may also be lowered.

본원은 전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계기에서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별도로 수신하거나, 수신한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기지국 신호 자체 특성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without separately receiving the information, And to provide a repeater that can recognize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being used.

또한, 신호로부터 간단하게 파악 가능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알아 내고, 이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possible to find out one or more of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u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hat can be easily grasped from the signal and to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based thereon And provide a repeater.

또한, 신호 내의 업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과, 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을 구분하기 위한 방식을 특정함으로써,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역으로 유추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a repeater capable of inferring the type of a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by specifying a subframe or symbol for an uplink in a signal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subframe or symbol for a downlink .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는 중계기에 의하여 수행되며,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complish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 repeater,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 frame of the signal; Determining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determining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for switching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n uplink and a downlink that includes a step.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further comprises, after said receiving, detecting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said signal, Wherein each of the frames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signal exists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include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of the frame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May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comprises determining, after determining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tha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ymbols of a special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symbol,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at least one symbol,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present in the at least one symbol; determining whether a cyclic prefix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pecial subframe,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determines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based on the determined type of the periodic prefix call.

본원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신호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station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a reference signal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frame of the signal;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a repeater for switching an uplink and a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have.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신호 판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되, 상기 중계기는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and the repeater determines from the signal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는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repeater further comprises a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of the frame, wherein the switching unit is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 And switches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계기에 의하여 수행되며,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in a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frame of the signal; Determining a type of the plurality of types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and switching the uplink and the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one type of the time-division frame structure And can provide a method of switching the uplink and downlink depending on the typ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중계기에서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별도로 수신하거나, 수신한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신호 자체 특성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낮은 복잡도와 저가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can separately receive information for knowing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from the base station or grasp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signal own characteristic without deco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n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and a repeater which enable lower complexity and lower cost production.

또한, 신호로부터 간단하게 파악 가능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알아 내고, 이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ind out one or more of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u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hat can be easily grasped from the signal and to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based thereon You can provide a way and a repeater.

신호 내의 업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과, 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을 구분하기 위하여,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을 특정함으로써,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역으로 유추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By specifying a method of using a reference signal to distinguish a subframe or symbol for an uplink in a signal and a subframe or a symbol for a downlink, a method of inferring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nd a repeater .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 중계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7b, 8a 및 8b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ownlink and an uplink between a base station, a relay, and a user terminal.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fram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ifferent type or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f a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Figs. 7A, 7B,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different types or special sub-frames of a special sub-fram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uplink downlink switching is performed.
10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 중계기(20), 사용자 단말(30) 및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 또는 중계기(2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제어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communication system 1 includes a base station 10, a repeater 20, a user terminal 30, and a user terminal 40. As shown in Fig.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FIG. 1 illustrate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1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erver (not shown)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10 or the repeater 20.

통신 시스템(1)의 일 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이며, 3GPP LTE 시스템은 E-UTM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각각 OFDMA 및 SC-FDMA를 채용할 수 있다. LTE-A(LTE-Advanced) 시스템은 LTE 시스템의 진화이며, LTE 시스템과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은 3GPP TS 릴리즈(Release) 8에 기반한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 각각은 LTE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및 LTE-A TDD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 TDD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원의 통신 시스템(1)은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것일 수도 있다. One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and the 3GPP LTE system is part of an 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TMS) And SC-FDMA can be employed. The LTE-A (LTE-Advanced) system is an evolution of LTE systems and can have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TE systems. In addition, the LTE system may be a system based on 3GPP TS Release 8. Further, each of the LTE system and the LTE-A system may mean an LTE (Time Division Duplex) system and an LTE-A TDD system.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larity, the 3GPP LTE / LTE-A TDD system is mainly described,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It may be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0)은 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11)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지국(1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eNB(evolved Node 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의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10)은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과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ommunication system 1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10. Each base station 10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for a particular geographical area 11, commonly referred to as a cell. The base station 10 generally refers to a fixed point in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and includes an evolved Node 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 Access Network) and the like. The base station 10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nectivity, management, control and resource allo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mobile station,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 wireless modem ), A portable device (Handheld Device), an AT (Access Terminal), and the like.

또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LTE를 지원하는 LTE 단말 또는 LTE와 LTE-A 모두를 지원하는 LTE-A 단말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ls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may be various types of terminals.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be a TV device,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via a network. Here, an example of the TV apparatus includes a smart TV, an IPTV set-top box,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omputer include a notebook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One example of the terminal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smart phon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is an LTE terminal supporting LTE or an LTE-A terminal supporting both LTE and LTE-A.

중계기(Relay, 20)는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기기를 말하며, RN(Relay Node), 리피터(repeater), 중계국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A relay 20 is a device that relays a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terminal 30 and may be referred to as another term such as an RN (Relay Node), a repeater, or an RS.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30) 또는 사용자 단말(40) 각각은 기지국(10)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인지, 아니면 중계기(20)를 통해 통신하는 단말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은 중계기(20)와 통신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중계기 단말(relay UE)이라고 불릴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40)은 기지국(10)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로서, 매크로 단말(macro UE)이라고 불릴 수 있다. Each of the user equipment (UE) 30 or the user equipment 40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equipment 30 is a terminal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10 or a terminal communicating through the repeater 20. Referring to FIG. 1, a user terminal 30 may refer to a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a repeater 20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elay UE.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40 is a terminal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10 and may be called a macro terminal (macro UE).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0)에서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상향링크(Uplink, UL)는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에서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downlink (DL)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0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and uplink (UL)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 or the user terminal 40 ) To the base station 10, as shown in FIG.

도 2는 기지국, 중계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 사이에 중계기(20)가 위치하는 경우, 하향링크는 기지국(10)에서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30)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상향링크는 사용자 단말(30)에서 중계기(20)를 경유하여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ownlink and an uplink between a base station, a relay, and a user terminal. 2, when a repeater 20 is located between a base station 10 and a user terminal 30, a downlink is a communication path from a base station 10 to a user terminal 30 via a repeater 20 And the uplink may mean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 to the base station 10 via the repeater 20.

또한, 백홀(backhaul) 링크는 기지국(10)과 중계기(20) 간의 링크를 의미하고, 백홀 하향링크는 기지국(10)에서 중계기(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백홀 상향링크는 중계기(20)에서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access) 링크는 중계기(20)와 사용자 단말(30) 간의 링크를 의미하고, 액세스 하향링크는 중계기(20)에서 사용자 단말(3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액세스 상향링크는 사용자 단말(30)에서 중계기(20)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도 있다. The backhaul link refers to the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10 and the repeater 20 and the backhaul down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0 to the repeater 20 and the backhaul uplink refers to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20 ) To the base station 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n access link means a link between the repeater 20 and the user terminal 30, an access downlink means a communication from the repeater 20 to the user terminal 30, (30) to the repeater (20).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고, 결정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The repeater 20 determines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terminal 3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Link and downlink can be switched. In other words, the repeater 20 determines a type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terminal 30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the time-division frame structure throug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The uplink and downlink may be switched based on one type.

중계기(20)는 신호 내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20)는 프레임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내지 9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 frame within the signal and determin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t this time,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in the fram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bframes include subframes 0 to 9, and at least one subframe may include subframe 3, subframe 4, subframe 7, and subframe 9. In addition,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signal power is detected in at least one subframe.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고, 검출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The repeater 20 detects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and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based on the detected synchronization signal. At this time,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cludes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것( 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프레임 내 스페셜 서브프레임(SSF, Special Subframe)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The repeater 20 may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SSF)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determining the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t this time, the repeater 20 can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nd the special subframe.

중계기(2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심볼은 심볼 0 내지 심볼 13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the repeater 2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ymbol among the plurality of symbols of the special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The configuration of the subframe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ymbols include symbols 0 to 13, and at least one symbol may include symbol 0,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11.

중계기(20)는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은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및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repeater 2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cyclic prefix (CP) of the plurality of symbols and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based on the type of the determined cyclic prefix call. At this time, the type of the cyclic prefix call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n extended cyclic prefix call type and a normal cyclic prefix call type.

이와 같이, 중계기(20)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별도의 시스템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트랜스페이런트하게(transparently) 기지국(10)이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을 위해 결정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Thus, the repeater 20 can transmit the system information or the control information, which the base station 10 has dec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30, transparently without decoding the system information or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 It is possible to grasp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nd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thereby relay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terminal 30. [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도 1 및 2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20)는 통신부(210), 기준 신호 판단부(230),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 및 스위칭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기(20)의 구성은 도 3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repeater 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ation unit 250, and a switching unit 270. 3 show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at of FIG.

통신부(21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10)의 신호는 기지국(10)에 의해 발생되어, 기지국(10)으로부터 발송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신호는 기지국(10)의 셀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장치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At this tim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may be a signal generated by the base station 10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0. Also, such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ll devices in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10.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기지국(10)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can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 frame of the base station 10 signal. At this time,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If the reference signal power is detected in at least one subframe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지국(10) 신호의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he time division basis)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xistence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frame or subframe of the base station 10 signal The type of frame structure).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기초하여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는 기지국(2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모듈 중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을 위해 필요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을 위해 필요한 모듈의 일 예는 통신부(210), 도 4의 전송부(241), 도 4의 수신부(242) 및 도 4의 메모리(280)이다. The switching unit 270 may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270 generat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nd based on the generated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Lt; / RTI >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a module necessary for switching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mong the modules inside or outside the base station 20, and an example of a module required for switching the uplink and downlink is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transmitting unit 241 of FIG. 4, the receiving unit 242 of FIG. 4, and the memory 280 of FIG.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계기(20)는 통신부(210), 동기 신호 검출부(220), 기준 신호 판단부(230),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 스위칭부(27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역시 도 3과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기(20)의 구성은 도 4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통신부(210), 기준 신호 판단부(230),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 및 스위칭부(270) 각각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3을 통한 각각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repeater 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220, a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ation unit 250, a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ation unit 260 ), A switching unit 270, and a memory 280. FIG. 4 also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ls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FIG. In FIG. 4, description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ation unit 250, and the switching unit 27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Replace it with a description.

통신부(210)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의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210)는 수신부(211) 및 전송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1)는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데이터,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부(212)는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단말(30)로 데이터, 신호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부(211) 및 전송부(212)의 동작은 스위칭부(270)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rame or a radio frame. 4,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211 and a transmitting unit 212. The receiving unit 211 receives data, signals or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10 or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transmitting unit 212 can transmit data, signals or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10 or the user terminal 30 have. The operations of the receiving unit 211 and the transmitting unit 212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270. [

도 5a 내지 5d는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5d의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3GPP LTE/LTE-A 시스템의 TDD(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5A to 5D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frame. The structure of the frame (or radio frame) in FIGS. 5A to 5D may refer to a time division duplex (TDD) frame of the 3GPP LTE / LTE-A syst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a를 참조하면,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인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은 2개의 반 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되며, 반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 ms이고, 반 프레임의 길이는 5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Ts를 기준 단위로 하여, 하나의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307200Ts로, 반 프레임의 길이는 153600Ts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30720Ts로,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15360Ts로 각각 표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A, a frame (or radio frame) is composed of 10 subframes which are subframe 0 to subframe 9, and one subframe is composed of two slots. In addition, a frame (or radio frame) may be composed of two half-frames, and a half-frame may be composed of five sub-frames. 5A, the length of one frame (or radio frame) is 10 ms, the length of a half frame is 5 ms, the length of one subframe is 1 ms, and the length of one slot is 0.5 ms . Referring to FIG. 5A, the length of one frame (or radio frame) is 307200Ts, the length of a half frame is 153600Ts, the length of one subframe is 30720Ts, and one slot Lt; RTI ID = 0.0 > 1560Ts < / RTI >

도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프레임 및 슬롯은 복수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슬롯은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에서 7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고,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CP)에서 6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심볼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를 갖는 서브프레임은 심볼 0 내지 심볼 14인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를 갖는 서브프레임은 심볼 0 내지 심볼 12인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one subframe and a slo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mbols. Referring to FIG. 5C, a slot may be composed of 7 symbols in a normal cyclic prefix (CP), and 6 OFDM symbols in an extended cyclic prefix (CP) . In this case, the symbol may be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 As shown in FIG. 5B, a subframe with a regular periodic prefix call may include 14 OFDM symbols, symbol 0 through symbol 14. On the other hand, a subframe with an extended cyclic prefix call may include 12 OFDM symbols, symbol 0 through symbol 12.

서브프레임은 그 유형에 따라 상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하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SSF, 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만 사용되고, 하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The subframe may be any one of a subframe for uplink, a subframe for downlink, and a special subframe (SSF) according to its type. The subframe for the uplink is used only for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and the subframe for the downlink can be used only for the downlink data transmission.

도 5d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d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보호구간) 및 UpPTS(Uplink Pliot Time Slo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DwPTS는 다운링크를 위해 사용되고, UpPTS는 업링크를 위해 사용되며,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 등에 사용될 수 있고, UpPTS는 기지국(10)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될 수 있고,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5D shows an example of a special sub-frame. Referring to FIG. 5D, the special subframe may include a 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a Guard Period (GP), and an Uplink Pliot Time Slot (UpPTS). At this time, the DwPTS is used for the downlink, the UpPTS is used for the uplink, and the GP can be used as the guard interval for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For example, the DwPTS may be used for initial cell search, synchronization, or channel estimation, and the UpPTS may be used to align the channel estimation at the base station 10 with the uplink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of the UE, and GP may be used betwee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nd can be used as a guard interval for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caused in the uplink due to the multipath delay of the downlink signal.

도 6은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 예를 들어, 시분할 통신 시스템(1)은 7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uplink downlink configuration)들(또는 7가지 유형의 시분할 프레임 구조)을 지원한다. 여기서, D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S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wPTS, GP, UpPTS 각각에 대응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ifferent type or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f a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Referring to FIG. 6, the communication system 1, for example, the time division communication system 1, supports seve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or seven types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s). Here, D represents a downlink subframe, U represents an uplink subframe, and S may represent a special subframe including fields corresponding to DwPTS, GP, and UpPTS as described above.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5는 반드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어야만 하고, 서브프레임 2는 반드시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어야만 하고, 서브프레임 1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이어야만 한다. 반면, 서브프레임 3, 4, 7, 8, 9는 몇몇 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6은 몇몇 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subframe 0, subframe 5 must b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subframe 2 must be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and subframe 1 must be a special subframe. On the other hand, subframes 3, 4, 7, 8, and 9 may be downlink subframes in som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or uplink subframes in other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In addition, subframe 6 may be special subframes in som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or downlink subframes in other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사용자 단말(30)은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된 소정 모듈(예를 들어, 모뎀 모듈)을 통해 기지국(10)에 의해 생성되고,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중계기(20)의 경우 상기 모듈(예를 들어, 모뎀 모듈)을 탑재하고 있지 않는 경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알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해야만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중계기(20)가 별도의 시스템 정보 블록의 수신 및 디코딩 없이 기지국(20)의 신호만으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획득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user terminal 30 is a system information block that is generated by the base station 10 via a predetermined module (e.g., a modem module) included therein or externally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Block can identify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peater 20, if the module (for example, a modem module) is not mount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knowing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Hereinafter, the repeater 20 acquires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only by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20 without receiving and decoding a separate system information bl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기지국(10)의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PSS 검출부(221) 및 SSS 검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기 신호 검출부(220)에 의해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SS는 PSS 검출부(221)의해 검출되고, SSS는 SSS 검출부(222)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220 can detect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 At this tim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include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4,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220 may include a PSS detector 221 and an SSS detector 222. [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2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SS is detected by the PSS detection unit 221, and the SSS is detected by the SSS detection unit 222, < / RTI >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기지국(10)의 신호로부터 주요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기지국(10)이 송신하는 다운링크 신호(예를 들어, 다운링크 3GPP LTE/LTE-A 신호)에는 실제 설정된 대역폭과 상관없이 항상 중앙 대역폭(예를 들어, 중앙 1.4MHz 대역폭) 안에 PSS 신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이러한 PSS신호를 통하여 (또는 PSS 신호화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통하여) 5ms 단위로 기지국(10)과 시간 동기를 얻을 수 있다.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220 can detect a main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A downlink signal (e.g., a downlink 3GPP LTE / LTE-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10 always includes a PSS signal within a central bandwidth (e.g., a center 1.4 MHz bandwidth) .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220 can obtain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 in units of 5 ms through the PSS signal (or through correlation of the PSS signalization).

도 5b를 참조하면,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PSS는 서브프레임 1의 슬롯 2의 세 번째 심볼과 서브프레임 6의 슬롯 12의 세 번째 심볼에 포함될 수 있다. 즉, PSS는 5ms 단위로 전송되며, 이를 통해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5ms 단위로 기지국(10)과 시간 동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PSS가 검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서브프레임 또는 복수의 슬롯 각각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1은 항상 스페셜 서브프레임이며, PSS는 서브프레임 1의 DwPTS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는 반면, 서브프레임 6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PSS는 서브프레임 6의 일부 또는 서브프레임 6의 DwPTS의 일부로서 전송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1, 2 및 6에서 서브프레임 6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이고,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3 내지 5에서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Referring to FIG. 5B, in a time division duplex (TDD) communication system, a PSS may be included in a third symbol of slot 2 of subframe 1 and a third symbol of slot 12 of subframe 6. That is, the PSS is transmitted in units of 5 ms, through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220 can obtain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 in units of 5 ms.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220 can distinguish a plurality of subframes or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a point of time when the PSS is detected. 6, subframe 1 is always a special subframe and PSS can be transmitted as part of the DwPTS of subframe 1 while subframe 6 is a special subframe according to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SS is transmitted as part of the subframe 6 or as part of the DwPTS of the subframe 6. In this regard, as shown in FIG. 6, subframe 6 is a special subframe i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0, 1, 2, and 6, and subframe 6 i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3 through 5 is downlink subframes Frame.

주요 동기 신호는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프레임, 슬롯 및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요 동기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대역폭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대역폭의 중앙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주요 동기 신호는 168개의 셀 그룹 아이디 별로 존재하는 3개의 셀 아이디인 PSI(Physical layer Cell Ident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for synchroniz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ubframe, slot and symbol in the time domain. Also, since the main synchronization signal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hannel bandwidth of the frequency domain, it may be used to identify the center of the channel bandwidth of the frequency domain. In addition, the main synchronization signal may include PSI (Physical layer cell identities), which are three cell IDs that exist for every 168 cell group IDs.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기지국(10)의 신호로부터 이차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이차 동기 신호를 통하여 10 ms 단위로 기지국(10)과의 정확한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 동기를 잡을 수 있으며, 추가로 기지국(10)의 최종 셀 아이디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동기 신호는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168개의 셀 그룹 아이디를 포함하므로, 이차 동기 신호를 통해 10 ms 단위의 정확한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 동기를 잡을 수 있으며, 주요 동기 신호와 이차 동기 신호를 이용하면, 168개의 셀 그룹 아이디와 3개의 셀 아이디의 조합인 504개의 최종 셀 아이디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셀 아이디가 결정되면, 기지국(10)이 하향 통신에서 사용하는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와 기준 신호의 리소스 (Resource) 위치(예를 들어,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심볼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220 can detect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220 can accurately synchronize with the base station 10 in units of 10 ms through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and can further determine the final cell ID of the base station 10. In general,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used for synchronization of a frame (or radio frame), and includes 168 cell group identities, so that a precise frame (or radio frame) synchronization of 10 ms unit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When the main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are used, any one of 504 final cell IDs, which is a combination of 168 cell IDs and 3 cell IDs, can be determined. When the final cell ID is determined,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RS) used for downlink communication and a resource position of the reference signal (e.g., a symbol position including a reference signal) Can be determined.

도 5b를 참조하면,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SSS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의 마지막 심볼 및 서브프레임 5의 슬롯 11의 마지막 심볼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서브프레임 0과 5는 모두 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in a time division duplex (TDD) communication system, the SSS may be included in the last symbol of slot 1 of subframe 0 and the last symbol of slot 11 of subframe 5. At this time, both of subframes 0 and 5 may be subframes for downlink.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기지국(10)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신호 판단부(230)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최종적으로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통상 . 3GPP LTE/LTE-A에서 사용되는 TDD 프레임 구조의 경우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만 기준 신호가 전송이 되므로 10 ms 한 프레임 내의 10개의 서브프레임 위치에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대한 기준 신호의 존재 유무를 사용하여 별도의 시스템 정보 블록 디코딩 없이도 기지국(10)이 사용하고 있는 TDD 프레임 구조의 파악이 가능하다.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can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frame of the base station 10 or not. Specifically,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ing unit 230 can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Referring to FIG. 6, when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signal is a reference to at least one of subframes 0 to 9, which is a plurality of subframes, subframe 3, subframe 4, subframe 7,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ase station 10. Normal . In the TDD frame structure used in 3GPP LTE / LTE-A, since the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only in the subframe in which the downlink signal is transmit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ference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subframe in 10 subframe positions within 10 m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DD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ase station 10 without decoding a separate system information block.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요 동기 신호를 통하여 5ms 단위로 기지국(10)과의 시간 동기가 획득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0, 1 또는 6)의 시작 시점은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시작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ing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ubframe according to whether the reference signal power is detected in at least one subframe. At this time,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 can be obtained in units of 5 ms through the main synchroniza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a frame or a specific subframe (for example, subframe 0, 1 or 6) The starting poi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tart time.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차 동기 신호를 통해 10 ms 단위로 기지국(10)과의 정확한 프레임 동기가 가능하고, 최종 Cell ID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실제로 기지국(10)이 하향 통신에서 사용하는 기준 신호와 기준 신호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기지국(10)이 송신하는 신호에서 기준 신호, 구체적으로, 신호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precise frame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 is possible in units of 10 ms through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final cell ID can be determined. Therefore, the base station 10 actually uses the reference The position of the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can be determined and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can extract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0, specifically, the reference signal in the subframe of the signal.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준 신호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최종적으로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250 determines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a type of a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terminal 30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230 You can decide. At this tim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2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based on the subframe 3, the subframe 4, the subframe 7, and the subframe 9, which are at least one subframe among the subframe 0 to subframe 9, Depending on whether a signal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ase station 10.

도 6을 통해 예시하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지국(10)의 신호의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 모두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6 중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5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르게 예시하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지국(10)의 신호의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및 서브프레임 9에만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6 중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2로 결정할 수 있다. 6,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is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The 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may be determined as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5 i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0 to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6. Alternatively,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er 250 may determine that the reference signal exists only in the subframe 3, subframe 4, and subframe 9 of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The type of structure) may be determined as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2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0 to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6.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신호 또는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심볼은 심볼 0 내지 심볼 13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can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of a signal or a frame (or a radio frame). At this time,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ference signal in at least one symbol among the plurality of symbols of the special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or radio frame)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symbol of the special subfram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ymbols include symbols 0 to 13, and at least one symbol may include symbol 0,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11.

도 7a, 7b, 8a 및 8b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및 7b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CS)의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까지 총 10개로 구분되며,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CS)의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까지 총 8개로 구분될 수 있다. Figs. 7A, 7B,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different types or special sub-frames of a special sub-frame. Referring to FIGS. 7A and 7B, the special subframe is divided into 10 special subframes 0 to 9 in the case of a regular periodic prefix call CS, and in the case of an extended periodic prefix CS, A total of eight sub-frame configurations 0 to a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7 can be distinguished.

도 8a는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9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내 각 심볼이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또는 DwPTS)인지, 상향링크를 위한 심볼 U(또는 UpPTS)인지, 보호구간을 위한 심볼 G(또는 GP)인지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및 심볼 11 각각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및 심볼 11 각각이 D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4가지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된다는 특정을 이용한 것이다.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al subframe structure in a general periodic prefix call. Referring to FIG. 8A, the special subframes 0 to 9 ar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each symbol in the special subframe is a symbol D (or DwPTS) for the downlink, a symbol U (or UpPTS) for the uplink, G (or GP). 8A,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each of the symbols 4 (or 3), 7 (or 6), and 11 of the symbols in the special subframe Determines whether the symbol 4 (or the symbol 3), the symbol 7 (or the symbol 6) and the symbol 11 are each 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determines that the special subframe structure belongs to any one of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e symbol D for the downlink in the special subframe.

일 예로,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4를 포함하는 그룹 2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및 심볼 7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 내지 3, 6 내지 8을 포함하는 그룹 1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both the symbol 4, the symbol 7, and the symbol 11,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in the general periodic prefix call assign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to the group 2 including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4 It can be determined that any one special sub-frame structure is includ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e symbol 4 and the symbol 7,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set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to any one of the groups 1 to 3 included in the special sub- On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can be determined.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를 포함하는 그룹 3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및 5를 포함하는 그룹 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0(또는 심볼 1, 또는 심볼 2)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8, 심볼 9, 심볼 1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그룹 1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 6에 대응하는 그룹 1-1,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2, 7에 대응하는 그룹 1-2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3, 8에 대응하는 그룹 1-3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e symbol 4,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to any one of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group 3 including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9 . As another example,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may include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in group 0 including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0 and 5, if no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both symbol 4, symbol 7,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y one special sub-frame structure. At this time,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symbol 0 (or symbol 1, or symbol 2).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ference signal in at least one of the symbol 8, the symbol 9, and the symbol 10, and transmits the group 1 to the group 1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ub- -1, the group 1-2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ub frame structure 2, 7, and the group 1-3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ub frame structure 3, 8.

도 8b는 확장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7은 스페셜 서브프레임 내 각 심볼이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또는 DwPTS)인지, 상향링크를 위한 심볼 U(또는 UpPTS)인지, 보호구간을 위한 심볼 G(또는 GP)인지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또는 심볼 5) 및 심볼 9 각각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또는 심볼 5) 및 심볼 9 각각이 D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4가지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된다는 특정을 이용한 것이다.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al subframe structure in the extended periodic prefix portion. Referring to FIG. 8B, the special subframe constructions 0 to 7 indicate whether each symbol in the special subframe is a symbol D (or DwPTS) for the downlink, a symbol U (or UpPTS) for the uplink, a symbol G (or GP). Referring to FIG. 8B,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signal in each of symbol 4 (or symbol 3), symbol 7 (or symbol 6 or symbol 5) (Or symbol 3), symbol 7 (or symbol 6 or symbol 5), and symbol 9 are each 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ymbol 4 (or symbol 3) is detected, and determines the special sub- Quot; ". < / RTI >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e symbol D for the downlink in the special subframe.

일 예로, 확장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3을 포함하는 그룹 2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및 심볼 7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 2, 5 및 6을 포함하는 그룹 1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both the symbol 4, the symbol 7, and the symbol 9,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in the extended periodic prefix call assign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to the group 2 including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3 It can be determined that any one special sub-frame structure is includ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e symbol 4 and the symbol 7,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set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to any one of the group 1 including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1, 2, On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can be determined.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을 포함하는 그룹 3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및 4를 포함하는 그룹 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0(또는 심볼 1, 또는 심볼 2)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8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그룹 1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에 대응하는 그룹 1-1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2, 5 및 6에 대응하는 그룹 1-2로 구분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e symbol 4,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as any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group 3 including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7 . As another example, if the reference signal is not detected in both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9,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include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in group 0 including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0 and 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y one special sub-frame structure. At this time,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symbol 0 (or symbol 1, or symbol 2). In addition,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furth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reference signal in the symbol 8 so that the group 1 is divided into the group 1-1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1 and the special sub- And group 1-2 corresponding to " 6 ".

일반적으로, 일반 확장된 전치부호의 사용률이 높으므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또는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빠르게 결정할 수도 있으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주기적 전치부호가 일반(Normal)인지 확장(Extended)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심볼들에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11 (or symbol 0,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11)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may determine whether the periodic prefix is normal or extended and determine whether the periodic prefix is normal or extend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finally.

다시 말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을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및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er 26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yclic prefix of a plurality of symbols to be one of an Extended cyclic prefix type and a Normal cyclic prefix type, The structure of the special sub-fram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일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주기적 전치부호가 일반(Normal)인 경우,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또는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되, 주기적 전치부호가 확장(Extended)인 경우,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또는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the symbol 4, the symbol 7 and the symbol 11 (or the symbol 0, the symbol 4, the symbol 7, and the symbol 11) when the periodic prefix is normal,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9 (or symbol 0, symbol 4, symbol 7, and symbol 9) when the cyclic prefix is extended, and determines the special sub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and determine the special sub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

이와 같이, SSF의 경우에도 RS 신호의 특정 시간적 위치에서의 RS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여 10개의 SSF 프레임 구조를 4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결정 하는 것이 가능하다. RS 존재 유무는 RS 코드와의 Correlation을 통하여 판단 가능하며, 10가지 SFF 구성을 RS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다만, 3GPP LTE/LTE-A의 RS는 매 OFDM 심볼마다 전송되지 않으므로(예를 들어,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과 GP에서는 RS가 전송되지 않음), OFDM Symbol 단위로 설정되는 모든 SSF 종류를 RS만 가지고 추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앞서 설명된 4가지(또는 그룹)의 경우로만 추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SS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S signal at a specific temporal position of the RS signal can be grasped to determine ten SSF frame structures into four group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S can be judged by correlation with RS code, and it was possible to classify 10 SFF configurations into 4 according to the temporal position of RS. However, since the RSs of the 3GPP LTE / LTE-A are not transmitted for each OFDM symbol (for example, the symbols for the downlink and the GPs are not transmitted in the GP), only the SSF types set in the OFDM symbol unit It is hard to estimate and can be estimated only in the case of the four (or group) cases described above.

보다 정확한 SSF의 결정을 위하여 CP (Cyclic Prefix)를 사용 가능하며, 이 때, 이미 정확한 하향 타이밍을 확보한 상태이므로 상향에서 올라오는 주변 단말들의 신호들이 다수 존재하더라도 하향 CP correlation 값은 여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충분한 긴 시간동안 CP correlation을 각 OFDM 심볼마다 측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Since CP (Cyclic Prefix) can be used for more accurate SSF determination, since the accurate downward timing is already secured, the downlink CP correlation value greatly affects And the SS correlation can be finally determined by measuring CP correlation for each OFDM symbol for a sufficiently long period of time.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270 may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270 generat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and based on the generated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Lt; / RTI >

이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또는 TDD 프레임 구조의 유형)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또는 TDD 프레임 구조의 유형)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또는 TDD 프레임 구조의 유형) 6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 및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DD frame structure or type of TDD fr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for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r type of TDD frame structure or TDD frame structure) (Or type of TDD frame structure) 6,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may be any of the general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0 to the general special subframe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periodic prefix call Frame structure 9, and an extended special sub-frame structure 0 to an extended special sub-frame structure 7 corresponding to an extended periodic prefix call.

메모리(280)는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저장한다. 일 예로, 메모리(280)는 검출한 PSS, SSS를 저장하고, 결정한 다운링크 업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저장하고, 측정된 주기적 전치부호 및 그 결과 등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280)의 일 예에는 중계기(2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The memory 280 stores data, information, or signals. In one example, the memory 280 stores the detected PSS, SSS, stores the determined downlink uplink configuration and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and stores the measured periodic prefixes and results. One example of such a memory 280 includes a hard disk drive, a hard disk driv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flash memory, a memory card, and the like existing inside or outside the repeater 20 do.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20)는 하드웨어 부(Unit)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10)의 신호에서 PSS Correlation을 통하여 1차 동기를 잡은 후, 이를 기반으로 SSS, RS, CP 등등의 Correlation을 위하여 알고리즘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 위치 또는 시간의 수신 데이터를 메모리(28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 프로세스(도시되지 않음) 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읽어 SW적으로 SSS, RS, CP 등에 대한 Correlation을 계산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구조를 통하여 메모리(280)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로 하여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신호처리가 필요하지 않는 부분을 SW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복잡도가 매우 낮은 저가의 경쟁력 있는 중계기(20)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위한, 중계기(20)의 각부의 특성을 예시하면, 도 4를 통해 설명된 중계기(20)의 각 부 중, 통신부(210), PSS 검출부(211), 메모리(280)는 하드웨어 부이며, 나머지는 제어 프로세스에 포함된 스프트웨어적인 부(Unit)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20 receives a primary synchronization through a PSS correlation from a signal of a base station 10 received through a hardware unit, and then, based on the primary synchronization, (Not shown) or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stores the received data of the specific position or time required by the algorithm in the memory 280 for correlation to the SSS, RS, CP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With this structure, not only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280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the required memory capacity, but also the portion that does not need high-speed signal processing is processed by SW, The repeater 20 can be implemented. 4,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PSS detection unit 211, and the memory 280 are connected to the hardware unit 210.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PSS detection unit 211, and the memory 280, And the remainder may be a software unit included in the control process.

도 9는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도 9의 동작 흐름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원이 도 9의 동작으로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단계 S901 내지 S909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계 S901내지 단계 S905 및 단계 S909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uplink downlink switching is performed. 9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of FIG. Further, steps S901 through S909 of FIG. 9 may be further divided into further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For example, only steps S901 to S905 and step S909 may be performed.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요 동기 신호(PSS)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중계기(20)는 주요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경우 단계 S903을 수행하도록 하고, 주요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903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차 동기 신호(SSS)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중계기(20)는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경우 단계 S905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step S901, the repeater 20 can detect the main synchronization signal PSS using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In step S902, the repeater 20 may perform step S903 if a main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and perform step S901 again if a main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Further, in step S903, the repeater 20 can detect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using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In step S904, the repeater 20 may perform step S905 if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and perform step S901 again if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5에서 중계기(20)는 동기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6에서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이 결정된 경우 단계 S907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step S905,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In step S906, the repeater 20 may perform step S907 if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is determined, and perform step S901 again if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7에서 중계기(20)는 주기적 전치부호 및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8에서 중계기(2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이 결정된 경우 단계 S909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09에서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20)는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위해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step S907,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a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using the periodic prefix call and the reference signal. In step S908, the repeater 20 may perform step S909 if the special subframe structure is determined, and perform step S901 again if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In step S909, the repeater 20 may switch between uplink and downlink using at least one of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a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repeater 20 can gene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의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중계기(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기지국(20)에 관한 내용은 도 10의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에도 적용된다. 10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of FIG. 10 includes the steps of time series processing in the repeater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base station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lso apply to the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of Fig. 10 even if omitted below.

단계 S1001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중계기(20)는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중계기(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다운링크과 업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In step S1001, the repeater 2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In step S1002,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frame of the signal. In step S1003,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04, the repeater 20 can switch the downlink and the uplink over time based on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1002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단계 S1001 이후에,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고, 단계 S1002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1002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tep 1002 may be to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present in at least one sub-frame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not shown) of detecting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ignal after step S1001, Each of the frames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step S1002 may b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1002 may be to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present in at least one subfra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ference signal power is detected in at least one subfram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단계 S1003 이후에,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단계 S1004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단계 S1003이후에,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S1003, a step (not shown) of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of the frame, wherein step S1004 And to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determines, after step S1003,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ymbol among a plurality of symbols of a special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Not shown). In this cas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not shown)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ymbol Lt; RTI ID = 0.0 > subframe < / RTI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 이후에,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는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termining (step)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at least one symbol, a type of a cyclic prefix (CP) of a plurality of symbols is determined ,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not shown) may be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based on the determined type of periodic prefix call.

본원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단계 S1001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중계기(20)는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중계기(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중계기(20)는 결정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다운링크과 업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001, the repeater 2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 In step S1002,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frame of the signal. In step S1003, the repeater 20 can determin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the time-division fram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04, the repeater 20 can switch the downlink and the uplink over time based on any one of the determined types.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0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001 to S1004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전술한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The uplink downlink switching method described above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통신 시스템
10: 기지국
20: 중계기
30: 사용자 단말
210: 통신부
220: 동기 신호 검출부
230: 기준 신호 판단부
250: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
260: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
270: 스위칭부
280: 메모리
1: communication system
10: Base station
20: Repeater
30: User terminal
210:
220: Sync signal detector
230: Reference signal judgment unit
250: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260: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270:
280: Memory

Claims (18)

중계기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서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으로서 복수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 중 상기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다운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인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6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되,
상기 서브프레임 3, 상기 서브프레임 4, 상기 서브프레임 7 및 상기 서브프레임 9에 모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5로 결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3, 상기 서브프레임 4 및 상기 서브프레임 9에만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2로 결정하는 것인,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uplink and downlink in a repeater over time,
Receiv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Reference Signal) exists in subframe 3, subframe 4, subframe 7 and subframe 9 as at least one subframe of subframe 0 to subframe 9, which is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of the signal ;
Determining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that the base station is using for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in a plurality of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as a plurality of types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nd switching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includes determining that at least one subframe in which the reference signal exists is a downlink subfram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ing step, Link configuration uplink Determine any one of downlink configurations 0 to 6,
When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subframe 3, the subframe 4, the subframe 7, and the subframe 9,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is determined to b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5,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s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2 when the reference signal exists only in the subframe 3, the subframe 4, and the subframe 9.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said receiving, detecting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said signal,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signal is presen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시작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것이되,
상기 시작 시점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a start time,
Wherein the starting poi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signal is present in the at least one subfra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ference signal power is detected in at least one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rises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of the frame after determining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Wherein the switching is to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is present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ymbols of the special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after determining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Including,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determines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at least one symbo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심볼 0 내지 심볼 13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symbols comprises symbols 0 to 13,
Wherein the at least one symbol comprises a symbol 0, a symbol 4, a symbol 7 and a symbol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type of a cyclic prefix (CP) of the plurality of symbols after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at least one symbol,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determines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based on the determined type of the periodic prefix cal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은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및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ype of the cyclic prefix call includes an Extended cyclic prefix call type and a Normal cyclic prefix call type.
제 8 항에 있어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6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 및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is any one of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0 to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6,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includes a general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0 to a general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9 corresponding to a general cyclic prefix call and an extended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0 to an extended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9 corresponding to an extended cyclic prefix call, RTI ID = 0.0 > 7.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witching the uplink and downlink comprises generating a transmit / receive switching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switching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generated transmit / receive switch signal , Way.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의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서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신호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으로서 복수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 중 상기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는,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다운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한 상기 기준 신호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인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6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되,
상기 서브프레임 3, 상기 서브프레임 4, 상기 서브프레임 7 및 상기 서브프레임 9에 모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5로 결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3, 상기 서브프레임 4 및 상기 서브프레임 9에만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2로 결정하는 것인, 중계기.
1. A repeater for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Whether or not a reference signal (Reference Signal) exists in subframe 3, subframe 4, subframe 7 and subframe 9 as at least one subframe of subframe 0 to subframe 9, which is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frame of the signal A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reference signal;
Determining,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 plurality of types of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s for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used by the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during a plurality of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s, A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And
And a switching section for switching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Wherein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downlink subframe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ation by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ing unit that the at least one subframe in which the reference signal exists is a downlink subfram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0 to 6, which is a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When a reference signal exists in the subframe 3, the subframe 4, the subframe 7, and the subframe 9, the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is determined to be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5,
And determines a type of the time division frame structure as the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2 when the reference signal exists only in the subframe 3, the subframe 4, and the subframe 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판단부는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는 것인, 중계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ignal,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인, 중계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of the frame,
Wherein the switching unit switches the uplink and downlink over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al subframe.
삭제delete
KR1020140106104A 2014-08-14 2014-08-14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KR101706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04A KR101706343B1 (en) 2014-08-14 2014-08-14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04A KR101706343B1 (en) 2014-08-14 2014-08-14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49A KR20160020849A (en) 2016-02-24
KR101706343B1 true KR101706343B1 (en) 2017-02-14

Family

ID=5544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04A KR101706343B1 (en) 2014-08-14 2014-08-14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220B1 (en) * 2018-05-31 2020-04-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synchronous control of Up/Down link signal and RF repeater thereof
WO2020009540A1 (en)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쏠리드 Repea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99126B1 (en) 2018-07-05 2023-02-14 주식회사 쏠리드 Repeat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peater
KR102153331B1 (en) * 2019-02-08 2020-09-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in 5g nr communication system
WO2021050866A1 (en) * 2019-09-13 2021-03-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peater system for use with 5g new radio base station that uses time-division duplex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032A1 (en) * 2012-01-29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an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189A (en) * 2012-12-28 2014-07-09 (주)에프알텍 Relay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TD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032A1 (en) * 2012-01-29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an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49A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4419B (en) Initial access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IAB wireless networks
KR101706343B1 (en) 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US9392563B2 (en)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for nodes in a downlink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scenario
CN1099238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itial access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34253B2 (en) Cell search procedure frame format
US201401122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125144A (en) Determination of network synchronization
KR20150135268A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P3289717B1 (en) Cell search procedure frame format
KR20150135272A (en)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method
EP3499763B1 (en) Synchronous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1973465B1 (en) Backhaul link subframe stru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reof
US20130242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Mechanis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10112582A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the distribud antenna system
KR20220127187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ignal, and server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terminal
CN1110959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27542B2 (en) Beam reselection for narrowband non-terrestrial networks
US20210297912A1 (en) Automatic neighbor relationships for a 5g air interface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nterfaces
WO2021212400A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registration in dual-sim device
CN108173798B (e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087137A1 (en) Changing synchronization cases for vehicle-to-everything deployments
US11917467B2 (en) Techniques for exchanging ultra-wide bandwidth beamforming information
WO2023272707A1 (en) Silent redial for video telephony calls
US20230239815A1 (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coverage extension for a sub-terahertz band
US20230123276A1 (en) Control and data channel processing for higher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