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645B1 -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 Google Patents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645B1
KR101705645B1 KR1020150078006A KR20150078006A KR101705645B1 KR 101705645 B1 KR101705645 B1 KR 101705645B1 KR 1020150078006 A KR1020150078006 A KR 1020150078006A KR 20150078006 A KR20150078006 A KR 20150078006A KR 101705645 B1 KR101705645 B1 KR 101705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imaging system
light source
photoacoustic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2454A (en
Inventor
한재호
유승범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645B1/en
Publication of KR2016014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9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one single type of energy and measuring its conversion into another type of energy
    • A61B5/009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one single type of energy and measuring its conversion into another type of energy by applying light and detecting acoustic waves, i.e. photoacoustic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7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using several separate ultrasound transducers or pro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광음향 영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테이지가 개시된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 요면 형태로 구비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및 적어도 하나의 탐촉자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구비한다.A stage used in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is disclosed. The stag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a concave shape on the stage, and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rst groove for inserting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for inserting the at least one probe Respectively.

Description

광음향 영상 시스템용 스테이지 및 광음향 영상 시스템{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ge and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for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광음향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촉 매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피검자의 두부에 대한 광음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광음향 영상 시스템과 상기 광음향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테이지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acoustic im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acoustic image system capable of stably obtaining a photoacoustic image of a head of a subject while maintaining a contact medium, The stage being used.

광음향 영상 기술이란, 레이저로 광음향 효과를 유발하여 신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기법으로, 조직 및 혈관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는 고 대비 영상을 비침습적으로 얻을 수 있는 최신 기술이다.Photoacoustic imaging technology is a technique that can acquire a body image by inducing a photoacoustic effect with a laser, and can effectively capture tissues and blood vessels. This is a state-of-the-art technique for non-invasive acquisition of high-contrast images.

광음향 영상 기술은 접촉 매질을 필요로 하며, 탐촉자와 샘플 간의 접촉 매질을 기반으로한 밀착 접촉이 필수적 요소로 요구된다. 탐촉자로는 초음파 트랜스듀서가 주로 사용되며, 접촉 매질로는 주로 순수한 물이 이용되고 있다.The photoacoustic imaging technique requires a contact medium, and a close contact based on the contact medium between the probe and the sample is required. Ultrasonic transducers are mainly used as the probe, and pure water is mainly used as the contact medium.

최근에 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의 조직을 영상화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는 특정 깊이의 단면을 촬영하여 단층 영상을 구현하는 결과를 얻는다. 선택적인 조직의 영상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화 부위와 탐촉자가 접촉 매질로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광음향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다. 접촉 매질로는 초음파 젤 또는 순수한 물이 사용되지만, 초음파 젤의 경우 피험자가 실험 후에 세척 절차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레이저의 입사각에 따른 방해 요소를 낮추기 위해 주로 물이 담긴 특정 용기 안에서 영상화를 하거나, 물을 채운 평평한 판을 영상 부위에 접촉하여 이루어진다.Recently, a technique of imaging the tissue of a body part using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has been studied, which results in the implementation of a tomographic image by photographing a section of a certain depth. Although selective tissue imaging is possible, it is difficult to obtain photoacoustic imaging unless the imaging site and the probe ar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medium. Ultrasonic gel or pure water is used as the contact medium, but in the case of the ultrasonic gel, it is troublesome for the subject to undergo the washing procedure after the experiment. In order to lower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aser used, it is usually done by imaging in a specific container containing water or by contacting a flat plate filled with water to the image area.

이와 관련하여, 유방 조직의 광음향 영상화는 단순히 피험자가 엎드림으로서 쉽게 물이 채워져 있는 공간을 유지하여 접촉 매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머리 부위의 영상화는 신체적 특성 상 피험자가 머리를 거구로 하여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물이 채워진 용기에 머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접촉 매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 타 영상화 시스템에서는 대두되지 않은 새로운 문제점으로, 광음향 영상화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반감시키고 있다.In this regard, the photoacoustic imaging of the breast tissue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ntact medium by simply maintaining the space filled with water by the subject's lips, but the imaging of the head region is not easy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You can hold your head in a container filled with water until you are in position. This is a new problem not encountered in other imaging systems that do not require a contact medium, which greatly reduces the user's convenience in applying to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는 효율적인 영상화 장치의 개발을 위해, 머리의 접촉 매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광음향 영상화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 contact medium of the head for development of an efficient imaging apparatus that overcomes such shortcomings.

이와 관련하여, 일본국 공개특허 제2011-183057호는 광음향 프로브, 예컨대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유방 부위의 연조직을 이미징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6-507095호는 자기 공명 촬영(MRI)을 위한 스캐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183057 discloses an apparatus for imaging a soft tissue of a breast region using a photoacoustic probe, for example, an ultrasonic transducer, Discloses a scanner device for imaging (MRI).

일본국 공개특허 제2011-183057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1-183057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6-50709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50709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접촉 매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피검자의 두부에 대한 광음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광음향 영상 시스템과 상기 광음향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capable of stably obtaining a photoacoustic image of a head of a subject while maintaining a contact medium and a stage used in the photoacoustic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지는 광음향 영상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 요면 형태로 구비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및 적어도 하나의 탐촉자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구비할 수 있다.A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the stage including a receptacle provided in a concave shape on the stage, the receptacle having at least one first groove for insert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for inserting at least one transduc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은 소정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적어도 하나의 탐촉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탐촉자의 출력 신호로부터 광음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피검자를 위치시키기 위한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 요면 형태로 구비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탐촉자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을 구비할 수 있다.Also, 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 predetermined region, at least one transducer, and an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hotoacoustic image from output signals of the at least one transducer And a stage for positioning a subject, wherein the stage includes a receptacle provided in a concave shape on the stage, the receptacle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groove for receiving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one pro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 및 스테이지는 접촉 매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피검자의 두부에 대한 광음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the st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acquire photoacoustic images of the head of the subject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medium.

또한, 피검자는 누워있는 상태로 광음향 영상 촬영에 임할 수 있어, 피검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in the state of being laid, and the convenience of the subject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광음향 영상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테이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단면도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llustrates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stage included in 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shown in FIG. 1 o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ge shown in Fig.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광음향 영상 시스템(10)은 광원(100), 탐촉자(300) 및 영상 처리부(500)을 포함한다. 또한, 광음향 영상 시스템(10)은 도시되지 않은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광원(100) 및 탐촉자(300)는 상기 스테이지에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10 includes a light source 100, a probe 30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500. Also, 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10 may include a stage, not shown, and at least the light source 100 and the probe 300 may be implemented in the stage.

광원(100)은 특정 파장(예컨대 532 nm)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00)은 반도체 레이저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광원(100)의 개수는 2 이상일 수 있다.The light source 100 can irradiate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e.g., 532 nm). The light sour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emiconductor la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light sources 100 may be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탐촉자(300)는 광이 조사된 생체 물질(또는 생체 조직)에서 발생하는 광음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생체 물질에서 에너지로 흡수되고, 광음향 효과에 따라 광음향 신호의 발생을 유도한다. 생체 물질별로 광 흡수 계수가 다르므로 생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파장별로 흡수하는 양이 서로 상이하다. 조직에 흡수된 에너지는 열로 변환되며, 순간적으로 열탄성 팽창을 유발해 변형장(strain field)을 발생시킨다. 변형장이 발생하는 지점에서 압력파가 발생하며, 이를 광음향 영상의 기초가 되는 광음향 신호라 한다. 광음향 신호는 초음파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므로 초음파 신호를 검출하여 영상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obe 300 can detect a photoacoustic signal generated from a biomaterial (or biological tissue) irradiated with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0 is absorbed as energy in the biomaterial, and induces the generation of the photo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photoacoustic effect. Since the light absorption coefficient differs for each biomaterial, the amount absorbed by each wavelength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iomaterial. The energy absorbed by the tissue is converted into heat, which instantaneously induces thermoelastic expansion, generating a strain field. A pressure wave is generated at the point where the strain field is generated, and this is called a photoacoustic signal which is the basis of the photoacoustic image. Since the photoacoustic signal includes the ultrasonic frequency band, the ultrasonic signal can be detected and the imaging can be performed.

탐촉자(300)의 개수가 2 이상일 경우 탐촉자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으며, 탐촉자(300)가 초음파 트랜스듀서인 경우에는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 주파수가 40 ~ 100 MHz인 고성능 트랜스듀서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트랜스듀서 어레이의 배열 순서와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매질의 침투로 인한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처리가 된 탐촉자(300)가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he transducers 300 is two or more, a transducer array can be configured. When the transducer 300 is an ultrasonic transducer, a transducer array can be configured. Specifically, by using a high-performance transducer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40 to 100 MHz, it is possible to acquire a higher resolution image, and the arrangement order and pattern of the transducer array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urther, a watertight probe 300 may be used to prevent malfunction or malfunction due to penetration of the contact medium.

영상 처리부(500)는 탐촉자(300)를 통해 검출된 광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물질의 입체단층영상인 광음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500 can generate a photoacoustic image, which is a stereoscopic tomographic image of a living body, using the photoacoustic signal detected through the probe 300. [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도시한다. 광음향 영상 시스템(20)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광음향 영상 시스템(10)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shows a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hotoacoustic image system 20,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verlapping with the photoacoustic image system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omitted.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광음향 영상 시스템(20)은 광원(100), 탐촉자(300) 및 영상 처리부(500)를 포함하고, 제1 증폭부(200), 필터(400) 및 제2 증폭부(6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20 includes a light source 100, a probe 30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500, and includes a first amplification unit 200, a filter 400, 2 amplification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증폭부(200)는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증폭시킬 수 있다. 광원(100)이 반도체 레이저로 구현되는 경우, 광원(100)은 1kHz 이상의 높은 스위칭 속도를 가지므로,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온 Nd:YAG 레이저가 가지는 낮은 스위치 속도를 극복할 수 있다.The first amplification unit 200 can amplif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0. When the light source 100 is implemented by a semiconductor laser, the light source 100 has a high switching speed of 1 kHz or more, which can overcome the low switching speed of the Nd: YAG laser which has been mainly used.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는 생체 물질(예컨대, 세포)에 조사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킬 정도의 높은 파워를 가지지 못하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음향 영상 시스템(20)에서는 이러한 낮은 파워를 높여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증폭부(2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증폭부(200)가 구비되더라도 스위칭 속도는 1 kHz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스위칭 속도 저하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증폭부(200)는 광섬유 광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Since the intensity of light output from the semiconductor laser does not have a high power to irradiate a biological material (e.g., a cell)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in 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mplifying unit 2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Even if the first amplifying unit 200 is provided, the switching speed is maintained at 1 kHz or more, so that the problem caused by the lowering of the switching speed does not occur. Also,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fiber optic optical amplifier.

실시 예에 따라, 제1 증폭부(200)는 광원(100)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light source 100.

필터(400)는 생체 물질에서 검출되는 광음향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lter 400 performs a function of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photoacoustic signal detected by the biological material.

제2 증폭부(600)는 탐촉자(300)의 출력 신호 또는 필터(40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The second amplifying unit 600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probe 300 or the output signal of the filter 400.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광음향 영상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테이지를 도시한다.FIG. 3 shows a stage included in the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shown in FIG. 1 or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피검자, 예컨대 사람이나 동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스테이지(700)에는 피검자의 두부, 특히 후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10)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710)는 스테이지(700) 상에서 요면 형태로 형성되어, 피검자의 후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수용부(710)는 피검자의 후두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 stage 700 capable of placing a subject, such as a person or an animal,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710 for receiving a head of a subject, particularly, a head of a subject. The accommodating portion 71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stage 700 to accommodate the occipital region of the subject. That is, the receiving portion 7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cciput of the examinee.

수용부(7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0)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홈(77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는 하나의 제1 홈(770)이 수용부(710)의 중앙에 위치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제1 홈(770)의 개수는 2 이상일 수 있으며, 구비되는 위치 또한 가변적일 수 있다. 광원(100)이 제1 홈(770)에 수용될 때, 오링과 같은 밀봉 수단을 이용하여 광원(100)과 제1 홈(770) 사이의 공간으로 접촉 매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710 may have at least one first groove 770 or at least one first hol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100. 3, one first groove 77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7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first grooves 770 may be two or more, And the position to be provided may also be variable. When the light source 10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770, a sealing means such as an O-ring can be used to prevent the contact medium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light source 100 and the first groove 770.

또한, 수용부(710)는 적어도 하나의 탐촉자(300)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79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는 복수의 제2 홈(790)들이 제1 홈(770)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탐촉자(300)가 제2 홈(790)에 수용될 때, 오링과 같은 밀봉 수단을 이용하여 탐촉자(300)와 제2 홈(790) 사이의 공간으로 접촉 매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receiving portion 710 may have at least one second groove 790 or at least one second hol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t least one probe 300. In FIG. 3,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790 are position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ove 77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probe 300 is received in the second groove 790, a sealing means such as an O-ring can be used to prevent the contact medium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obe 300 and the second groove 790.

광음향 영상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수용부(710)에 수용되는 피검자의 후두부와 탐촉자(300) 사이의 공간이 접촉 매질로 채워져야 한다. 상기 접촉 매질이 수용부(710)에 일정량 채워진 상태에서 피검자의 후두부가 수용되거나, 피검자의 후두부가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접촉 매질을 수용부(710)에 일정량 채움으로써 피검자의 후두부와 탐촉자(300) 사이의 공간은 접촉 매질로 채워질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photoacoustic imaging, the space between the back of the examinee and the probe 300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710 must be filled with the contact medium. The occluding medium is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710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a state where the occluding medium is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710 at a predetermined amount or the back of the examinee is accommodated or the occlusion portion of the examine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filled with the contact medium.

수용부(710)에 수용되는 피검자의 후두부로 인하여 접촉 매질이 수용부(710)로부터 넘처 흐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부(710)의 주위에 돌출 형성된 매질 넘침 방지부(730)가 마련될 수 있다.The medium overflow prevention portion 730 protruded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710 is formed because the contact medium may overflow from the receiving portion 710 due to the back of the examine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710 .

또한, 피검자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수용부(7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목받침부(750)를 마련함으로써, 피검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목받침부(750)가 형성된 부분의 경우, 별도의 매질 넘침 방지부(730)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목받침부(750)가 매질 넘침 방지부(73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neck support portion 75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710 to support the neck portion of the subject, convenience of the subject can be improved. In the case where the neck support portion 750 is formed, a separate medium overflow prevention portion 730 need not be formed. The neck support 750 can replace the role of the overflow prevention part 730.

실시 예에 따라, 스테이지(700)는 목받침부(750)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피검자의 두부를 제외한 신체가 안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age 700 may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ck support unit 750 is provided, so that the body other than the head of the subject can be sea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g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용부(710)에 형성된 제1 홈(770)의 단부는 스테이지(700)의 외부로 연결되는 소정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홀에는 광원(10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예컨대, 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1 to 4, the end of the first groove 770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71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ol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age 700. The predetermined hole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example, electric wire)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and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100.

수용부(710)에 형성된 제2 홈(790)의 단부는 스테이지(700)의 외부로 연결되는 소정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홀에는 탐촉자(3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탐촉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예컨대, 전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end of the second groove 790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71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ol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age 700. The predetermined hole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signal and power for driving the probe 300 and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robe (e.g., a wir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촉 매질로 물(water)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water is used as the contact mediu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20 : 광음향 영상 시스템
100 : 광원
200 : 제1 증폭부
300 : 탐촉자
400 : 필터
500 : 영상 처리부
600 : 제2 증폭부
700 : 스테이지
710 : 수용부
730 : 매질 넘침 방지부
750 : 목 받침부
10, 20: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100: Light source
200: first amplifying unit
300: Transducer
400: filter
500:
600: a second amplifying unit
700: stage
710:
730: medium overflow prevention portion
750: neck support part

Claims (5)

소정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증폭시키는 증폭부;
복수의 탐촉자들;
상기 복수의 탐촉자들의 출력 신호로부터 광음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피검자를 위치시키기 위한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 요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피검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상기 복수의 탐촉자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홈들; 및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상기 수용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형성된 매질 넘침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반도체 레이저인,
광음향 영상 시스템.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 predetermined region;
An amplifier for amplifying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 plurality of transducers;
An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photoacoustic images from output signals of the plurality of transducers; And
And a stage for positioning the subject,
Wherein the stag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a concave shape on the stage to receive the subject's back of the subject,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rst groove for receiving said at least one light source;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robes; And
And a medium overflow prevention portion protruding from at least a part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on the stage,
Where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is a semiconductor laser,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상기 수용부 주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목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목 받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광음향 영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ge further comprises a neck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stage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around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rein the stage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neck support,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탐촉자들 각각은 초음파 트랜스듀서인,
광음향 영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robes is an ultrasonic transducer,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KR1020150078006A 2015-06-02 2015-06-02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KR101705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06A KR101705645B1 (en) 2015-06-02 2015-06-02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06A KR101705645B1 (en) 2015-06-02 2015-06-02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54A KR20160142454A (en) 2016-12-13
KR101705645B1 true KR101705645B1 (en) 2017-02-13

Family

ID=5757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006A KR101705645B1 (en) 2015-06-02 2015-06-02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6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9683A1 (en) * 2013-10-31 2015-04-30 Canon Kabushiki Kaisha Subject-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5109A1 (en) 2002-11-25 2005-08-24 Fonar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facility for mri dual scanning
JP2011183057A (en) 2010-03-10 2011-09-22 Fujifilm Corp Photoacoustic mammograph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9683A1 (en) * 2013-10-31 2015-04-30 Canon Kabushiki Kaisha Subject-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54A (en)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751B2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CN102822661B (en) Opto-acoustic imaging devices and acousto-optic imaging method
US10390706B2 (en) Photoacoustic imaging apparatus, photoacoustic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61451B2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JP5586977B2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JP5574927B2 (en) measuring device
US20070287912A1 (en) Functional imaging using 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s
US9995717B2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US20110261056A1 (en) Display data obtaining apparatus and display data obtaining method
US20220133273A1 (en) Transparent ultrasound transducers for photoacoustic imaging
EP3188647B1 (en) Photoacoustic apparatu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JP2016101369A (en) Photoacoust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hotoacoustic device
JP2014083196A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photoacoustic probe
US20150182126A1 (en) Photoacoustic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085372A1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KR101705645B1 (en) Op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stage of the same
JPWO2017138459A1 (en) Acoustic wave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acoustic wave image generation method
US20140066744A1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CN106510727B (en) Be used for early no mark clinical real-time detection device of melanoma
JP6091259B2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US20150182125A1 (en) Photoacoustic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305587B2 (en) Photoacoustic wave receiving device, apparatus, and photoacoustic wave receiving method
EP2773267B1 (en) Dual modality imaging system for coregistered functional and anatomical mapping
JP2017131334A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