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90B1 -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 Google Patents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090B1
KR101705090B1 KR1020160132242A KR20160132242A KR101705090B1 KR 101705090 B1 KR101705090 B1 KR 101705090B1 KR 1020160132242 A KR1020160132242 A KR 1020160132242A KR 20160132242 A KR20160132242 A KR 20160132242A KR 101705090 B1 KR101705090 B1 KR 10170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wer
unit
groun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기찬
Original Assignee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 H02H5/1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responsive to deterioration or interruption of earth connection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ground short circuit and protecting power, constantly detecting whether a power supply device or a power distribution device providing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is grounded to a ground terminal or not, checking ground continuity, and, if not grounded, sending an alarm and cutting off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o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power input unit including two input lines receiving AC power, which is input power, and a grounded ground line; a direct current (DC) power generation unit rectifying the input power to generate the DC power; a power line detection unit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by voltage between each input line and the ground line;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outputted detection signal to determine the ground continuity,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ground continuity; and a relay unit connecting or cutting off the input line of the power input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round role is not performed since the ground terminal (or ground line) of the power supply or distribution device is discontinuous, power input to an electric device or equipment is blocked, so an electric shock accident due to a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and accordingly, a short circuit disaster can be efficiently prevented and occurrence of a fatal disaster due to electricity can be reduced.

Description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에 접지 단자의 접지 상태 또는 미접지 상태를 상시 감지하고 접지연속성을 확인하고, 접지가 안되었을 경우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에 경보 및 전원을 차단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device or a power distribution device that provides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the ground terminal o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t all times to detect whether the ground terminal is grounded or ungrounded and to check grounding continuity, A ground fault detection and a power protection device f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현대생활에 있어서 전기는 필수불가결한 자원 중의 하나이나, 전기에 감전되면 생명을 잃게 되는 등 사람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기도 한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전기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때, 전기기계의 전원선과 접지와의 불연속이 발생하게 되어 작업자가 감전 재해나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특고압의 송배전 선로나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검과 보수 작업을 수행할 때, 전기기계에서 접지와의 불연속성이 발생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사고와 설비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Electricity is an indispensable resource in modern life, but it can cause fatal injuries to people if they are damaged by electricity. 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equipment is operated or maintenance is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ield, the electric power line of the electric machine and the ground are discontinuously generated, so that the worker is often exposed to electric shock or burns. Particularly, when perform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in the live state of an extra-high voltag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or equipment, if there is a discontinuity with the ground in the electric machine, it may cause a fatal accident to the human body and equipment failure.

최근 감전재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약 60% 이상의 재해가 소규모 건설업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전기기기의 절연불량에 의한 감전사고가 약 30%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이동용 전기기기에 의한 감전 사망과 비산/접촉 상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에서의 전기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 to recent electric shock analysis, approximately 60% of disasters occur in small construction industry, and electric shock accidents caused by insulation failure of electric equipment account for about 30%. Especially, there are many electric shock deaths and scattering / contact injuries caused by portable electric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a countermeasure for reducing the electric hazard in the moving electrical machine / apparatus is required.

이러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접지 시설 및 누전차단기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접지의 경우, 접지 상태가 항상 연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접지식과 비접지식이 혼재하는 경우, 누전 차단기의 동작 불능 등 감전 예방을 위한 사각지대가 발생하기도 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electric shock accidents, it is essential to install a grounding facility and an earth leakage breaker. In the case of grounding, it shall be ensured that the grounding condition is always maintained continuously.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grounding and the non-grounding are mixed, a blind spot may be generated for preventing the electric shock, such as an inability to operate the earth leakage breaker.

이와 같은 감전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접지선의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접지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특허문헌 1], 저항형 접지상태를 표시하는 장치[특허문헌 2], 전자제품의 접지 불량을 검출하는 장치[특허문헌 3],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제거하는 접지 확인 콘센트[특허문헌 4] 등의 기술들이 나타나고 있다.As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electric shock disaster, various devices for confirming the continuity of the ground wire are used. [Patent Document 1], a device for displaying a resistive ground state [Patent Document 2],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ground fault of an electronic product [Patent Document 3], a device for absorbing or remov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a ground check socket [Patent Document 4].

또한, 종래의 접지 연속성 확인 장치로는, 저항계 및 멀티미터, 확인 램프가 부착된 플러그 형태의 장치, 이동형의 설비에 접지를 시켜 연속성을 확인하는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접지 연속성 확인 장치는, 산업 현장, 건설 현장의 전기공사, 보수, 점검시에 접지 연속성 상태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Further, conventional ground continuity checking apparatuses include an ohmmeter and a multimeter, a plug type apparatus having a check lamp attached thereto, and an apparatus for confirming continuity by grounding a portable apparatus. Such a ground continuity checking device is useful for confirming the continuity of grounding during the electric work,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industrial sites and construction sites.

그러나 상기 종래 장치들은, 가격이 고가이고 계측기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형태의 확인 장치는 전기기기가 동작하는 중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 설비에서 정전기 방전을 위해 접지 연속성을 확인하는 장치는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vices have a problem that the price is high and the meter structure is complicated. In addition, the plug type confirmation device can not be used while the electric device is operating. In addition, the device for checking the continuity of grounding for electrostatic discharge in a mobile facility is not only expensiv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because of its large siz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1962호(2010.02.12.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41962 (2010.02.12. Announcemen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3472호(2003.10.30.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3472 (published on October 30, 20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9032호(2007.03.08.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89032 (2007.03.0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7770호(2003.12.01.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07770 (published on Dec. 1, 20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기기(또는 이동형 전기기계/기구)로부터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접지 상태 또는 접지 연속성을 확인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for confirming ungrounded state or ground continuity in order to prevent electric shock from an electric device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 단자(또는 접지선)가 불연속일 경우, 감전 방지를 위하여 전기기기의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전기기기로의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ound fault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which not only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equipment but also prevents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equipment when the ground terminal (or the ground wire) is discontinuous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연속성을 확인하는 전원차단장치를, 기존의 휴대용, 고정용 누전 차단기, 과부하 차단기를 병합하여 일체화하고, 휴대가능하도록 소형화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that integrates a power interrupter for confirming ground continuity with a conventional portable, stationary earth fault circuit breaker, and overload circuit breaker,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2개의 입력라인과, 접지되는 접지라인으로 구성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직류전원 생성부; 각 입력라인과 접지라인 사이의 전압에 의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선 감지부;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접지 연속성 여부를 판단하고, 접지 연속성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입력부의 입력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ound fault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input unit configured by two input lines for receiving AC power as input power and a ground line to be grounded; A DC power generator for rectifying the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power; A power line sensing unit outputting a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each input line and a ground line;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output sensed 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nsor is connected to groun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inuity of the ground; And a relay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n input line of the power input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또,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으로서, 상기 전원선 감지부는, 상기 2개의 입력라인 중 하나인 제1 라인과 상기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라인 감지부와, 다른 하나인 제2 라인과 상기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라인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라인 감지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라인과 상기 접지라인 사이에 정류부와 포토커플러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을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ound line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power lin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line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between a first line, which is one of the two input lines, And a second line sensing unit outputting a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ground line, wherein the first or second line sens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or second line and the ground line A rectifying unit and a photocoupler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is output as a sensing signal.

또,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으로서, 상기 정류부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일방향의 전압만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rectifying part is composed of a diode and allows only a voltage of one direction to pass therethrough.

또,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2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가 온(On)이고 다른 하나가 오프(Off)이면, 접지연속성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가 모두 오프(Off)이면 비접지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nsing a ground disconnection and a power protection device,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first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ine sensing unit and a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And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are both off and on, if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are both on and off, .

또,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으로서, 상기 릴레이부는 입력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발광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수광부는 상기 릴레이에 구비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릴레이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a ground line and a power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relay unit includes a relay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n input power sourc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lay,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photocoupler, The light emitting unit is caused to emit light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included in the relay, and the relay is driven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transistor.

또한,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2개의 입력라인과, 접지되는 제1 접지라인으로 구성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전원을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2개의 출력라인과, 접지되는 제2 접지라인으로 구성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출력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라인과 상기 출력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상기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직류전원 생성부; 각 입력라인과 상기 제1 접지라인 사이의 전압에 의해 제1 및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각 출력라인과 상기 제2 접지라인 사이의 전압에 의해 제3 및 제4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선 감지부; 상기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접지 연속성 여부 및 누전 여부를 판단하고, 접지 연속성 여부 또는 누전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ound fault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input unit configured by two input lines for receiving AC power as input power and a first ground line to be grounded; A power output unit comprising two output lines for outputting the AC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ground line to be grounded; A power cutoff unit provid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power output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 DC power generator for rectifying the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power; A first and a second sensing signals are output by the voltage between each input line and the first ground line and a third and a fourth sensing signal are output by voltages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 lines and the second ground line, A lin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to fourth sensing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continuity of ground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short circuit,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continuity of ground or a short circuit; And a relay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input line or the output li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또, 본 발명은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으로서, 상기 전원선 감지부는, 상기 2개의 입력라인 중 하나와 상기 제1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라인 감지부, 상기 2개의 입력라인의 다른 하나와 상기 제1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라인 감지부, 상기 2개의 출력라인 중 하나와 상기 제2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3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라인 감지부, 및, 상기 2개의 출력라인의 다른 하나와 상기 제2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4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 라인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 제3 또는 제4 라인 감지부는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과, 상기 제1 또는 제2 접지라인 사이에 정류부와 포토커플러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논리부정 게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논리부정 게이트의 출력을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ound line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power lin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line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first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one of the two input lines and the first ground line, A second line sense unit for outputting a second sense signal by a voltage between the other one of the two input lines and the first ground line, And a fourth line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fourth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the other one of the two output lines and the second ground line, The second, third, or fourth line sensing unit connects the rectification unit and the photocoupler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or the output line and the first or second ground line, and outputs a logic negative gate to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logic undefined gate as a sense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의하면,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의 접지 단자(또는 접지선)가 불연속적이어서 접지 역할을 하지 못하면 전기기기 또는 전기설비로의 전원 투입을 차단함으로써, 누전 등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감전 재해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전기로 인한 중대 재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round terminal (or the ground wire) of the power supply device o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discontinuous and does not serve as a ground,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device or the electric equip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used by a short circuit or the lik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a serious disaster caused by electric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의하면, 전기기기(또는 이동용 전기기기)로부터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차단장치를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화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cutoff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from an electric device (or a moving electric device) is miniaturized so as to be portabl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ncreasing.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의하면, 전원차단장치에 접지연속성 기능 외에도 누전차단, 과부하 차단 등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휴대용 고정용 누전차단기 및 과부하 차단기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the portable fixed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and the overload circuit breaker by adding the functions of the ground fault continuity function, Effect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대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원에 대하여 감지된 감지신호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신호에 따른 상태 판단 및 제어신호를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의 외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에 대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신호에 따른 상태 판단 및 제어신호를 나타낸 표.
1 is a circuit diagram of a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illustrating sensed signals sensed for an input power sour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showing state determination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ternal view of a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showing status determination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ng and power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차단장치는 전원 입력부(10), 직류전원 생성부(20), 전원선 감지부(30), 제어부(40), 및, 릴레이부(50)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표시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0, a DC power generation unit 20, a power line sensing unit 30, a control unit 40, (50). In addi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display unit 60. Fig.

전원 입력부(10)는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예를 들어, AC 200V)을 입력받는다. 전원 입력부(10)는 전원입력 라인(N,P) 및 접지 라인(또는 중성 라인)(G)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라인(N,P)은 2개의 라인으로서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라인이고, 접지라인(G)은 접지(earth)를 시키는 라인이다.The power input unit 10 receives an AC power source (for example, AC 200 V) as an input power source. The power input unit 10 is composed of power input lines N and P and a ground line (or neutral line) G. Preferably, the input lines N and P are lines in which AC power is input as two lines, and the ground line G is a line which causes earth.

바람직하게는, 전원 입력부(10)는 외형적으로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에 삽입되고,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입력라인(N,P) 및 접지라인(G)의 끝단에는 입력단자,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해당 입력단자 및 접지단자가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의 전원단자 및 접지단자와 연결된다. 접지라인(G)은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의 접지단자와 연결되어, 접지(earth)된다.Preferably, the power input unit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g and is inserted into a power supply unit or a power distribution unit (not shown) to which AC power is supplied,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r a power distribution unit Is supplied with AC power. That is, an input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The in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device or the power distributing device (not shown) Terminal. The ground line G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or power distribution device (not shown) and is grounded.

다음으로, 직류전원 생성부(20)는 전원 입력부(10)로부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바람직하게는, 5V, 12V)으로 변환하여 반도체 소자 등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직류전원 생성부(2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21)와, 트랜스(21)의 출력전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류하는 정류부(22)로 구성된다.Next, the DC power generating unit 20 receives the AC power from the power input unit 10 and converts it into a DC voltage (preferably, 5 V, 12 V)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circuit such as a semiconductor device. The DC power generator 20 includes a transformer 21 for converting an AC power source to a DC voltage and a rectifier 22 for rectifying and removing noise from an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21.

즉, 직류전원 생성부(20)는 정류된 직류 전원을 릴레이부(50) 또는 신호 처리부(50) 등에 전원으로 공급한다.That is, the DC power generating unit 20 supplies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relay unit 50, the signal processing unit 50, or the like.

다음으로, 전원선 감지부(30)는 전원선의 정상상태(정상분, 역상분)를 판별하여 정상, 역상, 전원 인가 상태 등을 감지한다. 특히, 전원선 감지부(30)는 각 입력라인(N,P)과 접지라인(G) 사이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접지라인(G)이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또는, 접지 연속인 경우) 온(On) 신호를 출력하고, 비정상적인 경우(또는 접지 불연속인 경우) 오프(Off) 신호를 출력한다.Next, the power line sensing unit 30 discriminates a normal state (normal or negative phase) of the power line, and detects normal, reverse, and power application states. In particular, the power line sensing unit 30 senses a current or voltage between each of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That is, an On signal is output when the ground line G is normally grounded (or ground continuous), and an Off signal is output when the ground line G is abnormal (or when the ground is discontinuous).

전원 입력부(10)와 연결된 전원선 또는 입력라인(N,P)은 접지 전위를 중성으로 볼 때, 전류가 전기기기로 흘러들어가는 인입선 또는 인입라인(P)과, 전기기기를 구동한 후 다시 전원으로 복귀(귀로)하는 귀로선 또는 귀로라인(N)으로 구분된다.The power line or the input line N or P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10 is connected to a lead line or an incoming line P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flows into the electric device when the ground potential is viewed as neutral, And a return line or a return line (N).

전원선 감지부(30)는 각 입력라인(N,P)에 따라 각 라인 감지부(30a, 30b)를 구성한다. 이를 각각 제1 라인 감지부(30a) 및, 제2 라인 감지부(30b)라 부르기로 한다. 제1 라인 감지부(30a)는 입력라인(N,P) 중 하나의 라인(N)과 접지라인(G) 간의 전압을 감지하고, 제2 라인 감지부(30b)는 다른 하나의 라인(P)와 접지 라인(G) 간의 전압을 감지한다. 즉, 제1 및 제2 라인 감지부(30a, 30b)는 입력라인(N,P)과 접지라인(G) 간의 전위차에 의해 접지연속성을 감지한다.The power line sensing unit 30 configures the line sensing units 30a and 30b according to the input lines N and P, respectively. The first line sensing unit 30a and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30b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line sensing unit 30a and a second line sensing unit 30b, respectively. The first line sensing unit 30a senses a voltage between one of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nd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30b senses a voltage between the other line P ) And the ground line (G).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ne sensing units 30a and 30b sense the ground continuity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

제1 라인 감지부(30a)는 입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에 정류부(31a)와 포토커플러(32a)를 직렬로 연결하고, 포토커플러(32a)의 출력(수광부 출력)을 감지신호(In-A)로 출력한다. 정류부(31a)는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의 역상 전류만을 통과시킨다. 정류부(31a)에 의해 통과된 전류는 포토커플러(32a)의 발광부를 발광시키고, 이를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감지신호(In-A)를 온(On)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 라인 감지부(30a)는 입력라인(N)으로 역상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감지신호(In-A)를 온(On)으로 출력한다. 이때의 감지신호를 제1 감지신호라 부르기로 한다. 특히, 제1 라인 감지부(30a)는 접지라인(G)이 접지연속성 상태(접지된 상태)인 경우에만 입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류가 흐르므로, 접지연속상 상태에만 제1 감지신호(In-A)를 출력한다. 즉, 접지불연속 상태(접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입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1 감지신호(In-A)는 오프(off)로 출력된다.The first line sensing unit 30a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31a and the photocoupler 32a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32a And outputs it as a detection signal In-A. The rectifying part 31a is composed of a diode D1 and allows only the reverse-phase current of the AC power source to pass therethrough. The current passed by the rectifying unit 31a causes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hotocoupler 32a to emit light, receives the light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In-A as On. Accordingly, the first line sensing unit 30a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A in the ON state only when the reverse-phase power is input to the input line N. The sensing signal at this tim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signal.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line sensing unit 30a receives a current between the in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only when the ground line G is in the ground continuity state (grounded state), only the ground continuous state And outputs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ground discontinuous state (the state not grounded), since no current flows between the in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s outputted as off.

또한, 제2 라인 감지부(30b)는 입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에 정류부(31b)와 포토커플러(32b)를 직렬로 연결하고, 포토커플러(32b)의 출력(수광부 출력)을 감지신호(In-B)로 출력한다. 정류부(31b)는 다이오드(D4)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의 정상 전류만을 통과시킨다. 정류부(31b)에 의해 통과된 전류는 포토커플러(32b)의 발광부를 발광시키고, 이를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감지신호(In-B)를 온(On)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2 라인 감지부(30b)는 입력라인(P)으로 정상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감지신호(In-B)를 온(On)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라인 감지부(30b)는 접지라인(G)이 접지연속성 상태(접지된 상태)인 경우에만 입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류가 흐르므로, 접지연속상 상태에만 제2 감지신호(In-B)를 출력한다. 즉, 접지불연속 상태(접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입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2 감지신호(In-B)는 오프(off)로 출력된다.The second line sensing unit 30b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31b and the photocoupler 32b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32b ) As a sensing signal (In-B). The rectifying unit 31b is composed of a diode D4 and allows only the normal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y to pass therethrough. The current passed through the rectifying part 31b causes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hotocoupler 32b to emit light, receives the light by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B as On. Accordingly,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30b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B in the ON state only when the normal power is input to the input line P. [ Since the current flows between the in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only when the ground line G is in the ground continuity state (grounded state),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30b is provided only in the ground continuous state 2 sense signal In-B.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ground discontinuous state (the state not grounded), since no current flows between the in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the second sensing signal In-B is outputted as off.

입력되는 전원은 교류전원이므로, 2개의 입력라인(N,P)의 각각과 접지라인(G) 사이의 전원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 라인 감지부(30a,30b)는 정상적인 경우(정상분 또는 역상분) 서로 교차하여 온(On)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도 2에 도시되고 있다. 도 2는 접지연속성 상태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대하여, 제1 및 제2 라인 감지부(30a,30b)가 출력하는 제1 및 제2 감지신호(In-A,In-B)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이, 입력전원이 교류전원이면, 제1 및 제2 라인 감지부(30a,30b)는 온/오프 신호를 서로 교차하여 출력한다. 즉, 공급되는 전원이 역상분인 경우 제1 감지신호가 온(On)으로 출력되고, 제2 감지신호가 오프(off)로 출력된다. 전원이 정상분인 경우, 그 반대로, 제1 감지신호가 오프(off)로 출력되고, 제2 감지신호가 온(On)으로 출력된다.The first and second line sensing units 30a and 30b which sense the power supply between each of the two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re connected in a normal case Or a reverse phase) and outputs an On signal. This is shown in FIG. 2 show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In-A and In-B outputted by the first and second line sensing units 30a and 30b with respect to the AC power inputted in the ground continuity state . As shown in FIG. 2, if the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the first and second line sensing units 30a and 30b cross the on / off signals. That is, when the supplied power is in the reverse phase, the first sensing signal is outputted as On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outputted as off. When the power source is normal, the first sensing signal is output in off state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outputted in on state.

다음으로, 제어부(40)는 전원선 감지부(30)로부터 감지신호(In-A, In-B)를 수신하여, 접지연속성 또는 접지불연속성(무접지, 미접지, 비접지)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접지의 연속성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RY-OUT)를 릴레이부(50)로 출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는 미접지(무접지, 비접지) 상태 여부 또는 접지 연속성 여부에 따라 표시부(60)에 온/오프 표시신호를 출력한다.Next,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In-A and In-B from the power line sensing unit 30 and detects the ground continuity or the ground discontinuity (ungrounded, ungrounded, and ungrounded) . Also, the control unit 40 outputs the control signal RY-OUT to the relay unit 50 depending on whether the ground is continuous or not. Also, preferably, the control unit 40 outputs an on / off indication signal to the display unit 60 in accordance with whether it is ungrounded (ungrounded or ungrounded) or whether it is continuity of grounding.

또한,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으로서, 하나의 제어칩으로 구성된다. MCU는 감지신호 등을 입력신호로서 입력받고, 제어신호(RY-OUT) 등을 출력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MCU는 직류전원 생성부(20)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을 전원으로 제공받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is a microcontroller unit (MCU), which is composed of one control chip. The MCU receives a detection signal as an input signal,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RY-OUT) as an output signal. Also, the MCU receives the DC power generated by the DC power generator 20 as a power source.

특히, 제어부(40)는 전원선 감지부(30)로부터 온/오프(또는 1/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들의 신호값에 따라 접지연속성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40)에서 감지신호에 따른 접지연속성 판단의 논리 연산은 도 3과 같다.Particularly,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ON / OFF (or 1/0) sensing signal from the power line sensing unit 3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ground continuity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 of the sensing signals. The logic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ground continuity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n the control unit 40 is shown in FIG.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감지신호(In-A, In-B)가 하나는 온(1) 또는 다른 하나는 오프(0)이면 접지연속성 상태로 판단한다. 특히, 제1 감지신호(In-A)가 0이고 제2 감지신호(In-B)가 1이면, 입력전원이 정상 상태이다. 또한, 그 반대인 경우, 즉, 제1 감지신호(In-A)가 1이고 제2 감지신호(In-B)가 0이면, 입력전원이 역상 상태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감지신호(In-A, In-B)가 모두 오프(0)이면 비접지 상태, 즉, 접지 불연속성 상태로 판단한다. 이 경우는 접지라인(G)이 접지되지 않아, 감지신호가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이다.As shown in FIG. 3, when one of the two sensing signals In-A and In-B is on (1) or the other is off (0), the ground continuity state is determined. Particularly,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s 0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n-B is 1, the input power is in a normal state. In the opposite case, that is,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s 1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n-B is 0, the input power is in a reverse phase state. When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In-A and In-B are off (0), it is judged to be a non-grounded state, that is, a ground discontinuity state. In this case, the ground line G is not grounded and no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또한, 제어부(40)는 입력전원의 접지 상태가 접지 불연속성으로 판단되면, 릴레이부(50)에 제어신호(RY-OUT)를 출력하여, 릴레이부(50)가 입력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3과 같이, 릴레이부(50)에 출력하는 제어신호(RY-OUT)를 오프(0)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40 outputs a control signal RY-OUT to the relay unit 50 to control the relay unit 50 to cut off the input power when the ground state of the input power source is judged as the ground discontinuity.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signal RY-OUT outputted to the relay unit 50 is outputted as off (0).

또한, 제어부(40)는 입력전원의 접지 상태에 따라 표시부(60)에 표시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60)는 전원선(또는 입력라인)의 상태 및 접지 연속성 상태(또는 미접지 상태)를 표시등(LED)을 통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한다.Also, the control unit 40 outputs a display signal to the display unit 60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ed state of the input power source.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line (or input line) and the ground continuity state (or ungrounded state) through an indicator light (LED).

다음으로, 릴레이부(50)는 입력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51)와, 릴레이(51)를 구동하는 구동부(52)로 구성된다.Next, the relay unit 50 includes a relay 51 for turning on / off the input power, and a driving unit 52 for driving the relay 51.

구동부(52)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RY-OUT)에 따라 릴레이(51)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동부(52)는 광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ISO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토커플러(ISO3)의 발광부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RY-OUT)에 의해 발광되고, 포토커플러(ISO3)의 수광부는 릴레이(51)에 구비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연결된다. 그래서 제어신호(RY-OUT)에 의해 발광되면, 트랜지스터(Q4)를 통해 구동신호가 릴레이(51)에 전달된다.The driving unit 52 outputs a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lay 51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RY-OUT of the control unit 40. [ The driving unit 52 may include a photo coupler (ISO3) that transmits a signal by light. That is,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hotocoupler ISO3 is emitted by the control signal RY-OUT of the control portion 40,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photocoupler ISO3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4 provided in the relay 51 do. Thus, when light is emitted by the control signal RY-OUT,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lay 51 through the transistor Q4.

릴레이(51)는 전원 입력부(10)와 구동부(52)와 연결되며, 구동부(52)의 출력에 대응하여 스위치 상태가 제어되어 헤더(Header)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전기기기의 사용 중 전원선의 상태가 무접지(접지 불연속성) 상태인 경우, 릴레이(51)를 통하여 입력전원(220V)을 차단한다. 즉, 제어부(50)는 전기기기의 전원 투입 전에 전원선이 무접지(접지불연속성) 상태인 경우, 입력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방지회로를 통하여 통제한다. 그리고 전원선이 정상상태인 경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The relay 51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10 and the driving unit 52. The switch 51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52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header. Therefore, the controller 50 cuts off the input power source 220V through the relay 51 when the state of the power source line is ungrounded (ground discontinuity) during use of the electric device. That is,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input power source through the prevention circuit when the power source line is in a non-grounded state (ground discontinuity) before the electric device is turned on. If the power line is in the normal state, control is returned to the previous state.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형 누전차단기와의 기술병합을 통하여 일체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용 전기기계/기구를 포함하는 모든 전기실비로부터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재해에 대한 근원적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용 전기기계/기구 등 전기기기로부터 접지연속성을 상시 확인하여, 작업 중에라도 접지선의 이탈/단선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위험성을 미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지 불연속일 때 전기기기의 입력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의 조기감지 및 사전조치를 취하게 하여 감전 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는 양수기, 열풍기, 이동형 발전기, 철근 절곡기, 콤프레셔 등의 이동식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and miniaturized through the merging of technologies with existing portable type earth leakage breaker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electric shock accident caused by short-circuiting from all the electricity costs including the moving electric machine / mechanis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check the continuity of the grounding from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moving electric machine / mechanism, and can detect a danger of electric shock which may occur due to disconnection / disconnection of a grounding line even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grounding discontinuity occurs, the input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is cut off, thereby early detection of a short circuit and proactive measures can be taken to reduce an electric shock disaster.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obile devices such as a water pump, a hot air fan, a mobile generator, a reinforcing bar, and a compresso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의 외형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Next,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차단장치는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와 연결되는 삽입단자와, 입력단자(N,P), 접지(eart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단자는 기존의 휴대형 누전차단기에 삽입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ower-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or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put terminals N and P, and an earth. The input terminal can be integrated into a conventional portable type earth leakage breaker.

또한, 본 발명의 전원차단장치는 본체 외부에 무접지 상태 및 전원이 차단됨을 표시하는 무접지 및 전원차단 표시등, 액상 표시등, 전원 표시등 등 표시부(6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 전원의 통전시 전원 활선 표시 및 확인이 가능하고, 접지선 단락/단선 시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Further, the power cutoff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60 such as a power off indicator, a liquid crystal display, a power indicator, and the like, which indicates that the power is off.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nd confirm the power supply line when the power supply apparatus or the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is energized, and can confirm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or the power supply apparatus when the power supply apparatus is short-circuited or disconnected.

또한, 접지연속성에서 접지선의 단선 시, 전원의 차단 및 전원의 투입 불가 기능의 표시 및 그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 및 중앙선(L1, N상 및, L1, L2, L3, N상)의 표시 및 확인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isconnection of the ground wire in the continuity of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display and confirm the function of disabling the power supply and disabling the power supply. And display and confirmation of power source and center line (L1, N phase and L1, L2, L3, N phase) are possibl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전원을 리셋시키는 기능 복귀 스위치(리셋용)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return switch (resetting) function for resetting the power sour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individuall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disconnection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차단장치는 전원 입력부(110), 직류전원 생성부(120), 전원선 감지부(130), 제어부(140), 릴레이부(150), 전원 출력부(170), 및, 전원 차단부(180)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표시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the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10, a DC power generation unit 120, a power line sensing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relay unit 150, a power output unit 170, and a power shutoff unit 18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be further included.

전원 입력부(110)는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는다. 전원 입력부(110)는 전원입력 라인(N,P) 및 접지 라인(또는 중성 라인)(G)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라인(N,P)은 2개의 라인으로서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라인이고, 접지라인(G)은 접지(earth)를 시키는 라인이다.The power input unit 110 receives AC power as input power. The power input unit 110 includes power input lines N and P and a ground line (or a neutral line) G. Preferably, the input lines N and P are lines in which AC power is input as two lines, and the ground line G is a line which causes earth.

또한, 전원 입력부(110)는 외부 교류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J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단자(J2)는 외형적으로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에 삽입되고,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입력라인(N,P) 및 접지라인(G)의 끝단에는 연결단자(J2)의 입력단자 또는 접지단자와 연결되어, 해당 입력단자 및 접지단자가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의 전원단자 및 접지단자와 연결된다. 접지라인(G)은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원분배장치(미도시)의 접지단자와 연결되어, 접지(earth)된다.Also, the power input unit 11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J2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AC power source. Preferably, the connection terminal J2 is formed in a plug-like shape and is inserted into a power supply device or a power distribution device (not shown) to which AC power is supplied, and a power supply device or a power distribution device (not shown) Is supplied with AC power. That is, the input terminal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r the ground terminal of the connection terminal J2 at the ends thereof,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o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 And the ground terminal. The ground line G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or power distribution device (not shown) and is grounded.

다음으로, 직류전원 생성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반도체 소자 등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직류전원 생성부(12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121)와, 트랜스(121)의 출력전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류하는 정류부(122)로 구성된다. 직류전원 생성부(120)는 정류된 직류 전원을 릴레이부(150) 또는 신호 처리부(150) 등에 전원으로 공급한다.Next, the DC power generating unit 120 receives the AC power from the power input unit 110, converts the AC power into a DC voltage, and supplies power to an electronic circuit such as a semiconductor device. The DC power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transformer 121 for converting an AC power source to a DC voltage and a rectifying unit 122 for rectifying and removing noise from an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The DC power generation unit 120 supplies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relay unit 15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and the like.

또한, 전원 출력부(170)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전자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원 출력부(170)는 전원출력 라인(N',P') 및 접지 라인(또는 중성 라인)(G)으로 구성된다. 전원 입력부(110)의 접지라인은 입력접지라인이라 부르고, 전원 출력부(170)의 접지라인은 출력접지라인이라 부르기로 한다. 양자를 구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접지라인으로 기재할 수 있다. 특히, 입력접지라인과 출력접지라인은 서로 연결되므로, 접지라인으로 구별 없이 사용하고, 구별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구분하여 기재한다.Also, the power output unit 17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ted AC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The power output unit 170 is composed of power output lines N 'and P' and a ground line (or neutral line) G. The ground line of the power input unit 110 is referred to as an input ground line and the ground line of the power output unit 170 is referred to as an output ground line.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m, they can be generally described as ground lines. In particular, since the input ground line and the output ground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y are used without distinction as the ground line.

또한, 전원 출력부(170)는 전자기기(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J4)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연결단자(J4)는 외형적으로 콘센트 형태로 구성되어,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전자기기로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연결단자(J4)는 접지라인과 별도로 추가적인 접지를 구성할 수 있다.The power output unit 170 has a connection terminal J4 for conne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terminal J4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outlet so that the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to supply the AC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the connection terminal J4 can constitute additional grounding separately from the grounding line.

다음으로, 전원 차단부(180)는 전원 입력부(110) 및 전원 출력부(170) 사이에 위치하여, 입력라인(N,P)과 출력라인(N',P')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차단부(180)는 평형 계전기(BR)로 구성된다. 특히, 전원 차단부(18)는 누전 등에 의해 출력라인 및 입력라인 간의 전류의 평형이 깨지는 경우 입력라인(N,P)과 출력라인(N',P') 사이를 차단한다.The power cutoff unit 180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110 and the power output unit 170 and connects or disconnects between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output lines N 'and P' . Preferably, the power shutoff unit 180 is composed of a balance relay BR. In particular, the power cut-off unit 18 cuts off between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output lines N 'and P' when the balance of the current between the output line and the input line is broken due to a short circuit or the like.

다음으로, 전원선 감지부(130)는 전원선의 정상상태(정상분, 역상분) 및, 누전 상태를 판별하여 정상, 비접지, 누전, 전원 인가 상태 등을 감지한다. 특히, 전원선 감지부(130)는 각 입력라인(N,P)과 접지라인(G) 사이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전원 감지부(130)는 각 출력라인(N',P')과 접지라인(G) 사이의 전류 또는 전압, 전위차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Next, 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line is in a normal state (normal or negative phase) and a short circuit state, and detects normal, ungrounded, short circuit, power supply,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senses a current or voltage between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The power sensing unit 130 senses a current, a voltage, and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to output a sensing signal.

즉, 입력라인(N,P)의 감지에 의하여, 접지라인(G)이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또는, 접지 연속인 경우) 온(On) 신호를 출력하고, 비정상적인 경우(또는 접지 불연속인 경우) 오프(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라인(N',P')의 감지에 의하여, 출력라인(N',P') 상에 누전 여부를 검출하여, 누전인 경우 온(On) 신호를 출력하고, 정상적인 경우 오프(off) 신호를 출력한다.That is, when the ground line G is normally grounded (or in the case of ground continuous) by the detection of the input lines N and P, an On signal is outputted. In case of abnormal (or grounding disconnection) And outputs an Off signal.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a short circuit on the output lines N 'and P' by detecting the output lines N 'and P', to output an On signal in the case of a short circuit, ) Signal.

바람직하게는, 전원선 감지부(130)는 각 입력라인(N,P) 또는 각 출력라인(N',P')의 출력에 부정(not) 연산하여, 온/오프 신호를 반대로 출력한다.Preferably, 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negates the output of each of the input lines N and P or each of the output lines N 'and P', and outputs the on / off signal inversely.

전원선 감지부(130)는 각 입력라인(N,P)에 따라 각 라인 감지부(130a, 130b)를 구성한다. 이를 각각 제1 라인 감지부(130a) 및, 제2 라인 감지부(130b)라 부르기로 한다. 제1 라인 감지부(130a)는 입력라인(N,P) 중 하나의 라인(N)과 접지라인(G) 간의 전압을 감지하고, 제2 라인 감지부(130b)는 다른 하나의 라인(P)와 접지 라인(G) 간의 전압을 감지한다. 즉, 제1 및 제2 라인 감지부(130a, 130b)는 입력라인(N,P)과 접지라인(G) 간의 전위차에 의해 접지연속성을 감지한다.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configures the line sensing units 130a and 130b according to the input lines N and P, respectively. The first line sensing unit 130a and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130b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line sensing unit 130a and a second line sensing unit 130b, respectively. The first line sensing unit 130a senses the voltage between one of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nd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130b senses the voltage between the other line P ) And the ground line (G).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ne sensing units 130a and 130b sense the ground continuity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

또한, 전원선 감지부(130)는 각 출력라인(N',P')에 따라 각 라인 감지부(130c, 130d)를 구성한다. 이를 각각 제3 라인 감지부(130c) 및, 제4 라인 감지부(130d)라 부르기로 한다. 제3 라인 감지부(130c)는 출력라인(N',P') 중 하나의 라인(N)과 접지 또는 접지라인(G) 간의 전압을 감지하고, 제4 라인 감지부(130d)는 다른 하나의 라인(P')와 접지 라인(G) 간의 전압을 감지한다. 즉, 제3 및 제4 라인 감지부(130c, 130d)는 출력라인(N',P')과 접지(G) 간의 전위차에 의해 누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3 및 제4 라인 감지부(130c, 130d)에서 모두 전류, 전압, 또는 전위차가 검출되면, 누전으로 판별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정상 상태로 판별한다. 즉, 제3 및 제4 라인 감지부(130c, 130d) 중에서 적어도 1개에서 전류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상 상태로 판별한다.Also, 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configures the line sensing units 130c and 130d according to the output lines N 'and P'. These are referred to as a third line sensing unit 130c and a fourth line sensing unit 130d, respectively. The third line sensing unit 130c senses the voltage between one line N of the out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or ground line G, and the fourth line sensing unit 130d senses the voltage between the other The voltage between the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is detected.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line sensing units 130c and 130d sense a short circuit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G. Specifically, if the current, voltage, or potential difference is detected in all of the third and fourth line sensing units 130c and 130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hort circuit. If not, it is determined to be in a normal state. That is, if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line sensing units 130c and 130d does not sense a current flow, it is determined to be in a normal state.

제1 라인 감지부(130a)는 입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에 정류부(131a)와 포토커플러(132a)를 직렬로 연결하고, 포토커플러(132a)의 출력(수광부 출력)에 논리부정 게이트(133a)를 연결하고, 논리부정 게이트(133a)의 출력을 감지신호(In-A)로 출력한다. 이때, 논리부정 게이트(133a)는 NAND 게이트를 이용하고, 포토커플러(132a)의 출력을 2개의 입력으로 모두 NAND 게이트로 출력한다.The first line sensing unit 130a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131a and the photocoupler 132a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132a Connects the logic negative gate 133a,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logic negative gate 133a as the sense signal In-A. At this time, the logic gating gate 133a uses the NAND gate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132a to the NAND gate as two inputs.

정류부(131a)는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의 역상 전압만을 통과시킨다. 정류부(131a)에 의해 통과된 전압은 포토커플러(132a)의 발광부를 발광시키고, 이를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감지신호(In-A)를 온(On)으로 출력하고, 감지신호(In-A)는 논리부정 게이트(133a)에 의해 반대 신호인 오프(Off)로 출력된다.The rectifying unit 131a is composed of a diode D1 and allows only the reverse-phase voltage of the AC power source to pass therethrough. The voltage passed by the rectifying unit 131a causes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hotocoupler 132a to emit light and receive the light by the light receiving unit to output the sensing signal In-A as On, and the sensing signal In- And is output as the opposite signal Off by the logic negative gate 133a.

따라서 제1 라인 감지부(130a)는 입력라인(N)으로 역상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감지신호(In-A)를 오프(Off)로 출력한다. 이때의 감지신호를 제1 감지신호라 부르기로 한다. 특히, 제1 라인 감지부(130a)는 접지라인(G)이 접지연속성 상태(접지된 상태)인 경우에만 입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압이 발생되면, 접지연속상 상태에만 제1 감지신호(In-A)를 출력한다. 즉, 접지불연속 상태(접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입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감지신호(In-A)는 오프(off), NAND 게이트에 의해 최종적으로 온(On)으로 출력된다.Therefore, the first line sensing unit 130a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A in off state only when the reverse-phase power is input to the input line N. The sensing signal at this tim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sensing signal. Particularly, when the voltage is generated between the in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only when the ground line G is in the ground continuous state (grounded state), the first line sensing unit 130a only detects the ground continuous state And outputs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n other words, since no voltage is generated between the in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in the case of a ground discontinuous state (a state not grounded), the first sense signal In-A is off, And finally outputted as On.

또한, 제2 라인 감지부(130b)는 입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에 정류부(131b)와 포토커플러(132b)를 직렬로 연결하고, 포토커플러(132a)의 출력(수광부 출력)에 논리부정 게이트(133b)를 연결하고, 논리부정 게이트(133b)의 출력을 감지신호(In-B)로 출력한다. 이때, 논리부정 게이트(133b)는 NAND 게이트를 이용한다.The second line sensing unit 130b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131b and the photocoupler 132b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132a ,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logical NOT gate 133b as a sense signal In-B. At this time, the logical NOT gate 133b uses a NAND gate.

정류부(131b)는 다이오드(D4)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의 정상 전압만을 통과시킨다. 정류부(131b)에 의해 통과된 전압은 포토커플러(132b)의 발광부를 발광시키고, 이를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감지신호(In-B)를 온(On)으로 출력하고, 논리부정되어 최종적으로 오프(Off)로 출력한다.The rectifying part 131b is composed of a diode D4 and allows only the steady voltage of the AC power source to pass therethrough. The voltage passed by the rectifying unit 131b causes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hotocoupler 132b to emit light and receive the light by the light receiving unit to output the detection signal In-B as On, .

따라서 제2 라인 감지부(130b)는 입력라인(P)으로 정상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감지신호(In-B)를 오프(Off)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라인 감지부(130b)는 접지라인(G)이 접지연속성 상태(접지된 상태)인 경우에만 입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압이 발생되므로, 접지연속상 상태에만 제2 감지신호(In-B)를 출력한다. 즉, 접지불연속 상태(접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입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로 전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2 감지신호(In-B)는 최종적으로 온(On)으로 출력된다.Accordingly,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130b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B in an off state only when the normal power is input to the input line P. [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130b generates a voltage between the in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only when the ground line G is in the ground continuity state 2 sense signal In-B. That is, in the case of the ground discontinuous state (the state not being grounded), since no voltage is generated between the in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the second sensing signal In-B is finally turned on .

입력되는 전원은 교류전원이므로, 2개의 입력라인(N,P)의 각각과 접지라인(G) 사이의 전원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 라인 감지부(130a,130b)는 정상적인 경우(정상분 또는 역상분) 서로 교차하여 온(On)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앞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지 출력되는 신호가 반대 신호인 점에서 다르다.The first and second line sensing units 130a and 130b that sense the power supply between each of the two input lines N and P and the ground line G are in a normal state Or a reverse phase) and outputs an On signal. Thi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output signal is the opposite signal.

다음으로, 제3 라인 감지부(130c)는 출력라인(N')과 접지라인(G) 사이에 정류부(131c)와 포토커플러(132c)를 직렬로 연결하고, 포토커플러(132c)의 출력(수광부 출력)에 논리부정 게이트(133c)를 연결하고, 논리부정 게이트(133c)의 출력을 감지신호(In-C)로 출력한다. 이때, 논리부정 게이트(133c)는 NAND 게이트를 이용한다. 또한, 접지라인(G)은 입력전원의 접지라인(G)이나 출력전원의 접지라인(G') 또는 출력측 연결단자(J4)에 구비된 접지일 수 있다. 제3 라인 감지부(130c)의 정류부(131c), 포토커플러(132c), 논리부정 게이트(133c)는 앞서 제1 또는 제2 라인 감지부(130a,130b)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3 라인 감지부(130c)는 입력라인(P')으로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감지신호(In-C)를 오프(Off)로 출력한다.Next, the third line sensing unit 130c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131c and the photocoupler 132c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line N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132c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logic undefined gate 133c as a sense signal In-C. At this time, the logical NOT gate 133c uses a NAND gate. The ground line G may be a ground provided on the ground line G of the input power source, the ground line G 'of the output power source, or the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 J4. The rectification part 131c, the photocoupler 132c and the logic gates 133c of the third line sensing part 130c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or second line sensing part 130a or 130b. Accordingly, the third line sensing unit 130c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C in off state only when power is input to the input line P '.

또한, 제4 라인 감지부(130d)는 출력라인(P')과 접지라인(G) 사이에 정류부(131d)와 포토커플러(132d)를 직렬로 연결하고, 포토커플러(132d)의 출력(수광부 출력)에 논리부정 게이트(133d)를 연결하고, 논리부정 게이트(133d)의 출력을 감지신호(In-D)로 출력한다. 제4 라인 감지부(130d)의 구성은 제3 라인 감지부(130c)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출력라인(N',P')에서만 차이가 있다.The fourth line sensing unit 130d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131d and the photocoupler 132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line P 'and the ground line G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132d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logic undefined gate 133d as the sense signal In-D.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line sensing unit 130d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line sensing unit 130c.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e output lines N 'and P'.

출력되는 전원은 전자기기(미도시)로 공급되는 전원이고, 만약, 전자기기(미도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2개의 출력라인(N',P') 모두에서 전류가 흐를 것이다. 따라서 누전이 되면, 제3 및 제4 라인 감지부(130c, 130d)에서 모두 전원이 흐르는 것으로 검출될 것이다. 즉, 제3 라인 감지부(130c)와 제4 라인 감지부(130d)는 각각 출력전원(전자기기)에 대한 전압을 감지한다.The output power source is a power source su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If a short circuit occurs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current will flow in both of the two output lines N 'and P'. Therefore, when a short circuit is detected, it will be detected that all the power flows in the third and fourth line sensing units 130c and 130d. That is, the third line sensing unit 130c and the fourth line sensing unit 130d sense the voltage of the output power sourc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전원선 감지부(130)로부터 감지신호(In-A, In-B, In-C, In-D)를 수신하여, 접지연속성(접지) 상태 또는 누전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접지의 연속성 여부 또는 누전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RY-OUT1, RY-OUT2)를 릴레이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40)는 접지 연속성 여부 또는 누전 여부에 따라 표시부(160)에 표시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sensing signals In-A, In-B, In-C and In-D from 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and detects a ground continuity do. Also, the control unit 40 outputs the control signals RY-OUT1 and RY-OUT2 to the re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continuity of the ground or the short circuit. Also, preferably, the control unit 140 outputs a display signal to the display unit 160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re is continuity of grounding or a short circuit.

또한, 제어부(1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으로서, 하나의 제어칩으로 구성된다. MCU는 감지신호 등을 입력신호로서 입력받고, 제어신호 등을 출력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MCU는 직류전원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을 전원으로 제공받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is a microcontroller unit (MCU), and is composed of one control chip. The MCU receives a detection signal or the like as an input signal,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or the like as an output signal. Also, the MCU receives the DC power generated by the DC power generator 120 as a power source.

특히, 제어부(140)는 전원선 감지부(130)로부터 온/오프(또는 1/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들의 신호값에 따라 접지연속성 여부 또는 누전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에서 감지신호에 따른 접지연속성 판단 및 누전 판단의 논리 연산은 도 6과 같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N / OFF (or 1/0) sensing signal from the power line sensing unit 130 and determines whether the ground continuity or the short circuit is present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 of the sensing signals.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grounding continuity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logical calculation of the leakage determination as shown in FIG.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감지신호(In-A, In-B)가 하나는 온(1) 또는 다른 하나는 오프(0)이면 접지연속성 상태로 판단한다. 특히, 제1 감지신호(In-A)가 1이고 제2 감지신호(In-B)가 0이면, 입력전원이 정상 상태이다. 또한, 그 반대인 경우, 즉, 제1 감지신호(In-A)가 0이고 제2 감지신호(In-B)가 1이면, 입력전원이 역상 상태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감지신호(In-A, In-B)가 모두 온(1)이면 비접지 상태, 즉, 접지 불연속성 상태로 판단한다. 이 경우는 접지라인(G)이 접지되지 않아, 감지신호가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이다.As shown in FIG. 6, i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In-A and In-B are ON (1) or the other is OFF (0), the ground continuity state is determined. Particularly,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s 1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n-B is 0, the input power is in a normal state. In the opposite case, that is,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In-A is 0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n-B is 1, the input power is in a reverse phase state. If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In-A and In-B are on (1), it is judged to be a non-grounded state, that is, a grounding discontinuity state. In this case, the ground line G is not grounded and no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또한, 제3 및 제4 감지신호(In-C, In-D)가 모두 오프(0)이면 누전 상태로 판단한다. 즉, 전자기기(미도시)로 출력되는 입력라인 모두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이므로, 누전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감지신호(In-C, In-D) 중 적어도 1개가 온(1)이면 정상 상태 또는 비누전 상태로 판단한다.If all of the third and fourth sensing signals In-C and In-D are off (0), it is judged as a short circuit state. That is, since current flows through all of the input lines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short circuit. If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sensing signals In-C and In-D is on (1),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or a soap state.

또한, 제어부(140)는 입력전원의 접지 상태가 접지 불연속성으로 판단되면, 릴레이부(150)에 제1 제어신호(RY-OUT1)를 출력하여, 릴레이부(150)가 입력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6과 같이, 릴레이부(150)에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RY-OUT1)를 오프(0)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40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RY-OUT1 to the relay unit 150 to control the relay unit 150 to shut off the input power, if the ground state of the input power source is determined as the ground discontinuity do.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first control signal RY-OUT1 to be output to the relay unit 150 is output as OFF (0).

또한, 제어부(140)는 출력전원이 누전 상태로 판단되면, 릴레이부(150)에 제2 제어신호(RY-OUT2)를 출력하여, 릴레이부(150)가 출력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6과 같이, 릴레이부(150)에 출력하는 제2 제어신호(RY-OUT2)를 오프(0)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40 outputs a second control signal RY-OUT2 to the relay unit 150 to control the relay unit 150 to cut off the output power when the output power source is judged to be a short circuit state.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control signal RY-OUT2 to be output to the relay unit 150 is outputted as OFF (0).

또한, 제어부(140)는 입력전원의 접지 상태 또는 출력전원의 누전 상태에 따라 표시부(160)에 표시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160)는 전원선(또는 입력라인)의 상태 및 접지 연속성 상태(또는 미접지 상태), 누전 상태를 표시등(LED)을 통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outputs a display signal to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grounded state of the input power source or the leakage state of the output power source.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line (or input line), the ground continuity state (or ungrounded state), and the light leakage state via the indicator light (LED).

다음으로, 릴레이부(150)는 입력전원을 온/오프하는 제1 릴레이(151a)와, 제1 릴레이(151a)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152a)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릴레이부(150)는 출력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2 릴레이(151b)와, 제2 릴레이(151b)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152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Next, the relay unit 150 includes a first relay 151a for turning on / off the input power, and a first driver 152a for driving the first relay 151a. In addition, the relay unit 150 further includes a second relay 151b that connects or disconnects the output power, and a second driver 152b that drives the second relay 151b.

제1 구동부(152a)는 제어부(140)의 제1 제어신호(RY-OUT1)에 따라 제1 릴레이(151a)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1 구동부(152a)는 광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ISO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토커플러(ISO4)의 발광부는 제어부(140)의 제1 제어신호(RY-OUT1)에 의해 발광되고, 포토커플러(ISO4)의 수광부는 제1 릴레이(151a)에 구비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연결된다. 그래서 제1 제어신호(RY-OUT1)에 의해 발광되면, 트랜지스터(Q5)를 통해 구동신호가 제1 릴레이(151a)에 전달된다.The first driving unit 152a outputs a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relay 151a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RY-OUT1 of the controller 140. [ The first driver 152a may include a photo coupler (ISO4) that transmits a signal by light.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O4 is emit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RY-OUT1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O4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5 of the first relay 151a. As shown in FIG. Thus, when light is emit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RY-OUT1,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lay 151a through the transistor Q5.

제1 릴레이(151a)는 전원 입력부(110) 및 전원 차단부(180) 사이의 입력라인(N,P)의 스위치(RL1)를 오프시켜, 출력전원을 차단시킨다. 제1 릴레이(151a)는 전원 입력부(110)와 제1 구동부(152a)와 연결되며, 제1 구동부(152a)의 출력에 대응하여 스위치 상태가 제어되어 헤더(Header)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전기기기의 사용 중 전원선의 상태가 무접지(접지 불연속성) 상태인 경우, 제1 릴레이(151a)를 통하여 입력전원을 차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전기기기의 전원 투입 전에 전원선이 무접지(접지불연속성) 상태인 경우, 입력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방지회로를 통하여 통제한다. 그리고 전원선이 정상상태인 경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The first relay 151a turns off the switch RL1 of the input lines N and P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110 and the power cutoff unit 180 to cut off the output power. The first relay 151a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110 and the first driving unit 152a and the switch state is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first driving unit 152a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header .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cuts off the input power through the first relay 151a when the electric power line of the electric device is in a non-grounded state (ground discontinuity).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input power source through the prevention circuit when the power line is not grounded (ground discontinuity) before the electric device is turned on. If the power line is in the normal state, control is returned to the previous state.

또한, 제2 구동부(152b)는 제어부(140)의 제2 제어신호(RY-OUT1)에 따라 제2 릴레이(151b)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2 구동부(152b)는 광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ISO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토커플러(ISO5)의 발광부는 제어부(140)의 제2 제어신호(RY-OUT2)에 의해 발광되고, 포토커플러(ISO4)의 수광부는 제2 릴레이(151b)에 구비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연결된다. 그래서 제2 제어신호(RY-OUT2)에 의해 발광되면, 트랜지스터(Q5)를 통해 구동신호가 제2 릴레이(151b)에 전달된다.The second driving unit 152b outputs a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relay 151b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RY-OUT1 of the controller 140. [ The second driving unit 152b may include a photo coupler (ISO4) that transmits a signal by light.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O5 is emit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RY-OUT2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O4 is illuminated by the transistor Q5 of the second relay 151b. As shown in FIG. Thus, when light is emit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RY-OUT2,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elay 151b through the transistor Q5.

제2 릴레이(151b)는 전원 차단부(180) 및 전원 출력부(170) 사이의 출력라인(N',P')의 스위치(RL2)를 오프시켜, 출력전원을 차단시킨다. 즉, 제어부(150)는 전기기기의 사용 중 누전 상태인 경우, 제2 릴레이(151b)를 통하여 출력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출력전원이 정상상태인 경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The second relay 151b turns off the switch RL2 of the output lines N 'and P' between the power cutoff unit 180 and the power output unit 170 to cut off the output power. That is, the controller 150 cuts off the output power through the second relay 151b when the electric device is in a short circuit state during use of the electric device. If the output power is in a normal state, control is returned to the previous stat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10 : 전원 입력부 20, 120 : 직류전원 생성부
30, 130 : 전원선 감지부 40, 140 : 제어부
50, 150 : 릴레이부 60, 160 : 표시부
170 : 전원 출력부 180 : 전원 차단부
10, 110: power input unit 20, 120: DC power generation unit
30, 130: Power line sensing unit 40, 140:
50, 150: relay unit 60, 160: display unit
170: power output unit 180: power cutoff unit

Claims (8)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2개의 입력라인과, 접지되는 접지라인으로 구성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직류전원 생성부;
각 입력라인과 접지라인 사이의 전압에 의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선 감지부;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접지 연속성 여부를 판단하고, 접지 연속성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입력부의 입력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선 감지부는, 상기 2개의 입력라인 중 하나인 제1 라인과 상기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라인 감지부와, 다른 하나인 제2 라인과 상기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라인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라인 감지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라인과 상기 접지라인 사이에 정류부와 포토커플러를 직렬로 연결하며,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을 감지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2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가 온(On)이고 다른 하나가 오프(Off)이면, 접지연속성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가 모두 오프(Off)이면 비접지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A power input unit comprising two input lines for receiving AC power as input power, and a ground line to be grounded;
A DC power generator for rectifying the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power;
A power line sensing unit outputting a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each input line and a ground line;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output sensed 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nsor is connected to groun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inuity of the ground; And
And a relay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n input line of the power input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power lin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ne sensing unit that outputs a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a first line of the two input lines and the ground line and a second line sensing unit that outputs a voltage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ground line And a second line sensing unit outputting a sensing signal,
The first or second line sensing unit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and the photocoupler in series between the first or second line and the ground line, outputs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as a sensing signal,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irst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in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and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on And i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are all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are in a non-grounded state,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일방향의 전류만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tifying unit comprises a diode to allow only one directional current to pass therethroug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입력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발광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수광부는 상기 릴레이에 구비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릴레이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unit includes a relay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n input power sourc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lay,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photocoupler,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 caused to emit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light receiving unit of the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a base of a transistor provided in the relay, Wherein the relay is driven.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2개의 입력라인과, 접지되는 제1 접지라인으로 구성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전원을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2개의 출력라인과, 접지되는 제2 접지라인으로 구성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출력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라인과 상기 출력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상기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직류전원 생성부;
각 입력라인과 상기 제1 접지라인 사이의 전압에 의해 제1 및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각 출력라인과 상기 제2 접지라인 사이의 전압에 의해 제3 및 제4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선 감지부;
상기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접지 연속성 여부 및 누전 여부를 판단하고, 접지 연속성 여부 또는 누전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A power input unit comprising two input lines for receiving AC power as input power and a first ground line to be grounded;
A power output unit comprising two output lines for outputting the AC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ground line to be grounded;
A power cutoff unit provid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power output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 DC power generator for rectifying the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power;
A first and a second sensing signals are output by the voltage between each input line and the first ground line and a third and a fourth sensing signal are output by voltages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 lines and the second ground line, A lin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to fourth sensing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continuity of grounding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short circuit,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continuity of grounding or a short circuit; And
And a relay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input line or the output li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감지부는, 상기 2개의 입력라인 중 하나와 상기 제1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라인 감지부, 상기 2개의 입력라인의 다른 하나와 상기 제1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라인 감지부, 상기 2개의 출력라인 중 하나와 상기 제2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3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라인 감지부, 및, 상기 2개의 출력라인의 다른 하나와 상기 제2 접지라인 간의 전압에 의해 제4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 라인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 제3 또는 제4 라인 감지부는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과, 상기 제1 또는 제2 접지라인 사이에 정류부와 포토커플러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논리부정 게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논리부정 게이트의 출력을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wer lin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ne sensing unit outputting a first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one of the two input lines and the first ground line, A third line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third sensing signal by a voltage between one of the two output lines and the second ground line, And a fourth line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fourth sensing signal by the voltage between the other one of the two output lines and the second ground line,
The first, second, third or fourth line sensing unit connects the rectifying unit and the photocoupler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or the output line and the first or second ground line, and the output of the photocoupler And connects the logic negative gate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logic negative gates as a sense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2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가 온(On)이고 다른 하나가 오프(Off)이면, 접지연속성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가 모두 온(On)이면 비접지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3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3 감지신호와, 상기 제4 라인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제4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및 제4 감지신호가 모두 오프(Off)이면, 누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irst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in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ine sensing unit, and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on And i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is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ignals are non-grounded,
A thir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line sensing unit and a fourth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ourth line sensing unit, and when the third sensing signal and the fourth sensing signal are both off, And the ground fault detection and power protection device.
KR1020160132242A 2016-10-12 2016-10-12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KR101705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242A KR101705090B1 (en) 2016-10-12 2016-10-12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242A KR101705090B1 (en) 2016-10-12 2016-10-12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090B1 true KR101705090B1 (en) 2017-02-09

Family

ID=5815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242A KR101705090B1 (en) 2016-10-12 2016-10-12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90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898A (en)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경동전자 Control circuit and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KR102077217B1 (en) 2019-10-24 2020-02-14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A load breaking device by checking ground using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2083285B1 (en) 2020-01-29 2020-03-02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A load breaking device by checking ground using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2085221B1 (en) * 2018-12-08 2020-03-05 주식회사 데베트론코리아 Ground Fault Detection and Ground Impedance Automatic Matching Apparatus
CN111551017A (en) * 2020-04-02 2020-08-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Self-resetting device and detection method for electric shock and dead halt of suction dryer
CN113466499A (en) * 2021-05-27 2021-10-0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Circuit wiring test box
KR102390261B1 (en) 2021-08-12 2022-04-25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Safety Device Comprising Polarity Aligning Part
KR102468638B1 (en) * 2021-07-27 2022-11-21 김규락 ground sensing plu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528A (en) * 2000-06-07 2001-12-20 윤종용 Ground error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30083472A (en) 2002-04-23 2003-10-30 한국산업안전공단 Earthing Status Displayer
KR100407770B1 (en) 2000-08-31 2003-12-01 장기권 A concent for confirming the ground which absorbs and removes electric waves
KR20060062552A (en) * 2004-12-03 2006-06-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Leakage current detect interruptor
KR100941962B1 (en) 2008-09-03 2010-02-12 유)엔텍코리아 Surge prot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528A (en) * 2000-06-07 2001-12-20 윤종용 Ground error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689032B1 (en) 2000-06-0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Ground error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407770B1 (en) 2000-08-31 2003-12-01 장기권 A concent for confirming the ground which absorbs and removes electric waves
KR20030083472A (en) 2002-04-23 2003-10-30 한국산업안전공단 Earthing Status Displayer
KR20060062552A (en) * 2004-12-03 2006-06-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Leakage current detect interruptor
KR100941962B1 (en) 2008-09-03 2010-02-12 유)엔텍코리아 Surge protect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898A (en)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경동전자 Control circuit and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KR102465564B1 (en) * 2018-02-06 2022-1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Control circuit and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KR102085221B1 (en) * 2018-12-08 2020-03-05 주식회사 데베트론코리아 Ground Fault Detection and Ground Impedance Automatic Matching Apparatus
KR102077217B1 (en) 2019-10-24 2020-02-14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A load breaking device by checking ground using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2083285B1 (en) 2020-01-29 2020-03-02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A load breaking device by checking ground using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N111551017A (en) * 2020-04-02 2020-08-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Self-resetting device and detection method for electric shock and dead halt of suction dryer
CN113466499A (en) * 2021-05-27 2021-10-0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Circuit wiring test box
CN113466499B (en) * 2021-05-27 2024-04-09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Circuit wiring test box
KR102468638B1 (en) * 2021-07-27 2022-11-21 김규락 ground sensing plug
KR102390261B1 (en) 2021-08-12 2022-04-25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Safety Device Comprising Polarity Aligning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090B1 (en) A power protection device of checking ground
US10840698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US20140268436A1 (en) Protective Device With Non-Volatile Memory Miswire Circuit
EP3073281B1 (en) Electronic circuit breaker
KR101442527B1 (en) Earth leakage breaking device for electric shock prevention
KR20110010143A (en) Device for neutral line replacement in electric po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437951B1 (en) Electrical 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KR101193145B1 (en) Cabinet panel for prevention disaster of neutral line peculi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3705B1 (en) Ground monitoring device
KR101032710B1 (en) Consent which can cut the power supply by overload and ARC
KR101049862B1 (en)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JP6509029B2 (en) Distribution board
KR102077217B1 (en) A load breaking device by checking ground using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1487426B1 (en) Ubiquitous distribution board having realtime supervision function of electric fire
KR101053497B1 (en)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US20060209476A1 (en) GFCI failure indicator
US20150092305A1 (en) Virtual Circuit Breaker
KR200442470Y1 (en) Short circuit protect and electric shock protect device
US20030043516A1 (en) Electrical 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KR102083285B1 (en) A load breaking device by checking ground using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JP2013219856A (en) Laying inspection device with automatic discriminating function
KR101302123B1 (en) Earth leakage breaker of automatic recovery type
KR20190096634A (en) Motor control centor comprising motor protection relay
KR20070032863A (en) Self-returnable electronic leakage circuit breaker having integrated double switch
KR102514237B1 (en) Earth Leakage Breaker Built-I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