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775B1 -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775B1
KR101704775B1 KR1020160013604A KR20160013604A KR101704775B1 KR 101704775 B1 KR101704775 B1 KR 101704775B1 KR 1020160013604 A KR1020160013604 A KR 1020160013604A KR 20160013604 A KR20160013604 A KR 20160013604A KR 101704775 B1 KR101704775 B1 KR 10170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object
image
region
interes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해
Original Assignee
(주)비상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상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비상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6001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하는 동적 객체 식별부, 상기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가변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본 발명은 동영상을 프레임별 영상의 중요도를 2단계 이상으로 차등화 하고 해상도를 중요도에 따라 달리하여, 영상의 압축 효율을 높이면서도 영상의 주요 영역에 대해서는 높은 해상도를 확보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 영상 시스템이 적용됨에 따라, 그러한 영상 처리를 위한 영상 처리 기술에도 다양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을 보다 오랜 기간 저장하는 것에 대한 요구나, 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보관하는 등의 요구가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영상 저장 장치의 용량의 한계나 영상 전송 대역의 한계에 의하여, 영상 처리 시 영상전체를 일정한 해상도로 일괄 적용하여 압축하여 왔다.
즉, 최근 영상 압축 방식은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영상부분을 발췌하여 변화된 영상부분만을 압축하여 전송하는 방식이지만, 변화된 영상을 중요도를 분석하여 다양한 해상도로 압축 전송하는 방식이 아닌 정해진 해상도에 따라 일괄 압축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에 따라, 고해상도의 영상을 압축하는데 비효율이 발생하고, 전송 시 파일의 크기가 크기에 전송 트래픽이 많이 발생되거나 보관하는데 많은 용량을 차지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2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영상의 압축 효율을 높이면서도 영상의 주요 영역에 대해서는 높은 해상도를 확보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영상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하는 동적 객체 식별부; 상기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가변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압축부는 상기 영상, 상기 동적 객체 및 상기 관심 영역을 입력받아 압축될 영역 및 상기 압축될 영역에 대한 압축률을 구분하는 압축 영역 결정기; 상기 압축 영역 결정기에서 구분된 압축될 영역 및 압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상기 동적 객체 및 상기 관심 영역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압축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의 출력을 하나의 압축 데이터로 생성하는 압축 데이터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하고,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무손실 압축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손실 압축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영역 검출부는, 상기 동적 객체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얼굴 인식기 및 상기 동적 객체에서 번호판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번호판 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압축부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을 수행하고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는 손실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압축부는 상기 관심 영역은 제1 해상도를 가지도록, 상기 동적 객체는 제2 해상도를 가지도록, 또한 상기 관심 영역 및 상기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3 해상도를 가지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 보다 높고, 상기 제2 해상도는 상기 제3 해상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관심 영역 검출부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관심 영역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대표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영상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동적 객체 식별부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관심 영역 검출부에서 상기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압축영역 결정기, 복수 개의 압축기 및 압축 데이터 생성기를 포함하는 가변 압축부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하고,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무손실 압축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손실 압축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객체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객체에서 번호판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는 손실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관심 영역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영상의 압축 효율을 높이면서도 영상의 주요 영역에 대해서는 높은 해상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영상의 주요 영역에 대하여 높은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복원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람 인식률 또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축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압축 효율이 높아지며, 또한 압축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압축 작업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 가능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적 객체 식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심 영역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변 압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입력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력 영상에서 추출된 관심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입력 영상에 대해, 관심 영역과 기타 영역의 압축률을 다르게 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디코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 가능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1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0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00)는 관심 영역과 기타 영역의 압축률을 다르게 설정하여 영상을 압축하여, 압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00)는 압축 데이터를 저장 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영상 처리 장치(100)는 압축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00)는 영상에서 관심 영역에 대해서는 낮은 압축률로 압축하고, 기타 영역은 높은 압축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 장치(100)는 사람의 얼굴이나 자동차의 번호판 등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고, 움직임이 없는 배경 영역 등을 기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생성된 압축 데이터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압축 데이터를 디코딩하였을 때, 영상에서 주요한 정보를 가지는 부분, 즉, 상기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은 높은 해상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00)는 동적 객체 식별부(110), 관심 영역 검출부(120) 및 가변 압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객체 식별부(110)는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객체 식별부(110)는 영상에서 이동하는 자동차나 사람을 인식하여 동적 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20)는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영역 검출부(120)는 동적 객체로 식별된 사람에서 얼굴을 인식하여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동적 객체로 식별된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가변 압축부(130)는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또는 가변 압축부(130)는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영상의 기타 영역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객체는 저화질로 변경하여 고압축하고, 관심 영역은 고화질을 유지하도록 저압축 또는 비압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 압축부(130)는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하고,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이동하는 영상에서, 동적 객체인 자동차를 제외한 기타 배경은, 복수 프레임에서 동일한 영상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압축부(130)는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영역, 즉, 동적 객체가 아닌 영역들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 압축부(130)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을 수행하고,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는 손실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 제1 해상도를 가진다고 할 때, 관심 영역은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도록 무손실 압축할 수 있다. 즉, 관심 영역은 원본 영상의 해상도를 그대로 가질 수 있다. 한편, 가변 압축부(130)는 동적 객체에 대해서는 제1 해상도 보다 낮은 제2 해상도를 가지도록 손실 압축할 수 있다. 이는, 관심 영역은 주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나, 동적 객체의 나머지 영역은 주요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관심 영역만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해상도를 낮추어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 압축부(130)는 영상에서 관심 영역, 동적 객체 및 나머지 영역이 각각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압축부(130)는 관심 영역은 제1 해상도를 가지도록, 동적 객체는 제2 해상도를 가지도록, 또한 관심 영역 및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3 해상도를 가지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 보다 높고, 제2 해상도는 제3 해상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 압축부(130)는 주기적으로 프레임의 전체 영상을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는 전체 영상에서 변경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수행하나, 주기적으로는 프레임의 영상 전체를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복구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시된 동적 객체 식별부(110), 관심 영역 검출부(120) 및 가변 압축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동적 객체 식별부(110), 관심 영역 검출부(120) 및 가변 압축부(130)는 하나의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각각의 기능일 수 있다. 또는, 동적 객체 식별부(110), 관심 영역 검출부(120) 및 가변 압축부(130)는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설명할, 동적 객체 식별부(110), 관심 영역 검출부(120) 및 가변 압축부(130)의 세부 구성 요소들도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통합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동적 객체 식별부(110), 관심 영역 검출부(120) 및 가변 압축부(130)의 세부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적 객체 식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적 객체 식별부(110)는 제1 저장기(111), 제2 저장기(112), 모션 벡터 검출기(113) 및 동적 객체 검출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이 연속되어 이루어지며, 제1 저장기(111) 및 제2 저장기(112)는 각 프레임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기(111)는 저장한 이미지를 제2 저장기(112)에 제공하고, 새로운 프레임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저장기(111)에 저장된 제1 이미지와 제2 저장기(112)에 저장된 제2 이미지는 연속되는 두 프레임에 해당된다.
모션 벡터 검출기(113)는 제1 저장기(111)에 저장된 제1 이미지와, 제2 저장기(112)에 저장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할 수 있다. 모션 벡터 검출기(113)는 다양한 모션 벡터 검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동적 객체 검출기(114)는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동적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동적 객체는 영상에서 움직이는 특정한 객체에 해당되는 동적 영역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동적 객체는 영상 압축의 대상이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심 영역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심 영역 검출부(120)는 동적 객체 인식기(121), 얼굴 인식기(122) 및 번호판 인식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객체 인식기(121)는 동적 객체를 입력받아, 해당 동적 객체가 어느 종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적 객체 인식기(121)는 영상을 함께 입력받고, 영상을 참조하여 동적 객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동적 객체 인식기(121)는 동적 객체가 사람에 해당하면 해당 동적 객체를 얼굴 인식기(122)에 제공하고, 동적 객체가 차량에 해당하면 해당 동적 객체를 번호판 인식기(122)에 제공할 수 있다.
얼굴 인식기(122)는 동적 객체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얼굴 인식기(122)는 다양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번호판 인식기(122)는 동적 객체에서 번호판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번호판 인식기(122)는 다양한 문자 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람의 얼굴과 차량의 번호판의 예를 들어 관심 영역 검출부(120)의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동적 객체는 사람, 자동차 외에도 다양한 동적 객체가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관심 영역 검출부(120)는 그러한 동적 객체에서 주요 정보를 가지는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변 압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 압축부(130)는 압축 영역 결정기(131), 제1 압축기(132) 내지 제n 압축기(133) 및 압축 데이터 생성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영역 결정기(131)는 영상, 동적 객체 및 관심 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압축 영역 결정기(131)는 압축될 영역과, 해당 영역에 대한 압축률을 구분하여 해당 영역을 제1 압축기(132) 내지 제n 압축기(133)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축기(132)는 무손실 압축기일 수 있고, 제n 압축기(133)는 손실 압축기 일 수 있다. 압축 영역 결정기(131)는 관심 영역은 제1 압축기(132)로 압축하도록 하고, 동적 객체는 제n 압축기(133)로 압축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축 데이터 생성기(134)는 제1 압축기(132) 내지 제n 압축기(133)의 출력을 합쳐 하나의 압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압축기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영상에서 각 영역에 대한 압축률을 차등적으로 하여 압축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관심 영역은 타 영역에 비하여 높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영역은 원본 영상의 해상도를 그대로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영상에서 영역별로 차등적인 압축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영상 처리 장치(100)의 처리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입력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력 영상에서 추출된 관심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영상 처리 장치(100)는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사람의 얼굴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입력 영상에 대해, 관심 영역과 기타 영역의 압축률을 다르게 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디코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영역인 사람의 얼굴은 도 6에 도시된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나, 기타 영역은 낮은 해상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주요 관심 영역은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나 그 외 다른 영역의 해상도를 낮춤으로써, 압축 데이터의 크기를 매우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 데이터의 전송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200)는 동적 객체 식별부(210), 관심 영역 검출부(220), 가변 압축부(230), 대표 이미지 생성부(240) 및 송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객체 식별부(210), 관심 영역 검출부(220), 가변 압축부(23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대표 이미지 생성부(240)는 관심 영역 검출부(220)로부터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관심 영역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이미지 생성부(240)는 영상에서 가장 많은 프레임 동안 반복되어 존재하는 관심 영역을 대표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대표 이미지는 해당 압축 데이터를 대표하는 이미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송신부(250)는 가변 압축부(230)에서 제공된 압축 데이터에 대표 이미지를 첨부하여, 저장 장치 등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영상 처리 방법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므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S1010).
이후, 영상 처리 장치는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1020).
영상 처리 장치는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S1030).
단계 S10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는, 동적 객체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고, 동적 객체에서 번호판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영상 처리 장치는,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함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을 수행하고,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는 손실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관심 영역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 카메라 20 : 저장 장치
100, 200 : 영상 처리 장치
110, 210 : 동적 객체 식별부 120, 220 : 관심 영역 검출부
130, 230 : 가변 압축부 240 : 대표 이미지 생성부
250 : 송신부
111 : 제1 저장기 112 : 제2 저장기
113 : 모션 벡터 검출기 114 : 동적 객체 검출기
121 : 동적 객체 인식기 122 : 얼굴 인식기
123 : 번호판 인식기
131 : 압축 영역 결정기 132 : 제1 압축기
133 : 제n 압축기 134 : 압축 데이터 생성기

Claims (8)

  1.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하는 동적 객체 식별부;
    상기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가변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압축부는
    상기 영상, 상기 동적 객체 및 상기 관심 영역을 입력받아 압축될 영역 및 상기 압축될 영역에 대한 압축률을 구분하는 압축 영역 결정기;
    상기 압축 영역 결정기에서 구분된 압축될 영역 및 압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상기 동적 객체 및 상기 관심 영역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압축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의 출력을 하나의 압축 데이터로 생성하는 압축 데이터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하고,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무손실 압축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손실 압축기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검출부는
    상기 동적 객체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얼굴 인식기; 및
    상기 동적 객체에서 번호판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번호판 인식기;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압축부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을 수행하고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는 손실 압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압축부는
    상기 관심 영역은 제1 해상도를 가지도록, 상기 동적 객체는 제2 해상도를 가지도록, 또한 상기 관심 영역 및 상기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3 해상도를 가지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하고,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 보다 높고, 상기 제2 해상도는 상기 제3 해상도보다 높은 영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관심 영역 검출부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관심 영역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대표 이미지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청구항 1항, 청구항 2항, 청구항 4항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적 객체 식별부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모션 벡터를 추출하여 동적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관심 영역 검출부에서 상기 동적 객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동적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압축영역 결정기, 복수 개의 압축기 및 압축 데이터 생성기를 포함하는 가변 압축부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압축률과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한 압축률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동적 객체에 대해서 영상 압축을 수행하고, 이전 프레임과 변화가 없는 동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압축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무손실 압축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손실 압축기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객체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객체에서 번호판에 해당되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KR1020160013604A 2016-02-03 2016-02-03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170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04A KR101704775B1 (ko) 2016-02-03 2016-02-03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04A KR101704775B1 (ko) 2016-02-03 2016-02-03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775B1 true KR101704775B1 (ko) 2017-02-08

Family

ID=5815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604A KR101704775B1 (ko) 2016-02-03 2016-02-03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77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876A (ko) 2017-11-29 2019-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압축 방법
KR102051829B1 (ko) 2019-05-31 2020-01-08 임철규 차량번호 인식을 통한 빅데이터 예측뷰포트 다중해상도 영상전송 기반의 스마트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WO2021006358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av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84806B1 (ko) * 2021-04-29 2021-08-03 (주)비상정보통신 복수의 동적객체인식 처리가 가능한 다중해상도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KR20220071729A (ko) * 2020-11-24 2022-05-31 울산과학기술원 초고해상도 이미지와 고속 광시야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8501B1 (ko) * 2022-04-21 2022-09-01 주식회사 코코넛랩 프레임 최적화를 이용한 고화질 실시간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0958B1 (ko) * 2022-04-22 2022-09-07 주식회사 코코넛랩 스마트 PoE를 이용한 고화질 실시간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0117B1 (ko) * 2022-11-18 2023-06-30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객체 검출 추적에 기반한 비디오 인코딩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315B1 (ko) * 1994-12-31 1999-03-20 김광호 관심영역이 존재하는 의료영상의 압축 및 복원방법
JP2001145101A (ja) * 1999-11-12 2001-05-25 Mega Chips Corp 人物画像圧縮装置
JP2006074114A (ja) * 2004-08-31 2006-03-16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00095833A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몬도시스템즈 Roi 의존형 압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압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65237B1 (ko) 2013-09-12 2014-02-19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적응적으로 다중 해상도를 지원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315B1 (ko) * 1994-12-31 1999-03-20 김광호 관심영역이 존재하는 의료영상의 압축 및 복원방법
JP2001145101A (ja) * 1999-11-12 2001-05-25 Mega Chips Corp 人物画像圧縮装置
JP2006074114A (ja) * 2004-08-31 2006-03-16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00095833A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몬도시스템즈 Roi 의존형 압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압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65237B1 (ko) 2013-09-12 2014-02-19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적응적으로 다중 해상도를 지원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876A (ko) 2017-11-29 2019-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압축 방법
KR102417902B1 (ko) 2017-11-29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압축 방법
KR102051829B1 (ko) 2019-05-31 2020-01-08 임철규 차량번호 인식을 통한 빅데이터 예측뷰포트 다중해상도 영상전송 기반의 스마트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WO2021006358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av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778264B2 (en) 2019-07-05 2023-10-03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image data in wireless AV system
KR20220071729A (ko) * 2020-11-24 2022-05-31 울산과학기술원 초고해상도 이미지와 고속 광시야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1422B1 (ko) 2020-11-24 2022-10-07 울산과학기술원 초고해상도 이미지와 고속 광시야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84806B1 (ko) * 2021-04-29 2021-08-03 (주)비상정보통신 복수의 동적객체인식 처리가 가능한 다중해상도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WO2022231053A1 (ko) * 2021-04-29 2022-11-03 (주)비상정보통신 복수의 동적객체인식 처리가 가능한 다중해상도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KR102438501B1 (ko) * 2022-04-21 2022-09-01 주식회사 코코넛랩 프레임 최적화를 이용한 고화질 실시간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0958B1 (ko) * 2022-04-22 2022-09-07 주식회사 코코넛랩 스마트 PoE를 이용한 고화질 실시간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0117B1 (ko) * 2022-11-18 2023-06-30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객체 검출 추적에 기반한 비디오 인코딩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775B1 (ko) 다중해상도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10628700B2 (en) Fast and robust face detection, region extraction, and tracking for improved video coding
US61012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interpreting textual captions in digital video signals
CN105323634B (zh) 一种视频的缩略图生成方法及系统
US108805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 and image decoding
JP5067310B2 (ja) 字幕領域抽出装置、字幕領域抽出方法および字幕領域抽出プログラム
WO2017032245A1 (zh) 一种视频文件索引信息的生成方法和设备
US201202371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 of motion picture
WO20200432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picture into foreground and background using deep learning
JP72558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15129A (ko) 외곽선 기반 프라이버시 마스킹 장치, 외곽선 기반 프라이버시 마스킹 복원 장치 및 프라이버시 마스킹 영역 디스크립터 공유 방법
US20060165305A1 (en)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image compression device
JP515698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358744A1 (en)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ocessing recognition of multiple dynamic objects
Baroffio et al. Hybrid coding of visual content and local image features
US7342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binary image compression
CN116506677A (zh) 色彩氛围处理方法和系统
KR100575733B1 (ko) 압축 동영상의 움직임 객체 분할 방법
KR20220045920A (ko) 머신비전을 위한 영상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97446A (ko) 멀티모달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컨텐츠 인덱싱 장치
JP2011151732A (ja) 映像処理装置
JP2828977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US202400625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0971568A (zh) 一种封闭系统数据对接装置及方法
US20210241024A1 (en) Jpeg class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