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543B1 -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 Google Patents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543B1
KR101704543B1 KR1020160095902A KR20160095902A KR101704543B1 KR 101704543 B1 KR101704543 B1 KR 101704543B1 KR 1020160095902 A KR1020160095902 A KR 1020160095902A KR 20160095902 A KR20160095902 A KR 20160095902A KR 101704543 B1 KR101704543 B1 KR 10170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rid
unit
power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훈
송법성
Original Assignee
(주) 티이에프
송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이에프, 송법성 filed Critical (주) 티이에프
Priority to KR102016009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패널로부터 DC전압을 입력받아 다른 DC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컨버터부; 상기 변환 처리된 DC전압을 입력받으며, 전력에 대한 멀티 출력과 멀티 입력이 가능한 4방향스위치부; 상기 4방향스위치부와 양방향 연결되어 전력에 대한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며, 다수의 그리드 측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력을 공급받는 중계역할을 담당하는 제1 2방향스위치부 내지 제3 2방향스위치부; 상기 제1 2방향스위치부와 양방향 연결 구성되며, 배터리의 충방전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관리부; 상기 제2 2방향스위치부와 양방향 연결 구성되며, A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고, A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는 AC그리드연결부; 상기 제3 2방향스위치부와 양방향 연결 구성되며, D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전압을 DC그리드에 필요한 DC전압으로 변환하고, D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DC전압을 다른 DC전압으로 변환하는 DC그리드연결부; 상기 DC/DC컨버터부 내지 키패드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인버터의 동작 및 다수의 모드 수행을 위한 임베디드 운영체제를 갖는 임베디드 OS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Hybrid Inverter for Nano Grid}
본 발명은 전력 사용을 위한 전기적 장치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그리드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멀티입력과 멀티출력을 수행하는 등 양방향성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입출력의 유형에 따라 동작모드를 세분화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스위칭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구성의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산업의 발달로 산업용 전기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며, 소득의 증대에 따른 전기용품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어 전력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전기소비의 패턴 변화는 시간대별 부하 변동뿐만 아니라 하절기나 동절기 같은 계절별 부하에서도 차이가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부연하면, 여름철이나 겨울철의 전력 사용 급증에 따라 대규모 정전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때로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산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상태로서 전력 불확실성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전력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고용량 저비용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개발 니즈(needs)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보급 및 확산은 새로운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필요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생산된 전력을 발전소, 변전소 또는 송전소 등을 포함한 각각의 연계 시스템에 저장한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및 효율적 사용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으로서, 야간에 유휴전력을 저장하고 전력소모가 심한 주간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그리드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보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용 ESS, 송배전용 ESS, 최종 소비자용 ESS, 신재생발전단지용 ESS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단방향성 체계로 사용상 한계가 있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적용한 일 예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293166호에서는 휴대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그리드 인버터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는데, 태양광 전지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변조된 PWM 신호에 따라 상호 배타적으로 온(ON), 오프(OFF) 하는 제1, 2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제1 다이오드(D1)와 상기제2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제2 다이오드(D2)로 된 원 스테이지 스위칭부,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역 권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 온(ON)시 변조된 PWM 형태로 전류를 축적하는 제1 트랜스와, 상기 제2 다이오드에 역 권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 온(ON)시 변조된 PWM 형태로 전류를 축적하는 제2 트랜스로 된 에너지 축적부, 상기 제1, 2 스위치 오프(OFF)시 상기 에너지 축적부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소정 주파수의 인버터 전압을 생성하는 60Hz 변환부 및, 상기 60Hz 변환부에서 생성한 인버터 전압을 계통 주파수와 동일하게 정형파 사인 파형으로 변환하는 60Hz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태양광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구성이고, 이로부터 하나의 입력과 출력을 갖되 AC 220V 단상 출력만을 내보내 세탁기나 냉장고 또는 조명 등의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단방향 체계를 갖는 것이며 양방향성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31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그리드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멀티입력과 멀티출력을 수행하는 등 양방향성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입출력의 유형에 따라 동작모드를 세분화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스위칭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구성의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버터를 2개 이상 병렬로 연결하여 패키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동기화를 이루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연계된 그리드에 요구되는 전원망을 공급 및 반대로 그리드로부터 전력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양방향 지원을 가능하게 한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그리드와 연계하여 양방향 멀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는, 태양광패널로부터 DC전압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며, 이를 다른 DC전압으로 변환 처리하는 DC/DC컨버터부(110)를 포함하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 처리된 DC전압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며, 전력에 대한 멀티 출력과 멀티 입력이 가능한 구성이되 스위칭을 통해 선택적인 출력과 입력을 담당하게 한 4방향스위치부(120);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와 연결되고 스위칭을 통해 전력에 대한 입력과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그리드 측 각각에 4방향스위치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다수의 그리드 각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4방향스위치부(120)로 보내는 중계역할을 담당하게 한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제2 2방향스위치부(134) 및 제3 2방향스위치부(136); 상기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배터리의 충방전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관리부(140); 상기 제2 2방향스위치부(134)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한전계통의 A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고, 한전계통의 A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기능을 갖는 AC그리드연결부(150); 상기 제3 2방향스위치부(136)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전압을 DC그리드에 필요한 DC전압으로 변환하고,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DC전압을 다른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기능을 갖는 DC그리드연결부(160); 상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디스플레이부(170); 상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에 사용자 입력 및 파라미터 제공을 위한 키패드(180); 상기 DC/DC컨버터부(110) 내지 키패드(180)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상기 나조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동작 및 다수의 모드 수행을 위한 임베디드 운영체제를 갖는 임베디드 OS부(190); 전압과 전류 및 임피던스의 파라미터를 센싱 및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파라미터 감지부(102);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이더넷 장치들과 네트워크를 형성 및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TCP/IP부(104);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 간 연결 사용 또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와 타 장치의 연결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 작동을 위하여 동기화 처리하는 동기화부(106);를 포함하며, 휴대 가능한 단말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에서, 상기 동기화부(106)를 통해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를 2개 이상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패키지 다수를 연결하여 다중 패키지로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그리드(전력 그리드)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되 멀티입력과 멀티출력이 가능하는 등 양방향성 기능을 수행하고 입출력의 유형에 따라 동작모드를 세분화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스위칭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구성의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그리드와 연계하여 양방향 멀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수의 연계된 그리드에 요구되는 전원망을 공급 및 반대로 그리드로부터 전력을 지원받을 수 있는 등 양방향 지원을 가능하며, 인버터를 2개 이상 병렬로 연결하여 동기화한 하나의 패키지로 사용 또는 다중 패키지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그리드 특성에 따른 구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포함하는 그리드 연계 구성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를 다수 병렬 연결하여 동기화 및 다중 패키지로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는 전력 사용을 위한 전력체계를 형성하는 다수 그리드와의 양방향 동작 지원 및 멀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 형태로 하여 휴대형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패널로부터 DC전압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며, 이를 다른 DC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하는 등 변환 처리하기 위한 DC/DC컨버터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DC/DC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 처리된 DC전압을 입력받도록 4방향스위치부(12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DC/DC컨버터부(110)와는 4방향 중 어느 1방향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는 전력에 대한 멀티 출력과 멀티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선택적인 스위칭 동작을 통해 선택적인 출력과 입력을 담당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는 입력 양상에 따라 출력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또한,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와 연결되고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력에 대한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3개의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제2 2방향스위치부(134) 및 제3 2방향스위치부(13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3개의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제2 2방향스위치부(134) 및 제3 2방향스위치부(136)의 중계스위치 또한 입력 양상에 따라 출력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상기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제2 2방향스위치부(134) 및 제3 2방향스위치부(136)는 다수의 그리드 측 각각에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다수의 그리드 각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로 보내는 중계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다수의 그리드는 전력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용 배터리, 한전계통의 AC그리드, 자동차나 기타 DC 사용제품 등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2방향스위치부(132) 측과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배터리의 충방전을 관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관리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관리부(140)는 충전부와 방전부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인버터(100)의 충전모드시, 태양광패널로부터 입력된 후 변환 처리된 DC전압이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와 제1 2방향스위치부(132)에서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배터리관리부(140)의 충전부로 인가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버터(100)의 방전모드시에는 방전부를 통해 배터리 측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2방향스위치부(134) 측과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는 AC그리드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C그리드연결부(150)는 DC/AC컨버터부와 AC/DC컨버터부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한전계통의 A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AC컨버터부를 통해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고, 한전계통의 A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AC/DC컨버터부를 통해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전계통의 AC그리드를 통해서도 배터리를 단독 충전할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한전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함께 이용하여 배터리 측 충전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2방향스위치부(136)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는 DC그리드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DC그리드연결부(160)는 제1 DC/DC컨버터부와 제2 DC/DC컨버터부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제1 DC/DC컨버터부를 통해 DC전압을 DC그리드에 필요한 DC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고,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제2 DC/DC컨버터부를 통해 DC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다른 DC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DC그리드연결부(160)를 통해서는 DC그리드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아 정전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내부 폐쇄를 위한 전원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는 태양광패널과 AC그리드를 AC 전원망으로 사용할 수 있고, DC그리드를 DC 전원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UI 디스플레이부(170)와,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에 사용자 입력 및 각종 파라미터 제공을 위한 키패드(1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C/DC컨버터부(110) 내지 키패드(180)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동작 및 다수의 모드 수행을 위한 임베디드 운영체제를 갖는 임베디드 OS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에는 전압과 전류 및 임피던스의 파라미터를 센싱 및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파라미터 감지부(102)와,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이더넷 장치들과 네트워크를 형성 및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TCP/IP부(104)와,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 간에 연결하여 사용 또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와 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동시 작동하기 위하여 동기화 처리하는 동기화부(10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라미터 감지부(102)는 전압측정기와 전류측정기 및 임피던스측정기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를 통해 전압상태나 배터리의 잔량 등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동기화부(106)를 통해 인버터를 2개 이상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패키지 다수를 연결하여 다중 패키지로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구성을 통해서는 전력부의 멀티 입력과 멀티출력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그리드를 구현할 수 있고, 입출력의 다양성에 따른 동작모드를 4방향스위치부(120)와 제1 내지 제3 2방향스위치부(132)(134)(136)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세분화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AC그리드와 DC그리드 등의 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그리드의 출력 양상을 다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구성을 통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단독 전원모드, 전력계통의 단독 전원모드, 병렬 운전모드 등 전력 인입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동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의 입력 양상에 따라 동작을 분류할 수 있는데,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단독 충전 및 방전모드, 태양광패널과 전력계통을 이용한 병렬 충전 및 방전모드, 정전시 동작되는 배터리 단독 방전모드, 전력계통 단독전원 배터리 충전 및 방전모드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멀티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버터(100)는 가정 내 저소비전력 제품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가정 내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패키지로 설치하고 소비자 중심의 UI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함은 물론 전기요금을 낮추며 계통 부하를 최소화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주택 비상전원용이나 휴대형 레저용, 환경변화로 인한 재해로 장기간 정전을 대비하기 위한 가정용 전원공급장치, 가정 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또는 무드등 전원공급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소규모 전력부하 사용처에서 피크전력의 경감과 예비전력률 상승을 이루어 낼 수 있는 나노 그리드 개념의 전력 보조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 인버터 102: 파라미터 감지부
104: TCP/IP부 106: 동기화부
110: DC/DC컨버터부 120: 4방향스위치부
132: 제1 2방향스위치부 134: 제2 2방향스위치부
136: 제3 2방향스위치부 140: 배터리관리연결부
150: AC그리드연결부 160: DC그리드연결부
170: UI 디스플레이부 180: 키패드
190: 임베디드 OS부

Claims (3)

  1. 태양광패널로부터 DC전압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며, 이를 다른 DC전압으로 변환 처리하는 DC/DC컨버터부(110)를 포함하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 처리된 DC전압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며, 전력에 대한 멀티 출력과 멀티 입력이 가능한 구성이되 스위칭을 통해 선택적인 출력과 입력을 담당하게 한 4방향스위치부(120);
    상기 4방향스위치부(120)와 연결되고 스위칭을 통해 전력에 대한 입력과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그리드 측 각각에 4방향스위치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다수의 그리드 각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4방향스위치부(120)로 보내는 중계역할을 담당하게 한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제2 2방향스위치부(134) 및 제3 2방향스위치부(136);
    상기 제1 2방향스위치부(132)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배터리의 충방전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관리부(140);
    상기 제2 2방향스위치부(134)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한전계통의 A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고, 한전계통의 A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기능을 갖는 AC그리드연결부(150);
    상기 제3 2방향스위치부(136)와 입력 및 출력의 양방향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 전력 공급시 DC전압을 DC그리드에 필요한 DC전압으로 변환하고, DC적용계통의 DC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시 DC전압을 다른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기능을 갖는 DC그리드연결부(160);
    상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디스플레이부(170);
    상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에 사용자 입력 및 파라미터 제공을 위한 키패드(180);
    상기 DC/DC컨버터부(110) 내지 키패드(180)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상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의 동작 및 다수의 모드 수행을 위한 임베디드 운영체제를 갖는 임베디드 OS부(190);
    전압과 전류 및 임피던스의 파라미터를 센싱 및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파라미터 감지부(102);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이더넷 장치들과 네트워크를 형성 및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TCP/IP부(104);
    상기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 간 연결 사용 또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와 타 장치의 연결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 작동을 위하여 동기화 처리하는 동기화부(106); 를 포함하며,
    휴대 가능한 단말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106)를 통해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100)를 2개 이상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패키지 다수를 연결하여 다중 패키지로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KR1020160095902A 2016-07-28 2016-07-28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KR10170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902A KR101704543B1 (ko) 2016-07-28 2016-07-28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902A KR101704543B1 (ko) 2016-07-28 2016-07-28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43B1 true KR101704543B1 (ko) 2017-02-09

Family

ID=5815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902A KR101704543B1 (ko) 2016-07-28 2016-07-28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8229A (zh) * 2018-12-18 2020-06-26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同期并网仿真模块及其创建方法
KR20210120424A (ko) 2020-03-26 2021-10-07 김희도 하이브리드 인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866A (ko) * 2011-06-16 2012-12-27 김득수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고장 인식 장치 및 이의 진단 방법
KR101293166B1 (ko) 2011-11-01 2013-08-12 주식회사 피플웍스 휴대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그리드 인버터
KR101448990B1 (ko) * 2014-05-21 2014-10-14 쏠라이앤에스(주)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의 인버터 고장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590835B1 (ko) * 2015-08-13 2016-02-19 주식회사 뉴라이즈 유무선 이중화 통신을 이용한 상호 전력 공급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866A (ko) * 2011-06-16 2012-12-27 김득수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고장 인식 장치 및 이의 진단 방법
KR101293166B1 (ko) 2011-11-01 2013-08-12 주식회사 피플웍스 휴대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그리드 인버터
KR101448990B1 (ko) * 2014-05-21 2014-10-14 쏠라이앤에스(주)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의 인버터 고장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590835B1 (ko) * 2015-08-13 2016-02-19 주식회사 뉴라이즈 유무선 이중화 통신을 이용한 상호 전력 공급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8229A (zh) * 2018-12-18 2020-06-26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同期并网仿真模块及其创建方法
CN111338229B (zh) * 2018-12-18 2022-06-14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同期并网仿真模块及其创建方法
KR20210120424A (ko) 2020-03-26 2021-10-07 김희도 하이브리드 인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A review on microgrid architectures and control methods
MX2014000656A (e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un sistema hibrido de energia.
CN102104263A (zh) 具有多重输入电源的高压直流不断电供电系统
KR20130124772A (ko) 전력변환 시스템 및 전력변환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adav et al. A Review of microgrid architectures and control strategy
TW201639265A (zh) 配電系統與電氣系統
JP547538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の電源最適化装置
US10284115B2 (en) Inverter system
WO2013152499A1 (zh) 交流太阳能模块及电能调度方法
CN105552878A (zh) 直流微电网结构
Heo et al. Energy management based on communication of smart plugs and inverter for smart home systems
Kaushik et al. Power flow control of hybrid AC-DC microgrid using master-slave technique
KR101445087B1 (ko) Lvrt 시험을 위한 순간전압저하 발생 장치
KR101704543B1 (ko) 나노 그리드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Jhunjhunwala et al. Technological and deployment challenges and user-response to uninterrupted DC (UDC) deployment in Indian homes
CN104052084A (zh) 用于大型用电场所的110千伏变电站微网系统
CN204858718U (zh) 一种微网负载分级供电控制装置
Sarkar et al. Structuring DC micro-grid for integrating renewable energy in a DC load dominant electrical environment
AU20194388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power conversion units in power supply systems
KR101256376B1 (ko) 상이한 충방전 경로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그 에너지 저장 시스템
Ramprabu et al.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leaved Landsman Converter using Hybrid Energy Sources
Sah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ed Switching and Real-Time Monitoring of Hybrid Solar System
Priyadharshini et al. Design and simulation of smart sockets for domestic DC distribution
CN204046192U (zh) 用于大型用电场所的110千伏变电站微网系统
KR102484960B1 (ko) 양방향 절연형 인버터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