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22B1 -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 Google Patents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22B1
KR101704322B1 KR1020157013401A KR20157013401A KR101704322B1 KR 101704322 B1 KR101704322 B1 KR 101704322B1 KR 1020157013401 A KR1020157013401 A KR 1020157013401A KR 20157013401 A KR20157013401 A KR 20157013401A KR 101704322 B1 KR101704322 B1 KR 10170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thermoelectric module
thermoelectric
ho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0536A (en
Inventor
패트릭 보이셀르
사무엘 브리
카멜 아조우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5008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5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H01L35/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5Thermoelectric converter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15)와 유체가 통과하도록 의도된 열 교환 장치(20)를 구비한, 특히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21),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2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열전 모듈(10)을 구비한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module (10), particularly for automobiles,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15) which permits current to be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a temperature gradient and a heat exchanger (20) . The heat exchanger comprises a first surface (21)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first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a second surface (22)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second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And a heat exchange means (25)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22).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heat exchanger having such a thermoelectric module (10).

Description

열전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구비한 열 교환기{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0001]

본 발명은, 특히 열 교환기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열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particularly to thermoelectric modules intended to form part of a heat exchanger.

제벡 효과(Seebeck effect)라고 알려진 현상을 이용하여, 두 개의 대향하는 면 사이의 온도 구배(temperature gradient)의 존재 하에서 전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thermoelectric elements)를 사용하는 열전 모듈(thermoelectric module)이 이미 제안되었다. 이러한 모듈은, 엔진 배기 가스의 순환용으로 의도된 제 1 튜브 및 냉각 회로 내의 열 전도 유체의 순환용으로 의도된 제 2 튜브의 적층체(stack)로부터 형성되는 번들(bundle)을 포함한다. 열전 요소는, 고온의 배기 가스와 저온의 냉각 유체 사이의 온도 차이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구배에 노출되도록 튜브 사이에 끼워진다.Using a phenomenon known as the Seebeck effect, a thermoelectric modul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that allows current generation in the presence of a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two opposing surfaces It has already been proposed. Such a module includes a bundle formed from a stack of a second tube intended for circulation of the heat-conducting fluid in the cooling circuit and the first tube intended for circulation of engine exhaust. Th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sandwiched between the tubes to be exposed to a temperature gradient resulting from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ot exhaust gas and the cold cooling fluid.

이러한 모듈은 엔진 배기 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변환으로부터의 전기 생산을 허용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그들은, 엔진의 크랭크샤프트(crankshaft)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보통 그 안에 제공되는, 교류 발전기(alternator)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함에 의해, 차량의 연료 소비를 절감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Such modules are particularly useful because they permit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from the conversion of heat resulting from engine exhaust. They therefore have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by at least partially replacing the alternator, usually provided therein,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the belt driven by the engine's crankshaft to provide.

손실 열의 다른 소스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과 만나는 공기와 같은 다른 냉각원(cooling source) 뿐 아니라 내연 기관을 가진 차량 상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열전 모듈은 이러한 유체에 적합하지 않고, 특히 공기로부터 냉각 에너지를 회수하기에 적합하지 않다.Another source of lost heat is on a vehicl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well as other cooling sources such as, for example, air that meets the front of the vehicle. However, conventional thermoelectric modules are not suitable for such fluids and are not particularly suited for recovering cooling energy from ai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도록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proposes to improve this situation.

본 발명은,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 및 유체가 통과하도록 의도된 열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과의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means for exchanging heat)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rmoelectric modules, in particular automotive thermoelectric modules,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allows the generation of current in the presence of a temperature gradient and a heat exchange device intended for fluid to pass through. The apparatus includes a first surface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first set of thermoelectric elements, a second surface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second set of thermoelectric elements, and a second surface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means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fluid in the exchanged relationship.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열전 요소와 상기 유체에 의해 규정되는 발열 또는 냉각원 중 하나 사이의 접촉을 최적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일정한, 급격한 온도 구배를 획득하는 것이 더욱 쉽다. The present invention thus optimizes the contact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one of the heating or cooling circles defined by the fluid within a limited space. In this way, it is easier to obtain a steep temperature gradient, preferably as constant as possib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제 1 면 및/또는 제 2 면의 표면적보다 훨씬 더 넓은 표면적을 갖는 구역(zone)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훨씬 더 넓은”은 적어도 5배 넓은, 특히 10배 넓은 면적을 의미한다. 이러한 면적은 본 발명의 모듈과 그것을 통과하는 유체 사이의 열 교환, 특히 냉각 에너지의 회수를 향상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means comprises a zone intended to contact the fluid and having a surface area much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and / or second surface. As used herein, " far wider " means an area at least five times wider, especially ten times wider. This area improves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uid passing therethrough, particularly the recovery of cooling energ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핀, 및/또는 상기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2 핀을 포함한다. 제 1 핀 및/또는 제 2 핀은, 한 측면 상의 열 교환수단 및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상의 열전 요소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일 부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apparatus includes a first fin including the first face, and / or a second fin including the second face. The first fin and / or the second fin comprise a heat exchange means on one side and a portion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on the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유익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핀은 서로 평행하다.Advantageously, the first and second pins are parallel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2 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2 핀에 특히 브레이징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means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n and the second fin. The exchange means is particularly brazed to the first pin and the second pi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유체 유동을 방해하도록 의도된다. 유체의 방해는 열 교환, 특히 냉각 에너지 회수를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eat exchange means is intended to impede fluid flow. Disruption of the fluid improves heat exchange, especially cooling energy recovery.

유익하게는, 상기 열 교환수단은 개재 요소(interposed element)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의 연장선에서, 개재 요소는 특히,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열전 요소와 접촉하는 핀의 표면보다 훨씬 더 넓은 면적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Advantageously, the heat exchange means comprises an interposed element. In the extension of the above description, the interposer element has a surface which is intended to contact the fluid in particular and has a much larger area than the surface of the fin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재 요소는 파형부(undulations)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tervening element comprises undulations.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개재 요소는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유익하게는, 유체를 혼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루버(louvres)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tervening element comprises means for disrupting the fluid flow. Advantageously, said means for disrupting the fluid include louvr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은 “편위된(offset)” 배플(baffle)의 형태를 취한다. 다시 말해, 그것은 배플의 연장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파도 모양 재료의 스트립들(strips)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들은, 스트립들 중 한 스트립의 파형부로부터 인접한 스트립의 파형부까지의 상기 유체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편위된다. 따라서 파형부는 서로에 대해 편위되고, 열 교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체 유동을 혼란시킨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eat exchange means takes the form of an " offset " baffle. In other words, it comprises strips of wave-like material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baffle. The strips ar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fluid from the corrugation of one of the strips to the corrugation of the adjacent strip. Thus, the corrugations ar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and disrupt fluid flow to improve heat exchang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은 고온 튜브와, 상기 고온 튜브 및 열전 요소의 능동 면(active face)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고온 핀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odule comprises a hot tube and a hot pin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hot face of the hot tube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유익하게는,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고온 핀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thermal screen)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그것은 상기 고온 핀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 1 핀 및/또는 제 2 핀이다. Advantageously, the heat exchange apparatus is configured to form a thermal screen that protects the hot pins. In particular, it is the first pin and / or the second pin configured to form the thermal shielding film protecting the hot pins.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 튜브는 종축 연장 방향(longitudinal extension direction)을 갖는 제 1 면 및/또는 제 2 면을 통과하고, 상기 모듈은, 종축 연장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와 상기 종축 연장 방향으로 이격된 또 다른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 사이에 분리된 열 교환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ot tube passes through a first side and / or a second side having a longitudinal extension direction, the module comprising two said hot tubes < RTI ID = 0.0 > And another heat exchanging means separate between the two further hot tube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thus relates to a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for automobiles, compri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defined abov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수반하여, 오직 예시적으로 주어지고 제한적으로 의도되지 않은 하기의 설명에 비추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교환기의 제 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
도 3은 특정한 부분이 생략된 도 2의 열전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in light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an exchange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f Figure 2, with certain portions omitted.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기능으로, 제 1 고온 유체와 제 2 저온 유체 사이의 열 교환을 허용하는 번들(1)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그것의 유입구에서 두 개의 유체를 수용하도록 의도되고, 제 1 (또는 고온) 유체는 제 2 (또는 저온) 유체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automobiles, which comprises, as a first function, a bundle 1 that permits heat exchange between a first hot fluid and a second cold fluid . Thus, the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receive two fluids at its inlet, and the first (or hot) fluid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second (or cold) fluid.

고온 유체는 차량 엔진의 냉각 루프로부터의 냉각 유체일 수도 있고, 저온 유체는 차량의 전면으로부터 그것의 라디에이터(radiator)를 통한 주변 공기의 유동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체의 다른 유형, 특히 고온 유체의 다른 유형도 가능하다. 특히, 이 유체들은 그들의 냉각 및/또는 상 변화(phase change)를 허용하기 위하여, 그것의 회로가 차량의 전면을 거쳐 지나가는 고온 유체일 수도 있다.The hot fluid may be a cooling fluid from the cooling loop of the vehicle engine and the cold fluid may be a flow of ambient air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its radiator. However, other types of fluids, especially different types of high temperature fluids, are also possible. In particular, these fluids may be high temperature fluids whose circuits pass through the front of the vehicle in order to allow their cooling and / or phase change.

교환기는 특히, 고온 유체가 제 1 방향(3으로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됨)으로 교환기를 통과하고 저온 유체가 특히 제 1 방향(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2로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됨)으로 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교환기는 고온의 액체를 번들(1) 안으로 분배하도록 및/또는 상기 번들(1)로부터 나오는 상기 고온 유체를 수집하도록 콜렉터 박스(collector boxes)(4)와 끼워 맞춰진다. In particular, the exchanger is designed such that the hot fluid passes through the exchanger in a first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marked 3) and the cold fluid is in a second direction (2 indicated by 2 in the figure), which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Not shown). The exchanger is fitted with collector boxes (4) to dispense the hot liquid into the bundle (1) and / or to collect the hot fluid from the bundle (1).

여기에서 콜렉터 박스(4)는 고온 유체가 U자 형상으로 순환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부 콜렉터 박스(4)는 박스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내부 격벽(internal partition)(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각 부분은 고온 유체용 유입구/배출구 튜브를 갖는다. 따라서 고온 유체는 유입구 튜브를 통해 상부 콜렉터 박스의 제 1 부분 안으로 침투하고, 번들의 제 1 부분을 지나 방향(3)으로 번들을 통해 하향 이동하고, 하부 콜렉터 박스(4)에 의해 수집되어, 번들의 다른 부분 안으로 분배된다. 유체는 그 다른 부분을 통해 방향(3)으로 상향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상부 콜렉터 박스(4)의 제 2 부분에 의해 수집되어 그것의 배출구 튜브를 거쳐 교환기로부터 방출된다.Here, the collector box 4 allows the hot fluid to circulate in a U-shape. The upper collector box 4 has an internal partition (not shown) that divides the box into two parts, each having an inlet / outlet tube for the hot fluid. The hot fluid then penetrates through the inlet tube into the first part of the upper collector box and moves down the bundle in the direction 3 past the first part of the bundle and is collected by the lower collector box 4, / RTI > The fluid is moved upwardly in the direction 3 through its other part and finally collected by the second part of the upper collector box 4 and discharged from the exchanger via its outlet tube.

번들은 예를 들어 대략 평행육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콜렉터 박스(4)는 평행사변형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변(opposing sides) 상에 위치한다. 번들은 박스들(4)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 1 대향 면(5) 및 두 개의 제 2 대향 면(6)을 갖는다. 교환기는 저온 유체 유동이 제 1 면(5)에 대해 수직하도록 구성된다. 저온 유체 유동의 방향(2)에서 번들의 치수 또는 그것의 깊이는, 예를 들어, 번들의 다른 치수, 다시 말해 그것의 너비 및 높이, 즉 제 1 면(5)의 치수보다 작다. The bundle has, for example, an approximately parallelepiped shape. The collector box 4 is located on two opposing sides of a parallelogram. The bundle has two first opposing faces 5 and two second opposing faces 6 connecting the boxes 4. The exchang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ld fluid flow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5). The dimension of the bundle or its depth in the direction 2 of the cold fluid flow is, for example, smaller than the other dimensions of the bundle, i. E. Its width and height, i.

이렇게 구성된 교환기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교환기가 차량 내의 다른 위치에 놓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차량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채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The exchanger thus configured is intended to be mounted, for example, on the front of the vehicle. However, the exchange may be located at another location in the vehicle. Similarly, an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ther configurations as intended to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교환기는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도 2 및 도 3에서 15로 표시됨)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능동 면이라고 불리는 열전 요소의 두 개의 대향하는 면 사이의 상기 구배에 노출될 때 제벡 효과(Seebeck effect)를 사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태의 요소다. 이러한 요소는 상기 능동 면 사이에 연결된 전하(a charge)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요소는 예를 들어 비스무트(bismuth)와 텔루륨(tellurium)(Bi2Te3)으로 구성된다. The exchanger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indicated at 15 in Figures 2 and 3) that allows the generation of current in the presence of a temperature gradient. This is a substantially parallelepiped-like element that generates current using a Seebeck effect, for example when exposed to the gradient between two opposing surfaces of a thermoelectric element called the active surface. These elements allow the generation of current in a charge connected between the active surfaces. In a mann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elements comprise, for example, bismuth and tellurium (Bi 2 Te 3 ).

여기에서 번들은,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 사이의 상기 열 교환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 1 구역(7) 및 상기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 2 구역(8)을 포함한다.Wherein the bundle includes a first zone (7) configured to allow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hot fluid and the cold fluid and a second zone (8) configured to permit generation of the current.

따라서, 제 1 구역(7) 내에서 종래의 열 교환 기능(저온 유체는 고온 유체를 냉각시키고 고온 유체는 저온 유체를 가열시킴)을 수행하고, 또한 제 2 구역(8) 내에서 열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양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가 형성된다.Thus, within the first zone 7, a conventional heat exchange function (the cryogenic fluid cools the hot fluid and the hot fluid heats the low temperature fluid) An exchange functioning to perform both functions of conversion is formed.

도 1a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구역(8)은 바람직하게는 유입구/배출구 파이프를 포함하는 콜렉터 박스(4), 여기에서는 상부 콜렉터 박스(4)에 연결된 번들(1)의 부분 내에서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A, the second zone 8 is preferably a collector box 4 comprising an inlet / outlet pipe, here a bundle 1 connected to the upper collector box 4 ≪ / RTI >

도 1b에서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역(7)과 제 2 구역(8)은 고온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평행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는 콜렉터 박스(4) 중 하나를 통해 들어가고 콜렉터 박스(4)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방출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1B, the first zone 7 and the second zone 8 are provided in parallel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hot fluid.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fluid enters through one of the collector boxes 4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of the collector boxes 4.

변형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교환기는 열을 전류로 변환하는데에 완전히 전념한다. 그 후 그것은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 사이에서의 온도 구배를 감소시키기 보다는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In a variant (not shown), the exchanger is entirely devoted to converting heat into current. Which is then configured to hold rather than reduce the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the hot fluid and the cold fluid.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는 제 2의 열 교환기 구역에 위치한 열전 모듈(10)을 포함한다.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thermoelectric module (10) located in a second heat exchanger zon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 모듈은 열전 요소(15) 및 열 교환기 장치(20)를 포함하고, 저온 유체가 열 교환기 장치를 통과하도록 의도된다. 장치(20)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21),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저온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한다. 열 교환수단(25)은 유체와의 넓은 영역 접촉(large area contact)을 보장하여, 제 1 및 제 2 면(21, 22)을 통해 열전 요소(15)에서 온도 구배의 유지를 증진시킨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15 and a heat exchanger device 20, and the low temperature fluid is intended to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device. The apparatus 20 includes a first surface 21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first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and a second surface 22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second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 And heat exchange means (25) with the cold fluid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22). The heat exchange means 25 ensures a large area contact with the fluid to promote the maintenance of the temperature gradient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제 1 및 제 2 면(21, 22)은 종축 연장 방향(longitudinal extension direction)(D)을 갖고, 고온 튜브(30)는 그들과 열적 관계 없이 그들을 통과한다. 고온 튜브(30)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직사각형 형태이고, 고온 유체의 관통을 허용한다. 고온 튜브(30)는 그들의 각각의 단부에서 콜렉터 박스 상에, 예를 들어 상기 박스의 콜렉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관통 오리피스(passage orifices)를 거쳐 콜렉터 박스 안으로 개방한다. 교환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의 종축 연장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인접한 고온 튜브(30) 사이에 분리된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and 22 have a longitudinal extension direction D and the hot tubes 30 pass therethrough without thermal contact therewith. The hot tubes 30 are, for example, rectangular in shap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llow penetration of the hot fluid. The hot tubes 30 open into the collector box at their respective ends via, for example, passage orifices provided in the collector plate of the box. The exchanger includes separate heat exchange means (25) between two adjacent hot tubes (30)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고온 튜브(30)는 고온 튜브(3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고온 핀(33)과 열적 교환 관계에 있고, 상기 고온 튜브(30)는 고온 핀(33)을 통과한다. 고온 핀(33)은, 예를 들어 크림핑에 의해, 고온 튜브(30) 상에 유지된다.The hot tube 30 is in thermal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flat hot pin 33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hot tube 30 and the hot tube 30 passes through the hot pin 33. The hot pin 33 is held on the hot tube 30, for example by crimping.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 장치(20)는 상기 고온 핀(33)에 평행으로, 즉 고온 튜브(30)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고온 핀(32)은 두 개의 인접한 열 교환 장치(20)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온 핀(33)의 제 1 면은 제 1 장치(20)의 제 1 면(21)에 대면하고, 고온 핀(33)의 제 1 면에 맞은편인 고온 핀(33)의 제 2 면은 제 1 장치에 인접한 제 2 장치(20)의 제 2 면(22)에 대면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동일한 고온 핀(33)이, 고온 핀(33)의 제 1 면과 제 1 장치(20)의 제 1 면(21) 사이에 위치한 제 1 일련의 열전 요소(15), 및 고온 핀(33)의 제 2 면과 제 1 장치에 인접한 제 2 장치(20)의 제 2 면(22) 사이에 위치한 제 2 일련의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을 수도 있다.The heat exchang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parallel to the hot pin 33, i.e. perpendicular to the hot tube 30. Thus, the hot pin 32 extends between two adjacent heat exchangers 20. The first face of the hot pin 33 faces the first face 21 of the first device 20 and the second face of the hot pin 33 opposite the first face of the hot pin 33 Is positioned facing the second side (22) of the second device (20) adjacent to the first device. The same hot pin 33 thus comprises a first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located between a first side of the hot pin 33 and the first side 21 of the first device 20 and a hot pin 33 And a second set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located between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device 20 and the second side 22 of the second device 20 adjacent to the first device.

다시 말해, 장치(20)의 제 1 면(21)은 제 1 고온 핀(33)에 대면하여 위치하고, 제 1 일련의 열전 요소(15)는 제 1 면(21)과 고온 핀(33) 사이에 배치된다. 동일한 장치(20)의 제 2 면(22)은 제 1 핀에 인접한 또 다른 고온 핀(33)에 대면하게 위치하고, 제 2 일련의 열전 요소(15)는 장치(20)의 제 2 면(22)과 상기 또 다른 고온 핀(33) 사이에 배치된다. 열 교환수단(25)은, 특히 저온 유체의 냉각 에너지를 제 1 면(21)과 제 2 면(22)에 전달하기 위하여, 제 1 면(21)과 제 2 면(22) 사이에 위치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side 21 of the device 20 is located facing the first hot pin 33 and the first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21 and the hot pin 33 . The second face 22 of the same device 20 is positioned facing another hot pin 33 adjacent to the first pin and the second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faces the second face 22 ) And the another hot pin (33). The heat exchange means 25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21 and the second side 22, in particular for transferring the cooling energy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first side 21 and the second side 22 .

따라서 장치(20) 및 고온 핀(33)은 교대로 적층된다.Thus, the device 20 and the hot pins 33 are alternately stacked.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전 요소(15) 사이에는 한 층의 기판(a layer of substrate)(50)이 제공된다. 기판(50)은 예를 들어 열전 요소(15)를 수용한다. 기판(50)은, 열을 열전 요소(15)에 분배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성 및 열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면(21, 22)이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것은 특히 기판(50)을 통한 것이다. 상기 기판(50)은 열전 요소들(15)을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전기 트랙(electric track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50)은 또한 고온 핀(33)과 열전 요소(15)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Here, a layer of substrate 5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22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 The substrate 50 accommodates, 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5. The substrate 50 is compris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and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o distribute hea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5. [ The heat exchang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22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5 is in particular via the substrate 50. The substrate 50 may include electric tracks connec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5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This substrate 50 may also be located between the hot pins 33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5.

여기에서 열 교환 장치(20)는 저온 유체 및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및 제 2 핀(31, 32)을 포함한다. 제 1 핀(31)은 장치의 제 1 면(21)과, 열 교환수단(25)에 접촉하는 맞은편의 면을 포함하고, 제 2 핀(32)은 장치의 제 2 면(22)과, 열 교환수단(25)에 접촉하는 맞은편의 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핀(31, 32)은 서로 평행하고, 고온 핀(33)에 대해 평행하다. Wherein the heat exchanger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pins 31, 32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cold fluid and thermoelectric elements 15. The first pin 31 includes a first face 21 of the device and a mating face that contacts the heat exchange means 25 and the second pin 32 includes a second face 22 of the device, Includes a facing surface that contacts the heat exchange means (25). The first and second fins 31, 32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hot pin 33.

열 교환수단(25)은 제 1 핀(31)과 제 2 핀(32) 사이에 배치된다. 열 교환수단(25)은, 저온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제 1 면(21) 및/또는 상기 제 2 면(22)의 표면적보다 훨씬 더 넓은, 특히 적어도 5배 더 넓은 표면적을 갖는 구역을 포함한다. 이 구역은, 저온 유체와 장치(20) 사이의 열 교환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저온 유체가 장치(20)를 통과할 때 저온 유체의 유동을 혼란시키도록 의도된다.The heat exchanging means 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n 31 and the second pin 32. The heat exchange means 25 includes a zone intended to contact the low temperature fluid and having a surface area which is much wid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surface 21 and / or the second surface 22, in particular at least 5 times larger do. This zone is intended to disrupt the flow of cold fluid as it passes through the apparatus 20,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cold fluid and the apparatus 20.

여기에서 열 교환수단(25)은 개재 요소(40), 및 특히 여러 개의 개재 요소(40)를 포함한다. 파도 모양인, 즉 파형부를 포함하는 개재 요소(30)는 제 1 및 제 2 면(21, 22)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 개재 요소는 제 1 및 제 2 핀(31, 32) 사이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그들의 파형부의 피크(peaks)를 통해 제 1 및 제 2 핀(31, 32)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열전 모듈(10)은 저온 유체 유동이 개재 요소(40)의 파형부의 절첩부(fold) 사이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재 요소(40)는, 그들의 파형부의 피크가 튜브(30) 및 핀(31, 32, 33)의 종축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향된다. 개재 요소(40)는 예를 들어 브레이징에 의해 제 1 및 제 2 핀(31, 32)에 조립된다.The heat exchange means 25 here comprises an intervening element 40, and in particular several intervening elements 40. An intervening element 30, which is wave-like, i.e. including a corrugated portion,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ces 21, 22. In other words, the intervening elements here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s 31, 32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ins 31, 32 through, for example, the peaks of their corrugations.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 temperature fluid flow passes between the folds of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interposer element 40. More specifically, the intervening elements 40 are oriented so that the peaks of their corrugated portions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extending direction of the tube 30 and the fins 31, 32, 33. The interposing element 40 is assembled to the first and second pins 31 and 32, for example by brazin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개재 요소(40)는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수단(45)을 포함한다.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이러한 수단(45)은 절첩부에서 제공되어 파형부의 피크들을 연결시키는 루버(louvres)(46)를 포함한다. 루버(46)는, 특히 저온 유체가 장치(20)를 통과할 때 저온 유체의 경로(path)를 연장하고 개재 요소(40)와의 열 교환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한 파형부로부터 다른 파형부로 저온 유체 유동의 통로를 허용하는 슬롯(slots)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interposing element 40 comprises means 45 for disrupting fluid flow. This means 45 for disrupting the fluid flow comprises a louvres 46 provided at the fold and connecting the peaks of the corrugations. The louver 46 may be formed from one corrugated portion to another corrugated portion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the path of the cold fluid and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with the intervening element 40, Slots that allow passage of the fluid flow.

개재 요소(40)는, 제 1 및 제 2 면(21, 22)의 종축 연장 방향(D)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분리된 층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두 층 중 제 1 층은 장치(20) 내로의 저온 유체의 유입구에 위치하는 반면, 두 층 중 제 2 층은 장치(20)로부터의 저온 유체의 배출구에 위치한다.The intervening elements 40 may be divided into two separate layers extending parallel to one an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D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21,22. The first of the two layers i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into the device 20, while the second of the two layers is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from the device 20.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편위된” 배플의 형태를 취하고, 연장 방향,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면(21, 22)의 종축 연장 방향(D)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파도 모양 재료의 스트립들(strips)을 포함한다. 이 스트립들은, 스트립 중 한 스트립의 파형부로부터 인접한 스트립의 파형부로 저온 유체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연장 방향으로 서로 편위된다. 이런 방식으로 저온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고 따라서 열 교환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두 개의 파형부 사이에 재료의 편위가 만들어진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not show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means 25 take the form of a " deflected " baffle and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for example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22 Strips of wave-like material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D of the wave-shaped material. The strips are offset from one another in an extending direction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cold fluid from the corrugations of one of the strips to the corrugations of the adjacent strip. In this way, a deviation of the material is created between the two corrugations for the purpose of disrupting the cold fluid flow and thus improving the heat exchan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 교환 장치(20)는 고온 핀(33)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thermal screen)(36)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고온 핀(33)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36)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 1 및 제 2 핀(31, 32)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apparatus 20 is configured to form a thermal screen 36 that protects the hot pins 33.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pins 31 and 32 are configured to form the thermal shielding film 36 that protects the hot pins 33.

제 1 및 제 2 핀(31, 32)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면(21, 22)의 방향으로 융기된 주변 엣지(peripheral edge)(37)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장치(20)의 제 1 핀(31)의 융기된 주변 엣지(37)는 제 1 장치에 인접한 제 2 장치(20)의 제 2 핀(32)의 융기된 주변 엣지(37)에 대면하여, 융기된 주변 엣지(37) 중 하나가 다른 주변 엣지와 접촉 및/또는 중첩하게 된다. 이러한 중첩은 저온 유체가 고온 핀(33)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융기된 주변 엣지(37)는 저온 유체를 장치(20)의 내부를 향해, 즉 제 1 및 제 2 면(21, 22) 사이로 안내하여, 저온 유체가 열 교환수단(25)을 거쳐 지나가게 한다. 다시 말해, 융기된 주변 엣지(37)는 고온 핀(33)의 엣지를 덮는다. The first and second fins 31 and 32 include a peripheral edge 37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21 and 22, for example. The raised circumferential edge 37 of the first pin 31 of the first device 20 is positioned on the raised peripheral edge 37 of the second pin 32 of the second device 20 adjacent to the first device Facing one another, one of the raised peripheral edges 37 contacts and / or overlaps the other peripheral edge. This overlap prevents the low temperature flui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ot pin 33. The raised peripheral edges 37 guide the cool fluid toward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20, i.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s 21, 22, allowing the cool fluid to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means 25 . In other words, the raised peripheral edge 37 covers the edge of the hot pin 33.

일반적으로, 핀은, 두 개의 대향하는 평탄한 넓은 표면을 갖고, 그것의 너비 및 길이보다 두께가 훨씬 얇은 요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들의 능동 면에서, 상기 넓은 표면과 열전 요소(15) 사이에 넓은 영역 접촉을 만든다. 핀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Generally, a fin refers to an element having two opposing flat broad surfaces, much thinner in thickness than its width and length. Thus making, in their active aspect, a large area contact between the large surface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 [ The pins are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and / or aluminum alloys.

Claims (15)

온도 구배의 존재 하에서 전류의 발생을 허용하는 열전 요소(15), 및 유체가 통과하도록 의도된 열 교환 장치(20)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10)로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제 1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1 면(21), 제 2 일련의 상기 열전 요소(15)와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유체와의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 모듈(10)은 고온 튜브(30)와, 상기 고온 튜브(30) 및 상기 열전 요소(15)의 능동 면과 열 교환 관계에 있는 고온 핀(33)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
A thermoelectric module (10)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15) that allows the generation of current in the presence of a temperature gradient, and a heat exchange device (20)
The heat exchanger comprises a first surface (21)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first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a second surface (22)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second seri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15) And means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fluid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22)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includes a hot tube 30 and a hot pin 33 in a heat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active surface of the hot tube 3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
Thermoelectric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상기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 1 면(21) 또는 상기 제 2 면(22)의 표면적보다 적어도 5배 더 넓은 표면적을 갖는 구역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 means 25 includes a region intended to contact the fluid and having a surface area that is at least 5 times great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surface 21 or the second surface 22
Thermoelectric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20)는 상기 제 1 면(21)을 포함하는 제 1 핀(31), 및 상기 제 2 면(22)을 포함하는 제 2 핀(32)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 apparatus 20 includes a first fin 31 including the first face 21 and a second fin 32 including the second face 22
Thermoelectric modu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핀(31, 32)은 서로 평행한
열전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pins (31, 32)
Thermoelectric modul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상기 제 1 핀(31)과 상기 제 2 핀(32)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heat exchange means (25)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fin (31) and the second fin (32)
Thermoelectric modu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도록 의도되는
열전 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eat exchange means 25 is intended to disrupt the fluid flow
Thermoelectric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개재 요소(40)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eat exchange means (25) comprises an intervening element (40)
Thermoelectric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요소(40)는 파형부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vening element (40) comprises a corrugated portion
Thermoelectric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요소(40)는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수단(45)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vening element (40) comprises means (45) for disrupting fluid flow
Thermoelectric module.
제 9 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을 혼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45)은 루버(louvres)(46)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ans (45) for disrupting fluid flow comprises a louvres (46)
Thermoelectric modu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25)은 하나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파도 모양 재료의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들은, 상기 스트립들 중 하나의 스트립의 파형부로부터 인접한 스트립의 파형부로의 상기 유체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편위된
열전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eat exchange means (25) comprise strips of wave-like material arranged parallel to one another in one extending direction,
The strips may be arranged so as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fluid from the corrugation of one of the strips to the corrugation of the adjacent strip,
Thermoelectric modu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20)는 상기 고온 핀(33)을 보호하는 열적 차폐막(36)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 device (20) is configured to form a thermal shielding film (36) for protecting the hot pins (33)
Thermoelectric modu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튜브(30)는 종축 연장 방향(D)을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21, 22)을 통과하고,
상기 열전 모듈(10)은, 상기 종축 연장 방향(D)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30)와 상기 종축 연장 방향(D)으로 이격된 또 다른 두 개의 상기 고온 튜브(30) 사이에, 분리된 열 교환수단(25)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t tube 30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1, 22 having a longitudinal axis D,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includes two hot tubes 30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xtension D and another two hot tubes 30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xtension D, Which includes separate heat exchange means 25,
Thermoelectric modu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 모듈(10)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
A thermoelectric module (10) compri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heat transmitter.
KR1020157013401A 2012-10-25 2013-10-22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KR1017043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60196 2012-10-25
FR1260196A FR2997482B1 (en) 2012-10-25 2012-10-25 ELECTRIC THERMAL MODULE AND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MODULE.
PCT/EP2013/072044 WO2014064089A1 (en) 2012-10-25 2013-10-22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536A KR20150080536A (en) 2015-07-09
KR101704322B1 true KR101704322B1 (en) 2017-02-07

Family

ID=4755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401A KR101704322B1 (en) 2012-10-25 2013-10-22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12704A1 (en)
KR (1) KR101704322B1 (en)
CN (1) CN105190922A (en)
FR (1) FR2997482B1 (en)
WO (1) WO201406408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475B1 (en) * 2014-09-30 2019-03-22 Valeo Systemes Thermiques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107741173A (en) * 2017-11-29 2018-02-27 上海宝钢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It is a kind of using plant gas, waste vapour, spent liquor recovery multi-channel heat exchanger
KR102400223B1 (en) * 2017-12-21 2022-05-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1610B2 (en) * 2000-02-09 2009-03-04 サンデ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r fins
FR2811747B1 (en) * 2000-07-11 2002-10-11 Air Liquide THERMAL EXCHANGE FIN FOR BRAZED PLATE HEAT EXCHANGER AND CORRESPONDING HEAT EXCHANGER
AU2002225448B2 (en) * 2001-01-22 2006-03-02 Showa Denko K.K. Inner fin for heat exchanger flat tubes and evaporator
US20040173344A1 (en) * 2001-05-18 2004-09-09 David Averous Louvered fins for heat exchanger
US6907919B2 (en) * 2003-07-11 2005-06-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 exchanger louver fin
JP4719747B2 (en) * 2005-08-31 2011-07-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EGR gas power generator
US8378205B2 (en) * 2006-09-29 2013-02-1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DE102009025033A1 (en) * 2009-06-10 2010-12-16 Behr Gmbh & Co. Kg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EP2552747A1 (en) * 2010-03-30 2013-02-06 Behr GmbH & Co. KG Temperature control element a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90922A (en) 2015-12-23
FR2997482B1 (en) 2018-07-27
WO2014064089A1 (en) 2014-05-01
FR2997482A1 (en) 2014-05-02
KR20150080536A (en) 2015-07-09
EP2912704A1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5301B2 (en) Heat exchanger
EP0627065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US20150167532A1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US20070095379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KR101435669B1 (en)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Heat Exchanger and Module
KR101704322B1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such a module
US9698332B2 (en) Hybrid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notably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and a heat exchanger
KR20110073101A (en) Thermoelectric generator for vehicles and cooling module having it
WO2007105992A1 (en) Heat exchanger for egr-gas
JP5939143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KR101435667B1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US20150060028A1 (en) Heat exchanger
WO2012132068A1 (en) Heat medium heat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KR20110118615A (en) Exhaust gas cool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954103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KR20150075122A (en) Heat exchanger with thermoelectric element
JP5766993B2 (en) Multi-cooling device for vehicles
JP2009272137A (en) Heat exchanger
US10971670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WO2016063477A1 (en) Heat storage member
JP2006258354A (en) Heat exchange component
CN105552204B (en) Water cooling and air-cooled thermoelectric device
KR20200037632A (en) Thermoelectric module, frame for thermoelectric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KR20110130550A (en) Thermoelectric generator using exhaust he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603435B (en) Inter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