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987B1 - Prefabricated bench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987B1
KR101703987B1 KR1020150150396A KR20150150396A KR101703987B1 KR 101703987 B1 KR101703987 B1 KR 101703987B1 KR 1020150150396 A KR1020150150396 A KR 1020150150396A KR 20150150396 A KR20150150396 A KR 20150150396A KR 101703987 B1 KR101703987 B1 KR 10170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rame
support member
frame
couple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수
정진수
정봉수
Original Assignee
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수 filed Critical 정기수
Priority to KR102015015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ench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efabricated bench which allows a worker to carry parts manufactured in a factory to a site and easily assemble the same. The prefabricated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plates which are bent so that one side becomes a seat and the other side becomes a backrest, and which are arranged side to side; a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which have a polygonal shape and are arranged on the ground to face each other and be spaced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interval; a first connection frame which has one end portion and the opposite end portion which are bent to be coupled to respective front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and a second connection frame which has a first end portion and a second end portion which are bent to be coupled to respective back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The one side of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Description

조립식 장의자{PREFABRICATED BENCH}PREFABRICATED BENCH}

본 발명은 조립식 장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장에서 제작한 부품들을 현장까지 운반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장의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guards who can easily assemble parts manufactured at factories to the site.

터미널의 대합실, 극장, 공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장소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장의자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장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복수의 좌판과, 이 좌판을 지지하기 위해서 좌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다리부재로 구성된다.A lot of people, such as the waiting room of the terminal, the theater, the park, etc., have a suspect in which people can sit together. Generally, a conventional suspect has a plurality of seats on which a user sits,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side surfaces of a seat for supporting the seat, a connecting member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And a leg member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이와 같은 종래의 장의자는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하여 현장까지 운반한 다음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조립완성되어 부피가 큰 장의자를 차량으로 운반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 적재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운반비, 특히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선적비와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suspect is manufactured and assembled at a factory and then transported to the site, which is then installed. Thus, it is inconvenient that the assembly is completed and the bulky suspect is carried to the vehicle, which is inconvenient. The shipping cost, especially when exporting to overseas, increases the shipping cost and the labor cost, which causes the production unit price to rise.

KR 10-0352998 B1(2002.09.18.)KR 10-0352998 B1 (2002.09.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장에서 제작한 부품들을 현장까지 운반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차량으로 운반하는데 편리한 조립식 장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suspect who is convenient for carrying parts manufactured by factories to the site and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m conveniently in the field,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적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어 운반비, 특히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선적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가 낮아지는 조립식 장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loading a vehicle, which can load a large amount of parts because the parts are stacked in a disassembled state, thereby reducing shipping costs, especially shipping costs and labor costs, Is low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누구라도 조립 및 분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장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guarded suit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parts and promptly assemble and separate any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시 파손되거나 변형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의자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장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guarded suit that can replace only broken parts or deformed parts for a long period of use and thus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chai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곡되어 일측은 착석부를 이루고 타측은 등받이부를 이루며, 복수(複數)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 다각형의 형상으로 복수로 이루어지고, 복수로 이루어진 상호 간에 대향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배치되는 메인 지지프레임;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절곡되고,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프레임의 전방측에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및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절곡되고,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프레임의 후방측에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은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은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plate, comprising: a base plate folded to form a seating portion on one side and a back portion on the other side; A main support frame which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olygonal shapes and which is arrang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face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frame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bent an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And a second connection frame having a first end portion and a second end portion bent and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결합된다.Preferably, one end of the base plate is bent downward inwar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base plate is bent downward inwar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또한, 상기 제1연결프레임 및 제2연결프레임은 각각 둘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wo or more.

아울러,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지지부재의 상측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support frame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A second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 third support member extending longer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 fourth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pport member so as to be bent.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베이스판과 베이스판 사이에는 제3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연결프레임은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단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B단부는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결합된다.Preferably, a third connecting fram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and the base plate, the third connecting frame is bent, and the A end of the third connecting frame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frame And the B end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또한, 상기 제3연결프레임에는 팔 걸이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팔 걸이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측에 세로로 배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B측까지 가로로 배치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on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rm hanging portion, the arm han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ember vertically arranged on the A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arranged i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member extending from the member to the B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아울러, 상기 제3연결프레임에는 서브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A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측 1단에 결합되는 B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측 2단에 결합되는 C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on frame may further include a sub support frame, wherein the sub support frame comprises: a support member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A B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A support member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A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arranged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C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A-side second end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A-support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과 대향되도록 지면에 배치되는 서브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A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도중에 결합되는 B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B지지부재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도중에 결합되는 C지지부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ub support frame further includes a sub support fram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so as to face the main support frame, wherein the sub support frame comprises: a support member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A B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A support member and engag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a C support member extending longer than the B support member upwardly from the rear end of the A support member and engag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모든 부품들이 조립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공장에서 제작한 부품들을 현장까지 운반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차량으로 운반하는데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o that all the parts are assembled, so that parts manufactured at factories can be transported to the site,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and is advantageous for transporting to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적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어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운반비, 특히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선적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load a large amount because the parts are loaded in a disassembled state when the vehicle is loaded on a vehicle, a large amount of the load can be loaded, thereby reducing the shipping cost, , And thus the production unit cost is lowered.

아울러, 본 발명은 각 부품간의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체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각 부품간 직접 결합을 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관미가 우수해지고 누구라도 조립 및 분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rect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chanism for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speeding up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nybody.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시 파손되거나 변형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의자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only broken parts or deformed part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entire chair, thereby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의 프레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의 프레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uit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atti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frame of the assembled-on-solesi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packed suit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frame of the assembled-on-solesis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lothes-packed su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at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및 제3연결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판(10),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및 제3연결프레임(50)은 내식성(耐蝕性)과 강성(剛性)이 우수하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ssembled attach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0, a main support frame 20, a first connection frame 30, a second connection frame 40 And a third connection frame 50, as shown in Fig. The base plate 10, 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and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re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rigidity And is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베이스판(10)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알파벳 대문자 L자 모양을 이루도록 중앙부분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12)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를 이루고 타측(14)은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등받이부를 이룬다. 이러한 베이스판(10)은 동일한 형상으로 된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착석부에는 착석 커버(12a)가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로 결합되며, 등받이부에는 등받이 커버(14a)가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로 결합된다.The base plate 10 is made of a flat plate,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bent at right angles so as to form an L-shaped upper case letter so that one side 12 forms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user sits, and the other side 14 is a seat Thereby forming a back portion for expecting. The seat cover 12a is coupled with a fastening mechanism such as a bolt, and the backrest cover 14a is fastened to the backrest by a fastening mechanism such as a bolt, Lt; / RTI >

또한, 베이스판(10)의 일측(12) 단부(사용자가 착석시 허벅지가 닿는 부분의 끝단)는 후술할 제1연결프레임(30)의 수평부분(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연결프레임(30)의 수평부분에 바로 결합된다. 아울러, 베이스판(10)의 타측(14) 단부는 후술할 제2연결프레임(40)의 수평부분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연결프레임(40)의 수평부분에 바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판(10)의 절곡된 부분은 신축(伸縮)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연결프레임(30)과 제2연결프레임(40)에 결합할때는 늘어났다가 결합한 후에는 줄어들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0)의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제1연결프레임(30)과 제2연결프레임(40)을 분리할 때는 베이스판(10)의 절곡된 부분이 늘어나서 제1연결프레임(30)과 제2연결프레임(4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제1연결프레임(30)과 제2연결프레임(40)을 분리하고 난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줄어들게 된다.The end of the one side 12 of the base plate 10 (the end of the portion where the user touches the thighs when seated)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directly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 The other end 14 of the base plate 10 is bent downward inwardly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portion of a second connection frame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directly coupled to a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The bent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is formed so as to be stretchable so as to be stretched when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have. When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are separated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the bent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is stretch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n reduced to the original state.

메인 지지프레임(20)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21)와, 제1지지부재(2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22)와, 제1지지부재(2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 및 수직으로 제2지지부재(22)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제3지지부재(23)와, 제2지지부재(22)의 상측으로부터 제3지지부재(23)의 상측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지지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4지지부재(24)는 제3지지부재(23)의 상측으로부터 제2지지부재(22)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제2지지부재(22)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4지지부재(24)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에는 팔걸이 커버(25)가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로 체결된다. 또한, 제2지지부재(22)의 상단에는 제1끼움돌기홈(22a)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1연결프레임(30)의 제1끼움돌기(32a,34a)가 끼워지고, 제3지지부재(23)의 상단에는 제2끼움돌기홈(23a)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2연결프레임(40)의 제2끼움돌기(42a, 44a)가 끼워진다.The main support frame 20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21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surface, a second support member 22 extending upwardly and vertically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 A third support member 23 extending upwardly and vertically from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1 long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and a third support member 23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And a fourth support member 24 which is bent and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The fourth support member 24 is preferably extende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 towar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and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Do. The armrest cover 25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ly extended portion of the fourth support member 24 by a fastening mechanism such as a bolt. A first fitting protrusion groove 22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2 so that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32a and 34a of the first connecting frame 30 to be described later are fitte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groove 23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3 so that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42a and 44a of the second connecting frame 40 to be described later are f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지지프레임(20)은 제1지지부재(21) 내지 제4지지부재(24)에 의해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로 이루어진 상호 간에 대향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support frame 2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by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mbers 21 to 24.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20 are oppos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제1연결프레임(3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로 마련되고, 일단부(32) 및 타단부(34)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디귿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프레임(30)의 일단부(32)와 타단부(34)에는 제1끼움돌기(32a,34a)가 각각 형성되어 2개가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메인 지지프레임(20)의 제2지지부재(22)의 제1끼움돌기홈(22a)에 끼워진다. 이로써 제1연결프레임(30)은 메인 지지프레임(20)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연결프레임(30)의 수평부분에는 제1결합돌기(36)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3연결프레임(50)의 A단부(52)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홈(52a)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제1연결프레임(30)은 둘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운반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프레임(30)이 분리된 부분에는 각각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착탈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is formed of a member such as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one end portion 32 and the other end portion 34 are bent at right angles to form a diagonal shape. First fitting protrusions 32a and 34a are formed on one end portion 32 and the other end portion 34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so that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32a and 34a are formed,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groove 22a of the member 22. Thus,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is perpendicular to the main support frame 20. A first coupling protrusion 36 is formed on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frame 30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surface so that a first coupling protrusion 36 formed on the A end 52 of the third coupling frame 50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2a.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can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frame 3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parated portions by forming protrusions and grooves, respectively.

다른 방법으로, 제1연결프레임(30)의 수평부분에는 제3연결프레임(50)의 A단부(52)가 안착되도록 제1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3연결프레임(50)의 A단부(52)와 제1안착부(미도시)를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로 체결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first seat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o seat the A-end 52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The A-end 52 and the first seat portion (not shown) of the main body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chanism such as a bolt.

제2연결프레임(4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로 마련되고, 제1단부(42) 및 제2단부(44)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디귿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2연결프레임(40)의 제1단부(42)와 제2단부(44)에는 제2끼움돌기(42a, 44a)가 각각 형성되어 2개가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메인 지지프레임(20)의 제3지지부재(23)의 제2끼움돌기홈(23a)에 끼워진다. 이로써, 제2연결프레임(40)은 메인 지지프레임(20)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프레임(40)의 수평부분에는 제2결합돌기(46)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3연결프레임(50)의 B단부(54)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홈(54a)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제2연결프레임(40)은 둘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운반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연결프레임(40)이 분리된 부분에는 각각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착탈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is provided with a member such as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rst end portion 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44 are bent at right angles to form a diagonal shape.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s 42a and 44a are formed at the first end portion 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44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so that two of the main support frames 20 3 support member 23 of the first embodiment. As a result,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is perpendicular to the main support frame 20.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46 is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frame 40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46 formed on the B end 54 of the third connecting frame 50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4a.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can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In this way, the second connecting frame 4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parated portions by forming protrusions and grooves, respectively.

다른 방법으로, 제2연결프레임(40)의 수평부분에는 제3연결프레임(50)의 B단부(54)가 안착되도록 제2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3연결프레임(50)의 B단부(54)와 제2안착부(미도시)를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로 체결할 수도 있다.A second seat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so that the B-end portion 54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is seated, The B-end portion 54 and the second seat portion (not shown)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chanism such as a bolt.

제3연결프레임(5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로서, 2개가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베이스판(10)의 사이에 위치하고, 베이스판(10)이 절곡된 형상대로 알파벳 대문자 L자 모양을 이루도록 중앙부분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제3연결프레임(50)의 A단부(52)에는 제1결합돌기홈(52a)이 형성되어 제1연결프레임(30)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36)가 끼워지고, 제3연결프레임(50)의 B단부(54)에는 제2결합돌기홈(54a)이 형성되어 제2연결프레임(40)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46)가 끼워진다. 또한, 제3연결프레임(50)에는 팔 걸이부(70)가 추가로 더 설치될 수도 있는데, 팔 걸이부(70)는 베이스판(10)의 일측(12)(착석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연결프레임(50)의 A측(51)에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부재(72)와, 상기 제1부재(72)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판(10)의 타측(14)(등받이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연결프레임(50)의 B측(53)까지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부재(74)로 이루어진다.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is a member such as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base plates 10 arranged side by side. The base plate 1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base plate 10 is bent in an alphabetical uppercase L- The center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groove 52a is formed at the A-end 52 of the third coupling frame 50 so that a first coupling protrusion 36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frame 30 is fitte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46a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54a. The third connecting frame 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rm hanging part 70. The arm hanging part 7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side 12 (seating part) of the base plate 10 A first member 72 disposed vertically above the A side 51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a second member 72 extending from the first member 72 to the other side 14 of the base plate 10 And a second member 74 horizontally arranged to the B-side 53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ackrest por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의 프레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frame of the assembled-type suitch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미도시),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제3연결프레임(50) 및 서브 지지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판(미도시),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제3연결프레임(50) 및 서브 지지프레임(60)은 내식성(耐蝕性)과 강성(剛性)이 우수하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assembled attach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not shown), a main support frame 20, a first connection frame 30, 40, a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a sub support frame 60. The base plate (not shown), 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the sub support frame 60 are made of corrosion- ) And rigidity, and is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에서 베이스판(미도시),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제3연결프레임(50)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연결프레임(30)의 수평부분에는 제3끼움돌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할 서브 지지프레임(60)의 B지지부재(62)에 형성된 제3끼움돌기(62a)가 끼워지게 되고, 제2연결프레임(40)의 수평부분에는 제4끼움돌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할 서브 지지프레임(60)의 C지지부재(63)에 형성된 제4끼움돌기(63a)가 끼워지게 된다.(Not shown), 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and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in the assembled pris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 third fitting protrus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arranged horizontally to the ground to form a third fitting protrusion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third supporting frame 62 of the sub- A fourth fitting protrus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so as to be formed in the C support member 63 of the sub support frame 60 The fourth fitting projection 63a is fitt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 지지프레임(20)의 사이에는 메인 지지프레임(20)과 대향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서브 지지프레임(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지지프레임(60)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A지지부재(61)와, A지지부재(6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 및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연결프레임(30)의 도중에 결합되는 B지지부재(62)와, A지지부재(6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 및 수직으로 B지지부재(62)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제2연결프레임(40)의 도중에 결합되는 C지지부재(63)를 포함한다. 상술한 B지지부재(62)에는 제3끼움돌기(62a)가 형성되어 제1연결프레임(30)에 형성된 제3끼움돌기홈(미도시)에 끼워지고, C지지부재(63)에는 제4끼움돌기(63a)가 형성되어 제2연결프레임(40)에 형성된 제4끼움돌기홈(미도시)에 끼워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a sub support frame 6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support frames 2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perpendicular to the main support frame 20 so as to face 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sub support frame 60 includes an A support member 61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and an A support member 61 extending vertically and vertically from the front end of the A support member 61 to be coupl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A C support member 63 extended from the rear end of the A support member 61 upwardly and vertically longer than the B support member 62 to be engag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 A third fitting protrusion 62a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B support member 62 to be fitted in a third fitting projection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Not shown)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with the fitting protrusion 63a formed therein.

이와 같은 서브 지지프레임(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인용 이상으로 의자가 구성되는 경우,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자의 중간부분에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3 and 4, the sub support frame 60 is for supporting a load of a user sitting on a chair when the chair is composed of more than three persons, You can install it or you can install several at regular intervals.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의 프레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packed suit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frame of a clothes-packed suit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제3연결프레임(50) 및 서브 지지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판(10),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제3연결프레임(50) 및 서브 지지프레임(60)은 내식성(耐蝕性)과 강성(剛性)이 우수하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assembled chief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0, a main support frame 20, a first connection frame 30, a second connection frame 40 A third connecting frame 50, and a sub-supporting frame 60, as shown in Fig. The base plate 10, 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the sub support frame 60 are made of corrosion- And is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장의자에서 베이스판(10), 메인 지지프레임(20), 제1연결프레임(30), 제2연결프레임(40), 제3연결프레임(50)은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first connection frame 30, the second connection frame 40, and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in the assembled ches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base plate 10,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 지지프레임(20)의 사이에는 메인 지지프레임(20)과 대향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서브 지지프레임(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지지프레임(60)은 제3연결프레임(50)에 설치되는데,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A지지부재(61)와, A지지부재(6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판(10)의 일측(1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연결프레임(50)의 A측(51) 1단(51a)(제1연결프레임(30)에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B지지부재(62)와, A지지부재(6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제3연결프레임(50)의 A측(51) 2단(51b)에 결합되는 C지지부재(63)를 포함한다. 이때, A지지부재(61)는 제3연결프레임(50)의 A측(51)보다 길게 마련하여, C지지부재(63)의 상단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경사가 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B지지부재(62)의 상단을 제3연결프레임(50)의 A측(51) 1단(51a)에 용접으로 고정하고, C지지부재(63)의 상단을 제3연결프레임(50)의 A측(51) 2단(51b)에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제3연결프레임(50)과 서브 지지프레임(60)을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a sub support frame 6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support frames 2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perpendicular to the main support frame 20 so as to face the main support frame 20. The sub support frame 60 is installed in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includes an A support member 61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surface and an upper support member 61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A support member 61, Side end portion 51a of the third linking frame 5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ne side 12 of the first linking frame 10 And a C support member 63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A-end 51b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A-support member 61. At this time, the A-supporting member 61 is longer than the A-side 51 of the third connecting frame 5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supporting member 63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direction, The load of the seated user can be supported. The upper end of the B support member 62 is welded to the A-end 51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the upper end of the C support member 63 is fixed to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The third connection frame 50 and the sub support frame 6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o the second end 51b of the A side 51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50. [

이와 같은 서브 지지프레임(6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인용 이상으로 의자가 구성되는 경우,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자의 중간부분에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ub support frame 60 is for supporting a load of a user sitting on a chair when the chair is composed of more than four persons, You can install it or you can install several at regular interval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베이스판 20 : 메인 지지프레임
30 : 제1연결프레임 40 : 제2연결프레임
50 : 제3연결프레임 60 : 서브 지지프레임
70 : 팔 걸이부
10: base plate 20: main support frame
30: first connection frame 40: second connection frame
50: third connection frame 60: sub support frame
70: arm hanging part

Claims (8)

절곡되어 일측은 착석부를 이루고 타측은 등받이부를 이루며, 복수(複數)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
다각형의 형상으로 복수로 이루어지고, 복수로 이루어진 상호 간에 대향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배치되는 메인 지지프레임;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절곡되고,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프레임의 전방측에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및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절곡되고,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프레임의 후방측에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은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은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지지부재의 상측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A base plate which is bent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rranged in parallel, one side forming a sea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forming a backrest portion;
A main support frame which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olygonal shapes and which is arrang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face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frame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bent an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And
And a second connection frame in which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bent and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One side of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The main support frame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A second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 third support member extending longer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 fourth support member bent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ppor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base plate is bent downward inwar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base plate is folded downward inwar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 및 제2연결프레임은 각각 둘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wo or mo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판과 베이스판 사이에는 제3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연결프레임은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단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B단부는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nection frame between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and the base plate,
Wherein the third connection frame is folded, the A end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the B end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rame. A prefabricated suspec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프레임에는 팔 걸이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팔 걸이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측에 세로로 배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B측까지 가로로 배치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connection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rm hook,
The arm han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ember vertically disposed on the A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member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member disposed laterally to the B side of the third connecting fram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프레임에는 서브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A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측 1단에 결합되는 B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A측 2단에 결합되는 C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connection frame further includes a sub support frame,
The sub-
An A support member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A B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A support member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A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arranged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C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A-side second end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A-suppor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과 대향되도록 지면에 배치되는 서브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A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도중에 결합되는 B지지부재; 상기 A지지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B지지부재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도중에 결합되는 C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b support fram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frames on a ground surface so as to face the main support frame,
The sub-
An A support member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A B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A support member and engag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a C support member extending longer than the B support member upwardly from the rear end of the A support member and join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KR1020150150396A 2015-10-28 2015-10-28 Prefabricated bench KR101703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396A KR101703987B1 (en) 2015-10-28 2015-10-28 Prefabricated b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396A KR101703987B1 (en) 2015-10-28 2015-10-28 Prefabricated be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987B1 true KR101703987B1 (en) 2017-02-08

Family

ID=5815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396A KR101703987B1 (en) 2015-10-28 2015-10-28 Prefabricated b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386A1 (en) * 2019-07-19 2021-01-20 Dongah Aluminum Corporation Portable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076U (en) * 1988-02-16 1989-09-06 한영준 Prefab sofa
JPH09294651A (en) * 1996-04-30 1997-11-18 Maruni:Kk Bench utilizing bar of outdoor fence
KR20020037425A (en) 2000-11-14 2002-05-21 최판식 sectional chairs
KR100766636B1 (en) * 2006-11-22 2007-10-15 박규수 Joint s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076U (en) * 1988-02-16 1989-09-06 한영준 Prefab sofa
JPH09294651A (en) * 1996-04-30 1997-11-18 Maruni:Kk Bench utilizing bar of outdoor fence
KR20020037425A (en) 2000-11-14 2002-05-21 최판식 sectional chairs
KR100766636B1 (en) * 2006-11-22 2007-10-15 박규수 Joint s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386A1 (en) * 2019-07-19 2021-01-20 Dongah Aluminum Corporation Portable chair
US11253075B2 (en) 2019-07-19 2022-02-22 Dongah Aluminum Corporation Portabl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9496A (en) Portable furniture
US7219962B2 (en) Design and assembly technique for ready to assemble furniture
US8950817B2 (en) Article of furniture with modular construction
JP2018053659A (en) Frame-type booth-shaped furniture
KR101703987B1 (en) Prefabricated bench
JP6055650B2 (en) Chair
EP2740389A1 (en) Seating furniture
US8714652B2 (en) Modular furniture utilizing securely stacked frames
US3425745A (en) Motorcycle armchair safety seat
KR20160002665U (en) Assembly type spfa
US9480337B2 (en) Disassemblable rocking chair with concealed connections
JPH11151133A (en) Knockdown sofa
JP5958951B2 (en) Desk system
KR20110061029A (en) The assembled bench
JP2005334407A (en) Chair rack
CN218246415U (en) Armchairs
CN216854194U (en) Leisure chair with teacup rack handrail
KR200356989Y1 (en) A couch assembly
CN214433103U (en) Surrounding chair
CN220458989U (en) Spliced sofa
EP3701838A1 (en) Waiting area seating furniture
KR200383829Y1 (en) The sofa where the disjointing assembly is possible
KR101571512B1 (en) the frame for bench
KR20230131538A (en)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chair
KR101044573B1 (en) Audience chair sid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