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94B1 -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94B1
KR101703494B1 KR1020150128991A KR20150128991A KR101703494B1 KR 101703494 B1 KR101703494 B1 KR 101703494B1 KR 1020150128991 A KR1020150128991 A KR 1020150128991A KR 20150128991 A KR20150128991 A KR 20150128991A KR 101703494 B1 KR101703494 B1 KR 10170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encoding
bit rate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937A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1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동영상 전송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PSNR에 기초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상기 인코딩부 및 상기 전송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Video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trading-off battery time and transmitted video qua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사용시간과 동영상의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사용시간(잔여 전력 용량)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이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력 소모와 대응되는 배터리 사용시간 및 동영상의 화질 정보와 대응되는 PSNR(Pick Signal to Noise Ratio)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가 있다. 즉, PSNR를 높이면 배터리의 소모 전력이 커지고, PSNR를 낮추면 배터리의 소모 전력이 작아진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최적화하여 배터리의 사용기간을 늘리거나 동영상의 화질 정보를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배터리의 중요한 특성인 배터리의 회복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리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활물질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킴으로써, 즉, 애노드(anode) 전극과 캐소드(cathode) 전극 사이에서 전해질(electrolyte)이 반응하여 전자의 이동에 의해서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전극에 가까운 전해질부터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전극에서 먼 전해질은 이미 반응한 전해질에게 전자를 전달하여 보충하게 된다. 이 때,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는 도중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유휴시간(Idle Time)이 발생하면 전극에서 먼 전해질은 안정적으로 가까운 전해질 쪽으로 전자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의 잔여용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를 배터리의 회복 효과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배터리의 회복 효과를 고려하지 않거나 용이하게 사용하지 못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확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사용시간과 동영상의 전송 화질을 효과적으로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PSNR에 기초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상기 인코딩부 및 상기 전송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인코딩 작업과 상기 전송 작업은 동일한 시간에 수행되고 동일한 시간에 비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1
여기서, PSNRREF는 기준 PSNR, PSNRTAR는 상기 목표 PSNR, QPTAR는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A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상기 A는 2일 수 있다.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2
여기서, QPTAR는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BRREF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BRTAR는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 B 및 C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로 정의되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상기 B 및 상기 C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3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듀티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4
여기서, DRTAR는 상기 목표 듀티비, PEN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의 비수행이 없는 경우에서의 상기 인코딩부의 전력 및 상기 인코딩부의 전력과 상기 전송부의 전력의 합의 비(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5
)를 각각 의미함.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이용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듀티비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상기 인코딩부 및 상기 전송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PSNR에 기초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이용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듀티비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사용시간과 동영상의 전송 화질을 효과적으로 절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개략적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간헐적 방전을 사용하지 않은 종래 기술 및 간헐적 방전을 사용한 본 발명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개략적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산출부(120), 출력부(130), 인코딩부(140), 전송부(150) 및 배터리부(16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부(110)는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 및 인코딩된 동영상의 전송 작업에 필요한 목표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값은 동영상의 전송 화질과 대응되는 목표 PSNR(Pick Signal to Noise Ratio) 및 배터리의 잔여 전력 용량인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산출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목표값에 기초하여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에 필요한 정보들을 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입력된 목표값이 목표 PSNR인 경우, 산출부(120)는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에 필요한 양자화 파라미터(QP: Quantization Parameter)와 인코딩 비트레이트(coding bitrate) 및 인코딩 작업과 전송 작업의 간헐적인 수행에 이용되는 듀티비(duty ratio),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만족시키기 위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BLER: Battery Lifetime Extension Ratio) 및 배터리 사용시간을 각각 산출한다. 이 때,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 및 배터리 사용시간은 출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또한, 입력된 목표값이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인 경우, 산출부(120)는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 듀티비, 인코딩 비트레이트, 양자화 파라미터 및 PSNR를 각각 산출한다. 이 때, PSNR은 출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여기서, 인코딩 작업과 전송 작업은 작업 수행 단위 별로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며, 작업 주기 시간 및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의 비가 듀티비이다. 또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은 배터리부(160)가 항상 전원을 공급할 때의 사용시간과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사이의 비를 의미한다.
이하, 사용자가 입력된 목표값에 기초하여 각각의 값들이 산출되므로, 산출부(120)에서 산출되는 값들을 각각 목표 PSNR,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값,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 목표 듀티비,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 및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인코딩부(140)는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양자화 파라미터와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인코딩한다. 그리고, 전송부(150)는 기준 전송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한다. 일례로, 전송부(150)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3g, LTE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 각각은 간헐적으로 동작한다. 즉, 인코딩부(140)는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동영상을 인코딩하고, 전송부(150)는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한다. 이 때, 인코딩 작업과 전송 작업은 동일한 시간에 수행되고 동일한 시간에 비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부(120)는 리튬-망간(Li-Mn) 배터리, 리튬-이온(Li-Ion) 배터리, 니켈-수소(Ni-MH) 배터리,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가 간헐적으로 동작하므로, 배터리부(160)는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부(160)의 잔여용량은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점에서 앞서 설명한 배터리의 회복 효과(Recovery Effect)에 의해 증가된다.
도 2는 간헐적 방전을 사용하지 않은 종래 기술 및 간헐적 방전을 사용한 본 발명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의 (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이 끊임없이 계속 수행된다. 따라서,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은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및 기준 전송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배터리의 잔여용량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간헐적으로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이 수행된다. 즉,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은 목표 듀비티(TA/TP)에 기초하여 작업의 수행(TA) 및 비수행(TS)이 반복된다(이 때,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보다 작으며, 전송 비트레이트는 종래의 기술과 같은 것을 사용함). 따라서, 배터리부(160)의 잔여용량은 작업이 비수행되는 구간에서 회복 효과에 의해 증가되어 종래의 배터리 사용시간보다 더 늘어나게 된다.
한편, 도 2의 (c)는 듀티비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고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목표 PSNR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이 전송 품질이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회복 효과를 통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적응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품질이 향상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부(160)의 잔여 전력 용량이 중요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에 따라 동영상이 전송 품질을 낮춤과 동시에 배터리의 회복 효과를 통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적응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목표값 별로 구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목표 PSNR 가 입력된 경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은 PSNR의 품질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계(302)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PSNR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단계(304)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PSNR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6
여기서, PSNRREF는 기준 PSNR, PSNRTAR는 목표 PSNR, QPTAR는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A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A는 2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수학식 1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정리되며, 이를 통해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7
계속하여, 단계(306)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8
여기서, BRREF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BRTAR는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 B 및 C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B 및 C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로 정의되는 모델 파라미터로서,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09
따라서, 상기의 수학식 3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정리되며, 이를 통해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0
그 후, 단계(308)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6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1
여기서, DRTAR는 목표 듀티비, PEN는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의 비수행이 없는 경우에서의 인코딩부(140)의 전력 및 인코딩부(140)의 전력과 전송부(150)의 전력의 합의 비 (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2
)를 각각 의미한다.
그리고, 단계(310)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듀티비를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7에 기초하여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3
여기서, BLERTAR는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 D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D는 -2.5일 수 있다.
또한, 단계(312)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8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4
여기서, LTTAR는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LTREF는 기준 배터리 사용시간을 각각 의미한다.
다음으로, 단계(314)에서, 출력부(130)는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 비율 및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사용자는 출력된 정보를 통해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316)에서, 인코딩부(140)는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인코딩부(140)는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동영상을 인코딩한다(도 2 참조).
그리고, 단계(318)에서, 전송부(150)는 기준 전송 비트레이트에 기 초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한다. 이 때, 전송부(150)는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한다(도 2 참조).
이 때, 배터리부(160)는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배터리부(160)의 잔여용량은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점에서 회복 효과에 의해 증가된다.
2.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이 입력된 경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잔여 전력 용량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계(402)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단계(404)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상기의 수학식 8에 기초하여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406)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이용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상기의 수학식 7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계(408)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듀티비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상기의 수학식 6에 기초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410)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상기의 수학식 3 및 4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412)에서, 산출부(120)는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PSNR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상기의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하여 목표 PSNR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14)에서, 출력부(130)는 목표 PSNR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사용자는 출력된 정보를 통해 동영상의 전송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416)에서, 인코딩부(140)는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인코딩부(140)는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동영상을 인코딩한다(도 2 참조).
그리고, 단계(418)에서, 전송부(150)는 기준 전송 비트레이트에 기 초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한다. 이 때, 전송부(150)는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한다(도 2 참조).
이 때, 배터리부(160)는 인코딩 작업 및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배터리부(160)의 잔여용량은 인코딩부(140) 및 전송부(150)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점에서 회복 효과에 의해 증가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2.4GHz 지그비 트랜시버를 전송부(150)로, 3V 및 240mAh의 LiMnO2를 배터리부(160)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H.264 표준에서의 foreman 및 bridge_far를 동영상으로 사용하였으며, 표 1과 같은 기준 정보들을 사용하였다.
BRREF PSNRREF QPREF LTREF TP BRTAR
foreman 250kbps 38.78dB 28.65dB 2576sec 1/3sec ≥62.6
kbps
bridge_far 40.60dB 21.15dB
먼저, 도 5 및 도 6은 목표 PSNR가 입력된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PEN=0"인 경우의 PSNR 판단 오류(estimation error)(도 5의 (a)) 및 배터리 사용시간(도 5의 (b))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PSNR 열화의 절대 평균 추정 오차(absolute average estimation error)는 3.22% 이하로 측정되었고, 배터리 사용시간은 31.2 시간(bridge_far) ~ 31.4 시간(foreman)으로 확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PEN=0.2"인 경우의 PSNR 판단 오류(도 6의 (a)) 및 배터리 사용시간(도 6의 (b))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PSNR 열화의 절대 평균 추정 오차는 4.65% 이하로 측정되었고, 배터리 사용시간은 10.3 시간(bridge_far) ~ 10.6 시간(foreman)으로 확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은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PEN=0"인 경우의 배터리 사용시간 판단 오류(도 7의 (a)) 및 PSNR 열화(도 7의 (b))를 도시하고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의 절대 평균 추정 오차는 6.70% 이하로 측정되었고, PSNR의 품질은 1.20 dB (bridge_far) ~ 3.89 dB (foreman)으로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PEN=0.2"인 경우의 배터리 사용시간 판단 오류(도 8의 (a)) 및 PSNR 열화(도 8의 (b))를 도시하고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배터리 사용시간 확장의 절대 평균 추정 오차는 7.31% 이하로 측정되었고, PSNR의 품질은 1.20 dB (bridge_far) ~ 3.89 dB (foreman)으로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PSNR에 기초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상기 인코딩부 및 상기 전송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6089969822-pat00034


    여기서, BRTAR는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QPTAR는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BRREF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B 및 C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로 정의되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6089969822-pat00035


    여기서, QPTAR는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PSNRREF는 기준 PSNR, PSNRTAR는 상기 목표 PSNR,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A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및 상기 C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6089969822-pat0001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8


    여기서, DRTAR는 상기 목표 듀티비, PEN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의 비수행이 없는 경우에서의 상기 인코딩부의 전력 및 상기 인코딩부의 전력과 상기 전송부의 전력의 합의 비(
    Figure 112015088586881-pat00019
    )를 각각 의미함.
  8.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이용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듀티비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상기 인코딩부 및 상기 전송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6089969822-pat00036


    여기서, LTTAR는 상기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LTREF는 기준 배터리 사용시간, BLERTAR는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각각 의미함.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5088586881-pat00021


    여기서, BLERTAR는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 DRTAR는 상기 목표 듀티비, D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5088586881-pat00022


    여기서, DRTAR는 상기 목표 듀티비, PEN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의 비수행이 없는 경우에서의 상기 인코딩부의 전력 및 상기 인코딩부의 전력과 상기 전송부의 전력의 합의 비(
    Figure 112015088586881-pat00023
    ), BRREF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BRTAR는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각각 의미함.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6089969822-pat00037


    여기서, QPTAR는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BRTAR는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 BRREF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B 및 C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로 정의되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및 상기 C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Figure 112015088586881-pat00025
  16. 배터리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PSNR에 기초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

    Figure 112016089969822-pat00038


    여기서, BRTAR는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 QPREF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 QPTAR는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BRREF는 기준 인코딩 비트레이트, B 및 C는 기준 양자화 파라미터로 정의되는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의미함.
  17. 배터리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이용하여 목표 듀티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듀티비를 이용하여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목표 인코딩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듀티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의 전송 작업의 수행 및 비수행을 반복하여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코딩 작업 및 상기 전송 작업이 수행되는 시점에만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

    Figure 112016089969822-pat00039


    여기서, LTTAR는 상기 목표 배터리 사용시간, LTREF는 기준 배터리 사용시간, BLERTAR는 상기 목표 배터리 시용시간 확장 비율을 각각 의미함.
KR1020150128991A 2015-07-22 2015-09-11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3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24 2015-07-22
KR20150103724 2015-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937A KR20170011937A (ko) 2017-02-02
KR101703494B1 true KR101703494B1 (ko) 2017-02-08

Family

ID=5815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991A KR101703494B1 (ko) 2015-07-22 2015-09-11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4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83B1 (ko) * 2010-11-22 2012-05-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전력 제어 장치, 휴대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84B1 (ko) * 2010-04-08 2016-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전력 영상 표시장치를 위한 계조 레벨 에러 컨트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83B1 (ko) * 2010-11-22 2012-05-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전력 제어 장치, 휴대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937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Power-minimized bit allocation for video communication over wireless channels
US11770731B2 (en) Target wake time traffic differentiation and service period extension
CN1185881C (zh) 发射功率控制方法及相关基站和移动站
Kennedy et al. Battery and stream-aware adaptive multimedia delivery for wireless devices
US7801222B2 (en) Coding image signal
CN104584648A (zh) 由终端请求的由基站控制的终端传输节流
CN102843759B (zh) 一种上行多入多出信道的功率控制方法和用户设备
KR201401194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운틴 부호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CN103763216A (zh) 一种数据传输的调整系统及方法
CN104581904A (zh) 异构蜂窝网络中一种基于节能的基站休眠方法
KR101703494B1 (ko) 배터리 사용시간과 전송 화질을 절충하는 동영상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1283519A (zh) 增强的dls和hcca原则
CN101466135A (zh) 一种节约无线节点能耗的发射功率调节方法
Kim et al. A new resource allocation scheme based on a PSNR criterion for wireless video transmission to stationary receivers over Gaussian channels
CN108521853B (zh) 一种数据包的传输处理方法、装置及通信设备
EP3127377B1 (en) A method to save energy for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network
KR101146383B1 (ko) 배터리 전력 제어 장치, 휴대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ettouche et al. QoE-based performance evaluation of video transmission using RPL in the IoMT
US201503129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mmunication modes
CN109981545A (zh) 编码码率调整装置、方法及电子设备
WO2023280032A1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CN110537381A (zh) 链路的功率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11385902B (zh) 数据调度方法及装置
JP4675405B2 (ja)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CN114422093A (zh) 信息传输、资源指示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