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904B1 -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904B1
KR101702904B1 KR1020160063819A KR20160063819A KR101702904B1 KR 101702904 B1 KR101702904 B1 KR 101702904B1 KR 1020160063819 A KR1020160063819 A KR 1020160063819A KR 20160063819 A KR20160063819 A KR 20160063819A KR 101702904 B1 KR101702904 B1 KR 10170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error signal
circui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Priority to KR102016006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11/0009
    • F24F11/00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병원의 바이오 클린룸, 무균병실 등 각 병실이 대기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하고, 더 나아가서 원격지에서도 각 병실에 설치된 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상태 감지부와, 대기의 상태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조부를 제어하는 공조관리센터를 갖는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부터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상기 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 전송하며, 대기상태를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Hospital Remo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의 바이오 클린룸, 무균병실 등 각 병실이 대기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하고, 더 나아가서 원격지에서도 각 병실에 설치된 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110)에서는 각 병실에 설치된 대기상태 감지부(111)가 온도, 습도, 부유미립자 농도, 대기의 압력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공조관리 센터(113)에 전송하며, 공조관리센터(113)에서는 상기 대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공조부(112)를 제어함으로서 각 병실의 대기상태를 항상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110)을 시공하는 업체는 병원외부의 소정의 장소에 위치하기 때문에, 병원 공조 관리시스템(110)에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병원에서는 이를 시공업체에 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병원에는 병원 공조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여야 하는 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의 공조관리센터에 수집되는 대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병원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각 병실의 대기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알릴 수 있도록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하고, 더 나아가 원격지에서도 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병원의 대기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병원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대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상태 감지부와, 대기의 상태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조부를 제어하는 공조관리센터를 갖는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부터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상기 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 전송하며, 대기상태를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상기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조부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기와; 공기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습도를 높여주는 가습기 및; 대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대기상태 감지부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부유 미립자를 감지하는 부유 미립자 감지부와;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조부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기와; 공기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습도를 높여주는 가습기 및; 대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의 공조관리센터에 수집되는 대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병원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각 병실의 대기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알릴 수 있도록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하고, 더 나아가 원격지에서도 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병원 공조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4는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원격관리시스템(200)은 병원공조관리시스템(210)과 원격관리센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병원공조관리시스템(210)은 병원에 마련되고, 원격관리센터(220)는 병원 이외의 소정의 장소에 마련된다. 예컨대, 원격관리센터(220)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원격관리시스템(200)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병원이 아닌 특정 업체의 관리센터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공조관리시스템(210)은 대기상태감지부(211), 공조부(212) 및 공조관리센터(213)를 포함한다.
대기상태감지부(211)는 병원 각 곳, 예컨대, 바이오 클린룸, 병실, 복도, 무균병실, 수술실 등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상태감지부(211)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대기의 부유미립자 농도를 측정하는 부유미립자감지부,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공조부(212)는 병원 각 곳의 대기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냉방기 난방기, 가습기 및 송풍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냉방기 및 난방기는 대기의 온도를 조절하며, 가습기는 실내가 건조할 시 습도를 높여준다.
한편 송풍기는 바이오 클린룸, 무균병실 등에 설치되는 대기 순환용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송풍기를 가동하여 순환기류를 생성하고, 순환기류 상에 필터를 설치하여 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기는 격리실등과 같이, 실내의 대기 압력과 실외의 대기압력 차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공조관리센터(213)는 대기상태감지부(211)에서 감지된 대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센터(220)로 전송한다. 그리고, 공조관리센터(213)는 원격관리센터(220)로 전송된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원격관리센터(2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공조부(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조관리센터(213)는 대기상태감지부(211)에 의해 감지된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수집한 대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의 상태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공조관리센터(213)는 대기의 상태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내의 대기상태가 설정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공조부(212)를 제어한다.
원격관리센터(220)는 통신망을 통해 공조관리센터(213)로부터 전송된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원격관리센터(220)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공조관리센터(213)에 전송하여 공조부(21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다른 원격관리센터(220)는 통신부(221), 디스플레이부(222), 저장부(223), 입력부(224) 및 제어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1)는 통신망을 통해 공조관리센터(21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공조관리센터(213)로부터 전송되는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225)로부터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공조관리센터(213)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222)는 제어부(225)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21)를 통해 수신되는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한다.
저장부(223)는 제어부(225)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2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224)는 사용자가 각 병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관리 및 공조부(212)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제어부(225)는 통신부(221)를 통해 수신되는 대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부(223)에 저장하고,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22)를 통해 이미지로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224)를 통해 입력한 명령에 대응하는 공조부(21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221)를 통해 공조관리센터(213)로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214)는 대기상태감지부(211) 및 공조부(212)와 공조관리센터(213)가 상호간에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BUS)(214)를 나타낸 것이나, 대기상태감지부(211) 및 공조부(212)와 공조관리센터(213)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 송수신이 버스(BUS)(214)를 이용함에 국한 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대기의 상태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되 에러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시켜 에러상황을 반드시 해결토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의 구성을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부(1102)는 제어부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32)과, 탄발 스프링(133)과, 영구자석(134)과, 수동 작동 스위치(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탄발 스프링(133)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영구자석(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에러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에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에러신호 출력부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200: 병원 원격관리 시스템
110, 210: 병원 공조 관리 시스템
111, 211: 대기상태 감지부
112, 212: 공조부
113, 213: 공조 관리 센터
214: 버스

Claims (3)

  1. 원격지에서 병원의 대기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병원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대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상태 감지부와, 대기의 상태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대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조부를 제어하는 공조관리센터를 갖는 병원공조 관리 시스템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부터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상기 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조관리센터로 전송하며, 대기상태를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60063819A 2016-05-25 2016-05-25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70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819A KR101702904B1 (ko) 2016-05-25 2016-05-25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819A KR101702904B1 (ko) 2016-05-25 2016-05-25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904B1 true KR101702904B1 (ko) 2017-02-06

Family

ID=5810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819A KR101702904B1 (ko) 2016-05-25 2016-05-25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0476A (zh) * 2017-06-14 2017-10-20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室外机自主休眠控制电路及空调器
CN113053078A (zh) * 2021-03-10 2021-06-29 黄振军 一种医院查房提醒器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31B1 (ko) * 2005-05-23 2006-03-29 선우정보통신(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수술실용 통합 공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1625460B1 (ko) * 2015-07-24 2016-05-31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Cctv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0564931B1 (ko) * 2005-05-23 2006-03-29 선우정보통신(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수술실용 통합 공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625460B1 (ko) * 2015-07-24 2016-05-31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Cctv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0476A (zh) * 2017-06-14 2017-10-20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室外机自主休眠控制电路及空调器
CN113053078A (zh) * 2021-03-10 2021-06-29 黄振军 一种医院查房提醒器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734B2 (en) Active power stealing
US8640970B2 (en) Air quality control system
US11666046B2 (en) Pest repelling device
KR101702904B1 (ko) 원격제어를 응용한 바이오 클린룸 병원 원격 관리 시스템
US20090117843A1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40175600A1 (en) Redundant power supply for hvac system including refrigerant leakage mitigation
US5924924A (en) Ventilation monitoring, control and alarm system for livestock buildings
US7377120B2 (en) HVAC twinning control
US9501050B2 (en) DC thermostat with low battery response
JP2010121788A (ja) 浴室換気乾燥機
KR20170106532A (ko) 전기 집진기의 퍼지 히터 제어 장치
KR100747504B1 (ko) 스케줄 기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210485941U (zh) 一种水冷空调机组自动化控制系统
KR20020007668A (ko) 3상 전원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의 역상 결선감지장치
KR102503351B1 (ko) 축사 안전 장치
JP5595560B2 (ja) 空気調和機
JPS62199979A (ja) 分離形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1881422B1 (ko) 대기전력 제어장치가 추가된 열회수형 환기 유닛 시스템
KR102266188B1 (ko)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 장치
JP2017083117A (ja) 機器状態検知器及び機器
ES2348046T3 (es) Panel de control mejorado.
KR940009614A (ko) 에어콘의 모기향 발생장치와 모기향 발생 제어방법
JP2015161468A (ja) 空気調和機
JPH0511859A (ja) 湿度制御システム
JP2009186131A (ja)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