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64B1 -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64B1
KR101702364B1 KR1020160046233A KR20160046233A KR101702364B1 KR 101702364 B1 KR101702364 B1 KR 101702364B1 KR 1020160046233 A KR1020160046233 A KR 1020160046233A KR 20160046233 A KR20160046233 A KR 20160046233A KR 101702364 B1 KR101702364 B1 KR 101702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ler
mode
illuminan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길식
Original Assignee
오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식 filed Critical 오길식
Priority to KR102016004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45
    • H05B37/0218
    • H05B37/0254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스터 및/또는 슬레이브 기능을 포함하여 엘이디와 같은 조명기구가 설치된 환경에 적합한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조명기구;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 중 일부 또는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되어 조도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조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를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내의 조명기구의 어드레스를 기초로 해당 채널 내에 포함되는 하위 채널에 대한 동시 제어 또는 개별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REMOT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광원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해서는 각 광원에 연결된 벽스위치(Wall Switch)를 조작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광원을 켜거나 끄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해당 스위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광원의 전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선행출원이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광원 전원 원격 제어장치는 전용의 원격 제어장치를 사용하거나 혹은 통상의 원격제어장치에 임의의 광원 전원 제어를 위한 키를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광원 전원 원격 제어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광원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용 원격 제어장치를 사용하거나 통상의 원격 제어장치에 임의의 광원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키를 할당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가전제품마다 제공되는 원격 제어장치를 모두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광원의 전원을 모두 온-오프하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광원에 대하여 각각의 전원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사용자가 각각의 광원에 대한 전원상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광원의 전원상태를 제어하기란 불가능하다.
한편, 현재까지 조명의 광원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은 하프브릿지(Half Bridge) 또는 풀브릿지(Full Bridge)의 Culp을 0~10V 의 DC 전압으로 조명의 광원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마이컴에 의해서 온오프(on/off) 및 광원을 조절하는 직접제어 기술이 변형되어 왔다.
그러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광원을 제어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설치되어 있는 조명을 제거하고,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제어부, 조명부와 같은 구성을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또한 비용이 다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0266호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터 및/또는 슬레이브 기능을 포함하여 엘이디와 같은 조명기구가 설치된 환경에 적합한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복수 개의 조명기구;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 중 일부 또는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되어 조도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조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를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내의 조명기구의 어드레스를 기초로 해당 채널 내에 포함되는 하위 채널에 대한 동시 제어 또는 개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 상기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와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일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도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 상기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와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일 수 있되, 상기 마스터 모드는 상위 그룹에 속하는 조도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도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이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도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되, 슬레이브 모드로만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마스터 및/또는 슬레이브 기능을 포함하여 엘이디와 같은 조명기구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각 채널별 개별 또는 동시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관리자 및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명기구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어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절전부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전부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조도 컨트롤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마스터(21) 및/또는 슬레이브(22) 기능을 포함하여 엘이디와 같은 조명기구(30)가 설치된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리모트 컨트롤러(10)와 조도 컨트롤러(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명기구(10)는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도 컨트롤러(2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채널의 PWM값을 각각 조절하여 각 조명기구(3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수동으로 조명 제어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조명기구(30)를 개별 또는 그룹 제어하는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는 복수 개의 조명기구(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장치로서, 복수 개의 조명기구(30)를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내의 조명기구(30)의 어드레스를 기초로 해당 채널 내에 포함되는 하위 채널에 대한 동시 제어 또는 개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컨트롤러(20)는 복수 개의 조명기구(30) 중 일부 또는 각각에 설치되어 리모트 컨트롤러(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마스터(21) 또는 슬레이브(22)로 동작되어 조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의 조도 컨트롤러(20)는 현장에 적합하도록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도 컨트롤러 내지 제4 조도 컨트롤러(20a, 20b, 20c, 20d)로 구현되어 마스터(21) 및/또는 슬레이브(22)로 동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도 컨트롤러(2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220a), 조명기구(30)에 대한 제어모드와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230a), 제1 조도 컨트롤러(20a)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240a), 리모트 컨트롤러(10)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250a) 및 제1 조도 컨트롤러(20a)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60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모듈(240a)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도 컨트롤러(20a)는 모든 기능을 갖춘 마스터/슬레이브 조명용 제어기로서, 마이컴(260a)으로 MCU 컨트롤러(Controller), 예를 들면 8bit MCU-ST or MicroChip or ATMel or etc.가 사용될 수 있고, 조명용 파워(Power) 제어 방식으로 직접 제어방식과 네트워크 제어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접 제어 방식은 기본적으로 1포트를 내장한다.
또한, 상기 출력 드라이버 모듈(220a)은 자체 1-10 / 0-10 출력 드라이버 모듈이 사용되고, 외부 1-10 / 0-10을 제어 소오스로 사용하는 조명기구(30)의 파워에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1 ~ 10개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제어 방식은 RS485 네트워크 방식으로 럭스턴 & DMX512 방식이 사용된다. 즉, RS485 물리적 통신 방식과 럭스턴 고유의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되거나, RS485 물리적 통신 방식과 DMX512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어드레스 범위는 제1 조도 컨트롤러(20a)를 마스터(Master)로 하고 슬레이브(Slave) 어드레스를 512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모듈(230a)은 DIP Switch 1(4pin)와 DIP Switch 2(10pin)가 사용될 수 있는 데, DIP Switch 1는 제어기의 모드 설정에 사용되고, DIP Switch 2는 제어기의 어드레스 설정에 사용된다.
상기 DIP Switch 2의 어드레스 범위는 0 ~ 511이고, Switch 1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때, 마스터 선택 시에는 마스터 어드레스로 적용되고, 슬레이브 선택 시에는 슬레이브 어드레스로 적용된다.
상기 마이컴(260a)에 공급되는 전원(210a)은 DC 5V / 12V 500Ma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조도 컨트롤러(2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220b), 조명기구(30)에 대한 제어모드와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230b), 제2 조도 컨트롤러(20b)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240b), 제2 조도 컨트롤러(20b)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60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모드는 상위 그룹에 속하는 조도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모듈(240b)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도 컨트롤러(20b)는 IR 수신기(Receiver)가 없는 컨트롤러로서, 슬레이브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2 조도 컨트롤러(20b)는 마스터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IR 수신기가 없기 때문에 메인 마스터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 조도 컨트롤러(20b)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마스터로는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 조도 컨트롤러(20b)는 상술한 동작을 제외하고는 제1 조도 컨트롤러(20a)와 기능이 동일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3 조도 컨트롤러(20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230c), 제3 조도 컨트롤러(20c)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240c), 리모트 컨트롤러(10)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250c), 제3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60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모듈(240c)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조도 컨트롤러(20c)는 1-10/0-10 기능이 없는 형태로서, 오로지 마스터로만 사용 가능하고, 나머지 기능은 제1 조도 컨트롤러(20a)와 동일하다. 다만, 1-10/0-10 기능이 없는 형태이므로 DIP Switch 1에서 Switch 2, 3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4 조도 컨트롤러(20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220d), 제4 조도 컨트롤러(20d)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240d)을 포함하여, 슬레이브 모드로만 동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조도 컨트롤러(20d)는 마이컴이 없는 타입으로 1-10/0-10 입력만 받는 장치로서, 조명기구(30) 파워 부분만 구비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채널별 개별 입력이 가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리모트 컨트롤러로 각 채널의 하위 채널(0 ~ 511)에 대한 개별 제어도 가능하다. 이때, 각 채널은 동시 제어 가능하고, 채널별 개별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입력은 오로지 제1 조명 컨트롤러에서만 받고 나머지는 RS 485통신으로 입력받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채널별 개별 입력이 가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각 채널에 대하여 동시 제어만 가능하다. 그 이유는 하위 채널이 1-10/0-10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채널별 개별 입력이 가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입력은 제3 조도 컨트롤러에서만 받고, 제2 조도 컨트롤러가 개별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 채널은 동시 제어 가능하고, 개별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도 6c에서 Address 0 파트는 서브 마스터가 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가 되고, Address 1 ~ 512파트는 도 6b에서와 같이 제4 조도 컨트롤러로 구성해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그렇게 되면 개별 제어는 안되고, 채널별 제어만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그룹(Group) 및 채널(Channel)의 구성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그룹은 채널 1개 이상을 묶은 것을 그룹으로 정의하고, 그룹의 범위는 1 ~ 255이고, 0은 사용하지 않는다.
그룹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룹 1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룹 1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채널을 모두 ON 시키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설정 버튼/ 그룹 버튼/ 숫자 1 버튼/ 설정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이때, 그룹 1에 포함된 채널들은 모두 OFF 되고, 그룹 1에 대한 설정이 완료 된다.
그룹의 해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룹 1 전체를 해제하기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제 버튼/ 그룹 버튼/ 숫자 1 버튼/ 해제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이때, 그룹 1에 포함된 채널들이 모두 ON 된다. 그런 다음, ON 상태를 확인한 후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제 버튼을 누른다. 이때, 그룹 1 에 포함된 채널들이 모두 OFF 되고, 그룹 해제가 완료된다.
또한, 그룹에서 여러 개의 채널을 해제시키기 위하여는, 그룹에서 해제 시키고자 하는 채널들을 모두 ON 시킨 다음,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제 버튼을 누르면, 해제된 채널들이 Off 되고, 채널의 해제가 완료된다.
다만, 그룹이 지정되지 않은 채널은 그룹버튼으로 On/Off가 되지 않으므로 채널 버튼 혹은 스페셜 채널키로만 On/Off 된다.
또한, 전 채널 및 그룹의 제어는 그룹 0번으로 대체한다. 즉, 그룹 버튼을 누른 다음, 숫자 0버튼을 누르고, Up/Dn 또는 On/Off 버튼을 누른다.
한편, 본 원격 조도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은 1개의 마스터에 의해서 1개 이상의 조명기구가 제어되는 구성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채널을 구성하기 위하여, 채널은 1개의 마스터와 1개 이상의 슬레이브 및 조명기구로 구성되거나, 1개의 마스터와 1개 이상의 조명기구로 구성되거나, 1개의 마스터와 1개 이상의 서브 마스터 및 조명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그룹 및 채널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룹을 제어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그룹 1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하여는, 그룹 버튼/ 숫자 1 버튼/ ON/Off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또한, 그룹 1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그룹 버튼/ 숫자 1 버튼/ UP/DN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채널을 제어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채널 1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하여는, 채널 버튼/ 숫자 1 버튼/ ON/Off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또한, 채널 1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채널 버튼/ 숫자 1 버튼/ UP/DN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스페셜 버튼(SP1 & SP2)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우선 SP1 버튼 동작시, 마스터가 1개인 경우, SP1 버튼을 누를 때마다, 마스터에 연결된 채널이 1번부터 순차적으로 On/Off를 반복한다. 즉, 채널 1번 On, 채널 1번 Off, 채널 2번 On, 채널 2번 Off으로 진행하여 끝 채널에 도달하면, 다시 채널 1번부터 반복한다.
또한, 마스터가 1개 이상인 경우에는, SP1 버튼을 누를 때마다, 각 마스터에 연결된 채널 1번부터 순차적으로 On/Off를 반복한다.
또한,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을 10초 이상 누르면, SP1 버튼으로 등록된다. 이때, SP1 버튼은 최대 5개까지 등록되므로, 각기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 5개를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SP2 버튼 동작시, 그룹설정이 되어 있다면, 그룹 1번부터 순차적으로 On/Off를 반복한다. 즉, 그룹 1번 On, 그룹 1번 Off, 그룹 2번 On, 그룹 2번 Off으로 진행하여, 끝 그룹에 도달하면, 다시 그룹 1번부터 순차적으로 On/Off를 반복한다.
또한,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을 20초 이상 누르면, SP2 버튼으로 등록된다. SP2 버튼은 최대 5개까지 등록 되므로, 각기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 5개를 등록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마스터 및/또는 슬레이브 기능을 포함하여 엘이디와 같은 조명기구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각 채널별 개별 또는 동시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관리자 및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명기구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어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절전부를 보인 회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절전부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전부는, 입력단에서 다수의 출력단으로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다수의 전압공급라인과, 전압공급라인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어스위치와, 상기 다수의 제어스위치와 각각 병렬 연결된 다수의 분압저항과, 상기 출력단을 통해 전압을 각각 공급받는 다수의 응용회로부와, 상기 응용회로부의 알고리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분압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응용회로부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와 듀티비를 조절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제어스위치 사이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초크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스위치 및 상기 분압저항 사이에서 상기 제어스위치 및 상기 분압 저항과 각각 병렬 연결된 다수의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스위치 및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분압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분압저항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피드백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응용회로부의 알고리즘 동작 정지 시 상기 제어스위치를 각각 오프시킨다.
그리고, 입력단에서 다수의 출력단으로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다수의 전압공급라인과, 상기 출력단을 통해 전압을 각각 공급받는 다수의 응용회로부와, 상기 전압공급라인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응용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응용회로부에 각각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응용회로부의 알고리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응용회로부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원부분과 응용회로부분을 전원 관리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어함으로써 응용회로에 맞게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출력 전압을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절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절전부(130)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부(130)는, 제 1 및 제 2 전압 공급 라인(VSL1, VSL2), 제 1 및 제 2 제어 스위치(Q1, Q2), 제 1 및 제 2 분압 저항(R1, R2, R3, R4), 제 1 및 제 2 응용 회로부(141, 142)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더불어, 절전부(130)는 제 1 및 제 2 초크 코일(L1, L2),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 제 1 및 제 2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D1, D2) 및 제 1 및 제 2 전압 피드백 라인(FBL1, FB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부(130)는 하나의 응용 회로부에 하나의 스위치부가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응용 회로부와 두 개의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절전부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필요에 따라 응용 회로부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스위치부도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전압 공급 라인, 제어 스위치, 분압 저항, 전압 피드백 라인, 초크 코일, 커패시터,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하나의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전압 공급 라인(VSL1)은 전압 입력단(VCC_IN)으로부터 분기되어 제 1 전압 출력단(VCC_OUT1)과 연결되어, 전압 입력단(VCC_IN)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제 1 전압 출력단(VCC_OUT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제어 스위치(Q1)는 상기 제 1 전압 공급 라인(VSL1)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연결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 1 분압 저항(R1, R2)은 상기 제 1 제어 스위치(Q1)의 후단에서 상기 제 1 전압 공급 라인(VSL1)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제어 스위치(Q1)와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 1 응용 회로부(141)는 제 1 전압 출력단(VCC_OUT1)을 통해 입력 전압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제 1 응용 회로부(14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에 의해 알고리즘 동작이 실행되고, 제 1 응용 회로부(141)에 필요한 전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상기 제 1 전압 피드백 라인(FBL1)을 통해 제 1 분압저항(R1, R2)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을 피드백 받고, 피드백된 아날로그 값을 내부의 ADC 1(Analog-to-Digital Convertor)을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값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값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0)가 인지할 수 있는 상기 제 1 응용 회로부(141)의 공급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상기 디지털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 1 응용 회로부(141)에 정전압이 공급되도록 제 1 제어스위치(Q1)의 스위칭 주파수와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초크 코일(L1)은 상기 제 1 전압 공급 라인(VSL1) 상에 연결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전압 입력단(VCC_IN)의 분기노드와 상기 제 1제어 스위치(Q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커패시터(C1)는 상기 제 1 제어 스위치(Q1) 및 제 1 분압저항(R1, R2) 사이에서 제 1 제어 스위치(Q1) 및 제 1 분압 저항(R1, R2)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D1)는 상기 제 1 전압 공급 라인(VSL1) 상에 연결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제어 스위치(Q1)와 제 1 커패시터(C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압 피드백 라인(FBL1)은 상기 제 1 분압 저항(R1, R2)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분압 저항(R1, R2)에 인가된 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제 2 전압 공급 라인(VSL2)은 전압 입력단(VCC_IN)으로부터 분기되어 제 2 전압 출력단(VCC_OUT2)과 연결되어, 전압 입력단(VCC_IN)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제 2 전압 출력단(VCC_OUT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제어 스위치(Q2)는 상기 제 2 전압 공급 라인(VSL2)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연결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 2 분압 저항(R3, R4)은 상기 제 2 제어 스위치(Q2)의 후단에서 상기 제 2 전압 공급 라인(VSL2)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 2제어 스위치(Q2)와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 2 응용 회로부(142)는 제 2 전압 출력단(VCC_OUT2)을 통해 입력 전압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제 2 응용 회로부(14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에 의해 알고리즘 동작이 실행되고, 제 2 응용 회로부(142)에 필요한 전압에 대한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제 2 전압 피드백 라인(FBL2)을 통해 제 2 분압저항(R3, R4)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을 피드백 받고, 피드백된 아날로그 값을 내부의 ADC 2(Analog-to-Digital Convertor)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값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50)가 인지할 수 있는 제 2 응용 회로부(142)의 공급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디지털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 2 응용 회로부(142)에 정전압이 공급되도록 제 2 제어스위치(Q2)의 스위칭 주파수와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초크 코일(L2)은 상기 제 2 전압 공급 라인(VSL2) 상에 연결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전압 입력단(VCC_IN)의 분기노드와 제 2제어 스위치(Q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커패시터(C2)는 상기 제 2 제어 스위치(Q2) 및 제 2 분압저항(R3, R4) 사이에서 제 2 제어 스위치(Q2) 및 제 2 분압 저항(R3, R4)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D2)는 상기 제 2 전압 공급 라인(VSL2) 상에 연결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제어 스위치(Q2)와 제 2 커패시터(C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압 피드백 라인(FBL2)은 상기 제 2 분압 저항(R3, R4)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분압 저항(R3, R4)에 인가된 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응용 회로부와 두 개의 스위치부로 구성된 시스템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 회로부의 추가에 따른 스위치부의 추가 구성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절전부(130)가 시작(S210)하게 되면,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S220)된다.
이후 절전부(130)의 슬림 모드가 해제되고(S230),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각각의 응용 회로부에 맞는 전압조절을 위해 각 분압 저항으로부터 피드백된 전압을 모니터링한다(S240).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피드백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응용 회로부에 정전압이 공급되도록 스위치부의 PWM(Pulse Width Modulation)을 통해 제어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한다(S250).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각각의 응용 회로부의 알고리즘 동작을 실행시키면서 상기와 같은 패드백 전압의 모니터링과 스위치부의 PWM 제어를 동시에 수행한다.
이후 응용 회로부의 알고리즘 동작이 종료되면(S260),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 스위치를 오프시켜(S270), 전원 공급 제어 동작을 함께 종료한다(S28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50)가 응용 회로의 알고리즘 동작을 실행할 때 상기 응용 회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 회로도 함께 제어함으로써, 절전부(130)의 불필요한 전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응용 회로의 추가 시 스위치 회로도 함께 추가함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전압 및 전류 값을 프로그래머블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리모트 컨트롤러 20: 조도 컨트롤러

Claims (5)

  1. 복수 개의 조명기구;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 중 일부 또는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되어 조도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조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구를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 내의 조명기구의 어드레스를 기초로 해당 채널 내에 포함되는 하위 채널에 대한 동시 제어 또는 개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 상기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와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일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조명용 제어방식으로 직접 제어방식 또는 네트워크 제어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IR 수신기가 없는 타입으로서, 상기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 상기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와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일 수 있되, 상기 마스터 모드는 상위 그룹에 속하는 조도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지는 경우,
    상기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모드 설정을 위한 스위치 모듈;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는 마스터 모드이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RS 485 또는 럭스턴 및 DMX512 방식의 프로토콜을 가지는 경우, 또는
    마이컴이 없는 타입으로서, 상기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드라이버 모듈; 및 상기 조도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하위 조도 컨트롤러로의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되, 슬레이브 모드로만 동작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6233A 2016-04-15 2016-04-15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0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3A KR101702364B1 (ko) 2016-04-15 2016-04-15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3A KR101702364B1 (ko) 2016-04-15 2016-04-15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364B1 true KR101702364B1 (ko) 2017-02-03

Family

ID=5815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33A KR101702364B1 (ko) 2016-04-15 2016-04-15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64A (ko) * 2007-07-16 2009-01-21 박금수 마스터/슬레이브 겸용 조명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0486A (ko) * 2008-10-10 2010-04-20 이정숙 엘이디 모듈의 개별 분산 제어시스템
KR20110061069A (ko) *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Dmx512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led 조명기구
KR20120000266A (ko)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플레넷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64A (ko) * 2007-07-16 2009-01-21 박금수 마스터/슬레이브 겸용 조명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0486A (ko) * 2008-10-10 2010-04-20 이정숙 엘이디 모듈의 개별 분산 제어시스템
KR20110061069A (ko) *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Dmx512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led 조명기구
KR20120000266A (ko)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플레넷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8957B2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 sources
US9992836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lighting module using a buffer load module
US10470263B2 (en) Dimmable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of dimming lighting systems
US9451673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US9516717B2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driver of the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illuminating system
US102259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ing module based on a constant current level from a power source
US10802524B2 (en) Adjustable electronic control system
JP7220396B2 (ja) 親子照明装置、親子照明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スマート照明システム
US20190306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ing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led groups
US10448477B2 (en) Adjustable lighting system
US20210014944A1 (en) Load control using ac signalling with unique signatures
US11683876B2 (en) System for wireless control of electrical loads
GB2568601A (en) Controller,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module
JP2016213140A (ja) 照明システム
KR101702364B1 (ko) 원격 조명 제어 시스템
US11800624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EP2701463B1 (en) Load system having a control element powered by a control signal
US11983973B2 (en) System and scanning device for granting user access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BLE) Mesh
KR101698346B1 (ko) 별도의 배선없이 led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교류전원 벽스위치
JP7480501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装置
JP2017098144A (ja) Led照明装置とled照明制御装置
KR101736692B1 (ko) Led 조명 장치
JP201100330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9212558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JP6454889B1 (ja) 負荷制御システム及び負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