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038B1 -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038B1
KR101702038B1 KR1020160093659A KR20160093659A KR101702038B1 KR 101702038 B1 KR101702038 B1 KR 101702038B1 KR 1020160093659 A KR1020160093659 A KR 1020160093659A KR 20160093659 A KR20160093659 A KR 20160093659A KR 101702038 B1 KR101702038 B1 KR 10170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abnormal situation
database server
custom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브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브라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브라운
Priority to KR102016009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은,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사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 그룹에게 상기 이상 상황 및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대하여,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SYSTEM FOR MANAGING SEVER IRREGULARITY CONDITIONS OF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SEVER IRREGULARITY CONDITIONS OF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기업사에서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운영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자체적인 서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버 시스템에 대한 전문적인 인력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지 않은 기업의 경우, 서버 이상 상황에 대한 처리가 늦고 그에 따라 시스템의 운영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버 시스템에 대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처리에 대한 요구가 발생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서버 이상 상태를 즉시적으로 확인하고, 그러한 이상 상태에 대한 전문적인 서버 관리를 현장 지원할 수 있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은,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사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 그룹에게 상기 이상 상황 및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대하여,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상 상황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상기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 상기 이상 상황의 종류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기 특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접속 히스토리를 확인하여, 상기 현장 지원 그룹의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은,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해 현장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기술 보험에 따른 배상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은,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관되고, 현장 지원 그룹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용 단말 및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관된 현장 지원용 단말에 상기 이상 상황을 통지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을 저장하고, 상기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기술 보험 관리부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관된 현장 지원용 단말에 상기 이상 상황 및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자원 요소 관리기,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서버 블록 관리기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기 특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이벤트 감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현장 지원용 단말 또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해 현장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지원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상기 기술 보험에 따른 배상 금액을 결정하는 배상 관리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 이상 상태를 즉시적으로 확인하고, 그러한 이상 상태에 대한 전문적인 서버 관리를 현장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의 이상 상태에 따라, 일정 시간 내에 제공되는 현장 지원을 제공하거나, 또는 즉시적인 원격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서버의 이상 상태에 따라 빠르고 신속한 대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일정 시간 내에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그에 대한 보상책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의 손실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의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현장 지원용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계 S62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원용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상황 발생 시 그러한 이상 상황을 해결하도록 현장 지원용 단말(200)에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지원용 단말(200)은 현장 지원 그룹에게 할당된 단말로서, 현장 지원 그룹은 이상 상태가 발생한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직접 현장 출동하여 그러한 이상 상태를 해결할 수 있다.
현장 지원용 단말(2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휴대형 단말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시적으로 관리 서버(100) 또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접속 가능하다.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복수 일 수 있으며, 따라서 관리 서버(100)는 다수 고객사에 대하여 서버 이상 상황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의 일 구현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의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를 모니터링 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해결할 현장 지원 그룹(201)을 선택하고, 해당 현장 지원 그룹(201)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용 단말(200)에 이상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현장 지원 그룹(201)은 서버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엔지니어 인력을 포함하며, 1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현장 지원 그룹으로 칭한다. 현장 지원 그룹(201)은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대한 이상 상황이 접수되면,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도달하여 현장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현장 기술 지원 서비스는 기술 보험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경우,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엔지니어가 필요하나, 이를 각 고객사에서 고용하는 게 되면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그러한 이상 상황 발생시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를 즉시적으로 현장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기술 보험을 체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시스템은 신속한 정상화가 요구되므로, 기술 보험은 고객사에 대하여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기 협약하고,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100)은 그러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 그룹, 즉, 엔지니어가 당도하여 현장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약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100)은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 그룹이 해당 고객사에 도달하도록 이를 모니터링하고 관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을 기반으로, 일정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 이내에 현장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객사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를 고용하지 않고도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100)를 이용하여 즉시적이고 안정적인 이상 상황 해결 방안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기술 보험 관리부(110),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 및 지원 현황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배상 관리부(140), 원격 지원 관리부(150) 및 백업 관리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술 보험 관리부(110)는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을 저장하고, 기술 보험에 따라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 보험 관리부(110)는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로부터 A사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A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의 내용을 확인하여 A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은 현장 지원 그룹에게 통보될 수 있다.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관된 현장 지원용 단말기에 이상 상황 발생 여부 및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자원의 소비 현황, 서버 블록의 발생 횟수 및 서버에서 수행 중인 특정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이상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면, 해당 이상 상황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이상 상황에 대한 분류 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이상 상황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현장 지원 그룹에,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 이상 상황의 종류 및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각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이상 상황 지원 히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상황 지원 히스토리는 해당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발생한 이상 상황 및 그의 종류에 대한 히스토리 및 원격 또는 현장 지원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지원을 수행한 현장 지원 그룹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새로운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장 지원 그룹의 위치 및 상기 이상 상황 지원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원격 지원을 수행할 현장 지원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사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이상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출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원 그룹을 확인하고, 그러한 현장 지원 그룹이 복수인 경우 해당 A사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기 원격 지원을 수행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현장 지원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면서도 보다 원활한 원격 지원 대응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사전 진단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로그를 수집 및 분석하여, 그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하여 고객사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사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현황 및 그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원 현황 관리부(130)는 현장 지원용 단말기 또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고, 지원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해 현장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원 현황 관리부(13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접속 히스토리를 확인하여, 현장 지원 그룹이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현장 지원 그룹이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지원 현황 관리부(130)는 해당 이상 상황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현장 지원이 완료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 현황 관리부(130)는 현장 지원용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현장 지원 그룹이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현장 지원을 수행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콜 센터 등을 통하여 고객사로부터 현장 지원이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지원 현황 관리부(130)는 그러한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현장 지원이 수행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배상 관리부(140)는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기술 보험에 따른 배상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지원 현황 관리부(130)는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를 배상 관리부(140)에 알릴 수 있고, 배상 관리부(140)는 기술 보험 관리부(110)에 저장된 기술 보험의 내용으로부터 배상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지원 관리부(15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원격 지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지원 관리부(15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원격에서 제공하는 원격 지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현장 지원 그룹 또는 별도의 원격 지원 엔지니어에 의하여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원격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백업 관리부(16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를 백업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 관리부(160)는 별도의 클라우드 백업 서버와 연동하여, 주기적으로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백업 서버에 백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자원 요소 관리기(121), 서버 블록 관리기(122), 서버 이벤트 감시기(123) 및 이상 상황 판단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120)는 사전 진단 분석기(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요소 관리기(121)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여 사용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요소 관리기(121)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CPU 자원 사용율 및 메모리의 사용율을 모니터링하고, 각 사용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PU 사용율이 80% 초과하고, 메모리 사용율이 90% 초과하는 등)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서버 블록 관리기(122)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로킹이란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동안, 다른 트랜젝션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제1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경우, 정확한 작업을 위하여 잠금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잠금이 해지되기 전에는 다른 제2 트랜잭션이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자원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로킹이 자주 생기고 오래 유지된다면 트랜잭션의 처리가 지연되게 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불만 등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블록 관리기(122)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를 선제적으로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블록킹의 시간을 최대한 줄여 최적의 성능을 가지기 위하여, 트랜젝션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이벤트 감시기(123)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기 특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이벤트 감시기(123)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시작, 종료, 알림, 성공 여부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 상황 판단기(124)는 자원 요소 관리기(121) 내지 서버 이벤트 감시기(123)의 감지 현황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상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자원 사용 정도, 서버 블록 현황 및 서버 이벤트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이상 상황에 대한 오 판단의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상황 판단기(124)는 자원 요소가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되나, 서버 이벤트가 일부 이벤트로 한정되는 경우, 이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현재 구동 중인 서버 이벤트가 일정 이하인 경우이나 그에 대한 자원 요소가 과도하게 설정된 것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는 오류 또는 잘못된 자원 관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상 상황으로 판정할 수 있다.
사전 진단 분석기(125)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로그를 수집 및 분석하여, 그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전 진단 분석기(125)는 사전 진단 분석 툴을 이용하여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로그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전 진단 분석기(125)는 사전 진단 분석 툴 외에도, 자원 요소 관리기(121) 내지 서버 이벤트 감시기(123)의 감지 현황을 기반으로 사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현장 지원용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현장 지원용 단말기(200)는 현장 지원 그룹에게 할당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현장 지원용 단말기(200)는 현장 지원 그룹과 장소적으로 동일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현장 지원용 단말기(200)는 이상 상황 알림부(210), 위치 감지부(220), 대응 시간 알림부(230) 및 원격 지원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상황 알림부(210)는 관리 서버로부터 이상 상황의 발생을 접수하여, 이에 대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22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과 같은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그러한 위치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 현장 지원 그룹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대응 시간 알림부(230)는 관리 서버로부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제공받고, 그에 대한 대응 시간을 알림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시간 알림부(230)는 현장 대응 제한 시간 까지 남은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원격 지원 제어부(240)는 관리 서버의 원격 지원 관리부(150, 도 3에 도시됨)와 연동하여, 현장 지원 그룹이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원격 지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은 상술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와 기술 보험을 체결하고, 그러한 기술 보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10). 관리 서버(100)는 체결된 또는 체결 중인 기술 보험에 대한 계약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에 따라, 해당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을 모니터링하고(S620), 만약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이를 해당 고객사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 그룹에게 이상 상황 및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할 수 있다(S630).
관리 서버(100)는 현장 지원용 단말(200) 또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현장 지원 그룹이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지원을 수행하는 지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하여 이상 상황이 해결되면(S650), 관리 서버(100)는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해 현장 지원이 이루어졌는지를, 지원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관리 서버(100)는 기술 보험에 따른 배상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20 및 S6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상황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현장 지원 그룹에,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 이상 상황의 종류 및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할 수 있다.
단계 S64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접속 히스토리를 확인하여, 현장 지원 그룹의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계 S62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710).
또한,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S720), 또한 관리 서버(100)는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기 특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단계 S710 내지 S730에 의하여 확인된 내용으로부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7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관리 서버
110 : 기술 보험 관리부 120 :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
130 : 지원 현황 관리부 140 : 배상 관리부
150 : 원격 지원 관리부 160 : 백업 관리부
121 : 자원 요소 관리기 122 :서버 블록 관리기
123 : 서버 이벤트 감시기 124 : 이상 상황 판단기
125 : 사전 진단 분석기
200 : 현장 지원용 단말
210 : 이상 상황 알림부 220 : 위치 감지구
230 : 대응 시간 알림부 240 : 원격 지원 제어부
300 : 고객사 DB서버

Claims (10)

  1.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사에 할당된 현장 지원 그룹에게 상기 이상 상황 및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대하여,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접속 히스토리를 확인하거나, 현장 지원 그룹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용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현장 지원 그룹의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현장 지원 그룹이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상황에 대한 현장 지원이 완료된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해 현장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기술 보험에 따른 배상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상 상황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상기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 상기 이상 상황의 종류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기 특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현장 지원 그룹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용 단말; 및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고,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관된 현장 지원용 단말에 상기 이상 상황을 통지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접속 히스토리를 확인하거나, 현장 지원 그룹에게 할당된 현장 지원용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지원 현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지원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 그룹에 의해 현장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지원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현장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하여 상기 기술 보험에 따른 배상 금액을 결정하는 배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사와 체결된 기술 보험을 저장하고, 상기 기술 보험에 따라 상기 고객사에 대한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기술 보험 관리부;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관된 현장 지원용 단말에 상기 이상 상황 및 상기 현장 대응 제한 시간을 통지하는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자원 요소 관리기;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블록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서버 블록 관리기; 및
    상기 고객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기 특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이벤트 감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93659A 2016-07-22 2016-07-22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KR10170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59A KR101702038B1 (ko) 2016-07-22 2016-07-22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59A KR101702038B1 (ko) 2016-07-22 2016-07-22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38B1 true KR101702038B1 (ko) 2017-02-13

Family

ID=5815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59A KR101702038B1 (ko) 2016-07-22 2016-07-22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76B1 (ko) * 2001-11-10 2005-03-15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서버 장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6604B1 (ko) * 2004-12-03 2007-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인터넷 서비스 망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보증을위한 자동감지 장애 관리 방법
JP2009093524A (ja) * 2007-10-11 2009-04-30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保守・管理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品質評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76B1 (ko) * 2001-11-10 2005-03-15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서버 장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6604B1 (ko) * 2004-12-03 2007-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인터넷 서비스 망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보증을위한 자동감지 장애 관리 방법
JP2009093524A (ja) * 2007-10-11 2009-04-30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保守・管理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品質評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9532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obile device support services
US10779159B2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obile device support services
JP4667412B2 (ja) 電子機器集中管理プログラム、電子機器集中管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集中管理方法
CN110727560A (zh) 云服务报警方法及装置
US7933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oritized failure announcements
CN107533492B (zh) 中继装置和程序
CN110727563A (zh) 预设客户的云服务报警方法及装置
US8677323B2 (en) Recording medium storing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CN113760634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1702038B1 (ko) 서버 이상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이상 상황 관리 방법
KR101288535B1 (ko) 통신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508356B (zh) 数据异常预警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824590A (zh) 微服务网络的问题预测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132524B (zh) 一种监控方法、绩效管理方法,客户端及服务器
KR100937003B1 (ko) 장치 유지 보수 시스템 및 방법
CN11596765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5512472A (zh) 信息匹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194269A (zh) 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介质
KR101304386B1 (ko) Rfid 인프라 원격관제 장치 및 방법
CN113971240A (zh) 物联网故障的预警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5665778A (zh) 一种基于多维关联的无线运维方法
CN116614412A (zh) 终端异常修复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2422345A (zh) 日志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20100085734A (ko) Pot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