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94B1 - 산소농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산소농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94B1
KR101701894B1 KR1020150133533A KR20150133533A KR101701894B1 KR 101701894 B1 KR101701894 B1 KR 101701894B1 KR 1020150133533 A KR1020150133533 A KR 1020150133533A KR 20150133533 A KR20150133533 A KR 20150133533A KR 101701894 B1 KR101701894 B1 KR 10170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oncentration
oxygen
nitrogen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는,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 상기 산소용기가 설치되며, 작업장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작업장 내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며, 상기 하우징과 별도로 설치되는 산소농도검출수단,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아 산소농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산소용기 내의 산소가 작업장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소농도조절장치{OXYGEN CONCENTRATION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산소농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공간을 갖는 산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밀폐공간 내부의 산소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질식사고 등을 방지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가 불충분하거나 유해가스 발생가능성이 높은 밀폐공간에서 공사나 용접 또는 점검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자의 호흡 또는 작업을 위한 장비 등에 의해 밀폐공간 내부의 산소가 소모되고 외부에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밀폐공간 내부 공기 중 산소 농도가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정상공기는 질소 78%, 산소 21%, 기타 가스 1%의 조성을 이루고 있다.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공기를 마시는 사람은 맥박이 빨라지고, 구토, 어지럼증 등을 느낄 수 있고, 10% 미만인 경우 의식상실, 경련 등을 겪을 수 있으며, 6% 이하인 경우 순간적으로 의식을 잃고 5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질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송기마스크를 쓰고 작업하거나 환풍기를 설치하거나 유해가스 농도 측정 후 작업하거나, 작업 감시인을 두는 등의 안전 조치를 실시하고 있으나 질식사고는 끊이지 않고 계속 발생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09656호(2000. 06. 05 공개)에는 배가스 분석실의 적정 산소농도 유지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문헌에는 제철소의 노에서 발생하는 배가스의 분석실에 적정 산소농도를 유지하여 분석실 내에서의 질식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적정 산소농도 유지장치는 배가스 분석실이라는 완공된 설비 내에 산소나 질소를 공급하는 공급관, 이를 제어하는 밸브를 설치한 것으로, 완공되지 않고 현재 공사작업 중인 설비에서 작업할 경우, 또는 공급관이나 밸브를 설치하기 곤란한 환경에서 작업할 경우도 적정 산소농도를 유지하여 질식사고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09656호(2000. 06. 0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정 산소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된 설비를 갖추지 않은 작업환경에서도 산소농도부적합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산소농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는,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 상기 산소용기가 설치되며, 작업장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작업장 내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며, 상기 하우징과 별도로 설치되는 산소농도검출수단,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아 산소농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산소용기 내의 산소가 작업장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한쌍의 바퀴,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을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하우징 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하부의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목걸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작업자의 작업복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질소를 저장하는 질소용기, 상기 산소 또는 질소를 선택적으로 작업장에 공급하는 가스배출부, 상기 산소용기와 상기 가스배출부를 연결하는 산소배관, 상기 질소용기와 상기 가스배출부를 연결하는 질소배관, 상기 산소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산소배관 내부를 개폐하는 산소밸브, 상기 질소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질소배관 내부를 개폐하는 질소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배관과 상기 질소배관은 합류하여 상기 가스배출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아 산소농도가 기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질소용기 내의 질소가 작업장으로 배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작업자에게 소리, 빛 또는 녹음된 음성으로 경고를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산소농도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경고를 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주변 공기 중 산소농도를 검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검지한 산소농도 관련 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통신부의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통신부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에게 소리, 빛 또는 녹음된 음성으로 경고를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통신부로 수신되는 신호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낮은 경우 경고를 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복수의 작업자에게 할당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 관련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산소농도 값의 평균값을 기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농도조절장치가 작업장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작업장 환경에 관계없이 넓은 영역에서 산소농도조절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산소농도검출수단을 하우징과 별도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산소농도조절장치와 이격된 장소의 산소농도도 검출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산소농도조절장치를 매번 이동할 때마다 운반하여야 하는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의 활용예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의 제어시스템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활용예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제어시스템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제어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여러개의 셀로 이루어진 작업공간(1)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작업공간(1)은 조선소에서 선박가공 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밀폐된 작업공간(1)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공간(1)은 여러개의 셀로 이루어지고 이 셀들은 벽(2)에 의해 나뉘어진다. 벽(2)의 하단은 개방되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3)로 활용될 수 있다. 이동통로(3)는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서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하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이러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동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작업자가 이동통로(3)를 통과할 때 함께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이가 작업자 키의 반 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하우징(11), 배출부(17), 바퀴(13), 손잡이(12), 전장부(30)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에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이루는 각 부품들이 탑재된다. 하우징(11) 하부의 양측면에는 바퀴(13)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손잡이(12)를 잡고 끌어서 이동통로(3)를 통과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가스배출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스배출부(17)를 통해 하우징(11)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 또는 질소가스를 작업공간(1)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출부(17)는 하우징(1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작업자가 잡고 이동하는 중에 장애물과 부딪히는 경우에도 하우징(11)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산소농도조절장치(1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직진성을 갖고 보다 먼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손잡이(12)는 하우징(11)의 상단에서 가스배출부(17)와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배출부(17)와 손잡이(12)는 산소농도조절장치(10)가 이동하는 이동방향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바퀴(13)는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잡고 이동통로(3)를 통과한 후 다음 작업공간(1)에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세워놓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출부(17)가 다음 작업공간(1) 중앙 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하단에는 지지부재(15)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5)는 가스농도조절장치가 이동을 완료하고 정지상태에 있을 때 바퀴(13)가 설치된 부위와 그 반대편의 높이를 맞춰 하우징(11)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산소농도조절장치(10)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하우징(11)의 하부는 지지부재(15)와 바퀴(13)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부재(15)는 바닥면과 마찰력을 가지므로 바퀴(13)에 의해 산소농도조절장치(10)가 임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산소용기(21)와 질소용기(22)가 탑재될 수 있다. 산소용기(21)는 산소를 압축하여 액체상태로 만들어 압력탱크에 보관토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질소용기(22)도 질소를 압축하여 액체상태로 만들어 압력탱크에 보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산소용기(21)의 일측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배관(27)이 연결되고, 질소용기(22)의 일측에는 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질소배관(28)이 연결될 수 있다. 산소배관(27)과 질소배관(28)은 합류되어 가스공급배관(23)과 연결될 수 있다. 가스공급배관(23)은 산소배관(27)과 질소배관(28)의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가스배출부(17)로 이어진다. 가스공급배관(23)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서부터 가스배출부(17)로 갈수록 점점 내부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상태의 산소 또는 질소가 가스공급배관(23)에 들어오면 기화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산소배관(27)의 도중에는 산소밸브(25)가 탑재되고, 질소배관(28)의 도중에는 질소밸브(26)가 탑재될 수 있다. 산소밸브(25)는 산소용기(21)로부터 가스공급배관(23)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 및 공급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질소밸브(26)는 질소용기(22)로부터 가스공급배관(23)에 공급되는 질소의 양 및 공급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제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산소농도검출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산소농도검출수단(5)은 작업공간(1) 내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1)과 별도로 독립된 모듈로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목에 목걸이 형식으로 착용하거나, 작업자의 작업복에 고정되도록 탑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와 하우징(11)을 포함한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본체가 위치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산소농도검출수단(5)이 작업자의 호흡기와 근접한 곳에서 작업자가 호흡하는 공기의 산소농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농도검출수단(5)은 센서부(55), 제1제어부(51), 제1통신부(53), 제1경고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측면에는 전장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30)는 제2통신부(34), 제2제어부(31), 제2경고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5)는 주변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제1제어부(51)로 전달할 수 있다. 제1제어부(51)는 산소 농도 관련 신호를 전달받아 산소 농도가 기설정치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제1경고부(57)를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51)는 제1통신부(53)를 통해 산소농도에 관한 신호를 하우징(11)에 설치된 전장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제어부(51)에서 무선전송한 산소농도 관련 신호는 전장부(30)의 제2통신부(34)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제2통신부(34)는 이를 제2제어부(31)로 출력할 수 있다. 제2제어부(31)는 제2통신부(34)로부터 전달받은 산소농도 관련 신호를 이용하여 산소밸브(25)와 질소밸브(26)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산소농도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제2경고부(38)를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제1경고부(57)와 제2경고부(38)는 빛, 소리, 녹음된 음성 등을 통해 산소농도가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를 작업자에게 줄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작동이 시작되면 먼저 작업자에게 프리알람(Pre-alarm)을 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 프리알람 단계에서는 작업자에게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작동이 시작되었으며,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산소농도검출수단(5)을 착용하고 이동 시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휴대할 것을 상기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55)에서 검출된 산소농도관련 신호를 제1제어부(51), 제1통신부(53), 제2통신부(34)를 통해 제2제어부(31)에서 전달받아 산소농도가 19.5%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
산소농도가 19.5% 미만인 경우 제1제어부(51)가 제1경고부(57)를 통해, 제2제어부(31)가 제2경고부(38)를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하고(S3), 제2제어부(31)가 산소밸브(25)를 개방하여 산소용기(21) 내부의 산소가 산소배관(27), 가스공급배관(23), 가스배출부(17)를 통해 작업공간(1)에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 일정 시간동안 산소를 공급하면 산소 투입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
산소농도가 19.5% 미만이 아닌 경우, 다시 제2제어부(31)에서 산소농도가 23%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 산소농도가 23%를 초과하는 경우 제2제어부(31)가 질소밸브(26)를 개방하여 질소용기(22) 내부의 질소가 질소배관(28), 가스공급배관(23), 가스배출부(17)를 통해 작업공간(1)에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 일정 시간동안 질소를 공급하면 질소 투입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8). 공기 중 산소농도가 너무 높아도 인체에 악영향이 미치므로 작업장에 질소를 공급하여 산소농도를 낮춰주는 것이다. 위와 같이 산소농도가 낮으면 산소를 투입하고(S4), 산소농도가 높으면 질소를 투입하며(S7), 양자를 동시에 공급하지는 않는다.
산소 또는 질소의 투입이 정지되거나(S5, S8), 산소농도가 19.5%미만이 아니고, 23%를 초과하지도 않으면, 제1통신부(53)에서 제2통신부(34)로 전달되는 신호 및 제2통신부(34)에서 제1통신부(53)로 전달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강도가 기설정 강도보다 작은지를 제1제어부(51) 또는 제2제어부(31)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0). 신호강도가 기설정 강도보다 작은 경우 제1제어부(51)는 제1경고부(57)를 통해, 제2제어부(31)는 제2경고부(38)를 통해 신호강도가 낮아졌음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S11).
이는, 작업자가 착용한 산소농도검출수단(5)과 산소농도조절장치(10) 하우징(11)의 전장부(30)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기 전에 제1경고부(57) 또는 제2경고부(38) 또는 양자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통신두절에 의해 산소농도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소농도조절장치(10)는 이동이 가능하므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작업공간(1)에 고정설치 하지 않아도 사용가능하며, 작업자와 산소농도조절장치(10) 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둘 수 있게 하여 매순간 산소농도조절장치(10)를 끌고 가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에게 산소농도조절장치(10)가 짐이 되거나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산소농도조절장치(10)와 작업자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는 경우 넓은 작업공간(1) 중에서 일시적인 산소농도 불균형에 의해 산소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산소농도검출수단(5)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와 가까운 곳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휴대한 산소농도검출수단(5)과 산소농도조절장치(10)의 본체 하우징(11)이 너무 멀어져 통신이 두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신호강도가 낮아지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작업에 투입되는 인원은 여러명이 하나의 조로 구성되므로, 복수의 작업자에게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5)을 착용토록 하고, 이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5)이 하나의 산소농도조절장치(10) 본체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5)에서 측정한 값을 평균하여 제2제어부(31)에서 기준이 되는 산소농도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5) 중 어느 하나의 산소농도검출수단(5)만으로부터의 신호강도라도 낮아지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켜, 작업자 중 한명이라도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작업공간 3; 이동통로
5; 산소농도검출수단 10; 산소농도조절장치
12; 손잡이 13; 바퀴
17; 가스배출부 21; 산소용기
22; 질소용기 25; 산소밸브
26; 질소밸브 30; 전장부
31; 제2제어부 34; 제2통신부
38; 제2경고부 51; 제1제어부
53; 제1통신부 55; 센서부
57; 제1경고부

Claims (13)

  1.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
    상기 산소용기가 설치되며, 작업장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작업장 내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며, 상기 하우징과 별도로 설치되는 산소농도검출수단;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아 산소농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산소용기 내의 산소가 작업장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주변 공기 중 산소농도를 검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검지한 산소농도 관련 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통신부의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통신부가 설치되고,
    작업자에게 경고를 알릴 수 있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통신부로 수신되는 신호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낮은 경우 경고를 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고,
    작업자에게 산소농도조절장치의 작동이 시작되었으며,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을 착용하고 이동 시 상기 산소농도조절장치를 휴대할 것을 상기시키도록 프리알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한쌍의 바퀴;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을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하우징 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하부의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목걸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작업자의 작업복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질소를 저장하는 질소용기;
    산소 또는 질소를 선택적으로 작업장에 공급하는 가스배출부;
    상기 산소용기와 상기 가스배출부를 연결하는 산소배관;
    상기 질소용기와 상기 가스배출부를 연결하는 질소배관;
    상기 산소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산소배관 내부를 개폐하는 산소밸브;
    상기 질소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질소배관 내부를 개폐하는 질소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배관과 상기 질소배관은 합류하여 상기 가스배출부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아 산소농도가 기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질소용기 내의 질소가 작업장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경고를 알릴 수 있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산소농도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경고를 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농도검출수단은 복수의 작업자에게 할당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산소농도 관련 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산소농도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산소농도 값의 평균값을 기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농도조절장치.
KR1020150133533A 2015-09-22 2015-09-22 산소농도조절장치 KR10170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533A KR101701894B1 (ko) 2015-09-22 2015-09-22 산소농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533A KR101701894B1 (ko) 2015-09-22 2015-09-22 산소농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894B1 true KR101701894B1 (ko) 2017-02-02

Family

ID=581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533A KR101701894B1 (ko) 2015-09-22 2015-09-22 산소농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8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3513A (ja) * 1989-05-18 1990-12-17 Tokico Ltd 貯蔵装置
KR20000009656A (ko) 1998-07-27 2000-02-15 윤종용 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3513A (ja) * 1989-05-18 1990-12-17 Tokico Ltd 貯蔵装置
KR20000009656A (ko) 1998-07-27 2000-02-15 윤종용 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750B2 (ja) 安全機構を備えた不活化装置
KR20180000111A (ko) 휴대형 밀폐공간 가스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측정방법
US72318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xygen content
KR101984302B1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US20220028242A1 (en) Intelligent inert measurement mode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US11439856B2 (en) Fire-fighting control system
KR102133180B1 (ko)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125879B1 (ko) 자급식 호흡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급식 호흡장치 상태 판단 방법
KR101701894B1 (ko) 산소농도조절장치
KR101078003B1 (ko) 이동식 가스 경보 유니트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60063102A (ko) 가열로의 버너장치
CN215923549U (zh) 转运装置
CN207356452U (zh) 一种支持压力报警的消防气瓶
KR20210019171A (ko) 냉각 기능을 갖는 로봇팔
CN205500605U (zh) 电力高空作业车的智能安全警示系统
KR102347708B1 (ko) 유해 가스의 실시간 감지 센서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07014A (ko) 질식사 방지를 위한 이동형 산소공급시스템
JP6705113B2 (ja) 呼吸用空気監視装置及び監視機器
KR101919064B1 (ko) 화재 대피 유도장치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CN104841067B (zh) 监控装置、呼吸装置以及使移动监控设备启动的方法
KR20150115371A (ko) 생맥주 공급시스템에 구비되는 생맥주 터짐 방지장치
US11998780B2 (en) Fire-fighting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