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71B1 -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1871B1 KR101701871B1 KR1020150178641A KR20150178641A KR101701871B1 KR 101701871 B1 KR101701871 B1 KR 101701871B1 KR 1020150178641 A KR1020150178641 A KR 1020150178641A KR 20150178641 A KR20150178641 A KR 20150178641A KR 101701871 B1 KR101701871 B1 KR 1017018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keypad
- key
- keypad
- margin
- margi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익숙한 키 배열로 배열되어 있는 가상 키패드에 여백을 무작위로 삽입하고, 무작위로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임의의 키 또는 여백을 선택하여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위치를 바꾸어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을 재배열함으로써,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유지하면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보안 가상 키패드의 각각의 키 및 전체 키패드의 크기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패드의 각각의 키 및 전체 키패드의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보안 가상 키패드를, 기존의 가상 키패드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기본 키패드로 QWERTY 자판이 배열되어 있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기본 키패드로 ABC 자판이 배열되어 있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기존에 사용되는 가상 키패드의 키의 크기와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가상 키패드의 키의 크기를 비교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기존에 사용되는 가상 키패드의 전체 크기와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가상 키패드의 전체크기를 비교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가상 키패드에 여백이 삽입될 때, 각각의 여백이 무작위의 위치에 삽입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여백의 각각의 크기가 무작위로 정해져 본 발명에서 생성된 가상 키패드에 삽입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위치가 바뀔 키 또는 여백이 선택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에서, 도 8에서 선택된 키 및 여백이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바뀌어,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이 재배열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S200: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배열되어 있는 기본 키패드에 여백이 삽입되는 단계
S300: 단계 S200을 통해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위치가 바뀔 키 또는 여백이 선택되는 단계
S400: 단계 S300에서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이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위치가 바뀌어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이 재배열되는 단계
S500: 스크린의 터치 좌표와 단계 S400에서 재배열된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이 연동되어 가상 키패드가 생성되는 단계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
100: 기본 키패드 배열 생성부 200: 여백 삽입부
300: 키 선택부 400: 키 재배열부
500: 가상 키패드 생성부
Claims (20)
-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으로서,
(1)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기본 키패드가 배열되는 단계(S100);
(2) 상기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배열되어 있는 기본 키패드에 여백이 삽입되는 단계(S200);
(3) 상기 단계 (2)를 통해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위치가 바뀔 키 또는 여백이 선택되는 단계(S300);
(4)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이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위치가 바뀌어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이 재배열되는 단계(S400); 및
(5) 스크린의 터치 좌표와 상기 단계 (4)에서 재배열된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이 연동되어 가상 키패드가 생성되는 단계(S500)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에서,
가상 키패드에 배열되는 각각의 키의 크기 및 가상 키패드의 전체 크기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패드의 각각의 키의 크기 및 가상 키패드의 전체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삽입되는 여백의 각각의 크기는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기본 키패드 배열은 QWERTY 자판 배열 또는 ABC 자판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여백이 삽입될 때, 상기 삽입되는 여백의 각각의 위치가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단계 (2)를 통해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위치가 바뀔 키 또는 여백은, 임의의 방식대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이웃 행은, 상기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이 포함된 행의 바로 윗 행 또는 아래 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이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바뀔 때, 임의의 이웃 행과 무작위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해 가상 키패드가 호출될 때마다, 새로운 가상 키패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생성된 가상 키패드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로서,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기본 키패드의 배열을 생성하는 기본 키패드배열 생성부(100);
가상 키패드의 초기 레이아웃에 배열되어 있는 기본 키패드에 여백을 삽입하는 여백 삽입부(200);
상기 여백 삽입부(200)를 통해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위치가 바뀔키 또는 여백을 선택하는 키 선택부(300);
상기 키 선택부(300)에서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을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위치를 바꾸어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을 재배열하는 키 재배열부(400); 및
상기 키 재배열부(400)에서 재배열된 가상 키패드의 키 및 여백과 스크린의 터치 좌표를 연동하여 가상 키패드를 생성하는 가상 키패드 생성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키패드 배열 생성부(100)에서 생성되어 가상 키패드에 배열되는 각각의 키의 크기 및 가상 키패드의 전체 크기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패드의 각각의 키의 크기 및 가상 키패드의 전체 크기와 동일하며,
상기 여백 삽입부(200)를 통해 삽입되는 여백의 각각의 크기는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키패드 배열 생성부(100)는,
상기 기본 키패드 배열을 QWERTY 자판 배열 또는 ABC 자판 배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삽입부(200)는,
상기 여백을 삽입할 때, 상기 삽입하는 여백의 각각의 위치를 무작위로 정해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선택부(300)는,
상기 여백 삽입부(200)를 통해 여백이 삽입된 가상 키패드에서, 위치가 바뀔 키 또는 여백을, 임의의 방식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행은, 상기 키 선택부(300)에서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이 포함된 행의 바로 윗 행 또는 아래 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재배열부(400)는,
상기 키 선택부(300)에서 선택된 키 또는 여백을 이웃 행에 위치한 키 또는 여백과 바꿀 때, 임의의 이웃 행과 무작위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제11항에 있어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해 가상 키패드가 호출될 때마다, 새로운 가상 키패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패드 생성부(500)에서 생성된 가상 키패드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 장치(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8641A KR101701871B1 (ko) | 2015-12-14 | 2015-12-14 |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8641A KR101701871B1 (ko) | 2015-12-14 | 2015-12-14 |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1871B1 true KR101701871B1 (ko) | 2017-02-02 |
Family
ID=5815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8641A Active KR101701871B1 (ko) | 2015-12-14 | 2015-12-14 |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187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291650A1 (en) * | 2015-10-22 | 2018-10-11 | Ojmar, S.A. | Electronic keypad lock and electronic locking system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
KR20190031088A (ko) * | 2017-09-15 | 2019-03-25 | 주식회사 엔에스에이치씨 | 키패드의 가로 키패드 라인이 랜덤하게 변경되는 보안 키패드 생성 방법 |
KR20190034025A (ko) * | 2017-09-22 | 2019-04-01 | 주식회사 코스콤 | 보안 키 배열 방법 및 그 장치 |
KR20200082723A (ko) * | 2018-12-31 | 2020-07-08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취약점 대응 가상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KR20220032369A (ko) * | 2020-09-07 | 2022-03-15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820A (ko) * | 2007-10-10 | 2009-04-15 | 김진우 | 가상키보드 해킹 방지 입력시스템 및 동작방법 |
KR20110057379A (ko) * | 2009-11-24 | 2011-06-01 | 이니텍(주) |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키입력 해킹 방지 방법 |
KR20110113517A (ko) * | 2010-04-09 | 2011-10-17 | 루멘소프트 (주) | 가상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해킹방지방법 |
KR20150000634A (ko) * | 2013-06-25 | 2015-01-05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키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
2015
- 2015-12-14 KR KR1020150178641A patent/KR10170187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820A (ko) * | 2007-10-10 | 2009-04-15 | 김진우 | 가상키보드 해킹 방지 입력시스템 및 동작방법 |
KR20110057379A (ko) * | 2009-11-24 | 2011-06-01 | 이니텍(주) |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키입력 해킹 방지 방법 |
KR20110113517A (ko) * | 2010-04-09 | 2011-10-17 | 루멘소프트 (주) | 가상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해킹방지방법 |
KR20150000634A (ko) * | 2013-06-25 | 2015-01-05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키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291650A1 (en) * | 2015-10-22 | 2018-10-11 | Ojmar, S.A. | Electronic keypad lock and electronic locking system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
KR20190031088A (ko) * | 2017-09-15 | 2019-03-25 | 주식회사 엔에스에이치씨 | 키패드의 가로 키패드 라인이 랜덤하게 변경되는 보안 키패드 생성 방법 |
KR102018727B1 (ko) * | 2017-09-15 | 2019-09-05 | 주식회사 엔에스에이치씨 | 키패드의 가로 키패드 라인이 랜덤하게 변경되는 보안 키패드 생성 방법 |
KR20190034025A (ko) * | 2017-09-22 | 2019-04-01 | 주식회사 코스콤 | 보안 키 배열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5764B1 (ko) * | 2017-09-22 | 2019-09-26 | 주식회사 코스콤 | 보안 키 배열 방법 및 그 장치 |
KR20200082723A (ko) * | 2018-12-31 | 2020-07-08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취약점 대응 가상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KR102149354B1 (ko) * | 2018-12-31 | 2020-08-28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취약점 대응 가상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KR20220032369A (ko) * | 2020-09-07 | 2022-03-15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
KR102394614B1 (ko) * | 2020-09-07 | 2022-05-04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1871B1 (ko) | 보안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
US10176315B2 (en) | Graphical authentication | |
US9117068B1 (en) | Password protection using pattern | |
US9111073B1 (en) | Password protection using pattern | |
US9665706B2 (en) | Password creating method and device | |
CN106709382B (zh) | 一种键盘显示方法及装置 | |
CN103491062B (zh) | 一种生成密码的方法和装置 | |
US20070250934A1 (en) | Method for Preventing Input Information from Exposing to Observers | |
US20150100913A1 (en) |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rtual keyboard | |
JP2019505941A (ja) | ワンタイム動的位置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ワンタイム動的パスワード変更方法 | |
KR101509495B1 (ko) | 키패드의 이동을 통한 보안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 |
Yang | PassPositions: A secure and user-friendly graphical password scheme | |
KR100880862B1 (ko) | 전자 장치로의 사용자 입력 보안 방법 | |
KR101267229B1 (ko) | 입력패턴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
KR20100095346A (ko) |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 |
JP2007310515A (ja) | 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パスワード認証サーバ、パスワード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122197B1 (ko) | 터치 위치 해킹에 의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가상키패드 표시 방법 | |
CN103631507A (zh) | 虚拟键盘提供方法和装置 | |
Yadav et al. | Adding Persuasive features in Graphical Passwor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KBAM | |
KR20150000634A (ko) | 키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721474B1 (ko) |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
US10192075B2 (en) | Method of secret information entering into electronic digital devices | |
KR101758084B1 (ko) |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 키패드 생성방법 및 장치 | |
JP4913493B2 (ja) | 情報漏洩防止方法 | |
KR102018727B1 (ko) | 키패드의 가로 키패드 라인이 랜덤하게 변경되는 보안 키패드 생성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