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456B1 -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456B1
KR101701456B1 KR1020150170041A KR20150170041A KR101701456B1 KR 101701456 B1 KR101701456 B1 KR 101701456B1 KR 1020150170041 A KR1020150170041 A KR 1020150170041A KR 20150170041 A KR20150170041 A KR 20150170041A KR 101701456 B1 KR101701456 B1 KR 10170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rd reader
terminal
tuning
tun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838A (ko
Inventor
윤성우
한성문
황관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4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reading head of the connector being removably attached to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가,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정상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 및 OS 버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튜닝 설정정보에 대한 요청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A MANAGEMENT SERV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와 카드 리더 장치간 통신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금융 거래 단말기에는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에 인코딩(Encoding)된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해 자기 스트립 리더(Magnetic stripe reader :MSR) 모듈이 구비되거나, 스마트카드라 불리는 IC 카드 리더 모듈이 구비된다.
MSR 모듈은 마그네틱 카드 리더로부터 자기 헤드를 통해 리딩되는 카드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제조의 용이함과 사용의 편리성, 저렴한 인프라 구축 비용 등으로 인해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카드 정보 처리 방식인 카드 리더 모듈이다.
그리고, IC 카드 리더 모듈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메모리가 내장된 카드로서, 카드 내에서 정보의 저장과 처리가 가능해 마그네틱카드의 위변조 위험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결제 수단이다.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에 비해 저장 용량이 월등하여 별도의 정보 저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안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C 카드는 사용 방법에 따라서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카드 정면에 금속 패턴이 있는 것이 접촉식 IC 카드로 가장 일반적인 IC카드의 형태이며, 비접촉식 IC카드는 카드 안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 및 안테나를 내장하여, 금융 거래 단말기에 구비된 IC 카드 리더기를 통해 카드 정보의 리딩이 가능하다.
이러한 금융 거래 단말기가 온/오프 전용라인을 통하여 금융 서버 또는 VAN 사 서버와 연결되어 금융 거래 업무가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용 결제 단말기가 아니라 모듈화된 카드 리더 장치로서,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와 연계하여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여, 카드 리더 장치를 휴대형 모듈로서 제공하고, 사용자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와 커넥터로 연결하는 형태로 카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를 제조하는 제조사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의 잦은 펌웨어 업데이트 등으로 인해,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호환성을 유지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특히, 커넥터가 통상적으로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그 소자 특성이나 노이즈 및 코덱 정보에 따라 OS나 단말 모델별로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호환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신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거나, 기존의 OS 가 업그레이드 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극대화되어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연동이 안된다는 민원이 매우 잦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자는 고객의 카드 리더 장치를 회수하거나 별도의 AS를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카드 리더 장치와 연동되는 휴대폰의 종류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펌웨어나 OS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카드 리더 장치 및 휴대폰 연동 시스템에서는 모든 종류의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 리더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간 튜닝 가능한 파라미터를 제공하고, 그 파라미터를 이용한 튜닝 설정정보를 자동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단말기 및 카드 리더 장치간 통신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별 자동 튜닝된 정보를 서버를 통해 관리 및 다운로드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출시된 휴대용 단말기 또는 펌웨어나 OS가 업데이트된 단말기에 대하여도 실시간으로 그 호환성이 유지되도록 하는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가,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정상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 및 OS 버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튜닝 설정정보에 대한 요청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는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정상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 및 OS 버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튜닝 설정정보에 대한 요청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드 리더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간 튜닝 가능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가변함으로써 정상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자동적으로 적용하고, 이를 서버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및 카드 리더 장치간 통신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별 자동 튜닝된 정보를 서버를 통해 관리 및 다운로드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출시된 휴대용 단말기 또는 펌웨어나 OS가 업데이트된 단말기에 대하여도 실시간으로 그 호환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를 통해 카드 리더 장치를 구매한 고객의 단말로부터 자동적으로 튜닝된 정보가 갱신되므로, 제조사에서도 AS 및 튜닝을 위한 인력 및 업무량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 휴대용 단말기의 호환성 테스트를 위한 기기 구매등의 불필요한 비용들도 절감할 수 있어 코스트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와 카드 리더 장치의 연결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튜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의 튜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닝 설정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히 정의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버"라 함은 금융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서버는 금융 계좌간 거래를 중계하는 은행사 서버, 금융 카드 전자 결제를 중계하는 밴(VAN)사 측 서버, 신용 카드 거래의 결제승인을 처리하는 카드사 서버 및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서버들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 따라서 실제 금융 거래 기능과 다른 부가 기능을 별도의 서버 형태로 분리하는 형태도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제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 카드 리더 장치(200), 중계 서버(300), 관리 서버(400) 및 카드사 서버(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망(30)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 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이메일 메시지 등의 각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셀룰러 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의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30)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망(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300)는 신용 카드(10)를 이용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밴(Value Added Network : VAN) 사 측의 서버를 일례로 들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계 서버(300)가 결제를 대행하는 서버 이외에 전표 매입만을 중계하는 서버일 수도 있으며, 일반 카드사의 서버와 연결되는 단순 중계 서버 등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카드사 서버(500)는 위의 신용 카드(10)를 발행한 카드사의 서버를 나타낸다.
한편, 관리 서버(400)는 카드 리더 장치(200) 및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결제 프로그램의 애플리케이션과, 카드 리더 장치(200) 및 단말기(100)간 튜닝 설정정보를 단말기(100)의 모델 및 OS 버전별로 관리한다. 관리 서버(400)는 튜닝 설정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튜닝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300)는 관리 서버(400)와 연결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300)는 관리 서버(400)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관리 서버(400)와 IP 망(50)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판매자의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리더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연결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자동으로 적용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튜닝 설정정보가 적용되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110)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와의 정상 통신을 위해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튜닝 설정정보를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적용하거나,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하여 카드 리더 장치(200)와 튜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새로 생성된 튜닝 설정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 프로세스를 처리함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카드 리더 장치(200)와의 정상 통신을 위해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시간 경과에 따라 가변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튜닝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카드 리더 장치와의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까지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카드 리더 장치(200)도, 상기와 같은 튜닝 프로세스 처리를 통해, 정상 통신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카드 리더 장치(200)도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정상 통신을 위한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와 카드 리더 장치(200)의 통신 파라미터 가변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튜닝 설정정보가 적용됨에 따라 정상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에서 리딩되는 카드 정보에 기반한 결제 프로그램(110)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카드 결제 시 단말기(100)는 결제 프로그램(110)을 이용하여 중계 서버(300)에 거래 승인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승인 요청을 함으로써 신용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이러한 결제 프로그램(110)을 이용하여 거래 승인 또는 취소 시 구매자의 단말기로 거래 승인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와, 현금영수증의 발행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중계 서버(300)는 가맹점으로부터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판매자 정보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판매자 정보는 판매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그 판매자의 성명, 그 판매자가 소속된 가맹점의 명칭,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판매자별 또는 가맹점별로 식별 ID를 부여하여 해당 판매자 또는 가맹점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서버(300)는 밴(VAN) 사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고 별도의 부가적인 서버를 통해 판매자 또는 가맹점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판매자의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결제 프로그램(11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결제 프로그램(110)은, 예를 들어 VM(Virtual Machine)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여 판매자의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먼저 중계 서버(300)는 VM 다운로드를 위해 콜 백(call back) 타입의 메시지를 판매자의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콜 백 타입의 메시지를 수신한 판매자의 단말기(100)로부터 미리 약속된 비밀 번호가 수신되면, 결제 프로그램(110)을 판매자의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판매자의 단말기(100)에 결제 프로그램(110)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 VM 다운로드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신용 카드(10)의 결제 시 판매자의 단말기(100)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통해 구매자의 서명을 입력받고, 그 서명 정보를 거래 승인 요구 메시지와 함께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결제 프로그램(110)의 제공은 VM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프로그램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그램(110)을 판매자의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인터넷상의 제휴 사이트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 스토어와 같은 오픈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마켓에 접속하여 판매자 및 판매자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한 후 회원에 가입하고,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결제 프로그램(110)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다운받을 수도 있다.
이때, 결제 프로그램(110)의 업로드, 업데이트 정보 또는 기타 관리는 중계 서버(300)에서 이루어지거나 기타 다른 형태의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와 카드 리더 장치의 연결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삽입 홈(134)에 카드 리더 장치(200)를 삽입하여 이어폰 연결 단자(133)와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에 카드 리더 장치(2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 장치(200)는 커넥터(210)를 통해 단말기(100)의 이어폰 연결 단자(133)와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드 리더 장치(200)는 별도의 식별 ID를 부여하여 해당 단말기(100)와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리더 장치(200)는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부(250)를 포함하며, 리더부(250)는 자기 스트립 리더(MSR)(251)과 IC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IC 카드 리더(25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 리더 장치(200)는 신용 카드(10)의 마그네틱에 기록된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리딩할 수 있도록 자기 스트립 리더(Magnetic Strip Reader; MSR)(251)가 하우징 내에 구비된다. 또한, 카드 리더 장치(200)에는 신용 카드(10)의 IC 칩에 기록된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리딩할 수 있도록 IC 카드 리더(25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카드 리더 장치(200)에 MSR 또는 IC 카드 리더를 구비하여 마그네틱 방식 또는 IC 방식의 신용 카드(10)로부터 카드 정보를 리딩하는 실시 예를 가정하였다.
신용 카드(10)를 카드 리더 장치(200)의 카드 삽입 홈(220)에 삽입하거나,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MSR(251) 또는 IC 카드 리더(252)를 통해 카드 정보가 리딩된다. 카드 리더 장치(200)는 일면에 신용 카드(10)를 삽입시키는 카드 삽입 홈(220)이 형성되어 있고, 신용 카드(10)의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해 카드 삽입 홈(220)으로 신용카드(10)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카드 삽입부에 삽입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리더 장치(200)에서 리딩된 카드 정보는 단말기(100)의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통해 수신되어 단말기(100)의 제어부(후술함)로 전달된다.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해당 카드 정보와 결제 프로그램(110)을 이용하여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생성하여 이동통신망(30)을 통해 중계 서버(300)로 전송처리 한다.
이때, 카드 리더 장치(200)를 통해 리딩된 카드 정보는 카드 리더 장치(200)의 커넥터(210),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통해 단말기(100)의 제어부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방식의 신용 카드(10)는 물론 RF 방식의 비접촉식 IC 카드 또는 접촉식 IC 카드로 제작된 신용 카드의 카드 정보도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IC 카드의 경우,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해 카드 리더 장치(200)에 구비되는 IC 카드 리더는 RF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IC 카드는 EMV 규격을 준용한 IC칩 및 그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카드일 수 있으며, 상기 EMV는 Europay/MasterCard/Visa의 카드사가 모여 공동으로 제정한 신용 및 직불 거래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거래에 관한 표준을 의미하는 것이다.
IC 카드의 경우, 카드 리더 장치(200)는 신용 카드(10)와의 통신을 통해 고객 카드의 각종 정보를 읽어들이고 기타 필요한 정보(결제 금액 및 비밀번호 등)가 입력되면, 오프라인 승인/오프라인 거절/온라인 중에서 거래를 어떤 종류로 요청할지 결정하여 신용 카드(10)로 전송한다.
신용 카드(10)는 카드 리더 장치(200)의 요청을 검토해 오프라인 승인/오프라인 거절/회신(referral)/온라인 중에서 결정해 카드 리더 장치(200)로 응답할 수 있다.
카드 리더 장치(200)는 신용 카드(10)의 응답을 토대로 오프라인 승인/오프라인 거절/회신을 수행하고 온라인일 경우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단말기(100)를 통해 중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300)에서는 상기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카드사 서버(500)로 전송하고, 카드사 서버(10)는 이의 승인/거절 여부를 포함한 응답 전문을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며, 중계 서버(300)는 상기 응답 전문을 다시 단말기(100)를 통해 카드 리더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드 리더 장치(200)는 전송받은 응답 전문의 승인/거절 여부에 따라 신용 카드(10)에 최종 요청을 하고, 신용 카드(10)는 카드 리더 장치(200)의 요청을 검토해 최종적으로 승인/거절로 응답하며, 카드 리더 장치(200)는 신용 카드(10)의 응답에 따라 거래를 승인/거절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제 프로그램(110)이 설치되고, 이어폰 연결 단자(133),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135)에 카드 리더 장치(200)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안테나(101), 통신 모듈(103), 키조작부(105), 이어폰 연결 단자(133)와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135), 터치 패드(109), 표시부(111), 메모리(113)와, 결제 프로그램(110)이 설치된 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3)은 송신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모뎀(modem)과,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프론트 엔드를 포함한다.
키조작 부(105)는 터치 패드(109)의 구비 여부에 따라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만약, 터치 패드(109)를 통해 전화 번호, 카드 결제를 위한 서명 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키조작 부(105)는 전원의 온/오프 등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키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키 조작부(105)와 터치 패드(109)는 키 입력부로 통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카드 결제 처리부(115a), 인터페이스부(115b), 단말 튜닝 설정부(115c) 및 설정정보 관리부(115d)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카드 리더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카드 정보를 통신 모듈(103)을 통해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고, 통상적인 신용카드 전자 결제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거래 승인 요구 전문, 전자 서명 정보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기 이전에 거래상의 안전 확보를 위해 인증 정보를 카드사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구매자가 소지한 카드의 핀(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카드사 서버(500)로부터 중계 서버(300)를 경유하여 전송된 거래 승인 결과 전문을 수신하여 표시부(111)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단말기(100)가 키 입력부로서 터치 패드(109)를 구비하는 경우 구매자의 서명은 터치 패드(109)를 통해 필기 입력되고,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입력된 구매자의 서명을 카드 결제를 위한 서명 정보로 생성한다. 반면에, 단말기(100)가 터치 패드(109)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구매자의 카드 결제 시 서명 입력은 생략될 수 있다.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안전한 신용 카드 결제를 위해 결제 요구 정보가 포함된 거래 승인 요구 전문과, 서명 정보를 암호화하여 중계 서버(300)로 전송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신용 카드 결제 내역을 메모리(113)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결제일, 금액, 구매자 등의 기준에 따라 정리하여 표시부(111)를 통해 출력하거나 정리된 신용 카드 결제 내역의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나머지 구성요소들, 즉 안테나(101), 무선 통신 모듈(103), 키조작부(105), 이어폰 연결 단자(133)와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135), 터치 패드(109), 표시부(111), 메모리(11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15b)는 마이크 연결단자(132)와 이어폰 연결단자(133)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135)를 통해 카드 리더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15b)는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및 암호화 키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 연결 단자(133)에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15b)는 카드 리더 장치(200)로부터 맨체스터 코드 (Manchester Code) 방식에 따라 인코딩된 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맨체스터 코드의 경우, 수신측 동기화의 용이성을 강조하도록 비트 중간에 극성 변화가 있게한 선로부호 방식의 하나로서, Split-phase Code, Biphase Code 또는Diphase Code 라고도 호칭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수신 동기의 용이성을 위해, 항상 매 비트 마다 펄스의 변화가 있게끔하여 수신측에서 동기 타이밍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맨체스터 코드 신호의 극성은 각 비트의 중앙에서 반전되며, 천이 방향이 논리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비트 중간에서 하향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 0으로, 비트 중간에서 상향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 1로 정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만, 수신측에서의 절대 극성을 어느 방향으로 정의하는지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천이가 반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식별이 전제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15b)는 상기와 같은 맨체스터 코드 방식에 따라 카드 리더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 모드를 통신 속도, 데이터간 딜레이 및 반전 여부 정보에 따라 파라미터화 할 수 있고, 가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일반적인 카드 리더 장치(200)의 아날로그 통신방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휴대용 단말기(100)별 호환성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용이한 튜닝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15b)는 연결 포트(13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온전한 카드 정보를 정상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닝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통신 파라미터에 따라 수신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와 같은 맨체스터 코드 신호의 반전 여부 정보,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튜닝 설정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15b) 및 연결 포트(135)의 데이터 송수신 설정을 가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하여 카드 리더 장치(200)와 정상 통신이 가능한 튜닝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튜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먼저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또는 모델 정보) 및 OS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리 서버(400)에 질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튜닝 설정정보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부(115b) 및 연결 포트(135)의 데이터 송수신 설정을 가변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또는 모델 정보) 및 OS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카드 리더 장치와의 통신 오류가 확인되는 경우,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하여 튜닝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카드 리더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인자를 가변하여 다음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다음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드 리더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로부터 상기 응답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한 튜닝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부(115b) 및 연결 포트(135)의 설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인자를 순차적으로 가변함으로써,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까지 반복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하고, 통신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의 통신 파라미터를 튜닝 설정정보의 통신 파라미터로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경우, 현재의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한 튜닝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튜닝 설정정보는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델 정보 및 OS 정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튜닝 설정정보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송신(Send) 통신 파라미터와 수신(Receive) 통신 파라미터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튜닝 설정정보에는 카드 리더 장치(200)의 송신 통신 파라미터와 수신 통신 파라미터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닝 설정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카드 리더 장치(200)간 송신과 수신시의 통신 파라미터가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 적용하면서 정상 통신이 가능한 통신 파라미터 세팅을 자동적으로 찾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정정보 관리부(115d)는 생성된 튜닝 설정정보를 메모리(113)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설정정보 관리부(115d)는 저장된 튜닝 설정정보를 통신 모듈(103)을 통해 관리 서버(4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튜닝 설정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델 정보 및 OS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으며,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튜닝 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단말기의 출시나 OS의 버전 업데이트 등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100)와 카드 리더 장치(200)간 통신 오류 발생은 실시간 튜닝 설정정보의 업로드 또는 갱신으로 인해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표시부(111)를 통해 단말 튜닝 모드로의 진입 및 단말 튜닝 모드의 종료에 따라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상기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 튜닝 모드를 종료하되, 상기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의 통신 파라미터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튜닝 상태 및 자동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고, 파라미터 설정을 수동으로 별도 제어하기 위해 참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 장치(200)는 커넥터(210), 전원부(230), 중앙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240), 리더부(250), 메모리부(260) 및 표시부(2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240)는 전문 생성부(243), 인터페이스부(244), 리더 튜닝 설정부(245) 및 암호화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10)는 카드 리더 장치(200)의 본체에 부착되어 단말기(100)의 마이크 연결 단자(132) 또는 이어폰 연결 단자(133)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135)를 통해 카드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단말기(100)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230)는 카드 리더 장치(200) 전체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부(230)는 배터리와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칭부(232)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모스 트랜지스터 또는 기타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커넥터(21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카드 리더 장치(2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카드 리더 장치(20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커넥터(2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 감지 신호가 스위칭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신호가 활성화되는 경우 스위칭부가 턴 온 상태가 되어 배터리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이 카드 리더 장치(200)의 각 구성부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신호가 활성화된다는 것은 감지 신호가 특정한 전압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카드 리더 장치(200)와 단말기(10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커넥터(210)에서 단말기(100) 감지 신호가 스위칭부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부가 턴 오프 상태가 되어 배터리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210)의 연결이 감지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카드 리더 장치(200)는 리더부(250)를 통해 카드 정보를 리딩하거나 리더 튜닝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리더부(250)는 마그네틱 카드의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자기 스트립 리더(MSR, 251)과 IC 카드의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IC 카드 리더(2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리딩되는 카드 정보는 암호화부(246)에서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 방식은 예를 들어, RSA와 같은 공개 키 방식 또는 DES와 같은 대칭 키 방식일 수 있다. 암호화 키가 예를 들어, RSA 공개 키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RSA 개인 키로만 복호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44)는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커넥터(2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정상 통신을 위해, 인터페이스부(244) 또한 미리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따라 송수신 설정을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하여, 인터페이스부(244)의 통신 파라미터 설정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240)는 커넥터(210)의 연결이 감지된 이후부터 일정 시간 동안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통신이 개시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하도록 리더 튜닝 설정부(245)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전원부(230)의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고 인터페이스부(115b)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가 미수신된 경우 상기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카드 리더 장치(200)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경우, 카드 리더 장치(200)가 연결되면,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즉시 카드 리더 장치(200)로 송신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200)는 이를 역이용하여 커넥터(210)는 연결되어 전원은 인가되었으나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리더 튜닝 모드에서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가변함으로써 정상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리더 튜닝 설정부(245) 또한 단말 튜닝 설정부(115c)와 유사하게,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까지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상기 리더 튜닝 모드에서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가변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내에 응답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현재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카드 리더 장치의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상기 리더 튜닝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응답요청 신호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를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응답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대기 시간 또한 가변할 수 있다.
특히, 통신 파라미터 중 전송 속도 구분 값이 증가하는 경우, 응답요청 신호를 수신 대기하는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큰 제2 시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신 파라미터 중 전송 속도 구분 값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응답요청 신호를 수신 대기하는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제3 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더 튜닝 설정부(245)의 리더 튜닝 모드 진입 및 통신 파라미터 가변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 튜닝 설정부(115c)의 통신 파라미터 가변과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수행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 튜닝 설정부(115c)도 이와 같은 동기화를 위해 미리 결정된 제1 시간동안 통신 파라미터에 따른 응답요청을 전송하고, 제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한 뒤, 그 통신 파라미터의 전송 속도 구분 값에 대응되는 제2 시간동안 다음 통신 파라미터에 따른 응답요청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 및 카드 리더 장치(200) 각각의 튜닝 모드 진입 이후의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가변 순서 및 대기 시간은, 리더 튜닝 설정부(245)와 단말 튜닝 설정부(115c)의 동작에 따라 동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오류로 인한 데이터 통신이 불가한 경우에도 정상 통신 설정을 각각 자동적으로 튜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44)는 단말기(100)에서 입력된 결제 금액 정보를 커넥터(2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문 생성부(243)는 리더부(250)를 통해 획득된 카드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금액 정보 및 비밀번호 검출부(242)를 통해 검출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생성한다. 다만, 전문 생성부(243)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드 결제 처리부(115a)가 전문 생성부의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은 EMV(Europay Mastercard Visa) 규격에 맞추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260)는 플래시 롬(Flash ROM)(262), SRAM(262) 등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60)는 통신 파라미터, 암호화 키, 리딩된 신용 카드(10)의 카드 정보, 수신된 결제 정보, 또는 해당 카드 리더 장치(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70)는 붉은 색 LED 또는 푸른 색 LED 등을 이용해 발광하여 카드 리더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거나, "삐" 소리와 같은 특정 신호음을 발생하여 결제를 해도 좋다는 신호를 인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270)는 카드 리더 장치(200)가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시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점등함으로써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하였거나 튜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240)는 나머지 구성요소들, 즉, 커넥터(210), 전원부(230), 자기 스트립 리더(MSR)(250), 메모리부(260) 및 표시부(2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프로그램(110)을 실행한다(S101).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어폰 연결 단자(133) 및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135)에 위치한 삽입 홈(134)에 카드 리더 장치(200)의 커넥터(210)를 연결한다(S105).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모델정보를 확인하고(S105), 단말기 모델정보 및 그 OS 버전정보에 대응되는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리 서버(400)로부터 확인한다(S109).
확인결과,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209), 휴대용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튜닝 설정정보 및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한다(S113).
한편, 튜닝 설정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 튜닝 모드로 진입한다(S111).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단말기 모델 정보 및 OS 버전정보를 식별하여 그에 대응되는 튜닝 설정정보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단말 튜닝 모드로의 진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관리 서버(400)로 단말기 모델 정보 및 OS 버전정보에 대응되는 튜닝 정보를 요청함으로서 튜닝 설정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설정정보 관리부(115d)에 미리 저장된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미리 저장되거나 다운로드 가능한 튜닝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 튜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카드 리더 장치(200)는 커넥터(210)가 연결 포트에 삽입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고(S115),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 판단한다(S117). 그리고,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카드 리더 장치(200)는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한다(S119).
이에 따라, 카드 리더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시간 동기화된 튜닝 프로세스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가변 제어한다(S121).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 튜닝 설정부(115c) 및 카드 리더 장치(200)의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각각 미리 설정된 동기화 시점별 시간간격별로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튜닝 파라미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정상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휴대용 단말기(100) 및 카드 리더 장치(200)의 처리절차를 포괄하여 튜닝 프로세스라 호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하면, 커넥터(210)를 통해 연결된 카드 리더 장치(200)의 리더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가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한 시점부터 제1 시간 동안 제1 튜닝 파라미터 조합에 따른 응답요청 신호를 카드 리더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카드 리더 장치(200)의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제1 시간 동안 제1 튜닝 파라미터 조합에 따라 응답요청 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응답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제1 튜닝 파라미터 조합에 따른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회신함으로써 튜닝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튜닝 프로세스 종료에 따라 각 카드 리더 장치(200) 및 휴대용 단말기(100)는 정상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통신 파라미터가 세팅될 수 있다.
튜닝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튜닝 설정정보를 생성하고(S123), 관리 서버(400)로 업로드한다(S125).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카드 리더를 인식할 수 있다(S131).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15)는 마이크 연결 단자(132)를 통해 통신하여 카드 리더(200)의 자기 스트립 리더(251) 또는 IC 카드 리더(252)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리더 장치(200)는 카드 리딩 및 암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카드(10)를 카드 리더(200)에 삽입 또는 가까이 가져가면, 카드 리더(200)의 리더부(250)는 카드(10)의 카드 정보를 리딩하게 되고(S133), 암호화부(246)는 미리 결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리딩된 카드 정보를 암호화하게 된다.
이후, 카드 리더 장치(200)는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카드 리더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44)는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맨체스터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고, 앞서 튜닝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로 세팅하여 커넥터(2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커넥터(2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튜닝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인터페이스부(115b)를 통해 변환함으로써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온전히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결제 금액을 입력한다(S137). 본 결제 금액 입력 단계는 카드 리딩 이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된 결제 금액 및 암호화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생성하고(S139), 중계 서버(300)로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전송한다(S141).
카드 결제 처리부(115a)는 통신모듈(103)을 통해 중계 서버(300)로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은 카드 리더 장치(200)의 전문 생성부(243)에서 미리 생성되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300)는 카드사 서버(500)로 승인 요청을 전송하고, 승인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응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튜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먼저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하고, 상태를 표시한다(S201).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미리 설정된 튜닝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튜닝 설정정보가 관리 서버(400)에서 확인되지 않거나, 다운로드된 튜닝 설정정보의 통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및 사용자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표시부(111)를 통해 튜닝 모드로의 진입 및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가 커넥터(210)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그 시점에 기초하여 튜닝 프로세스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S203).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에 전원 인가 시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인터페이스부(115b)를 제어함으로써, 카드 리더 장치(200)가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전원 인가 시점에 대응되는 시간 동기화에 따라 카드 리더 장치(200)가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한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S205),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로 인터페이스부(115b)를 세팅하여 카드 리더 장치(200)로 응답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07).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리더 장치(200)와 동기화된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209),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현재 통신 파라미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인자를 가변하여 다음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한다(S211).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다시 카드 리더 장치(200)로 응답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S207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로 응답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 및 시간을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 중 전송 속도 구분 값이 가변되는 경우, 그 가변범위에 따라 응답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 및 시간도 가변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의 리더 튜닝 설정부(245)에서 제어하는 튜닝 파라미터 가변과 동기화되어 동일한 시점에서 동일한 튜닝 파라미터로서 가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카드 리더 장치(200)와 직접 통신하지 않더라도, 커넥터(210)의 연결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리더 튜닝 설정부(245)와 동일한 통신 파라미터 조합이 가변되도록 인터페이스부(115b)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적인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튜닝 모드를 종료하고, 튜닝 설정정보를 생성하며(S213), 생성된 튜닝 설정정보를 인터페이스부(115b)에 적용하고, 관리 서버(400)에 업로드한다(S215).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튜닝 결과를 출력한다(S217).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튜닝 모드가 종료되는 시점의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단말 모델 정보 및 OS 정보에 따른 튜닝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설정정보 관리부(115d)는 생성된 튜닝 설정정보를 통신 모듈(103)을 통해 관리 서버(400)로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는 튜닝 결과를 표시부(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의 튜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200)는 먼저 커넥터(210) 연결에 따라 동작 전원이 인가된다(S301).
전원부(230)는 커넥터(210)가 연결됨에 따른 스위치 동작에 의해 자체 배터리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리더 장치(200)는 데이터 수신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S303), 리더 튜닝 모드에 진입한다(305).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 리더 장치(200)의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전원이 인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리더 튜닝 모드에 진입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와 동기화된 튜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 장치(200)는 미리 결정딘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307).
그리고, 카드 리더 장치(200)는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를 세팅하여 단말기(100)로부터의 응답요청 수신을 대기한다(S309).
.이후, 카드 리더 장치(200)는 전원 인가 시점과 리더 튜닝 모드 진입 시점에 동기화된 일정 시간 이내 단말기로부터 응답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311), 응답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고(S315), 리더 튜닝 모드를 종료한다(S317).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전원 인가 시점에 대응되는 시간 동기화에 따라 카드 리더 장치(200)가 단말 튜닝 설정부(115c)에서 응답요청 신호를 전송할 시간 및 그 통신 파라미터 조합을 예측할 수 있다.
이후,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로 인터페이스부(244)를 세팅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카드 리더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동기화된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현재 통신 파라미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인자를 가변하여 인터페이스부(244)의 다음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한다(S211). 그리고, 카드 리더 장치(200)는 다시 다른 일정 시간 이내 응답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311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 및 시간을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 중 전송 속도 구분 값이 가변되는 경우, 그 가변범위에 따라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 및 시간도 가변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리더 튜닝 설정부(245)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 튜닝 설정부(115c)에서 제어하는 튜닝 파라미터 가변과 동기화되어 동일한 시점에서 동일한 튜닝 파라미터로서 가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리더 튜닝 설정부(245)도 휴대용 단말기(100)와 직접 통신하지 않더라도, 커넥터(210)의 연결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리더 튜닝 설정부(245)와 동일한 통신 파라미터 조합이 가변되도록 인터페이스부(115b)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닝 설정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닝 설정정보는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40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튜닝 설정정보는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단말기 모델 정보 및 OS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파라미터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모델이 XXX로 동일한 경우에도 OS 버전이 안드로이드 4.0, 4.1, 4.2로 변화함에 따라 각각의 튜닝 설정정보가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튜닝 설정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 및 카드 리더 장치(200) 각각에 대한 송신시 통신 파라미터 정보 및 수신시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 설정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송신시 속도 구분 값, 데이터간 딜레이 및 반전여부 정보, 수신시 속도 구분 값, 데이터간 딜레이, 반전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카드 리더 장치(200)에 대한 송신시 속도 구분 값, 데이터간 딜레이 및 반전여부 정보 및 수신시 속도 구분 값, 데이터간 딜레이 및 반전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튜닝 설정부(115c) 및 리더 튜닝 설정부(245)는 각각 동기화된 동일한 순서 및 시간에 따라 로 각각의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하면서 정상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경우, 상기와 같은 속도 구분 값, 데이터간 딜레이 및 반전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파라미터의 변화만으로도 용이하게 정상 통신으로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단말별 자동 튜닝된 정보를 서버를 통해 관리 및 다운로드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출시된 휴대용 단말기 또는 펌웨어나 OS가 업데이트된 단말기에 대하여도 실시간 및 자동으로 그 호환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200: 카드 리더 장치
300: 중계 서버
400: 관리 서버
500: 카드사 서버

Claims (16)

  1.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정상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 및 OS 버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튜닝 설정정보에 대한 요청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튜닝 설정정보는 동일 종류의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카드 리더 장치와의 커넥터를 이용한 정상 인터페이스 통신 확인에 따라 업로드된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된 통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다른 휴대용 단말기가 카드 리더 장치와의 커넥터 연결에 대한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시간 동기화에 따라 가변 설정하되, 상기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요청 신호에 대한 정상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튜닝 설정정보의 업로드 요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업로드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가 생성한 튜닝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카드 리더 장치와의 정상 통신을 위해 미리 결정된 전송 속도 구분 값, 반전 여부 정보 및 전송 데이터간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카드 리더 장치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라 가변하는 단말기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 튜닝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카드 리더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의 인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인자를 가변하여 다음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다음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드 리더 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가변 적용에 따라, 상기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의 통신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말기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라 상기 카드 리더 장치의 인터페이스부에 설정되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하는 리더 튜닝 설정부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더 튜닝 설정부는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가변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동기화된 제1 시간 이내에 응답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현재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카드 리더 장치의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튜닝 설정부는
    상기 응답요청 신호가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기록 매체.
  11. 관리 서버에 있어서,
    카드 리더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간 정상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튜닝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 및 OS 버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튜닝 설정정보에 대한 요청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튜닝 설정정보는 동일 종류의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카드 리더 장치와의 커넥터를 이용한 정상 인터페이스 통신 확인에 따라 업로드된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된 통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다른 휴대용 단말기가 카드 리더 장치와의 커넥터 연결에 대한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시간 동기화에 따라 가변 설정하되, 상기 송수신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요청 신호에 대한 정상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인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튜닝 설정정보의 업로드 요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업로드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가 생성한 튜닝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서버인
    관리 서버.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가변 적용에 따라, 상기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정상 통신이 확인되는 시점의 통신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튜닝 설정정보를 업로드하면, 상기 업로드된 튜닝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서버인
    관리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라 상기 카드 리더 장치의 인터페이스부에 설정되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가변하는 리더 튜닝 설정부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더 튜닝 설정부는 리더 튜닝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가변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동기화된 제1 시간 이내에 응답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현재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카드 리더 장치의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관리 서버.
KR1020150170041A 2015-12-01 2015-12-01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41A KR101701456B1 (ko) 2015-12-01 2015-12-01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41A KR101701456B1 (ko) 2015-12-01 2015-12-01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87A Division KR101594558B1 (ko) 2015-03-17 2015-03-17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38A KR20160111838A (ko) 2016-09-27
KR101701456B1 true KR101701456B1 (ko) 2017-02-22

Family

ID=5710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041A KR101701456B1 (ko) 2015-12-01 2015-12-01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01A1 (en) * 2001-08-31 2003-03-06 Sanguthevar Rajasekaran Enhancements to multi-party authentication and other protocols
JP4092692B2 (ja) * 2003-06-06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178246B1 (ko) * 2011-12-27 2012-09-13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 이어폰 잭을 이용한 스마트폰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02B1 (ko) * 2012-05-14 2014-03-2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01A1 (en) * 2001-08-31 2003-03-06 Sanguthevar Rajasekaran Enhancements to multi-party authentication and other protocols
JP4092692B2 (ja) * 2003-06-06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178246B1 (ko) * 2011-12-27 2012-09-13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 이어폰 잭을 이용한 스마트폰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38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less payment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s attachment
KR101492054B1 (ko) 카드 리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677803B1 (ko) 카드 리더, 단말기, 중계 서버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701456B1 (ko)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4558B1 (ko)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9635B1 (ko) 단말기, 카드 리더 및 그를 이용한 ic카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373002B1 (ko) 카드 리더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2018000165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65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040065045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80001656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99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51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78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3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322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3277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323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3276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4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49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85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