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446B1 -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446B1
KR101701446B1 KR1020160038022A KR20160038022A KR101701446B1 KR 101701446 B1 KR101701446 B1 KR 101701446B1 KR 1020160038022 A KR1020160038022 A KR 1020160038022A KR 20160038022 A KR20160038022 A KR 20160038022A KR 101701446 B1 KR101701446 B1 KR 10170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unit
pump
smoke
environmentally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일일구국민재난안전교육진흥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일구국민재난안전교육진흥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일구국민재난안전교육진흥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446B1/ko
Priority to PCT/KR2017/003403 priority patent/WO20171713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연기생성장치에 사용되는 스모그액의 경우에 장시간 보관이 어려워, 계면 활성제와 방부제가 첨부하여 일부 유통되기 때문에,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로서 연기발생시, 사용자가 흡입할 경우에,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과, 노즐을 통한 분무량이 평균 40초 이상을 넘지 못하고, 잦은 고장과, 다양한 연기발생을 통한 실감있는 소방안전교육 체험이 어려워, 체험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몸체(100), 전원부(200), 압력차형 앰플부(300),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 스피커부(500),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 스마트제어부(700)로 구성됨으로서, 생성된 연기가 인체에 친환경적인 조성물로 이루어져 안전하고,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을 통해 다양한 안전체험연출용 키입력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어, 특정장소별로 설치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안전체험연출을 구현시킬 수 있고, 압력차형 앰플부에 형성된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친환경용포그액을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킬 수 있어, 압축질소가스가 친환경용포그액을 압력차에 의해 밀어줌으로서, 관로상에 쌓인 친환경용포그액을 제거할 수가 있어, 관로막힘현상을 기존에 비해 60%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슬림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고, 스마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믹싱용 포그(Fog)액의 종류, 농도, 분사속도, 분사시간을 제어하여,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디퓨전 포그연출모드, 미들포그연출모드,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 제탈포그연출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연기발생을 통해 실감있는 소방안전교육 체험과, 이로인해 체험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THE SMOKE GENERATING SYSTEM OF THE SITUATION DIRECTING EQUIPMENT FOR FIRE EVACUATION TRAINING EXPERIENCE}
본 발명에서는 마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믹싱용 포그(Fog)액의 종류, 농도, 분사속도, 분사시간을 제어하여,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디퓨전 포그연출모드, 미들포그연출모드,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 제탈포그연출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구현시킬 수 있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로서,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 연소시켜 연기를 생성시키는 연기생성장치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기생성장치에 사용되는 스모그액의 경우에 장시간 보관할 경우 액상의 산화로 인해 침전물이 생기고 산화 방지를 위해, 계면 활성제와 방부제가 첨부하여 일부 유통 되기 때문에,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로서 연기발생시, 사용자가 흡입할 경우에,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종 제품의 사양과 가격에서) 노즐을 통한 분무량이 평균 40초 이상을 넘지 못하고, 분사시 스모그액의 찌꺼기가 융착(融着 : 타거나 관로에 달라 붙음)되어 제어펌프의 관로나 혼합기의 관로를 막아서, 잦은 고장으로 인해, 여분의 연기생성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정공간에 연기생성을 통해 소방안전교육 체험시, 일정한 분무속도와 일정한 연기농도로 인해, 다양한 연기발생을 통한 실감있는 소방안전교육 체험이 어려워, 체험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15099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생성된 연기가 인체에 친환경적인 조성물로 이루어져 안전하고,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을 통해 다양한 안전체험연출용 키입력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고, 부피가 작고 슬림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며, 관로상에 쌓인 친환경용포그액을 제거할 수가 있고, 다양한 연기발생을 통해 실감있는 소방안전교육 체험을 통해 체험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몸체(100)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기기에 전달시키는 전원부(200)와,
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저장된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키는 압력차형 앰플부(300)와,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다이렉트로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키거나 또는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시킨 후,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키는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와,
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긴급상황메세지 및 화재발생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부(500)와,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키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와,
전원부, 압력차형 앰플부,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 스피커부,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압축질소용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또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용 포그(Fog)액을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분무량과 분무속도를 1:1 맞춤형으로 조절시킨 후,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제어시키는 스마트제어부(7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생성된 연기가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물,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의 혼합물인 인체에 친환경적인 조성물로 이루어져 소방화재체험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을 통해 다양한 안전체험연출용 키입력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어, 특정장소별로 설치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안전체험연출을 구현시킬 수 있다.
셋째, 압력차형 앰플부에 형성된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친환경용포그액을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킬 수 있어, 압축질소가스가 친환경용포그액을 압력차에 의해 밀어줌으로서, 관로상에 쌓인 친환경용포그액을 제거할 수가 있어, 관로막힘현상을 기존에 비해 60%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부피가 작고 슬림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다.
다섯째, 스마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믹싱용 포그(Fog)액의 종류, 농도, 분사속도, 분사시간을 제어하여,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디퓨전 포그연출모드, 미들포그연출모드,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 제탈포그연출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연기발생을 통해 실감있는 소방안전교육 체험과, 이로인해 체험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름 몸체에 앰플고정가이드부와 앰플어답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의 제어하에 구동되는 디퓨전 포그연출모드(Diffusion Fog Dramatic Mode)(710), 미들포그연출모드(Middle Fog Dramatic Mode),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Dry Ice Fog Dramatic Mode)(730), 제탈포그연출모드(Zetal Fog Dramatic Mode)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차형 앰플부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과 구동되는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를 통해 전광후협의 구조로 연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100), 전원부(200), 압력차형 앰플부(300),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 스피커부(500),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 스마트제어부(7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몸체(10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면 일측에 전원연결컨넥터가 형성되고, 상단면 일측에 기기상태 표출용 LED부(130)가 형성되며, 전단면 중앙 일측에 토출노즐부가 형성되고, 상단면의 기기상태 표출용 LED부(130) 일측에 압력차형 앰플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단케이스와 하단케이스로 나눠져 형성되고, 상단케이스 내부면 일측에 스피커부가 형성되고, 하단케이스 설치공간에 전원부,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가 형성되며,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 일측에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 스마트제어부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면 일측에 형성된 압력차형 앰플부와 동일선상에 앰플고정가이드부(110), 앰플어답터(1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앰플고정가이드부(110)는 탈부착식으로 장착되는 압력차형 앰플부와 동일선상으로 함몰형성되어, 압력차형 앰플부가 외압으로부터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앰플어답터(120)는 앰플고정가이드부 하단 바닥면 일측에 음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으로부터 나오는 친환경용 포그(Fog)액이 새지 않도록 끼움맞춤식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200)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기기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SMPS부, DC-DC컨버터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는 220V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SMPS부, DC-DC컨버터부를 거쳐 5V 전원 또는 12V전원을 각 기기에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차형 앰플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압력차형 앰플부(300)는 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저장된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1차로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가 혼합되어 믹싱된 친환경용포그(Fog)액을 충진시키고, 2차로 친환경용 질소가스를 충진시킨 후, 상단공간에 형성되는 친환경용 질소가스와 하단공간에 형성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배출용 컨넥터핀을 통해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로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형 앰플부는 하단면 일측에 앰플어답터와 짝을 이루며 결합되는 배출용 컨넥터핀(31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라는 것은 압력차형 앰플부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충진된 친환경용포그액과,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시간이 지나면, 가벼운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되고, 무거운 친환경용포그액이 하단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압력차형 앰플부의 배출용 컨넥터핀이 개방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에 압력차가 발생되고,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한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확산되며, 친환경용포그액이 압력차형 앰플부의 배출용 컨넥터핀쪽으로 배출되면서,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친환경용포그(Fog)액은 VG(식물성 글리세린) 15~50wt%와, PG(프로필렌글리콜) 15~50wt%와, 순수(Deionized water: DI) 35~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기본조성물 중에서 취한 98~99.99wt%와,
로즈마리(Rosmary), 라벤더(Lavender), 쟈스민(Jasmine), 아카시아(Acasia), 후리지아(Freesia), 백합(Lily), 바닐라(Vanilla), 사이프러스(Cypress), 시더우드(Cedarwood), 파인(Pine), 자몽(Grapefruit), 시나몬(cinnamon), 너트맥(Nutmeg), 크린베리(Cranberry), 암브레트 시드(Ambrette seed), 스타 아니스(Star anise), 벤조인(Benzoin)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오일향 0.01~2wt%을 혼합하여 조성된다.(이하, '제1조성물' 이라 한다.)
상기 VG(식물성 글리세린)는 포그의 확산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5wt% 미만인 경우에는 포그 확산 기능이 떨어지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성 증가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VG(식물성 글리세린)의 사용량은 기본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5~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G(프로필렌글리콜)은 VG(식물성 글리세린)과 순수의 혼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5wt% 미만인 경우에는 균일 혼합을 이루기 어렵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균일 혼합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PG(프로필렌글리콜)의 사용량은 기본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5~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수의 함량이 35wt% 미만인 경우에는 포그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 들어 포그 확산, 배합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순수의 사용량은 기본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35~8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순수(Deionized water: DI) 의 혼합으로 조성된 기본조성물에 오일향을 일정량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조성물에 따른 친환경용포그(Fog)액이 조성된다.
상기 오일향은 기본조성물에 대해, 0.01~2wt%의 범위 내로 사용되며, 그 사용량이 0.01wt% 미만인 경우에는 방향 기능이 떨어지고, 2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방향 기능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오일향의 사용량은 제1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1~2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조성물에 따른 친환경용포그(Fog)액의 구체적인 조성 예로는,
VG(식물성 글리세린) 25wt%와, PG(프로필렌글리콜) 25wt%와, 순수(Deionized water: DI)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기본조성물 중에서 취한 99.95wt%와
로즈마리(Rosmary), 라벤더(Lavender), 쟈스민(Jasmine), 아카시아(Acasia), 후리지아(Freesia), 백합(Lily), 바닐라(Vanilla), 사이프러스(Cypress), 시더우드(Cedarwood), 파인(Pine), 자몽(Grapefruit), 시나몬(cinnamon), 너트맥(Nutmeg), 크린베리(Cranberry), 암브레트 시드(Ambrette seed), 스타 아니스(Star anise), 벤조인(Benzoin)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오일향 0.0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친환경용 질소가스는 첨가제나 보조제가 추가되지 않은 자연에 주로 기체로 존재하는 비금속 원소로, 지구 대기 부피의 약 78%를 차지하고 원자 번호는 7이고, 원자량은 14.0067이며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를 말한다.
물에는 약간 녹지만 다른 원소와 반응하지 않는 불연성 가스이며, 분자 (N₂)는 안정하나 원자 (N)는 화학적으로 활발하고, 방부제의 역할을 하며, 끓는점은 195.8°C이고 어는점은 -209.9˚C로, 순수한 질소는 액체 공기를 증류해서 얻어지는데 비점 차이를 이용해서 산소와 같이 얻어진다.
그리고, 질소의 끓는점이 산소보다 낮기 때문에 질소가 산소보다 먼저 증발하여 얻어진다. 이렇게 증발하여 얻어진 질소 가스는 압력차형 앰플부에 충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는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다이렉트로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키거나 또는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시킨 후,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펌프(410), 제2 제어펌프(420), 제3 제어펌프(430), 제4 제어펌프(440), 혼합기(450), 솔레노이드밸브부(460), 히터부(470), 노즐팬(480), 토출노즐부(49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어펌프(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제어펌프(410)는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만을 단독으로 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펌프의 내부 용적이 일정하여 이를 일정한 회전수로 공급하므로써 정량을 내보내는 제1 정량펌프(41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정량펌프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만을 단독으로 수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정량펌프는 다이아 프램 펌프, 에어식 다이아프램 펌프, 로타리 펌프, 모노 펌프, 기어펌프, 호스 펌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어펌프(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제어펌프(420)는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을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를 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정량펌프(421), VG(식물성 글리세린)저장부(422), 제1 친환경용 질소가스 저장부(42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정량펌프(421)는 펌프의 내부 용적이 일정하여 이를 일정한 회전수로 공급함으로써 정량을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이아 프램 펌프, 에어식 다이아프램 펌프, 로타리 펌프, 모노 펌프, 기어펌프, 호스 펌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정량펌프(421)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을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를 수송시킨다.
상기 VG(식물성 글리세린)저장부(422)는 VG(식물성 글리세린)을 저장 후, 저장된 VG(식물성 글리세린)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정량펌프로 공급시킨다.
상기 제1 친환경용 질소가스 저장부(423)는 VG(식물성 글리세린)저장부에 친환경용 질소가스를 충진시켜, VG(식물성 글리세린)과 친환경용 질소가스의 압력차에 의해 제2 정량펌프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VG(식물성 글리세린)과 친환경용 질소가스의 압력차라는 것은 VG(식물성 글리세린)저장부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충진된 VG(식물성 글리세린)과,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시간이 지나면, 가벼운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되고, 무거운 VG(식물성 글리세린)이 하단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VG(식물성 글리세린)저장부가 개방이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에 압력차가 발생되고,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한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확산되며, VG(식물성 글리세린)이 VG(식물성 글리세린)저장부의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면서, 제2 정량펌프로 공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3 제어펌프(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제어펌프(430)는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PG(프로필렌글리콜)를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를 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정량펌프(431), PG(프로필렌글리콜)저장부(432), 제2 친환경용 질소가스 저장부(43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정량펌프(431)는 펌프의 내부 용적이 일정하여 이를 일정한 회전수로 공급함으로써 정량을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이아 프램 펌프, 에어식 다이아프램 펌프, 로타리 펌프, 모노 펌프, 기어펌프, 호스 펌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정량펌프(431)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PG(프로필렌글리콜)를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를 수송시킨다.
상기 PG(프로필렌글리콜)저장부(432)는 PG(프로필렌글리콜)을 저장 후, 저장된 PG(프로필렌글리콜)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3 정량펌프로 공급시킨다.
상기 제2 친환경용 질소가스 저장부(433)는 PG(프로필렌글리콜)저장부에 친환경용 질소가스를 충진시켜, PG(프로필렌글리콜)과 친환경용 질소가스의 압력차에 의해 제3 정량펌프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PG(프로필렌글리콜)과 친환경용 질소가스의 압력차라는 것은 PG(프로필렌글리콜)저장부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충진된 PG(프로필렌글리콜)과,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시간이 지나면, 가벼운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되고, 무거운 PG(프로필렌글리콜)이 하단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PG(프로필렌글리콜)저장부가 개방이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에 압력차가 발생되고,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한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확산되며, PG(프로필렌글리콜)이 PG(프로필렌글리콜)저장부의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면서, 제3 정량펌프로 공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4 제어펌프(4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 제어펌프(440)는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DI(순수)를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를 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4 정량펌프(441), DI(순수)저장부(442), 제3 친환경용 질소가스 저장부(4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4 정량펌프(441)는 펌프의 내부 용적이 일정하여 이를 일정한 회전수로 공급함으로써 정량을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이아 프램 펌프, 에어식 다이아프램 펌프, 로타리 펌프, 모노 펌프, 기어펌프, 호스 펌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4 정량펌프(441)는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DI(순수)를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를 수송시킨다.
상기 DI(순수)저장부(442)는 DI(순수)을 저장 후, 저장된 DI(순수)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4 정량펌프로 공급시킨다.
상기 제3 친환경용 질소가스 저장부(443)는 DI(순수)저장부에 친환경용 질소가스를 충진시켜, DI(순수)와 친환경용 질소가스의 압력차에 의해 제4 정량펌프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DI(순수)와 친환경용 질소가스의 압력차라는 것은 DI(순수)저장부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충진된 DI(순수)와,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시간이 지나면, 가벼운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되고, 무거운 DI(순수)이 하단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DI(순수)저장부가 개방이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에 압력차가 발생되고, 내부공간의 상단쪽에 위치한 친환경용 질소가스가 확산되며, DI(순수)가 DI(순수)저장부의 배출구쪽으로 배출되면서, 제4 정량펌프로 공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혼합기(4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혼합기(450)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제2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물, 제3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제4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믹싱시킨 후, 믹싱시킨 믹싱용 포그(Fog)액을 솔레노이드밸브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나의 용기 내부에서 종류가 다른 2개 이상의 액체가 별도의 전원 필요없이 공급압에 의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서로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액체 혼합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은 상기 제1조성물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으로 조성된다.(이하, '제2조성물'이라 한다.)
상세하게는, 제1조성물 50~90wt%와, VG(식물성 글리세린) 10~50wt%의 혼합으로 제2조성물이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조성물에 따른 친환경용포그(Fog)액은 제1조성물 80wt%와, VG(식물성 글리세린) 20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제3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은 상기 제1조성물과 PG(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으로 조성된다.(이하, '제3조성물'이라 한다.)
상세하게는, 제1조성물 50~90wt%와, PG(프로필렌글리콜) 10~50wt%의 혼합으로 제3조성물이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3조성물에 따른 친환경용포그(Fog)액은 제1조성물 75wt%와, VG(식물성 글리세린) 2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제4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은 상기 제1조성물과 순수(Deionized water: DI)의 혼합으로 조성된다.(이하, '제4조성물'이라 한다.)
상세하게는, 제1조성물 50~90wt%와, 순수(Deionized water: DI) 10~50wt%의 혼합으로 제4조성물이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4조성물에 따른 친환경용포그(Fog)액은 제1조성물 85wt%와, 순수(Deionized water: DI) 1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부(4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460)는 혼합기의 출력단과 히터부의 입력단 사이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온오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밸브(461), 제2솔레노이드밸브(462), 제3솔레노이드밸브(463), 제4솔레노이드밸브(46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61)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462)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463)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솔레노이드밸브(464)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4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히터부(470)는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공급받아 가열동관내에서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킨 후, 노즐팬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브라켓(471), 가열동관(472), 온도센서(473)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471)은 내부에 히터와 단열재로 충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열동관(472)은 유입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킨다.
상기 온도센서(473)는 가열동관의 온도 변화를 센싱한 후, 센싱한 온도데이터를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킨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노즐팬(4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노즐팬(480)은 히터부의 출력단 파이프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히터부에서 전달된 연기(Fog)를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200rpm~1000rpm 속도로 고속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토출노즐부(4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토출노즐부(490)는 노즐팬 전단에 위치되어, 노즐팬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연기(Fog)를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의 원리를 통해 노즐 내부공간 일측이 좁아졌다가 넓어져서 노즐팬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연기(Fog)를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시킨다.
또한, 토출노즐부는 내벽에 연기의 흐름을 유도시켜 배출속도를 점차로 증가시키는 연기유도날개(49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기유도날개가 토출노즐부 내부공간의 내벽에 형성됨으로서, 기존에 비해 연기배출속도를 2~3배정도 증가시킬 수가 있어, 전광후협의 구조로 연기를 배출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전광후협이라는 것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방향으로는 넓게 펴지고, 토출노즐부 입구쪽은 좁게 펴져서, 장방향의 삼각형상으로 배출되는 형상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피커부(500)는 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긴급상황메세지 및 화재발생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는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키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700)는 전원부, 압력차형 앰플부,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 스피커부,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압축질소용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또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용 포그(Fog)액을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분무량과 분무속도를 1:1 맞춤형으로 조절시킨 후,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C원칩마이컴으로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가 연결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키입력신호를 입력받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온도센서가 연결되어, 가열동관의 온도 변화를 센싱한 후, 센싱한 온도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제어펌프가 연결되어, 제1 제어펌프를 웨이크업시켜,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만을 단독으로 수송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제어펌프가 연결되어, 제2 제어펌프를 웨이크업시켜,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을 수송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 제어펌프가 연결되어, 제3 제어펌프를 웨이크업시켜,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PG(프로필렌글리콜)를 수송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4 제어펌프가 연결되어, 제4 제어펌프를 웨이크업시켜,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DI(순수))를 수송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어,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어,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어,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4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어, 혼합기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믹싱용 포그(Fog)액을 온오프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7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퓨전 포그연출모드(Diffusion Fog Dramatic Mode)(710), 미들포그연출모드(Middle Fog Dramatic Mode),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Dry Ice Fog Dramatic Mode)(730), 제탈포그연출모드(Zetal Fog Dramatic Mode)(740)로 구성된다.
상기 디퓨전 포그연출모드(Diffusion Fog Dramatic Mode)(710)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이 혼합되어 믹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70obs/m~100obs/m의 진한 농도로 생성시켜, 500rpm~700rpm의 분사속도로 3분~10분동안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제어펌프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쪽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킨다.
일예로, 연기가 미세한 입자로 된 농도 진한 뿌연 연기를 계속해서 뿜으며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는 연기로서, 화재 대피 체험 교육생이 많으며, 강사가 2인 이상이며, 집중적인 체험 교육을 제공 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효과로서, 실내 암전 상황에서의 경관등 조명과 싸이렌, 대피 안내 음성 등과 함께 복합 연출될 때는, 극박한 화재 현장을 교육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포그연출모드(Middle Fog Dramatic Mode)(720)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되어 믹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40obs/m~70obs/m의 중간 농도로 생성시켜, 300rpm~600rpm의 분사속도로 1분~3분동안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제어펌프와 제3 솔레노이드밸브쪽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킨다.
일예로, 엷은 농도 적은 희미한 연기를 분사하여, 적은 인원의 강사와 나이가 어린 유치원 유아들의 가벼운 체험 교육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1~3분의 강사님이 연기 체험시에도 넓은 시야각이 보장되고, 유아들의 안정성을 우선시하고자 할 때 자주 사용한다.
상기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Dry Ice Fog Dramatic Mode)(730)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으로 이루어진 믹식용 포그(Fog)액을 30obs/m~50obs/m의 옅은 농도로 생성시켜, 100rpm~300rpm의 분사속도로 2분~5분동안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제어펌프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쪽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킨다.
일예로, 교실 바닥에 구름처럼 낮게 깔리기 때문에, 다양한 색깔, 냄새 첨가 할 경우에는, 주택 및 식당 등에 많은 폭발성이 높은 LPG 가스 유출상황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탈포그연출모드(Zetal Fog Dramatic Mode)(740)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가 혼합되어 믹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10obs/m~30obs/m의 분사속도로 2분~7분동안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4 제어펌프와 제4 솔레노이드밸브쪽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킨다.
일예로, 많은 양이 한꺼번에 나오고 연기가 사라지는 시간이 짧은 종류인데, 특정한 극적인 순간 연출과 교육 시간적 제약이 있어, 짧은 화재 대피 체험 교육후 바로 다음 수업을 하여야 하는 학교 교실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2)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으로 연결되어,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쪽으로 전원온오프구동신호, 디퓨전 포그연출모드(Diffusion Fog Dramatic Mode) 구동신호, 미들포그연출모드(Middle Fog Dramatic Mode)구동신호,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Dry Ice Fog Dramatic Mode)구동신호, 제탈포그연출모드(Zetal Fog Dramatic Mode)구동신호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전원부를 통해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기기에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압력차형 앰플부를 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탈부착식으로 결합시켜, 내부공간에 저장된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킨다.
다음으로,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를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키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키입력신호를 입력받아, 키입력신호에 따라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또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용 포그(Fog)액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부에서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공급받아 가열동관내에서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킨 후, 노즐팬쪽으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노즐팬이 구동되어, 히터부에서 전달된 연기(Fog)를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200rpm~1000rpm 속도로 고속회전시킨다.
다음으로, 토출노즐부에서 노즐팬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연기(Fog)를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시킨다.
끝으로, 스피커부에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긴급상황메세지 및 화재발생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1 :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100 : 몸체 200 : 전원부
300 : 압력차형 앰플부 400 :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
500 : 스피커부 600 :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
700 : 스마트제어부

Claims (7)

  1.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몸체(100)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기기에 전달시키는 전원부(200)와,
    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저장된 압축질소가스와 친환경용포그(Fog)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친환경용포그(Fog)액을 가스유닛제어펌프로 공급시키는 압력차형 앰플부(300)와,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다이렉트로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키거나 또는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시킨 후,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키는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와,
    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긴급상황메세지 및 화재발생신호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부(500)와,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과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키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600)와,
    전원부, 압력차형 앰플부,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 스피커부, 근거리무선데이터수신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압력차형 앰플부를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또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글리콜), DI(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믹싱용 포그(Fog)액을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분무량과 분무속도를 1:1 맞춤형으로 조절시킨 후,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제어시키는 스마트제어부(700)로 구성되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별연출용 연기생성부(400)는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만을 단독으로 수송시키는 제1 제어펌프(410)와,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VG(식물성 글리세린)을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를 수송시키는 제2 제어펌프(420)와,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PG(프로필렌글리콜)를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를 수송시키는 제3 제어펌프(430)와,
    압력차형 앰플부 하단에 위치되어, 압력차형 앰플부에서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에다가 DI(순수)를 추가로 공급받은 후,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량과 펌프압력을 조절하면서 혼합기로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를 수송시키는 제4 제어펌프(440)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 제2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물, 제3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제4 제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믹싱시킨 후, 믹싱시킨 믹싱용 포그(Fog)액을 솔레노이드밸브로 공급시키는 혼합기(450)와,
    혼합기의 출력단과 히터부의 입력단 사이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온오프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부(460)와,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공급받아 가열동관내에서 가열, 연소시켜 연기(Fog)를 생성시킨 후, 노즐팬쪽으로 전달시키는 히터부(470)와,
    히터부의 출력단 파이프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히터부에서 전달된 연기(Fog)를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교육환경 및 연출상황에 맞게 200rpm~1000rpm 속도로 고속회전시키는 노즐팬(480)과,
    노즐팬 전단에 위치되어, 노즐팬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연기(Fog)를 전광후협의 구조로 배출시키는 토출노즐부(4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용포그(Fog)액은
    VG(식물성 글리세린) 15~50wt%와, PG(프로필렌글리콜) 15~50wt%와, 순수(Deionized water: DI) 35~7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기본조성물 중에서 취한 98~99.99wt%와;,
    로즈마리(Rosmary), 라벤더(Lavender), 쟈스민(Jasmine), 아카시아(Acasia), 후리지아(Freesia), 백합(Lily), 바닐라(Vanilla), 사이프러스(Cypress), 시더우드(Cedarwood), 파인(Pine), 자몽(Grapefruit), 시나몬(cinnamon), 너트맥(Nutmeg), 크린베리(Cranberry), 암브레트 시드(Ambrette seed), 스타 아니스(Star anise), 벤조인(Benzoin)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오일향 0.01~2wt%을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부(490)는
    내부공간 일측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벽에 연기의 흐름을 유도시켜 배출속도를 점차로 증가시키는 연기유도날개(491)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제어부(700)는
    친환경용포그(Fog)액과 VG(식물성 글리세린)이 혼합되어 믹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70obs/m~100obs/m의 진한 농도로 생성시켜, 500rpm~700rpm의 분사속도로 3분~10분동안 분사시키는 디퓨전 포그연출모드(Diffusion Fog Dramatic Mode)(710)와,
    친환경용포그(Fog)액과 PG(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되어 믹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40obs/m~70obs/m의 중간 농도로 생성시켜, 300rpm~600rpm의 분사속도로 1분~3분동안 분사시키는 미들포그연출모드(Middle Fog Dramatic Mode)(720)와,
    친환경용포그(Fog)액 단독으로 이루어진 믹식용 포그(Fog)액을 30obs/m~50obs/m의 옅은 농도로 생성시켜, 100rpm~300rpm의 분사속도로 2분~5분동안 분사시키는 드라이아이스용 포그연출모드(Dry Ice Fog Dramatic Mode)(730)와,
    친환경용포그(Fog)액과 DI(순수)가 혼합되어 믹싱된 믹싱용 포그(Fog)액을 10obs/m~30obs/m의 농도로 2분~7분동안 분사시키는 제탈포그연출모드(Zetal Fog Dramatic Mode)(7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KR1020160038022A 2016-03-30 2016-03-30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KR10170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22A KR101701446B1 (ko) 2016-03-30 2016-03-30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PCT/KR2017/003403 WO2017171393A1 (ko) 2016-03-30 2017-03-29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22A KR101701446B1 (ko) 2016-03-30 2016-03-30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446B1 true KR101701446B1 (ko) 2017-02-03

Family

ID=5815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22A KR101701446B1 (ko) 2016-03-30 2016-03-30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1446B1 (ko)
WO (1) WO20171713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7478A (zh) * 2019-06-04 2019-09-17 岭澳核电有限公司 核电站火灾探测器远程控制测试装置及方法
KR102158637B1 (ko) * 2019-05-01 2020-09-22 (주)영우산업 화학공정사고 안전교육장치
KR102252064B1 (ko) * 2019-12-10 2021-05-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시트형 노즐 및 이를 사용하는 유동 가시화 스모그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5818A (zh) * 2018-02-06 2019-08-13 江西省越信保安服务有限公司 一种消防远程起爆控制系统
CN108986576A (zh) * 2018-05-25 2018-12-11 胡智晶 一种消防演习用烟雾产生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852A (ko) * 2002-06-05 2003-12-11 이원일 질소가스를 이용한 증류수 미분무 소화 시스템
US7113812B2 (en) * 2004-11-23 2006-09-26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Rotatable wireless transceiver device
KR101015099B1 (ko) 2010-06-07 2011-02-16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JP2012198753A (ja) * 2011-03-22 2012-10-18 Nohmi Bosai Ltd 加煙試験器
KR20160011929A (ko) * 2014-07-23 2016-02-02 정호조 재난상황 연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660A (en) * 1985-10-22 1988-08-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ectric smoke gen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852A (ko) * 2002-06-05 2003-12-11 이원일 질소가스를 이용한 증류수 미분무 소화 시스템
US7113812B2 (en) * 2004-11-23 2006-09-26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Rotatable wireless transceiver device
KR101015099B1 (ko) 2010-06-07 2011-02-16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JP2012198753A (ja) * 2011-03-22 2012-10-18 Nohmi Bosai Ltd 加煙試験器
KR20160011929A (ko) * 2014-07-23 2016-02-02 정호조 재난상황 연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37B1 (ko) * 2019-05-01 2020-09-22 (주)영우산업 화학공정사고 안전교육장치
CN110237478A (zh) * 2019-06-04 2019-09-17 岭澳核电有限公司 核电站火灾探测器远程控制测试装置及方法
CN110237478B (zh) * 2019-06-04 2021-03-26 岭澳核电有限公司 核电站火灾探测器远程控制测试装置及方法
KR102252064B1 (ko) * 2019-12-10 2021-05-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시트형 노즐 및 이를 사용하는 유동 가시화 스모그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393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446B1 (ko) 전광후협형 연기분사·리모콘구동을 통한 상황별 연출용 스마트 연기발생장치
CN104823232B (zh) 嗅觉显示器及其所使用的香源盒
JP5853340B2 (ja) ファン組立体
JP5785628B2 (ja) ファン組立体
CN1938735B (zh) 用于灭火的训练装置、方法、系统和用于明火训练的方法
CN110026306B (zh) 冷喷雾器
US9229311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with vapor medium screen
ES2380578T3 (es) Generador de niebla
US201901433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hemicals Into the Air Via a Fan
JP6441864B2 (ja) 香気伝達方法及び香気伝達装置
KR100302160B1 (ko) 향발현장치 및 방법
WO2017066686A1 (en) Fogging/misting apparatus with low cfm blower and mixing chamber for ultra-low volume atomized fog
CN201437013U (zh) 香氛喷雾装置
JP4651085B2 (ja) 映写装置
JP6527493B2 (ja) 販売促進方法
CN106730509B (zh) 手提式恒压细水雾‑气体两用灭火器
RU2362599C1 (ru) Огнетушащий газодисперсный состав,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4115808B (zh) 一种烟雾机点火系统
WO2005007243A1 (en) Fire-extinguishing plant
CN202942576U (zh) 一种超细水雾全淹没灭火装置
JPH0331681B2 (ko)
CN213724591U (zh) 一种灭火器实训演练装置
KR20210148786A (ko) 기체충진수단을 구비한 건 타입의 비눗방울 발생기
KR102317924B1 (ko) 향 분사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9154627A (ja) 香気伝達方法および香気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