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038B1 - Drawer Type Receiving Means - Google Patents
Drawer Type Receiving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1038B1 KR101701038B1 KR1020150066969A KR20150066969A KR101701038B1 KR 101701038 B1 KR101701038 B1 KR 101701038B1 KR 1020150066969 A KR1020150066969 A KR 1020150066969A KR 20150066969 A KR20150066969 A KR 20150066969A KR 101701038 B1 KR101701038 B1 KR 101701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groove
- guide
- rail
- groove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마주하는 벽체(W)에 상호 대향하도록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1)의 안내면(15) 전방단측에 멈춤돌기(19)가 돌출되는 한 쌍의 레일부(3); 및 좌우측으로 한 쌍의 거치날(13)이 돌출되어 각각의 상기 안내홈(1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상기 멈춤돌기(19)에 걸리도록 상기 거치날(13)의 후방단측에 걸림턱(17)이 각각 돌출되는 수납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레일부(3)는 상기 거치날(13)을 상기 안내홈(11)에 넣거나 뺄 때 상기 걸림턱(17)이 상기 멈춤돌기(19)와 상기 안내홈(11) 입구에지(2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면(15) 전방에 오목하게 형성된 릴리프홈(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부를 과도하게 인출시키더라도 수납부 걸림턱이 멈춤돌기에 걸림으로써 수납부가 레일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부를 기울이는 것으로 간단히 걸림턱을 멈춤돌기와 안내홈 입구에지 사이로 빼낼 수 있으므로, 수납대의 사용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type storage bin, in which guide grooves (1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pposing surfaces which are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and guide grooves (11) A pair of rail portions (3) on which a detent projection (19) protrudes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rail (15); And a pair of mounting blades 13 protruding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guide groove 11 are fitted in the respective guide grooves 11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herein each of the rails has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groove so that when the guide blade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guide groove, And a relief groove (23) recessed in front of the guide surface (15) so that the guide surface (17) can pass between the detent projection (19) and the entrance edge (21) of the guide groove Therefore, even if the user draws the storage section excessively, the storage section latching jaw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section by being caught by the stopping protrusion, and if necessary, the storage section can be easily tilted to stop the latching jaw The protrusions can be pulled out between the entrance edge of the guide groo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significantly the storage units ease of 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랍형 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들을 선반 또는 상자 형태의 수납부에 수납하되, 수납부를 서랍과 같이 전후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납부에 물품을 넣거나 빼는 데 따르는 사용 편리성을 배가시킨 서랍형 수납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선반이나 상자 또는 철제 바구니 형태로 된 각종 수납대는 여러 종류의 물품을 얹거나 집어넣어 보관하는 수납수단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거실이나 부엌 등 건물의 벽체 등에 또는 각종 가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특히 서랍 형태로 된 경우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가구 장착형 수납함(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171736호)과 같이, 서로 마주보는 설치 벽면 사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shelves, boxes, or various types of storage baskets in the form of iron baskets are storage means for storing or storing various kinds of articles, and they are installed in walls of buildings such as a living room or a kitche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drawer type, it is mounted back and forth between mounting wall surfaces facing each other, such as a furniture-mounting type storage box 101 (Fig. 1)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0-0171736).
이러한 종래의 수납함(101)은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보는 설치면(W)에 나란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레일부(103)와, 이 레일부(103)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105)로 이루어지는 바, 수납부(105)를 통해 옷가지 등 각종 물품을 수납하되, 수납 동작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수납부(105)가 레일부(103)를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수납함(101)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부(103)의 선단 부분에 스토퍼(125)가 장착되는 바, 수납부(105)가 앞쪽으로 최대한 인출된 때, 수납부(105) 후단이 스토퍼(125)에 걸리게 함으로써, 레일부(10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고 있다.1, the
따라서, 수납함(101)은 수납부(105)를 레일부(103)와 분리시켜 다른 곳으로 옮겨 가거나 다른 곳에서 물품을 채워 옮겨 올 수 없고, 설치면(W)이 형성되는 가구 등의 내부를 청소하는 데 불편이 따르는 등 사용 편리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또한, 수납부(105) 앞쪽으로 길게 인출시킨 상태에서 레일부(103)에 끼워진 수납부(105)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이 부분에서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수납부(105)와 레일부(103) 사이에 베어링 부재를 장착하여야 하는 등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따라서 제조단가가 상승하거나 반대로, 강도 보강을 하지 않는 경우 내구수명이 단축되는 등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Sinc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portion of the
반대로, 수납함(101)과 같이 레일부 선단에 스토퍼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 중 즉, 수납부를 인출할 때 수납부를 레일부에서 빠뜨려 아래로 떨어뜨림으로써 수납부 내의 물품을 파손시킬 수 있는 등 안정적인 사용을 기대할 수 없고, 수납부를 최대로 인출한 위치에서 레일부에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수납부에서 손을 뗄 수 없고 따라서, 수납부 전체를 레일부 밖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수납작업을 할 수 없는 등 사용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pper is not attached to the end of the rail portion like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서랍형 수납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납부가 레일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부를 레일부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대의 사용 안정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drawer-type storage box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portion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rail portion and to easily pull out the storage portion from the rail portion, And convenience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주하는 벽체에 상호 대향하도록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안내면 전방단측에 멈춤돌기가 돌출되는 한 쌍의 레일부; 및 좌우측으로 한 쌍의 거치날이 돌출되어 각각의 상기 안내홈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상기 멈춤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거치날의 후방단측에 걸림턱이 각각 돌출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레일부는 상기 거치날을 상기 안내홈에 넣거나 뺄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멈춤돌기와 상기 안내홈 입구에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면 전방에 오목하게 형성된 릴리프홈을 포함하는 서랍형 수납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guide grooves, each of which is attached to a facing wall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which has guide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ppos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Railway; And a pair of mounting rail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o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guide grooves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respectively and having latch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mounting blade so as to be caught by the stopping projections Wherein each of the rail portions includes a relief groove recessed in front of the guide surface so that the engaging jaw can pass between the detent projection and the guide groove entrance edge when the guide blade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guide groove, A drawer-typ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또한, 상기 릴리프홈은 상기 거치날을 상기 안내홈에 넣거나 뺄 때 기울어지는 상기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lief groove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accommodate the engaging jaw which is inclined when the mounting blade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입구에지는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trance edge is chamfered so as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서랍형 수납대에 따르면, 레일부 안내홈의 선단에 멈춤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납부를 과도하게 인출시키더라도 수납부 걸림턱이 멈춤돌기에 걸림으로써 수납부가 레일부에서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부를 기울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걸림턱을 멈춤돌기와 안내홈 입구에지 사이로 빼내 수납부와 레일부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부를 원하는 위치로 옮겨 가며 사용할 수 있어 수납대의 사용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rawer-typ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nt projection protrudes from the tip end of the rail-portion guide groove, even when the user pulls the storage portion excessively, the storage portion latching jaw is caught by the detent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rail portion by separating the holding protrusion between the detent projection and the guide groove entrance edge by a simple operation of tilting the receiving portion if necessary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nd used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안내면에 길게 형성된 릴리프홈 덕분에 걸림턱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납부를 레일부로부터 최대로 인출한 상태에서도 걸림턱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수납부 전체를 레일부 밖으로 즉, 가구 등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납부에서 손을 떼고 수납부 내에 물품을 넣거나 빼는 수납작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수납대의 사용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length of the latching jaw can be sufficiently long due to the relief grooves formed elongated in the guide surface, the strength of the latching jaw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storage portion is drawn out to the maximum from the rail por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hand from the storage unit and to store the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completely exposed out of the furniture and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서랍형 수납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납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일부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레일부 선단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레일부 멈춤돌기에 수납부 걸림턱이 걸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레일부 멈춤돌기와 레일홈 입구에지 사이로 수납부 걸림턱이 입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awer-type storage box;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type storage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 4 is a side view of the rail part shown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ip of the rail part of Fig. 4; Fig.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latch jaw is attached to the rail stopper projection shown in Fig. 4;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iving jaw jaw enters and exits between the rail stop groove projection and the rail groove entrance edge shown in Fig. 4;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납대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rawer-type storage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서랍형 수납대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한 쌍의 레일부(3)와 수납부(5)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drawer-type storage b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pair of
여기에서, 먼저 상기 레일부(3)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5)를 서랍식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서랍형 수납대(1)가 설치되는 가구나 벽면의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체(W)에 부착되는 바, 상호 대향하도록 쌍을 이루어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수납부(5)를 수평하게 지지한다. 또한, 레일부(3)는 위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따라 수납부(5)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홈(11)이 각각의 대향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Here, the
따라서, 안내홈(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5)의 거치날(13)을 끼우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안내면(15)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거치날(13)을 통해 수납부(5)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안내홈(11)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날(13)이 레일부(3) 뒤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후방 말단 부분이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 말단은 당연히 입구를 형성하면서 앞쪽으로 개방된다. 이와 같이, 앞쪽으로 개방된 안내홈(11)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날(13) 후방단측에 돌출된 걸림턱(17)이 안내홈(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안내면(15)의 전방단측에 멈춤돌기(19)가 돌출된다. 이때, 멈춤돌기(19)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부(5)의 거치날(13)이 안내홈(11)의 안내면(15)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즉, 안내면(15) 상에 지지단(M)을 확보하도록 안내홈(11) 안쪽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2 and 3, the
특히, 레일부(3)는 위와 같이 안내면(15)의 전방단측에 멈춤돌기(19)가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납부(5)를 완전히 분리하거나 분리된 수납부(5)를 다시 끼울 수 있어야 하는 바, 무엇보다도 수납부(5)의 걸림턱(17)을 안내홈(11) 입구를 통해 넣거나 뺄 수 있어야 한다. 즉, 멈춤돌기(19)와 안내홈(11)의 입구에지(21) 사이로 걸림턱(17)을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안내홈(11)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면(15)의 전방에 릴리프홈(23)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이 릴리프홈(23)은 거치날(13)을 안내홈(11)에 끼워 넣거나 뺄 때 기울어지는 걸림턱(17)의 경사각도와 유사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5)을 형성하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취함으로써, 걸림턱(17)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돌기(19)와 안내홈(11) 입구에지(21)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도 경사면(25)을 따라 안내홈(1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아울러, 안내홈(1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에지(21)가 직각으로 날카롭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경사면(2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모따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에지(21)가 모따기된 경우 안내홈(11)에 걸림턱(17)을 넣거나 뺄 때 걸림턱(17)의 경사도와 그에 따른 경사면(25)의 경사각도를 모두 더 낮출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레일부(3)에 대한 수납부(5)의 착탈 동작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6 and 7, the
상기 수납부(5)는 위와 같이 레일부(3)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납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벽체(W) 사이에 가로놓여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바, 도시된 것처럼 바닥 판재(31)와 판재(31) 테두리에 장착된 와이어(33) 난간으로 이루어진 선반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체가 와이어로 이루어진 바구니 또는 전체가 판재로 이루어진 함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어떤 형태로 제작되든 수납부(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면 좌우측변에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면의 좌우측변에 거치날(13)이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는 바, 각각의 거치날(13)은 대응하는 좌우 레일부(3)의 안내홈(1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진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때, 각각의 거치날(13)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단측에 걸림턱(17)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부(5)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부(3)에서 최대한 인출된 때 걸림턱(17)이 멈춤돌기(19)에 걸림으로써, 거치날(13)이 안내홈(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 나아가, 수납부(5)가 예기치 않게 레일부(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걸림턱(17)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거치날(13)이 안내면(15)의 지지단(M)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돌기(19)와 유사한 좌우폭(a)을 갖는다. 또한, 걸림턱(17)은 멈춤돌기(19)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릴리프홈(23) 때문에 멈춤돌기(19)와 안내홈(11)의 입구에지(21) 사이로 안내홈(11)에 끼워질 수 있는 바, 릴리프홈(23)의 경사면(25) 길이에 따라 전후 길이(b)를 더욱 길게 만들 수 있다. 한편, 걸림턱(17)은 위와 같이 그 길이(b)가 길어질수록, 도 6과 같이 수납부(5)를 레일부(3) 밖으로 최대한 인출한 때 집중되는 하중도 잘 버틸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납대(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operation of the drawer-
본 발명의 서랍형 수납대(1)는 가구 등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서랍식 선반이나 함체들과 마찬가지로 마주보는 벽체(W)에 나란히 부착된 레일부(3)와, 이 레일부(3)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수납부(5)를 통해 원하는 물품을 서랍식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The drawer-
따라서, 수납부(5)의 거치날(13)은 물론 걸림턱(17)이 안내홈(1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특히 걸림턱(1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부(5)가 레일부(3)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때, 멈춤돌기(19)에 걸림으로써 수납부(5)가 예기치 않게 안내홈(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특히 걸림턱(17)은 충분한 전후 길이(b)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지단(M)에 걸리는 거치날(13)의 길이가 짧아도 수납부(5) 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최대 인출위치에서도 수납부(5)로부터 손을 뗄 수 있게 된다.5 and 6, the
한편, 서랍형 수납대(1)는 수납부(5)를 레일부(3)로부터 분리하거나 분리 후 재결합할 수 있어야 하는데, 도 6과 같은 최대 인출위치에서 수납부(5)는 앞쪽을 위로 들어 올리는 것으로 간단히 걸림턱(17)을 멈춤돌기(19)를 피해 멈춤돌기(19)와 입구에지(21) 사이로 빼낼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히 레일부(3)와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빼낸 수납부(5)를 레일부(3)에 끼울 때도,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대(1)를 기울여 멈춤돌기(19)와 입구에지(21) 사이로 걸림턱(17)을 집어넣는 것으로 간단히 동작을 마칠 수 있는데, 이는 릴리프홈(23) 덕분에 걸림턱(17)을 경사 상태로 안내홈(11)에 밀어 넣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drawer-
1 : 수납대 3 : 레일부
5 : 수납부 11 : 안내홈
13 : 거치날 15 : 안내면
17 : 걸림턱 19 : 멈춤돌기
21 : 입구에지 23 : 릴리프홈
25 : 경사면 31 : 판재
33 : 와이어 M : 지지단
W : 벽체1: Storage compartment 3:
5: storage portion 11: guide groove
13: Mounting blade 15: Guide face
17: latching jaw 19: stopping projection
21: inlet edge 23: relief groove
25: slope 31: plate
33: wire M: supporting end
W: Wall
Claims (3)
좌우측으로 한 쌍의 거치날(13)이 돌출되어 각각의 상기 안내홈(1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상기 멈춤돌기(19)에 걸리도록 상기 거치날(13)의 후방단측에 걸림턱(17)이 각각 돌출되는 수납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레일부(3)는 상기 거치날(13)을 상기 안내홈(11)에 넣거나 뺄 때 상기 걸림턱(17)이 상기 멈춤돌기(19)와 상기 안내홈(11) 입구에지(2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면(15) 전방에 오목하게 형성된 릴리프홈(23)을 포함하며,
상기 멈춤돌기(19)는 상기 안내면(15) 상에 지지단(M)을 확보하도록 상기 안내홈(11) 안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상기 거치날(13)이 상기 안내면(15)의 상기 지지단(M)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수납대.And a detent projection 19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guide surface 15 of the guide groove 11. The detent projection 19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ppos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rail portions 3 protruding from the rail; And
A pair of mounting blades 13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itted in the respective guide grooves 11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mounting blade 13 is caught by the stopping projections 19 (5) in which the jaws (17) protrude, respectively,
Each of the rails 3 has a stopping protrusion 19 and an opening edge 21 of the guide groove 11 when the fixing blade 13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guide groove 11, And a relief groove (23) recessed in front of the guide surface (15)
The detent projection 19 is bias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1 so as to secure a support end M on the guide surface 15 so that the stationary blade 13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15 of the guide surface 15, (M) of the drawer-typ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릴리프홈(23)은 상기 거치날(13)을 상기 안내홈(11)에 넣거나 뺄 때 기울어지는 상기 걸림턱(17)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면(2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수납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ief groove 23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5 which is inclined so as to accommodate the engaging protrusion 17 which tilts when the setting blade 13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guide groove 11. [ Drawer-type storage.
상기 입구에지(21)는 상기 경사면(2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수납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let edge (21) is chamfered so as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2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969A KR101701038B1 (en) | 2015-05-13 | 2015-05-13 | Drawer Type Receiving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969A KR101701038B1 (en) | 2015-05-13 | 2015-05-13 | Drawer Type Receiving Mea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885A KR20160133885A (en) | 2016-11-23 |
KR101701038B1 true KR101701038B1 (en) | 2017-01-31 |
Family
ID=5754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6969A KR101701038B1 (en) | 2015-05-13 | 2015-05-13 | Drawer Type Receiving Me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103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5243B1 (en) | 2010-10-18 | 2012-11-27 | 주식회사 한샘 |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draw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1736Y1 (en) | 1999-09-03 | 2000-03-15 | 김형천 | Drawer slidably provided in a furniture |
-
2015
- 2015-05-13 KR KR1020150066969A patent/KR10170103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5243B1 (en) | 2010-10-18 | 2012-11-27 | 주식회사 한샘 |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dra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885A (en) | 2016-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1200B2 (en) |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 |
JP6259398B2 (en) | Tools, especially devices for storing tools | |
US10028582B2 (en) | Storage system | |
CA2227355C (en) | Basket mount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 |
KR101695808B1 (en) | A refrigerator | |
WO2011121834A1 (en) | Cabinet | |
US20120294555A1 (en) | Furniture pull-out | |
CN104344671B (en) | Refrigerator and drawer component thereof | |
KR20100032178A (en) | A shelf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EP3877710B1 (en) |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 |
KR101461963B1 (en) | Refrigerator drawer | |
KR101701038B1 (en) | Drawer Type Receiving Means | |
CN206890944U (en) | Home appliance device | |
KR200492419Y1 (en) | Receiving device | |
WO2016099864A1 (en) | Shelf assembly | |
KR200441019Y1 (en) | Chest of drawers | |
KR101893132B1 (en) | A refrigerator in use with auto drawer | |
KR20160003847U (en) | Moving Shelf Type Drawer | |
KR101965980B1 (en) | shelf for mounting sliding Rail | |
JP5971524B2 (en) | Wall cabinet | |
JP2010220707A (en) | Additional blocking body of drawer | |
KR101707803B1 (en) | The drawer type furniture in which the secession of the drawer is prevented | |
KR200482716Y1 (en) | Clamp type container for Refrigerator shelf | |
KR101715081B1 (en) | Tray escape prevention lever is equipped with a sliding rail | |
CA2932280C (en) |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