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939B1 - Easy and safe flag holder - Google Patents

Easy and safe flag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939B1
KR101700939B1 KR1020160099785A KR20160099785A KR101700939B1 KR 101700939 B1 KR101700939 B1 KR 101700939B1 KR 1020160099785 A KR1020160099785 A KR 1020160099785A KR 20160099785 A KR20160099785 A KR 20160099785A KR 101700939 B1 KR101700939 B1 KR 10170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pole
positioning
insertion hole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우
김주백
Original Assignee
정지우
김주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우, 김주백 filed Critical 정지우
Priority to KR102016009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9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y and safe flag holder. The easy and safe flag holder includes: a fixing main body unit having an installation unit on the lower surface, wherein a first position determining inclination unit and a second position determining inclination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mountain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ain body unit; a housing unit rota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determining inclination units by being connected to the fixing main body unit by a hinge; a flag holde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to mov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 which a flag is inserted in the upper part; a slid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ag holder unit and lifting the flag holder unit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determining inclination units when the housing unit rotates; and a spring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limit a movement of the flag holder unit and be returned as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slider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in the housing unit. Therefore, the easy and safe flag holder can hoist or remove the flag in a safe position as the flag holder uni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a veranda handrail. Therefore, the flag holder can prevent an accident in advance.

Description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EASY AND SAFE FLAG HOLDER}Easy and secure flagship {EASY AND SAFE FLAG HOLDER}

본 발명은 국기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깃대의 착탈결합을 위한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풍 등의 외력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국기꽂이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ship which can improve convenience and safety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flagpole at the same time as well as being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strong wind.

일반적으로, 국기꽂이는 국경일이나 각종 기념일에 국기를 꽂아서 게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Generally, a flagpole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a flagpole to stay on a national holiday or various anniversaries.

일례로써, 아파트와 같은 다층 공동주택에는 국경일에 국기를 게양할 수 있도록 베란다 난간 또는 외벽면에 국기꽂이를 설치하고 있다.For example, multi-storey apartment units, such as apartments, are equipped with flags on the porch railing or on the outer wall to allow the flag to be hoisted on national holidays.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국기꽂이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flags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국기꽂이는 베란다 난간(1) 또는 외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본체부(4)와, 상기 고정 본체부(4)의 표면으로부터 윗쪽을 향하여 경사진 구조로 돌출되는 깃대 꽂이부(3)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flagship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fixed body portion 4 installed on a veranda rail or an outer wall surface, a flagpole projecting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fixed body portion 4, And a mounting portion (3).

상기 깃대 꽂이부(3)의 길이방향 내부는 깃발을 매단 깃대(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An inserting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3) so that the flagpole (2)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고정 본체부(4)는 베란다 난간(1) 또는 외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미도시)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fixing body portion 4 is coupled with a fastening means (not shown) so as to be fixed to the veranda railings 1 or the outer wall surface.

그러나, 종래기술의 국기꽂이는 상기 깃대 꽂이부(3)가 베란다 난간(1) 또는 외벽면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이때 깃대(2)를 꽂기 위한 사람의 신체 일부가 앞쪽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flagpole portion 3 of the prior art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flagpole portion 3 protrudes forward from the veranda guardrail 1 or the outer wall surface, a part of the body of the person for plugging the flagpole 2 must move forward There is a high risk that a safety accident resulting therefrom will occur.

또한, 상기 깃대 꽂이부(3)에 단순 끼움 상태로 게양되는 깃대(2)는 고정상태가 불안정하므로 강풍이나 외력 발생시 깃대가 깃대 꽂이부(3)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lagpole 2, which is hoisted in a state of simple fitting into the flagpost portion 3, is unstable in a fix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agpol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lagpost portion 3 when a strong wind or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1959호(2001.10.12)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1959 (October 12, 200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난간의 안쪽 위치에서 국기를 게양 또는 철거하기 위한 착탈의 과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쉽고 안전한 국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removing and lifting a flag from the inside of a verandah railing, To provide an easy and safe flagpost tha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풍 등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깃대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국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g holder which can prevent the flagpole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even if an external force such as strong wind ac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깃발이 깃대에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국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g holder which can prevent the flag from being caused to dry on the flagp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기꽂이의 게양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국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g set which can set various hoisting angles of a flag se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는, 하면에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 위치결정 경사부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가 산(山)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고정 본체부; 상기 고정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 사이에서 회동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깃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깃대 꽂이부; 상기 깃대 꽂이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가 회동할 때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에 접촉하면서 깃대 꽂이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며 타측은 하우징부 내에 지지되어 깃대 꽂이부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asy and safe flagse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positioning slope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ing slop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face thereof, A body portion; A housing portion hinged to the fixed body portion and rota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inclined portions; A flagpole portion mov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flagpo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li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portion and moving the flagpole portion up and down while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inclined portions when the housing portion is rotated; And a spring which is supported on the slider at one side and supported in the housing part at the other sid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lagpole portion or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f returning.

상기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에는 각각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스토퍼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opper groove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lider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slopes, respectively, and stopper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s are formed in the slider.

상기 고정 본체부에는 제1 위치결정 경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 개의 회동제한 홈을 구비한 회동제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회동제한 핀이 힌지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 돌기가 제2 위치결정 경사부의 스토퍼 홈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회동제한 핀을 회동제한 경사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xed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ing incline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rotation limiting grooves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ositioning inclined portion, the rotation limiting pin is hinged to the housing portion, And the rotation restricting pin can be fixed to the rotation limiting restricting portion when it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of the crystal inclined portion.

상기 슬라이더의 스토퍼 돌기가 제1 위치결정 경사부의 스토퍼 홈에 결합될 때에는 깃대 꽂이부가 상승하는 한편, 스토퍼 돌기가 제2 위치결정 경사부의 스토퍼 홈에 결합될 때에는 깃대 꽂이부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topper projection of the slider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of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ortion, the flagpole portion is raised while the flagpole portion is lowered when the stopper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of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ortion.

상기 깃대 꽂이부의 상부에는 삽입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깃대 꽂이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gpole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portion where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캡부가 체결되며, 상기 깃대 꽂이부가 상승하여 돌출부가 캡부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커지고, 깃대 꽂이부가 하강하여 돌출부가 상기 캡부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s increased when the projecting portion is moved away from the cap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s increased when the projecting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by lowering the flagpole portion. .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내측에는 베어링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외측에는 캡부가 설치되어 베어링 유닛을 고정하되, 상기 깃대 꽂이부가 상승하여 돌출부가 베어링 유닛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커지고, 깃대 꽂이부가 하강하여 돌출부가 상기 베어링 유닛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ear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and a cap part is provided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to fix the bearing unit. When the projecting part rises and the projecting part moves away from the bearing unit,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ncreases, An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decreases when the protrusion is lowered and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unit.

상기 베어링 유닛은 오일리스 베어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이며,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은 깃대 꽂이부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깃대 꽂이부가 하강할 때 그 내주면에 깃대 꽂이부의 돌출부가 접촉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과 캡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aring unit is an oil-less bearing and a thrust bearing. The oil-less bearing is inser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flagpole, and when the flagpole is lowered,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flagpo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cap portions.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본체부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 사이에서 회동하는 하우징부와 깃대 꽂이부를 구성함으로써, 베란다 난간을 기준으로 깃대 꽂이부가 전,후방향으로 선회 회전이 가능하므로 안전한 위치에서 깃대를 게양 또는 철거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flagpole portion that rot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inclined portions of the fixed body portion are constituted, so that the flagpost portion can be turned So that the flagpole can be lifted or removed from a safe position, so th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에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더에는 상기 스토퍼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깃대 꽂이부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topper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inclined portions, and the stopper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s are formed in the slider, so that the flagpost portion can be stably fixed without flowing.

또한, 상기 고정 본체부에는 회동제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회동제한 핀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의 고정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부의 경사각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rotation restricting inclined portion in the fixed body portion and configuring the rotation restricting pin in the housing portion, the fixing force of the housing portion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ousing portion can be varied .

또한, 상기 깃대 꽂이부에는 삽입공의 직경 크기가 탄력적으로 커지거나 감소하는 구조의 돌출부를 구성함으로써, 깃대를 착탈하기 위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양된 국기의 경우 강풍 등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깃대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가압하는 조임 압력을 제공하므로 깃대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s enlarged or decreased in the flagpost portion is formed in the projecting portion, so that not only the convenience of work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lagpole can be improved, but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gpole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tightening pressure for stably pressing the flagpo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는 깃대 꽂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깃발이 깃대에 말리는 현상 없이 항상 펼쳐진 상태에서 펄럭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unit is constituted by a bearing unit that rotatably supports the flagpost, so that the flap can be flaped in the unfolded state without being dried on the flagpo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국기꽂이의 구성 및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부의 내부에 깃대 꽂이부 및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깃대 꽂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agsh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sy and safe flag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gpole portion and a slider a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agpole portion of Fig. 2;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asy and safe flag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례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asy and safe flag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at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 to 6.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는 크게, 고정 본체부(100)와, 하우징부(200)와, 깃대 꽂이부(300)와, 슬라이더(310)와, 스프링(400)과, 베어링 유닛(500)과, 캡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n easy and safe flag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ody 100, a housing 200, a flagpole 300, a slider 310, a spring 400, A bearing unit 500, and a cap unit 600. [0033]

먼저, 상기 고정 본체부(100)는 베란다 난간(1)에 설치되는 블록형상의 구성요소로서, 하면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설치부(110)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후술할 하우징부(200) 및 깃대 꽂이부(300)가 난간(1)을 기준으로 베란다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선회 회전할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가 형성된다.First, the fixed body part 100 is a block-shaped component provided on the verandah railing 1.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body part 1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110 having a shape recessed inwardly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a and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art 120a for guiding the path so that the staple part 200 and the flagpole part 300 can be pivoted inside and out of the veranda on the basis of the railing 1, 120b are formed.

상기 설치부(110)에는 난간(1)과 긴밀하게 밀착되는 밀착패드(111)와, 상기 난간(1)의 폭에 맞추어 상기 밀착패드(111)를 이송시키는 고정볼트(112)가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fastening bolt 111 closely contacting with the handrail 1 and a fixing bolt 112 fastening the fastening pad 111 to the width of the handrail 1.

즉, 상기 밀착패드(111)와 고정볼트(112)는 다양한 난간(1) 폭에 맞추어 상기 고정 본체부(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밀착패드(111)는 상기 고정 본체부(100)의 폭보다 넓은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ntact pad 111 and the fixing bolt 112 securely fix the fixing body 100 in accordance with various widths of the rail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ad 111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xed body part 100.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100)는 상기 밀착패드(111)를 이송시키지 않고 상기 고정볼트(112)가 밀착패드(111)를 관통하여 난간(1)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The fixing bolts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bolts 112 penetrate through the fastening bolts 111 and directly contact the railings 1 without transferring the fastening bolts 111. [

여기서, 상기 밀착패드(111)는 마찰저항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알루미늄, 나무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Here, the adhesion pad 111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having excellent frictional resistance, and may be made of plastic, metal, aluminum, wood, or the like.

또한, 상기 고정볼트(112)는 볼트머리 대신 회전용 손잡이(미도시)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 손으로 직접 나사회전시킬 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1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urning handle (not shown) is formed instead of a bolt head so that a user can directly screw a screw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tool.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는 산(山)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도 2 및 도 6참조).The first positioning slopes 120a and the second positioning slopes 12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 mountain shape (see FIGS. 2 and 6).

즉,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의 표면은 편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기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의 표면은 내측으로 완만하게 들어가는 원호의 곡률면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surface of the first positioning slope 120a has a flat plane,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120b has a curvature surface of an arc that smoothly enters the inside.

이러한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는 구조적 형상에 따른 상기 고정 본체부(100)의 상면에 대한 높낮이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깃대 꽂이부(300)가 상기 하우징부(200)에 대하여 승강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깃대 꽂이부(300)의 승강이동은 상기 깃대 꽂이부(300)의 선단측 삽입공의 직경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a and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art 120b generate a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part 100 according to a structural shape so that the flagpole part 30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art 200.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flagpole portion 300 is for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insertion hole of the flagpole portion 300.

또한,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에는 후술할 슬라이더(3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홈(121a,121b)이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positioning slopes 120a and the second positioning slopes 120b are formed with stopper grooves 121a and 121b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310 described below.

즉, 상기 스토퍼 홈(121a,121b)은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 또는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에 위치한 상기 깃대 꽂이부(300)가 임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안정된 걸림고정을 유도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stopper recesses 121a and 121b are formed in the first positioning slope 120a or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120b so that the flagpole 3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any direction, .

또한, 상기 고정 본체부(100)에는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와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 개의 회동제한 홈(122a)을 구비한 회동제한 경사부(122)가 형성된다.The fixed body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rotation limiting inclined portion 122 having a plurality of rotation restricting grooves 122a at positions facing the first positioning inclined portion 120a.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회동제한 홈(122a)은 깃대(2)의 무게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고정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에 위치하는 하우징부(200)의 경사각(게양 각)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lurality of rotation limiting grooves 122a may selectively adjust a fixing position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hous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lagpole 2, 120b of the housing part 200.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housing part 200 can be varied.

한편,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고정 본체부(10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a,120b) 사이에서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housing part 200 is hinged to the fixed body part 100 and rotat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slopes 120a and 120b.

즉, 상기 하우징부(200)의 힌지 회전은 깃대(2)를 베란다 난간(1)의 안쪽에서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람의 신체가 난간(1)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추락 사고의 위험성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깃대를 게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hinge rotation of the housing part 200 enables the flagpole 2 to be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veranda guardrail 1, thereby preventing the body of the person from going out of the guardrail 1, And to conveniently hoist the flagpole.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2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중공의 관으로써,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 본체부(100)의 폭 넓이에 대응하는 절개홈(201)을 형성한 체결부(2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캡부(600)와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나사체결부(220)가 형성된다.The housing part 200 is a hollow tub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fastening part 210 formed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cutout groove 201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xed body part 100 And a screw coupling part 220 for screwing the cap part 600 with the cap screw part 6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체결부(210)에는 상기 고정 본체부(100)의 힌지결합공(101)에 대응하는 크기의 힌지체결공(211)과, 회동제한 핀(230)이 결합되는 핀연결공(212)이 각각 형성된다.A hinge fastening hole 21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inge fastening hole 101 of the fixed body part 100 and a pin connecting hole 212 to which the rotation restricting pin 230 is coupled are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210 Respectively.

상기 회동제한 핀(230)은 상기 핀연결공(212)의 양측에 끼워지는 대략 'U'자형 부재로서, 상기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에 위치한 깃대 꽂이부(300)와 상기 하우징부(200)가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pivot restricting pin 230 is a substantially U-shaped member that is fitted to both sides of the pin connecting hole 212. The pivot pin 230 is formed of a flagpost 300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120b, Thereby preventing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200 from moving toward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a.

즉, 상기 회동제한 핀(230)의 폐단부가 상기 회동제한 홈(122a)에 걸림 고정되면 상기 하우징부(200)에 강풍 또는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 closed end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in 23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restricting groove 122a, even if a strong wind or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housing part 200, the rotation is restricted to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adically cut off.

이는, 강풍 또는 외력의 발생으로 상기 하우징부(200)가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로부터 상기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로 이동할 경우 상기 깃대 꽂이부(300)에 삽입된 깃대(2)가 베란다 창문을 타격하여 유리를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housing part 20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a to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art 120b due to the occurrence of a strong wind or an external force, (2) could damage the glass by hitting the veranda window.

또한,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는 후술할 스프링(400)과 베어링 유닛(500)이 안착되는 구조의 제1 단턱(240)과 제2 단턱(250)이 형성된다.A first step 240 and a second step 250 are formed in the housing part 200 such that a spring 400 and a bear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are seat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부(200)는 내,외경의 형상이 동일한 원통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내,외경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hous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inner and outer diameter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내경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하되 외경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inner diamete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outer diameter may be in the form of a triangle, a square, or various other polygons.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200)와 고정 본체부(100)는 힌지핀(H) 구성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200)는 고정 본체부(100)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a,120b) 사이를 선회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The housing part 200 and the fixed body part 10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pin H. The housing part 200 is fixed to the fixed body part 100 by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And rotates in a direction of turning between the inclined portions 120a and 120b.

한편, 상기 깃대 꽂이부(3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내부에는 깃대(2)가 삽입되는 삽입공(301)이 형성된다.The flagpole portion 30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200. Inside the lengthwise portion, an insertion hole 301 into which the flagpole 2 is inserted is formed.

또한, 상기 깃대 꽂이부(300)의 길이방향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부(200)가 회동할 때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a,120b)에 접촉하면서 깃대 꽂이부(300)를 승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310)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삽입공(30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3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301)이 형성된 깃대 꽂이부(30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320)가 형성된다.When the housing part 200 is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wer part of the flagpost 300, the flagpost 300 is lifted and lowered while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slopes 120a and 120b. A plurality of slits 321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301 and a protrusion 32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300 where the insertion hole 301 is formed, Is formed.

상기 슬라이더(310)는 깃대 꽂이부(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플랜지(311)와, 상기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 사이의 경계를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홈(121a,1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구 형상의 스토퍼 돌기(312)가 형성된다.The slider 31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300 and includes a flange 311 for supporting the spring and a second positioning slope part 120b for positioning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a and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art 120b. And a spherical stopper protrusion 312 which is freely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protrusion 312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recesses 121a and 121b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310)의 스토퍼 돌기(312)가 제1 위치결정 경사부(120a)의 스토퍼 홈(121a)에 결합될 때에는 깃대 꽂이부(300)가 상승하는 한편, 스토퍼 돌기(312)가 제2 위치결정 경사부(120b)의 스토퍼 홈(121b)에 결합될 때에는 깃대 꽂이부(300)는 하강한다.When the stopper protrusion 312 of the slid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121a of the first positioning slope 120a, the flagpole 300 rises while the stopper protrusion 312 Is coupled to the stopper groove 121b of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120b, the flagpole portion 300 is lowered.

상기 돌출부(320)는 깃대(2)의 용이한 삽입과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301)의 직경 크기가 커지거나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The projecting portion 3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01 is increased or decreased so as to provide easy insertion of the flagpole 2 and a firm fixing force.

상기 돌출부(320)는 길이방향의 외면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다가 정점부를 기준으로 내,외면의 단면 두께가 서로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rotrusion 3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ngitudinal outer surface gradually increases in thicknes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 cross-sectional thicknesses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become narrower with respect to the vertex portion.

즉, 상기 깃대 꽂이부(300)가 상승하여 돌출부(320)가 후술할 캡부(600)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삽입공(301)의 직경이 커지고, 반대로 깃대 꽂이부(300)가 하강하여 돌출부(320)가 상기 캡부(600)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에는 삽입공(301)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lagpole portion 300 rises and the protrusion 320 deviates from the cap portion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01 becomes large, and on the contrary, the flagpole portion 300 descends,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600,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01 is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깃대 꽂이부(300)는 상기 돌출부(320)의 구성에 의해 상기 깃대(2)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삽입공(301)의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깃대(2) 삽입후 상기 깃대(2)를 능동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한다.The flagpos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xpan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01 so that the flagpole 2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320, Thereby providing a clamping force capable of actively pressing the flagpole 2. [

또한,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깃대 꽂이부(300)의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하는 상기 깃대 꽂이부(300)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pring 400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3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flagpole 300 moving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스프링(4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0)의 제1 단턱(24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310)의 플랜지(311)에 지지된다.One end of the spring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step 240 of the housing part 20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flange 311 of the slider 310.

한편, 상기 베어링 유닛(500)은 상기 하우징부(200)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깃대 꽂이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bearing unit 5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part 200 and rotatably supports the flagpost 300.

상기 베어링 유닛(500)은 상기 하우징부(200)의 제2 단턱(250)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된다.The bearing unit 500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step 250 of the housing part 200.

이 경우, 상기 깃대 꽂이부(300)가 상승하여 돌출부(320)가 베어링 유닛(500)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삽입공(301)의 직경이 커지고, 깃대 꽂이부(300)가 하강하여 돌출부(310)가 상기 베어링 유닛(500)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에는 삽입공(301)의 직경이 감소한다.In this case, when the flagpole portion 300 rises and the protrusion 320 deviates from the bearing unit 500,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01 increases, and the flagpole portion 300 is lowered to the protrusion 310,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01 decreases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unit 500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unit 500. [

상기 베어링 유닛(500)은 강풍이나 외력 발생시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깃대(2)를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earing unit 500 serves to rotate the flagpole 2 in a direction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when a strong wind or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즉, 상기 깃대(2)와 깃발이 함께 회전하는 경우 깃발이 깃대에 말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flagpole 2 and the flag rotate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g from being dried on the flagpole.

다시 말해, 상기 깃대(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깃발만 펄럭이게 되면 깃발이 깃대에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상기 깃대와 깃발이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면 깃발이 깃대에 말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flagpole 2 is kept fixed and the flags are flapped only, the flag is curled on the flagpole, but if the flagpole and the flagpole are rotated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the flag is prevented from being dried on the flagpole .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유닛(500)은 오일리스 베어링(510)과 스러스트 베어링(520)으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bearing unit 500 includes an oil-less bearing 510 and a thrust bearing 520.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510)은 깃대 꽂이부(30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깃대 꽂이부(300)가 하강할 때 그 내주면에 깃대 꽂이부(300)의 돌출부(320)가 접촉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520)은 오일리스 베어링(510)과 캡부(600) 사이에 개재된다.The oilless bearing 5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gpole portion 300 so that the projecting portion 320 of the flagpost 300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portion 300 when the flagpost portion 300 descends, The bearing 520 is interposed between the oil-less bearing 510 and the cap portion 600.

이러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510)은 상기 깃대 꽂이부(300)를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520)은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510)의 회전시 상부가 상기 캡부(600)에 대하여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The thrust bearing 520 rot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thrust bearing 520 when the oil-less bearing 510 rotates,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rictional resistance from being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600).

한편, 상기 캡부(6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길이방향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 유닛(5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cap unit 6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serves to stably fix the bearing unit 500.

상기 캡부(600)의 상면에는 상기 깃대 꽂이부(300)의 돌출부(320)가 출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601)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6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unit 600 so that the protrusion 320 of the flag pole 300 can be inserted into and taken out of the cap unit 600.

또한, 상기 캡부(6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체결부(220)에 대응하는 나사부(61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crew portion 610 corresponding to the screw coupling portion 22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6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고정 본체부 120a : 제1 위치결정 경사부
120b : 제2 위치결정 경사부 200 : 하우징부
300 : 깃대 꽂이부 310 : 슬라이더
320 : 돌출부 400 : 스프링
500 : 베어링 유닛 600 : 캡부
100: fixed body part 120a: first positioning slope part
120b: second positioning slope part 200: housing part
300: Flagstaff part 310: Slider
320: protrusion 400: spring
500: bearing unit 600: cap part

Claims (8)

하면에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 위치결정 경사부와 제2 위치결정 경사부가 산(山)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고정 본체부;
상기 고정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 사이에서 회동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깃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깃대 꽂이부;
상기 깃대 꽂이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가 회동할 때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에 접촉하면서 깃대 꽂이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며 타측은 하우징부 내에 지지되어 깃대 꽂이부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위치결정 경사부에는 각각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스토퍼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A fixed bod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having a first positioning slope and a second positioning slop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mountain shape;
A housing portion hinged to the fixed body portion and rota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inclined portions;
A flagpole portion mov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flagpo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li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portion and moving the flagpole portion up and down while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inclined portions when the housing portion is rotated;
And a spring which is supported by the slider on one side and is supported in the housing part on the other sid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lagpole portion or to return th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f return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slopes have respective stopper groove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lider,
And a stopper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 is formed in the sli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부에는 제1 위치결정 경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 개의 회동제한 홈을 구비한 회동제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회동제한 핀이 힌지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 돌기가 제2 위치결정 경사부의 스토퍼 홈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회동제한 핀을 회동제한 경사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ing incline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rotation limiting grooves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ositioning inclined portion,
The rotation restricting pin is hinged to the housing part,
Wherein when the stopper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of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ortion, the rotation restricting pin can be fixed to the rotation restricting incline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스토퍼 돌기가 제1 위치결정 경사부의 스토퍼 홈에 결합될 때에는 깃대 꽂이부가 상승하는 한편, 스토퍼 돌기가 제2 위치결정 경사부의 스토퍼 홈에 결합될 때에는 깃대 꽂이부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stopper projection of the slider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of the first positioning slope portion, the flagpole portion is raised while the flagpole portion is lowered when the stopper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roove of the second positioning slope portion. Stand.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깃대 꽂이부의 상부에는 삽입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깃대 꽂이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gpole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a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캡부가 체결되며,
상기 깃대 꽂이부가 상승하여 돌출부가 캡부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커지고, 깃대 꽂이부가 하강하여 돌출부가 상기 캡부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ap portion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Wherei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ncreases when the flagpole portion rises and the protrusion portion departs from the cap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decreases when the flagpole portion falls and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내측에는 베어링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외측에는 캡부가 설치되어 베어링 유닛을 고정하되,
상기 깃대 꽂이부가 상승하여 돌출부가 베어링 유닛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커지고, 깃대 꽂이부가 하강하여 돌출부가 상기 베어링 유닛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에는 삽입공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6. The method of claim 5,
A bear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art,
A cap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to fix the bearing unit,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s increased when the flagpole portion rises and the protrusion portion is displaced from the bearing unit, an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s reduced when the flagpole portion is lowered and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unit.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유닛은 오일리스 베어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이며,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은 깃대 꽂이부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깃대 꽂이부가 하강할 때 그 내주면에 깃대 꽂이부의 돌출부가 접촉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과 캡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꽂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earing unit is an oil-less bearing and a thrust bearing,
The oilless bearing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gpole portion, and when the flagpole portion descends, the protrusion of the flagpole portion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portion,
Wherein the thrust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oil-less bearing and the cap portion.
KR1020160099785A 2016-08-05 2016-08-05 Easy and safe flag holder KR101700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785A KR101700939B1 (en) 2016-08-05 2016-08-05 Easy and safe flag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785A KR101700939B1 (en) 2016-08-05 2016-08-05 Easy and safe flag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939B1 true KR101700939B1 (en) 2017-02-01

Family

ID=5810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785A KR101700939B1 (en) 2016-08-05 2016-08-05 Easy and safe flag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9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9U (en) 2018-10-31 2020-05-08 이은정 A height adjustable flagpole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59Y1 (en) 2001-08-01 2001-11-22 이준직 A flagpole fitting
KR200318580Y1 (en) * 2003-04-04 2003-07-02 이관수 Flag Gauge Bending Device
KR100937904B1 (en) * 2009-04-13 2010-01-21 박영화 Banner hanger for the street lamp
KR20130003086U (en) * 2011-11-16 2013-05-24 박효준 Banner hanger for street 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59Y1 (en) 2001-08-01 2001-11-22 이준직 A flagpole fitting
KR200318580Y1 (en) * 2003-04-04 2003-07-02 이관수 Flag Gauge Bending Device
KR100937904B1 (en) * 2009-04-13 2010-01-21 박영화 Banner hanger for the street lamp
KR20130003086U (en) * 2011-11-16 2013-05-24 박효준 Banner hanger for street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9U (en) 2018-10-31 2020-05-08 이은정 A height adjustable flagpole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436B2 (en) Tapered lighting fixture junction box
US5371907A (en) Pool cover support
KR101700939B1 (en) Easy and safe flag holder
CA2531464C (en) Assembly for vertically positioning a lamp-shade
JP2011162969A (en) Suspended traveling device of sliding door
KR102176238B1 (en) clip for deck installation
KR101525009B1 (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joint profile
JP2019183499A (en) Gravity hinge
US6135814A (en) Ceiling socket for ceiling lights
KR200307537Y1 (en) Structure for adjusting angles of a hanger be attached to a wall
CN218965159U (en) Fixing device of telescopic link
CN215518345U (en) Connecting structure of bridge expansion joint
JP3051696B2 (en) Clothes dryer
CN215491625U (en) Contour scanner
JP7001879B2 (en) Tension rod attachment to the corner
JP2020190076A (en) Assembly type buried box jig for handhole, manhole and the like, and assembling method of assembly type buried box using the jig
CN217924997U (en) Floor entrance to a cave safety device
CN216713548U (en) Multi-size mounting structure for light steel keel
CN220133379U (en) Wallboard fixing device
US20240076001A1 (en) Bilaterally positionable and rotatable bicycle rack
CN215716696U (en) Double-end connector, three-end connector and handrail
CN213710062U (en) Furred ceiling telescopic machanism and furred ceiling
CN209924405U (en)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construction is with device of climbing
CN211288195U (en) Base of floor fan and floor fan
CN209760768U (en) semi-solid forming climbing frame protection plate turnover device and climb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