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691B1 - Tent for infants - Google Patents
Tent for inf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0691B1 KR101700691B1 KR1020160061617A KR20160061617A KR101700691B1 KR 101700691 B1 KR101700691 B1 KR 101700691B1 KR 1020160061617 A KR1020160061617 A KR 1020160061617A KR 20160061617 A KR20160061617 A KR 20160061617A KR 101700691 B1 KR101700691 B1 KR 101700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bars
- shock absorbing
- support ba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837 restrain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392 Bone Frac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076 Fra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6644 Lav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14 concu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충격방지수단을 일체로 구성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전도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t for infants which is constructed integrally with an impact-preventing means having a shock-absorbing capability to enhance safety and prevent condu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도되더라도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접힘에 의한 타격, 질식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infants, which can be maintained in an installed state even when the user is carelessly gui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striking and suffocation due to folding.
본 발명은 다관절 링크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a baby which is provided with a joint means in the form of a multi-jointed link so that the ten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volume can be minimized during storage.
본 발명은 유아가 텐트로 출입시에 바닥의 걸림부위를 최소화하여 낙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infants whose fall is prevented by minimizing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infant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tent.
본 발명은 텐트 내부에 해먹이나 그네 등의 놀이기구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활용도가 높아지도록 한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infants, which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side a tent such as a hammock or a swing so that utilization thereof is enhanced.
유아는 영아기를 거쳐 보통 3세 이상부터 자신만의 영역을 갖고자 하는 유아기의 성장단계를 거치게 된다.Infants go through infancy through the growth stage of infancy, which usually starts from the age of three or more to have their own area.
이에 따라 근래에는 조그만 공간 내지는 구석진 곳에서 자신의 영역을 형성하려는 성장 단계에 맞추어 자기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텐트 형태의 유아용 장난감이 유통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ent-shaped infant toys have been distributed so that they can have their own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stage for forming their own area in a small space or a corner.
이러한 텐트는 가옥형 또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천 재질의 외체에 일정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의 지지폴이 내장되어 있다.Such a tent is made of a house or a box, and a supporting pole having an elastic body is install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outer body made of cloth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ent.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텐트는 유아에게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지만, 유아에게 공간의 호기심이나 구조물에 대한 호기심 유발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tent provides a certain space for the infa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ant is not continuously used because of curiosity of the space or curiosity about the structure.
이러한 단순 형태의 텐트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디언들의 텐트 형태를 취하는 접이식 인디언 텐트가 개발되어 있으며, 인디언 텐트는 대략 오각 내지 육각뿔 형상을 위하며, 이러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목봉을 이용하여 뼈대를 만들고 천으로 뼈대를 감싸는 구성을 하고 있다.To complement this simple type of tent, a folding Indian tent that takes the shape of a tent of Indians has been developed. The Indian tent has a shape of a pentagonal or hexagonal horn. To maintain this shape, a tent is used to make a skeleton, And it covers the skeleton.
예컨대 도 1과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815호에는 봉 세트를 이루는 복수개의 봉 상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수렴하고 각 봉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0815 discloses a technique for converging a plurality of rod ends constituting rod sets so as not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fixing the rod ends to each other using wires or the like The use of the Indian tent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인디언 텐트는 텐트의 골격을 유지하는 봉이 수렴하는 곳에서 철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since the Indian tent is fixed using a wire or the like in a place where the rod holding the skeleton of the tent converges,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which is not preferable.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9351호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복수개의 리브(10)를 관통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인가하여 원형의 프레임을 유지하기 위한 리브 결합부(20)가 구비되는 유아용 텐트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Korean Patent No. 10-1539351, as shown in FIG. 2, a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접혀 전복의 위험이 있다.However, since the lower end of the patent is not fixed, there is a risk of folding over when the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또한 별도의 바닥이 없어 텐트 내부에서 유아가 넘어지는 경우 골절이나 뇌진탕 등의 위험이 있으며, 유아가 뛰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지 못해 층간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fracture or concussion when the infant falls down inside the tent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floor, and it is not desirable because it can not block th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by the infant, and thus causes the interlayer noise.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32호에는 도 3과 같이 지주 프레임 집합체(3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 프레임 집합체(20)를 구비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인디언 텐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1832 discloses an Indian tent structure having a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받침 프레임 집합체(20)가 텐트 하단의 테두리부에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아가 텐트 내부로 출입시 걸려 넘어질 수 있으며, 유아가 넘어졌을 때 낙상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since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충격방지수단을 일체로 구성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전도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tent for infants whose shock absorbing means is integrally formed to enhance safety and prevent condu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도되더라도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접힘에 의한 타격, 질식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t for infants which can maintain an installed state even when the user is inadvertently guided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striking and suffocation by fo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관절 링크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t for infants which is equipped with a joint means in the form of a multi-jointed link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minimize volume during stor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가 텐트로 출입시에 바닥의 걸림부위를 최소화하여 낙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t for infants which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y minimizing the area where the infant hitches in and out of the 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텐트 내부에 해먹이나 그네 등의 놀이기구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t for infants which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 a tent such as a hammock or a swing so that utilization thereof can be enhanced.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는 바닥에 놓여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충격흡수수단과, 다수 부품이 일체로 이루어져 신축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바와, 상기 충격흡수수단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와 형합하여 지지바의 하단부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부구속구와, 상기 다수 지지바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구속하는 상부구속수단과, 상기 다수 지지바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상부구속수단 일측에 지지되어 유아가 탑승하는 놀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comprising: shock absorbing means placed on the floor and having a shock absorbing capability; a plurality of support bars extending and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at an edge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An upper restrain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in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bar in a state of being restrained by the upper support means, And a play devic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upper restraining means and carried by the infant.
상기 지지바의 외부 일측에는 다수의 바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bars to maintain a straight line stat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상기 상부구속수단은, 상기 다수의 지지바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최대 벌어짐 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구속하는 구속부와,Wherein the upper restraining means includes a restraining portion for restraining and restricting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s,
상기 구속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상기 놀이기구는 구속부와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결되어 하중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y devic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str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to support a load.
상기 지지바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바와, 상기 다수의 바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바가 접철되게 하는 접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ing b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old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bars and folding the bars.
상기 하부구속구는 충격흡수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바와 형합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ower restraining member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o be engaged with the support bar.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충격방지수단수단이 일체로 구성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전도가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act preventing means having the shock absorbing ability is integrally formed, the safety is improv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duction is obtained.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도되더라도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접힘에 의한 타격, 질식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is carelessly guid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talled state,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striking and suffocation by folding.
그리고 다관절 링크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And a jointing means in the form of a multi-jointed link, which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and minimizes the volume during storage.
그리고, 유아가 텐트로 출입시에 바닥의 걸림부위를 최소화하여 낙상이 방지되며, 층간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ant enters and exits the tent, the bottom of the floor is minimized to prevent fall, and the noise between the floors can be minimized.
뿐만 아니라, 텐트 내부에 해먹이나 그네 등의 놀이기구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 hammock or a swinging device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tent, thereby maximizing utilization.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815호에 개시된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의 부분 확대 사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9351호에 개시된 유아용 텐트의 구성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32호에 개시된 인디언 텐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외피가 제거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상부의 제1실시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일 구성인 지지바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지지바가 접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일 구성인 충격방지수단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놀이기구가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부 종단면도.FIG. 1 is a partial enlarged photograph of an Indian tent for infants and children,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0815.
2 is a block diagram of a tent for infant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53935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ian tent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183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kin is removed. FIG.
FIG. 5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ba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tent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ar is folded in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mpact preventing means,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tent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upper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to which a play apparatus is applied in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의 구성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tent for a ba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에서 외피가 제거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kin is removed.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100)는 다각형뿔 형태를 가지며, 최외측에는 외피(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외피는 유아용 텐트(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다.The outer skin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상기 유아용 텐트(100)의 바닥에는 충격흡수수단(110)이 구비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다각형 매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유아가 유아용 텐트(100) 내부에서 넘어지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상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e bottom of the infant tent (100), a shock absorbing means (110) is provided. The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수단(110)은 공기충진 방식도 채택될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E(Polyethylene) 폼, PU(polyurethane), 고무부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Therefore, the shock absorbing means 110 may be an air filling type, and may be made of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 polyethylene (PE) foam, a polyurethane (PU)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상기 충격흡수수단(110)의 가장자리에는 지지바(120)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는 다수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가장 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뼈대를 형성하며, 길이를 짧게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t the edge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110, the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는 충격흡수수단(110)의 상면과 접하거나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기울어져 상단부는 서로 모여지는 형태이다.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bar is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다수 지지바는 유아용 텐트(100)의 골격을 이루며 외측에는 상기 외피가 덮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constitute the skeleton of the
상기 지지바는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앙부가 접히도록 구성하였다.The supporting bar may be adjustable in length as require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ing bar may be fol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지지바의 접히는 부위 외측에는 지지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일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바가 접히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A
상기 유아용 텐트(100)의 상부에는 상부구속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구속수단(140)은 유아용 텐트(100)의 상부에서 모여진 다수의 지지바가 다시 흩어지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An upper restraining means 14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상부구속수단(140)과 지지부(130) 사이에는 연결부(14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42)는 단부가 지지부(130)와 상부구속수단(140)에 결합되어 상부구속수단(140)에 대하여 지지부(13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A connecting
상기 연결부(14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범위 내에서 끈 등의 가요성 소재가 채택될 수 있으며, 다수의 부품이 결합된 구조일 수도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충격흡수수단(110)과 지지바 사이에는 하부구속구(16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구속구(160)는 충격흡수수단(110)과 지지바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충격흡수수단(110)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와 결합되어 지지바의 하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A
따라서, 상기 지지바의 하부가 하부구속구(160)에 의해 충격흡수수단(110)에 구속되고, 지지바의 상부가 상부구속수단(14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유아용 텐트(100)가 전복되더라도 다각형 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is restrained by the
이하에서는 상기 유아용 텐트(100)에서 상부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100)에서 상부의 제1실시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100)에서 일 구성인 지지바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100)에서 지지바가 접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바는 상부구속수단(140)에 의해 다각형 뿔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바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최대 벌어짐 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구속하는 구속부(141)와, 전술한 연결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bar is hel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horn by the upper restraining means 140, and the restraining
상기 구속부(141)는 내부가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다수의 지지바 상단부를 방사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개구부(143)가 함몰 형성된다.The restricting
즉, 상기 개구부(143)는 지지바의 상부 외경보다 조금 크거나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지지바가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지지바는 선택적으로 접혀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바(122)와, 상기 다수 바(122)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바(122)가 접철되게 하는 접철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ing bar can be selectively folded and reduced in length. 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상기 바(122)는 다양한 단면 형상 및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시에 펼쳐져 유아용 텐트(100)의 뼈대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소재로도 변경 적용 가능하다.The
상기 접철부(1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과 같이 구성하였다.The
즉, 상기 접철부(124)는 바(122)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링크(125)와, 상기 링크(125)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지지바는 링크(125)와 조인트(126)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접혀져 도 7과 같이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Therefore, the support bar is folded by the interaction of the
상기 지지바는 구속부(14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접철부(124)를 접어 보관될 수도 있겠으나, 도 5와 같이 바(122)에는 핀(127)을 구비하고, 구속부(141)에는 안내홈(146)을 형성하여 상기 핀(127)이 안내홈(14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122)의 상부가 개구부(143)의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작용할 수 있다.The support bar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restricting
이때 상기 핀(127)은 안내홈(146)을 따라 이동하다가 안내홈(146)의 하단부에 걸려 더 이상의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바(122)는 도 7과 같이 구속부(141)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핀(127)과 안내홈(146)은 도 7과 같이 접철부(124)를 활용하여 길이가 축소된 지지바를 구속부(141)와 일체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The
이하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충격흡수수단(110)과 바(122)의 결합 구조를 살펴본다.Hereinafter, the joint structure of the
도면과 같이 상기 충격흡수수단(110)에는 구멍(112)이 천공된다. 상기 구멍은 바(12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전술한 하부구속구(160)가 하측 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때 상기 하부구속구(160)의 하부는 충격흡수수단(110)의 바닥면과의 간섭에 의해 상방향으로 관통하지 못하고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구속구(160)는 넓은 면적을 갖는 이탈방지부(162)와, 상기 이탈방지부(16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하부구속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이탈방지부(162)는 상측에서 잡아당겨지더라도 충격흡수수단(11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8과 같이 충격흡수수단(110)의 바닥면에 상방향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여 수용되게 할 수도 있으며, 충격흡수수단(110) 자체가 복원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안착될 수도 있다.8, the bottom of the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부(162)는 유아용 텐트(100)가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강도는 가지면서 소정의 탄성복원력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하여 층간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since the departure-avoiding
상기 하부구속부(164)는 이탈방지부(162)의 상면에서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태를 갖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바(122)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꽂힌 바(122)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이하에서는 상기 유아용 텐트(1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텐트(100)에서 놀이기구(180)가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n upper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도면과 같이 상기 유아용 텐트(100)에는 유아를 위한 놀이기구(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놀이기구(180)는 그네, 해먹과 같은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구속수단(140)에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놀이기구(180)는 구속부(141)와 지지부(130) 및 연결부(14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연결부(142)는 도 9와 같이 강도가 큰 금속 등으로 뼈대를 이루고 일측이 접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접히는 부위는 사용자의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접히도록 보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속부(141)는 도 4와 샅이 상부가 차폐된 형상을 적용하여 바(122)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8과 같이 바(122)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43)를 관통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놀이기구(180)는 도 8과 같이 구속부(141)와 연결부(14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놀이기구(180)가 위치하게 될 높이를 고려하여 지지부(130)에 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00. 유아용 텐트 110. 충격흡수수단
112. 구멍 120. 지지바
122. 바 124. 접철부
125. 링크 126. 조인트
127. 핀 130. 지지부
140. 상부구속수단 141. 구속부
142. 연결부 143. 개구부
146. 안내홈 160. 하부구속구
162. 이탈방지부 164. 하부구속부
180.놀이기구 100.
112.
122.
125.
127.
140. Upper restraining means 141. Restraining part
142. Connecting
146.
162.
180. Playground
Claims (6)
다수 부품이 일체로 이루어져 신축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바와,
상기 충격흡수수단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와 형합하여 지지바의 하단부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부구속구와,
상기 다수 지지바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구속하는 상부구속수단과,
상기 다수 지지바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상부구속수단 일측에 지지되어 유아가 탑승하는 놀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외부 일측에는 다수의 바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Shock absorbing means placed on the floor and having impact absorbing capability,
A plurality of support bars which are integrally formed by a plurality of parts integr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upward at an edge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A lower restrain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when the support bar is engaged with the support bar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shock absorbing means,
Upper restraining means for receiving and restraining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 sheath enclosing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to form an outer appearance,
And a play device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upper restraining means and carried by the infant,
Wherein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bars in a straight line state is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support bar.
상기 다수의 지지바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최대 벌어짐 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구속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restraining means comprises: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and restricting a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inside the upper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The infant ten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lay devic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str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to support a load.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바와, 상기 다수의 바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바가 접철되게 하는 접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plurality of ba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old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bars and folding a plurality of bars.
[6] The infant ten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wer restraint member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hock absorbing member to be engaged with the support b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617A KR101700691B1 (en) | 2016-05-19 | 2016-05-19 | Tent for inf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617A KR101700691B1 (en) | 2016-05-19 | 2016-05-19 | Tent for infa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0691B1 true KR101700691B1 (en) | 2017-01-31 |
Family
ID=5799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1617A KR101700691B1 (en) | 2016-05-19 | 2016-05-19 | Tent for infa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069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9677A (en) * | 2019-05-29 | 2019-08-27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Folding children's articles |
US20230184000A1 (en) * | 2021-12-10 | 2023-06-15 | Bijou Corp. | Variable temporary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78978B1 (en) * | 1999-06-22 | 2001-01-30 | Hedstrom Corporation | Children's activity and entertainment enclosure |
KR200321340Y1 (en) * | 2003-05-10 | 2003-07-28 | 김유나 | a tent |
KR101497605B1 (en) * | 2013-09-27 | 2015-03-03 | 이영주 | Indian tent available as mat |
-
2016
- 2016-05-19 KR KR1020160061617A patent/KR10170069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78978B1 (en) * | 1999-06-22 | 2001-01-30 | Hedstrom Corporation | Children's activity and entertainment enclosure |
KR200321340Y1 (en) * | 2003-05-10 | 2003-07-28 | 김유나 | a tent |
KR101497605B1 (en) * | 2013-09-27 | 2015-03-03 | 이영주 | Indian tent available as ma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9677A (en) * | 2019-05-29 | 2019-08-27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Folding children's articles |
US20230184000A1 (en) * | 2021-12-10 | 2023-06-15 | Bijou Corp. | Variable temporary structure |
US12060726B2 (en) * | 2021-12-10 | 2024-08-13 | Bijou Corp. | Variable temporary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75718B1 (en) | Playpen and exercise structure | |
US20130318709A1 (en) | Infant Supporting Apparatus | |
KR101700691B1 (en) | Tent for infants | |
US20060230528A1 (en) | Cot or playpen | |
US20090007337A1 (en) | Portable cushion and bumper device | |
US20090205140A1 (en) | Infant play environment | |
CA2918029A1 (en) | Popped-up playmat assembly | |
CA2895883A1 (en) | Popped-up playmat assembly | |
US4899496A (en) | Portable child enclosure | |
KR200485388Y1 (en) | Variable mat set | |
US9901840B2 (en) | Playhouse assembly | |
CN109843643A (en) | A kind of children's hand basket with frame and filled type inner casing | |
KR200482267Y1 (en) | Mats fence of assemble type | |
KR101437536B1 (en) | Ball-pool for child | |
KR101497605B1 (en) | Indian tent available as mat | |
KR101347434B1 (en) | functional mat | |
KR200484934Y1 (en) | Variable mat set | |
KR20190000576U (en) | Prefabricated play house | |
US20180200639A1 (en) | Modular transformable tent house | |
KR20190107952A (en) | Pet seat for cars | |
KR200489408Y1 (en) | Folding type bed with tent | |
KR20130002997U (en) | Umbrella stand in the car | |
KR20210053655A (en) | Expandable Infant Bedding Sets | |
AU2020203913A1 (en) |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 |
US5853329A (en) | Whirl around to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