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358B1 -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358B1
KR101700358B1 KR1020090121935A KR20090121935A KR101700358B1 KR 101700358 B1 KR101700358 B1 KR 101700358B1 KR 1020090121935 A KR1020090121935 A KR 1020090121935A KR 20090121935 A KR20090121935 A KR 20090121935A KR 101700358 B1 KR101700358 B1 KR 10170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pth
encoding
current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090A (ko
Inventor
엘레나 알쉬나
알렉산더 알쉰
바딤 세레긴
니콜라이 쉬라코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12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5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174992.6A priority patent/EP2945379A3/en
Priority to EP15174988.4A priority patent/EP2947876A3/en
Priority to CN201510387983.3A priority patent/CN104967846B/zh
Priority to EP10836223.7A priority patent/EP2510699A4/en
Priority to CN201510387296.1A priority patent/CN105100797B/zh
Priority to CN201510388369.9A priority patent/CN104980736B/zh
Priority to US12/964,688 priority patent/US8548052B2/en
Priority to CN201510388593.8A priority patent/CN105025293B/zh
Priority to EP15174991.8A priority patent/EP2945378A3/en
Priority to PCT/KR2010/008822 priority patent/WO2011071328A2/en
Priority to EP15174986.8A priority patent/EP2947875A3/en
Priority to CN201080063360.6A priority patent/CN102763411B/zh
Publication of KR2011006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090A/ko
Priority to US14/849,073 priority patent/USRE47254E1/en
Priority to US14/927,096 priority patent/USRE47445E1/en
Priority to US14/926,883 priority patent/USRE47243E1/en
Priority to US14/926,968 priority patent/USRE47758E1/en
Priority to US14/927,025 priority patent/USRE47759E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Abstract

부호화되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구성하는 각 픽셀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며, 현재 부호화 단위와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의 차이값을 부호화함으로써 영상의 예측 효율을 향상시키는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본 발명은 예측된 영상 데이터의 위치에 따른 후처리를 통해 영상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PEG-1, MPEG-2, MPEG-4, H.264/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와 같은 영상 압축 방식에서는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해서 하나의 픽처를 매크로 블록으로 나눈다. 그리고, 인터 예측 및 인트라 예측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부호화 모드에서 각각의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 다음,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에 소요되는 비트율과 원 매크로 블록과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과의 왜곡 정도에 따라서 부호화 모드를 하나 선택하여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비디오 컨텐트를 재생,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비디오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비디오 코덱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기존의 비디오 코덱에 따르면, 비디오는 소정 크기의 매크로블록에 기반하여 제한된 예측 모드에 따라 부호화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예측 블록의 픽처 내의 위치에 따른 후처리를 통해 예측 블록 내부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하여 새로운 예측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영상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부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제 1 예측값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제 1 예측값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제 2 예측값을 획득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예측값은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좌상측 픽셀의 제 2 예측값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주변 픽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주변 픽셀 및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영상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 정보에 따라서 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들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정사각 데이터 단위들 중 하나이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주변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비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가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에 대응되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픽셀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위치한 주변 픽셀은 상기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제 1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 1 예측값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제 2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예측값은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좌상측 픽셀의 제 2 예측값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주변 픽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주변 픽셀 및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영상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 정보에 따라서 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들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정사각 데이터 단위들 중 하나이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주변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비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가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에 대응되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픽셀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위치한 주변 픽셀은 상기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엔트로피 디코더; 및 상기 예측 모드에 따라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제 1 예측값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제 1 예측값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제 2 예측값을 획득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예측값은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좌상측 픽셀의 제 2 예측값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주변 픽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주변 픽셀 및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영상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 정보에 따라서 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들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정사각 데이터 단위들 중 하나이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주변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비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가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에 대응되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픽셀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위치한 주변 픽셀은 상기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복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30) 및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를 포함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는 최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현재 픽처 또는 현재 슬라이스를 분할한다. 현재 픽처 또는 현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다. 분할된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심도를 이용해 부호화 단위가 표현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 중 크기가 가장 큰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며, 심도는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축소된 서브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나타낸다. 심도가 커지면서,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 축소될 수 있으며,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최소 심도로 정의되고, 최소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최대 심도로 정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가 커짐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감소하므로, k 심도의 서브 부호화 단위는 k+1 이상의 심도를 갖는 복수 개의 서브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며,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축소되는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축소되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공간 영역(spatial domain)의 영상 데이터가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상위 부호화 단위까지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계층적으로 축소한 총 횟수를 제한하는 최대 심도 및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최대 심도는 픽처 또는 슬라이스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픽처 또는 슬라이스마다 상이한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최대 심도를 갖을 수 있으며, 최대 심도에 따라 최대 영상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최소 부호화 단위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처 또는 슬라이스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최대 심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평탄한 영역의 영상은 보다 큰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압축률을 향상시키고, 복잡도가 큰 영상은 보다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영상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상이한 최대 심도를 결정한다. 최대 심도는 R-D 코스트(Rate-Distortion Cost) 계산에 기초해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최대 심도는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로 출력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 별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30)로 출력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영상 데이터는 최대 심도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심도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부호화되고,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부호화 결과가 비교된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의 비교 결과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최대화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되어 축소되며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오차를 측정하고 상위 심도로의 축소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오차가 다르므로 위치에 따라 부호화 심도가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대 부호화 단위는 상이한 심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 심도가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들은 상이한 크기의 처리 단위에 기초해 예측 또는 주파수 변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부호화를 위한 복수의 처리 단계들을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태의 처리 단위에 기초해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해 서는 예측, 주파수 변환, 엔트로피 부호화 등의 처리 단계를 거치는데, 모든 단계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의 처리 단위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단계별로 상이한 크기의 처리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를 예측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와 다른 처리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단, N은 양의 정수)인 경우, 예측을 위한 처리 단위는 2Nx2N, 2NxN, Nx2N, NxN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반분하는 형태의 처리 단위를 기반으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예측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 단위는 '예측 단위'라 한다.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특정 예측 모드는 특정 크기 또는 형태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모드는 정방형인 2Nx2N, Nx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는 2Nx2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내부에 복수의 예측 단위가 있다면, 각각의 예측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의 처리 단위에 기초해 영상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주파수 변환을 위해서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주파수 변환의 기초가 되는 처리 단위를 '변환 단위'라 한다.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는 라그랑자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 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를 측정하여 최적의 부호화 오차를 갖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가 어떠한 형태의 복수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결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의 서브 부호화 단위는 심도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다.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30)는,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에서 최소 부호화 오차를 측정하기 위해 부호화가 이미 수행되었으므로, 이를 이용해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는,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심도 정보,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의 분할 타입 정보, 예측 단위별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정보는, 현재 심도로 부호화하지 않고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심도별 축소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되므로 현재 심도의 축소 정보는 더 이상 상위 심도로 축소되지 않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 가 아니라면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한 부호화를 시도해보아야 하므로, 현재 심도의 축소 정보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축소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축소된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가 수행된다.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 내에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나 이상 존재하므로, 각각의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recursive)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안에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가 결정되며 부호화 심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할되어 위치 별로 부호화 심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최소 부호화 단위마다 해당 부호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동일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최소 부호화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인근 최소 부호화 단위들이 동일한 심도별 부호화 정보를 갖고 있다면, 동일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최소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가장 간단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도별 부호 화 단위는 한 계층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반분한 크기의 부호화 단위이다. 즉, 현재 심도(k)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상위 심도(k+1)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NxN 이다. 따라서, 2Nx2N 크기의 현재 부호화 단위는 NxN 크기의 상위 심도 부호화 단위를 최대 4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처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기반으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의 형태 분할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다양한 예측 모드, 주파수 변환 방식 등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 크기의 부호화 단위의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부호화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높거나 데이터량이 매우 큰 영상을 종래의 16x16 크기의 매크로블록 단위로 부호화한다면, 픽처당 매크로블록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진다. 이에 따라, 매크로블록마다 생성되는 압축 정보도 많아지므로 압축 정보의 전송 부담이 커지고 데이터 압축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는, 영상의 크기를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영상 압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영 상 데이터 획득부(210),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 및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영상 관련 데이터 획득부(210)는 영상 복호화 장치(200)가 수신한 비트열을 파싱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한다. 영상 관련 데이터 획득부(210)는 현재 픽처 또는 슬라이스에 대한 헤더로부터 현재 픽처 또는 슬라이스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단위별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영상 복호화 장치(200)가 수신한 비트열을 파싱하여,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 정보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단위별 예측 단위의 분할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심도 정보로서, 심도별 축소 정보가 추출될 수도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심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서브 부호화 단위별 예측 단위에 대한 정보, 예측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변환 단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서브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과정은 인트라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움직임 예측 과정, 및 주파수 역변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과정은 인트라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예측 과정 및 역변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단위별 예측을 위해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의 분할 타입 정보 및 예측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각각의 예측 단위 및 예측 모드로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역변환을 위해,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각각의 변환 단위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심도별 축소 정보를 이용하는 현재 최대 부호 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축소 정보가 현재 심도로 복호화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면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의 분할 타입, 예측 모드 및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즉,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정보를 관찰하여, 동일한 축소 정보를 포함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최소 부호화 단위를 모아,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복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과정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픽처에 대한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 부호화 단위로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의 영상 또는 데이터량이 과도하게 많은 영상이라도 부호화단으로부터 전송된 최적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특성에 적응적으로 결정된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부호화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부호화 단위는 너비x높이가 64x64인 부호화 단위부터, 32x32, 16x16, 8x8, 및 4x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 이외에도, 너비x높이가 64x32, 32x64, 32x16, 16x32, 16x8, 8x16, 8x4, 4x8인 부호화 단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서 비디오 데이터(31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32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4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33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352x288,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16,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해상도가 높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압축률 향상뿐만 아니라 영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330)에 비해, 해상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310, 320)는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64로 선택될 수 있다.
최대 심도는 계층적 부호화 단위에서 총 계층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31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10)의 부호화 단위(31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심도가 두 계층 증가하여 장축 크기가 32, 16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데이터(33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30)의 부호화 단위(335)는 장축 크기가 16인 부호화 단위들로부터, 심도가 두 계층 증가하여 장축 크기가 8, 4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의 최대 심도는 4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20)의 부호화 단위(32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심도가 네 계층 증가하여 장축 크기가 32, 16, 8, 4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심도가 증가할수록 더 작은 서브 부호화 단위에 기초해 영상을 부호화하므로 보다 세밀한 장면을 포함 하고 있는 영상을 부호화하는데 적합해진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트라 예측부(410)는 현재 프레임(405) 중 인트라 모드의 예측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인터 모드의 예측 단위에 대해 현재 프레임(405) 및 참조 프레임(495)을 이용해 인터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로부터 출력된 예측 단위에 기초해 레지듀얼 값들이 생성되고, 생성된 레지듀얼 값들은 주파수 변환부(430) 및 양자화부(440)를 거쳐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출력된다. 특히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부(410)는 인트라 예측된 부호화 단위가 픽처 경계에 속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각 픽셀을 그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변경하는 후처리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픽처 경계에 속하지 않는 부호화 단위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한다. 후처리된 부호화 단위와 원 부호화 단위의 차이값인 레지듀얼 값들은 주파수 변환부(430) 및 양자화부(440)를 거쳐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출력될 수 있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부(460), 주파수 역변환부(470)를 통해 다시 레지듀얼 값으로 복원되고, 복원된 레지듀얼 값들은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를 거쳐 후처리되어 참조 프레임(495)으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450)를 거쳐 비트스트림(455)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하기 위해, 영상 부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움직임 보상부(425), 주파수 변환부(430), 양자화부(440), 엔트로피 부호화부(450), 역양자화부(460), 주파수 역변환부(470),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는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 심도에 따른 서브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에 기초해 영상 부호화 과정들을 처리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심도를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 내의 예측 단위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주파수 변환부(43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심도를 고려하여 변환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트스트림(505)이 파싱부(510)를 거쳐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 정보가 파싱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및 역양자화부(530)를 거쳐 역양자화된 데이터로 출력되고, 주파수 역변환부(540)를 거쳐 레지듀얼 값들로 복원된다. 레지듀얼 값들은 인트라 예측부(550)의 인트라 예측의 결과 또는 움직임 보상부(560)의 움직임 보상 결과와 가산되어 부호화 단위 별로 복원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부(550)는 현재 복호화 단위가 픽처의 경계를 벗어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인트라 예측 결과 생성된 예측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 여부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복원된 부호화 단위는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 링부(580)를 거쳐 다음 부호화 단위 또는 다음 픽처의 예측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따라 복호화하기 위해 영상 복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파싱부(510),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역양자화부(530), 주파수 역변환부(540),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 심도에 따른 서브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에 기초해 영상 복호화 과정들을 처리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심도를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 내의 예측 단위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주파수 역변환부(54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심도를 고려하여 변환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계층적인 부호화 단위를 사용한다.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 최대 심도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가 64이며, 최대 심도가 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서 심도가 증가하므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각각 축소된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기반이 되는 부분적 데이터 단위인 예측 단위가 도시되어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610)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 중 최대 부호화 단위로서 심도가 0이며, 부호화 단위의 크기, 즉 높이 및 너비가 64x64이다.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증가하며, 크기 32x32인 심도 1의 부호화 단위(620), 크기 16x16인 심도 2의 부호화 단위(630), 크기 8x8인 심도 3의 부호화 단위(640), 크기 4x4인 심도 4의 부호화 단위(650)가 존재한다. 크기 4x4인 심도 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심도별로 가로축을 따라,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로서,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심도 0의 크기 64x64의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예측 단위는,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크기 64x64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610), 크기 64x32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12), 크기 32x64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14), 크기 32x32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16)일 수 있다.
심도 1의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의 예측 단위는,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에 포함되는 크기 32x32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620), 크기 32x16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22), 크기 16x32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24), 크기 16x16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26)일 수 있다.
심도 2의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의 예측 단위는, 크기 16x16의 부호 화 단위(630)에 포함되는 크기 16x16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630), 크기 16x8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32), 크기 8x16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34), 크기 8x8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36)일 수 있다.
심도 3의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의 예측 단위는,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에 포함되는 크기 8x8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640), 크기 8x4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42), 크기 4x8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44), 크기 4x4의 부분적 데이터 단위들(646)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도 4의 크기 4x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며 최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고, 해당 예측 단위도 크기 4x4의 데이터 단위(65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최대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동일한 범위 및 크기의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심도가 증가할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한 개가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는 네 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를 심도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한 개의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및 네 개의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되어야 한다.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를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 을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해당 심도에서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인 대표 부호화 오차가 선택될 수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 심도를 증가시키며, 각각의 심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심도별 대표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가 검색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610) 중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가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 및 분할 타입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영상을 분할하여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한다. 부호화 과정 중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크지 않은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710)가 64x64 크기일 때, 32x32 크기의 변환 단위(720)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64x64 크기의 부호화 단위(710)의 데이터를 64x64 크기 이하의 32x32, 16x16, 8x8, 4x4 크기의 변환 단위들로 각각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한 후, 원본과의 오차가 가장 적은 변환 단위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분할 타 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분할 타입에 대한 정보(8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예측을 위해 예측 단위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타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심도 0 및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 CU_0는, 크기 2Nx2N의 예측 단위(802), 크기 2NxN의 예측 단위(804), 크기 Nx2N의 예측 단위(806), 크기 NxN의 예측 단위(808)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할되어 예측 단위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에 관한 정보(800)는 크기 2Nx2N의 예측 단위(802), 크기 2NxN의 예측 단위(804), 크기 Nx2N의 예측 단위(806) 및 크기 NxN의 예측 단위(808)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는, 각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예측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를 통해, 분할 타입에 관한 정보(800)가 가리키는 예측 단위가 인트라 모드(812), 인터 모드(814) 및 스킵 모드(816) 중 하나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는지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변환 단위 크기에 관한 정보(82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어떠한 변환 단위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변환 단위는 제 1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2),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4), 제 1 인터 변환 단위 크기(826),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8)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부호화 정보 추출부는,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분할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 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추출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심도의 증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축소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축소 정보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축소될지 여부를 나타낸다.
심도 0 및 2N_0x2N_0 크기의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910)는 2N_0x2N_0 크기의 분할 타입(912), 2N_0xN_0 크기의 분할 타입(914), N_0x2N_0 크기의 분할 타입(916), N_0xN_0 크기의 분할 타입(918)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타입마다, 한 개의 2N_0xN_0 크기의 예측 단위, 두 개의 2N_0xN_0 크기의 예측 단위, 두 개의 N_0x2N_0 크기의 예측 단위, 네 개의 N_0xN_0 크기의 예측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움직임 예측을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크기 2N_0xN_0 및 크기 N_0xN_0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며, 크기 N_0x2N_0 및 크기 N_0xN_0의 예측 단위로는 인터 모드로만 움직임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스킵 모드는 크기 2N_0xN_0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크기 N_0xN_0의 분할 타입(91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0를 1로 증가(920)시키고, 심도 2 및 크기 N_0xN_0의 분할 타입의 부호화 단위들(922, 924, 926, 928)에 대해 반복적으로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 다.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922, 924, 926, 928)에 대해 부호화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므로, 이중 하나만 예를 들어 심도 1의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를 설명한다. 심도 1 및 크기 2N_1x2N_1 (=N_0xN_0)의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930)는, 크기 2N_1x2N_1의 분할 타입(932), 크기 2N_1xN_1의 분할 타입(934), 크기 N_1x2N_1의 분할 타입(936), 크기 N_1xN_1의 분할 타입(938)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타입마다, 한 개의 크기 2N_1x2N_1의 예측 단위, 두 개의 크기 2N_1xN_1의 예측 단위, 두 개의 크기 N_1x2N_1의 예측 단위, 네 개의 크기 N_1xN_1의 예측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움직임 예측을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크기 N_1xN_1 크기의 분할 타입(93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1을 심도 2로 증가(940)시키면서, 심도 2 및 크기 N_2xN_2의 부호화 단위들(942, 944, 946, 948)에 대해 반복적으로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최대 심도가 d인 경우, 심도별 축소 정보는 심도 d-1일 때까지 설정될 수 있다. 즉, 심도 d-1 및 크기 2N_(d-1)x2N_(d-1)의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950)는, 크기 2N_(d-1)x2N_(d-1)의 분할 타입(952), 크기 2N_(d-1)xN_(d-1)의 분할 타입(954), 크기 N_(d-1)x2N_(d-1)의 분할 타입(956), 크기 N_(d-1)xN_(d-1)의 분할 타입(958)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타입마다, 한 개의 크기 2N_(d-1)x2N_(d-1)의 예측 단위, 두 개의 크기 2N_(d-1)xN_(d-1)의 예측 단위, 두 개의 크기 N_(d-1)x2N_(d-1)의 예측 단위, 네 개의 크기 N_(d-1)xN_(d-1)의 예측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움직임 예측을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952)는 더 이상 축소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912)를 위한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심도별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심도 0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부호화 오차는 분할 타입(912, 914, 916, 918)마다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한 후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예측 단위가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심도 0, 1, ..., d-1 마다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 단위가 검색될 수 있다. 심도 d에서는, 크기 2N_dx2N_d의 부호화 단위이면서 예측 단위(960)를 기반으로 한 움직임 예측을 통해 부호화 오차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도 0, 1, ..., d-1, d의 모든 심도별 최소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되어 부호화 심도로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및 해당 심도의 예측 단위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써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심도 0으로부터 부호화 심도에 이르기까지 부호화 단위가 축소되어야 하므로, 부호화 심도의 축소 정보만이 '0'으로 설정되고, 부호화 심도를 제외한 심도별 축소 정보는 '1'로 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부호화 단위(912)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 단위(912)를 복호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 호화 장치(200)는 심도별 축소 정보를 이용하여 축소 정보가 '0'인 심도를 부호화 심도로 파악하고, 해당 심도에 대한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주파수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1010)는, 최대 부호화 단위(1000)에 대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가 결정한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이다. 예측 단위(1060)는 부호화 단위(1010) 중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이며, 변환 단위(1070)는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들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은 최대 부호화 단위(1000)의 심도가 0이라고 하면, 부호화 단위들(1012, 1054)은 심도가 1, 부호화 단위들(1014, 1016, 1018, 1028, 1050, 1052)은 심도가 2, 부호화 단위들(1020, 1022, 1024, 1026, 1030, 1032, 1038)은 심도가 3, 부호화 단위들(1040, 1042, 1044, 1046)은 심도가 4이다.
예측 단위들(1060) 중 일부(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타입이다. 즉, 예측 단위(1014, 1022, 1050, 1054)는 2NxN의 분할 타입이며, 예측 단위(1016, 1048, 1052)는 Nx2N의 분할 타입, 예측 단위(1032)는 NxN의 분할 타입이다. 즉,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의 예측 단위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다.
변환 단위들(1070) 중 일부(1052, 1054)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호화 단위에 비해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주파수 변환 또는 주파수 역변환이 수행된 다. 또한, 변환 단위(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예측 단위들(1060) 중 해당 예측 단위와 비교해보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태의 데이터 단위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동일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및 주파수 변환/역변환 작업이라 할지라도, 각각 별개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는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를 부호화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축소 정보, 분할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부호화 정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20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일 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소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축소 정보에 따라 더 이상 축소되지 않는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므로, 부호화 심도에 대해서 분할 타입 정보, 예측 모드, 변환 단위 크기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축소 정보에 따라 한 단계 더 축소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축소된 4개의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분할 타입 정보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분할 타입을 2Nx2N, 2NxN, Nx2N 및 NxN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예측 모드는, 움직임 예측 모드를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모드는 분할 타입 2Nx2N 및 NxN에서만 정의될 수 있으며, 스킵 모드는 분할 타입 2Nx2N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변환 단위 크기는 인트라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 인터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내의 최소 부호화 단위마다, 소속되어 있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를 수록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최소 부호화 단위들끼리 각각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들을 확인하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가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면 해당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부호화 심도들의 분포가 유추될 수 있다.
이하,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인트라 예측부(410) 및 도 5의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인트라 예측부(550)에서 수행되는 인트라 예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부호화 단위는 영상의 부호화 단계에서 지칭되는 용어이며, 영상의 복호화 단계의 측면에서 부호화 단위는 복호화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와 복호화 단위라는 용어는 영상의 부호화 단계 및 복호화 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 지칭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며 부호화 단계에서의 부호화 단위는 복호화 단계에서의 복호화 단위로 불 리울 수 있다. 용어의 통일성을 위하여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호화 단계 및 복호화 단계에서 동일하게 부호화 단위로 통일하여 부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1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1200)는 예측부(1210), 판단부(1215) 및 후처리부(1220)를 포함한다. 예측부(121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출력한다. 판단부(1215)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소정의 인덱스(MPI_PredMode)를 생성한다.
인덱스(MPI_PredMode)는 후술되는 후처리(Multi-Parameter Intra-prediction:MPI)의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의 표 1과 같이 "0"의 값은 후처리를 통해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1"의 값은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MPI_PredMode MPI 모드명 의미
0 MPI_Mode0 MPI 처리 안함
1 MPI_Mode1 MPI 처리
전술한 표 1에서는 후처리 수행 여부에 따라서 인덱스(MPI_PredMode)가 0과 1의 값을 갖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및 후처리 모드로서 N개의 모드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인덱스(MPI_PredMode)는 각 후처리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0~N 까지의 정수값을 갖을 수 있다.
후처리부(1220)는 판단부(1215)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현재 부호화 단위가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인덱스(MPI_PredMode)가 0의 값이 아닌 경우에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하는 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출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단위(복호화 단계에서는 복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에 적용할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을 참조하면 인트라 예측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NxN이라고 할 때, 2x2, 4x4, 8x8, 16x16, 32x32, 64x64, 128x128 크기의 부호화 단위 각각에 대하여 실제 수행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각각 5, 9, 9, 17, 33, 5, 5개(Example 2의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실제 수행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를 차별화하는 이유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예측 모드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의 경우 전체 영상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 등의 부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부호화 단위를 너무 많은 예측 모드로 부호화하는 경우 비트량이 증가하여 압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큰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 예를 들어 64x64 이상의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는 일반적으로 영상의 평탄한 영역에 대한 부호화 단위로서 선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평탄한 영역을 부호화하는데 많이 선택되는 큰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너무 많은 예측 모드로 부호화하는 것 역시 압축 효율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단위가 크게 N1xN1(2≤N1≤8, N1은 정수), N2xN2(16≤N2≤32, N2는 정수), N3xN3(64≤N3, N3는 정수)의 적어도 3종류의 크기로 분류되며, N1xN1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마다 수행될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를 A1(A1은 양의 정수), N2xN2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마다 수행될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를 A2(A2는 양의 정수), N3xN3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마다 수행될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를 A3(A3는 양의 정수)라고 할 때, A3≤A1≤A2 관계를 만족하도록 각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수행될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현재 픽처가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 중간 크기의 부호화 단위, 큰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크게 분류된다고 할 때, 중간 크기의 부호화 단위가 가장 많은 수의 예측 모드를 갖으며,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 및 큰 크기의 부호화 단위는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수의 예측 모드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은 크기 및 큰 크기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도 보다 많은 수의 예측 모드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각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른 예측 모드의 개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른 예측 모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a를 참조하면, 일 예로 4×4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의 인트라 예측시에 수직(Vertical) 모드(모드 0), 수평(Horizontal) 모드(모드 1), DC(Direct Current) 모드(모드 2), 대각선 왼쪽(Diagonal Down-Left) 모드(모드 3), 대각선 오른쪽(Diagonal Down-Right) 모드(모드 4), 수직 오른쪽(Vertical-Right) 모드(모드 5), 수평 아래쪽(Horizontal-Down) 모드(모드 6), 수직 왼쪽( Vertical-Left) 모드(모드 7) 및 수평 위쪽(Horizontal-Up) 모드(모드 8)를 갖을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에서 화살표의 끝에 있는 숫자는 그 방향으로 예측을 수행할 경우 해당 모드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모드 2는 방향성이 없는 DC 예측 모드로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4c는 도 14a에 도시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를 참조하면,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 이용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주변 픽셀인 A - M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4a의 모드 0, 즉 수직 모드에 따라, 4×4 크기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예측 부호화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4×4 크기의 현재 부호화 단위의 위쪽에 인접한 화소 A 내지 D의 화소값을 4×4 현재 부호화 단위의 화소값으로 예측한다. 즉, 화소 A의 값을 4×4 현재 부호화 단위의 첫 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화소값으로, 화소 B의 값을 4×4 현재 부호화 단위의 두 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화소값으로, 화소 C의 값을 4×4 현재 부호화 단위의 세 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화소값으로, 화소 D의 값을 4×4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네 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화소값으로 예측한다. 다음, 상기 화소 A 내지 D를 이용하여 예측된 4×4 현재 부호화 단위와 원래의 4×4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화소의 실제값을 감산하여 오차값을 구한 후 그 오차값을 부호화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일 예로 2×2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의 인트라 예측시에 수직(Vertical) 모드, 수평(Horizontal) 모드, DC(Direct Current) 모드, 플레인(plane) 모드 및 대각선 오른쪽(Diagonal Down-Right) 모드의 총 5개의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x32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가 3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갖는다고 할 때, 3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트라 예측 모드 이외에, 다양한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설정하기 위하여 부호화 단위 내의 픽셀을 중심으로 참조 픽셀로서 이용될 주변 픽셀을 선택하기 위한 예측 방향을 dx, dy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일 예로, 33개의 예측 모드들을 각각 mode N(N은 0부터 32까지의 정수)이라고 정의할 때, mode 0은 수직 모드, mode 1은 수평 모드, mode 2는 DC 모드, mode 3는 플레인 모드로 설정하고 mode 4 ~ mode31 각각은 다음의 표 2에 표기된 바와 같은 (1,-1), (1,1), (1,2), (2,1), (1,-2), (2,1), (1,-2), (2,-1), (2,-11), (5,-7), (10,-7), (11,3), (4,3), (1,11), (1,-1), (12,-3), (1,-11), (1,-7), (3,-10), (5,-6), (7,-6), (7,-4), (11,1), (6,1), (8,3), (5,3), (5,7), (2,7), (5,-7), (4,-3) 중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dx, dy)를 이용하여 tan-1(dy/dx)의 방향성을 갖는 예측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mode # dx dy mode # dx dy
mode 4 1 -1 mode 18 1 -11
mode 5 1 1 mode 19 1 -7
mode 6 1 2 mode 20 3 -10
mode 7 2 1 mode 21 5 -6
mode 8 1 -2 mode 22 7 -6
mode 9 2 -1 mode 23 7 -4
mode 10 2 -11 mode 24 11 1
mode 11 5 -7 mode 25 6 1
mode 12 10 -7 mode 26 8 3
mode 13 11 3 mode 27 5 3
mode 14 4 3 mode 28 5 7
mode 15 1 11 mode 29 2 7
mode 16 1 -1 mode 30 5 -7
mode 17 12 -3 mode 31 4 -3
mode 0은 수직 모드, mode 1은 수평 모드, mode 2는 DC 모드, mode 3는 플레인 모드, mode 32는 Bi-linear 모드임.
마지막 mode 32는 도 17을 이용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쌍선형(bilinear) 보간을 이용하는 쌍선형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표 2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복수 개의 (dx, dy) 파라메터들을 이용하여 tan-1(dy/dx)의 다양한 방향성을 갖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 내부의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픽셀(P)을 중심으로 표 2에 표기된 모드별 (dx, dy)의 값에 따라 정해지는 tan-1(dy/dx)의 각도를 갖는 연장선(150) 상에 위치한 주변 픽셀(A, B)를 현재 픽셀(P)의 예측자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예측자로서 이용되는 주변 픽셀은 이전에 부호화되고 복원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측 및 좌측의 이전 부호화 단위의 픽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선(160)이 정수 위치의 주변 픽셀이 아닌 정수 위치 주변 픽셀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연장선(160)에 더 가까운 주변 픽셀을 현재 픽셀(P)의 예측자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선(160)과 만나는 상측의 주변 픽셀(A) 및 좌측의 주변 픽셀(B)의 두 개의 주변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측의 주변 픽셀(A) 및 좌측의 주변 픽셀(B)의 평균값을 현재 픽셀(P)의 예측자로 이용하거나, 또는 dx*dy 값이 양수인 경우에는 상측의 주변 픽셀(A)을 이용하고 dx*dy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좌측의 주변 픽셀(B)을 이용할 수 있다.
표 2에 표기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는 부호화단과 복호화단에서 미리 설정되어서, 각 부호화 단위마다 설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의 해당 인덱스만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선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쌍선형(Bi-linear) 모드는 현재 부호화 단위 내부의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픽셀(P)를 중심으로 현재 픽셀(P)와 그 상하좌우 경계의 픽셀값, 현재 픽셀(P)의 상하좌우 경계까지의 거리를 고려한 기하 평균값을 계산하여 그 결과값을 현재 픽셀(P)의 예측자로 이용하는 것이다. 즉, 쌍선형 모드에서는 현재 픽셀(P)의 예측자로서 현재 픽셀(P)의 상하좌우 경계에 위치한 픽셀 A(171), 픽셀 B(172), 픽셀 D(176) 및 픽셀 E(177)과 현재 픽셀(P)의 상하좌우 경계까지의 거리의 기하 평균값을 이용한다. 이 때, 쌍선형 모드 역시 인트라 예측 모드 중의 하나이므로 예측시의 참조 픽셀로서 이전에 부호화된 후 복원된 상측과 좌측의 주변 픽셀을 이용한다. 따라서, 픽셀 A(161) 및 픽셀 (B)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 내부의 해당 픽셀값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측 및 좌측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의 픽셀값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한 상측 최좌측의 주변 픽셀(RightUpPixel, 174) 및 좌측 최하측의 주변 픽셀(LeftDownPixel,175)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현재 부호화 단위의 우측 최하단 위치의 가상의 픽셀 C(173)을 계산한다.
C=0.5(LeftDownPixel+RightUpPixel)
다음 현재 픽셀(P)의 좌측 경계까지의 거리(W1) 및 우측 경계까지의 거리(W2)를 고려하여 현재 픽셀(P)를 하단으로 연장하였을 때 최하측 경계선에 위치하는 가상의 픽셀 A(171)의 값을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한다.
A=(C*W1+LeftDownPixel*W2)/(W1+W2)
유사하게 현재 픽셀(P)의 상측 경계까지의 거리(h1) 및 하측 경계까지의 거리(h2)를 고려하여 현재 픽셀(P)를 우측으로 연장하였을 때 최우측 경계선에 위치하는 가상의 픽셀 B(172)의 값을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한다.
B=(C*h1+RightUpPixel*h2)/(h1+h2)
상기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현재 픽셀 P(170)의 하측 경계선상의 가상의 픽셀 A(171) 및 우측 경계선상의 가상의 픽셀 B(172)의 값이 결정되면 A+B+D+E의 평균값을 현재 픽셀 P(170)의 예측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쌍선형 예측 과정은 현재 부호화 단위 내부의 모든 픽셀에 대하여 적용되어, 쌍선형 예측 모드에 따른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 단위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따라서 예측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영상의 특성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2의 인트라 예측부(1200)의 예측부(1210)로부터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여 출력되는 예측 부호화 단위는 적용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다. 이러한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방향성은 부호화되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픽셀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경우에는 예측 효율이 향상될 수 있지만 현재 부호화 단위의 픽셀들이 방향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예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부(1220)는 인트라 예측을 통해 생성된 예측 부호화 단위에 대한 후처리 동작으로서,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각 픽셀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하여 새로운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함으로써 영상의 예측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 때, 후처리부(1220)는 모든 예측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판단부(1215)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예측 부호화 단위가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즉 MPI_PredMode가 0이 아닌 경우에만 후처리를 수행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를 위한 인덱싱(index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현재 픽처(2210)를 소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부호화할 때, 현재 픽처(2210)의 폭 'Frame_width'이 부호화 단위의 가로 길이의 배수가 아니거나, 또는 현재 픽처(2210)의 높이 'Frame_height'가 부호화 단위의 세로 길이의 배수가 아니라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픽처(2210)의 오른쪽 경계 및 하부 경계의 빗금으로 해칭된 부호화 단위들이 걸쳐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 판단부(1215)는 후처리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소정의 인덱스(MPI_PredMode)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후처리부(1220)에서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후처리 과정을 스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현재 예측 부호화 단위가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할 때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이유는, 후처리 과정 자체에서 각 픽셀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게 되는데 경계를 벗어난 예측 부호화 단위 내의 픽셀에 대해서는 주변 픽셀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결여된 픽셀을 패딩(padding) 또는 extrapolation 등을 통해 생성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더라도 원래 없던 픽셀을 새롭게 생성하여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측 효율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를 위한 인덱싱(index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판단부(1215)의 판단 결과, 부호화 단위(2320)가 픽처의 경계(2310)의 경계에 걸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호화 단위(2320) 전체를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는 대신에, 부호화 단위(2320)를 더 큰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다음, 분할된 더 큰 심도의 부호화 단위 각각이 경계를 벗어나는 영역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할 과정은 경계에 걸쳐 있는 부호화 단위들(2324, 2328)이 최소 부호화 단위가 되어 더 작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없을 때까지, 즉 최대 심도를 갖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를 벗어난 최소 부호화 단위들(2324,2328)에 대해서는 후처리가 수행되지 않도록 인덱스(MPI_PredMode)가 0으로 설정되고, 경계 내의 최소 부호화 단위들(2322, 2326)은 후처리가 수행되도록 인덱스(MPI_PredMode)가 1로 설정된다.
이하, 도 12의 후처리부(1220)에서 수행되는 예측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처리부(1220)는, 판단부(1215)의 판단 결과 현재 부호화 단위가 경계를 벗어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예측부(1210)에서 생성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구성하는 각 픽셀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한 후처리를 통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하여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여기서, 예측부(1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른 이용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8에서 도면 부호 1810 내지 1860은 후처리부(1220)에 의하여 처리되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각 픽셀값이 변경되는 과정을 시간 순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과 그 주변 픽셀들의 픽셀값들의 가중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810)의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1821)의 픽셀값을 f[1][1], 상측에 위치한 픽셀(1822)의 픽셀값을 f[0][1], 좌측에 위치한 픽셀(1823)의 픽셀값을 f[1][0]이라고 하면, 픽셀(1821)의 픽셀값 f[1][1]을 변경한 값을 f'[1][1]이라고 하면, f'[1][1]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1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각 픽셀들에 대해서 최좌상측으로부터 최우하측 방향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과 그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픽셀들의 가중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 동작은 최좌상측으로부터 최우하측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최우상측으로부터 최좌하측 방향으로, 또는 최우하측으로부터 최좌상측 방향으로, 또는 최좌하측으로부터 최우상측 방향으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처리부(1220)는 도 18에 도시된 처리 순서와 반대로 최우하측으로부터 최좌상측 방향으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픽셀들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과 그 하측 및 우측에 위치한 픽셀들의 가중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9에서 도면 부호 1910은 현재 변경하고자 하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제 1 픽셀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1911 내지 1918은 제 1 픽셀(191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픽셀들을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주변 픽셀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 픽셀들(1911 내지 1918) 중 선택된 소정 개수의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제 1 픽셀(1910)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0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의 제 1 픽셀(c)를 중심으로 그 주변 픽셀들(P1 내지 P8) 중에서 소정 개수의 주변 픽셀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변 픽셀과 제 1 픽셀(c)을 이용한 소정의 연산을 통해 제 1 픽셀(c)의 픽셀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 1 예 측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mxn(m 및 n은 양의 정수),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i(i는 0부터 m-1까지의 정수)번째 열 및 j(j는 0부터 n-1까지의 정수)번째 행에 위치한 제 1 픽셀(1910)의 픽셀값을 f[i][j], 제 1 픽셀(1910)의 주변 픽셀들(1911 내지 1918) 중 제1 픽셀(1910)의 후처리를 위해 선택된 n개(n은 2 또는 3)의 픽셀들의 값을 각각 f1 내지 fn이라고 하면, 후처리부(1220)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제 1 픽셀(1910)의 픽셀값 f[i][j]를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2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900) 내부의 모든 픽셀들에 대하여 전술한 수학식 2를 적용하여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전술한 수학식 2에서는 3개까지의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처리부(1220)는 4개 이상의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후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되는 각 픽셀과, 각 픽셀의 주변에 위치한 픽셀들의 가중 조화 평균값을 통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상측 및 좌측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 f[i][j]를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3
수학식 3에서, α, β, γ는 임의의 양의 정수값을 갖을 수 있으며, 일 예로 α=2, β=2, γ=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되는 각 픽셀과 각 픽셀의 주변 픽셀들의 가중 기하 평균값을 통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상측 및 좌측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 f[i][j]를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4
수학식 4에서, α, β, γ는 임의의 양의 정수값을 갖을 수 있으며, 일 예로 α=1, β=1, γ=2 일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 2 내지 4에서는 모두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 f[i][j]에 상대적으로 큰 가중치를 부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후처리부(1220)는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의 상측 및 좌측의 주변 픽셀에 한정되지 않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변 픽셀들(1911 내지 1918) 중 선택된 소정 개수의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후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과 그 주변 픽셀들 중 선택된 하나의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상측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 f[i][j]를 f'[i][j]로 변경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5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되는 픽셀과 그 좌측에 위치한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제 1 예측 부호하 단위의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 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 f[i][j]를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6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하고자하는 픽셀, 그 주변 픽셀들 사이의 중간값(median)으로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900)의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제 1 픽셀(1910)의 픽셀값 f[i][j], 제 2 픽셀(1912)의 픽셀값 f[i][j-1], 제 3 픽셀(1911)의 픽셀값 f[i-1][j]들이 다음의 크기 순서; f[i][j-1]>f[i-1][j]>f[i][j]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변경하고자 하는 제 1 픽셀(510)의 픽셀값 f[i][j]를 중간값인 f[i-1][j]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변경되는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는 대신에 현재 부호화 단위 이전에 부호화된 후 복원된 인접한 부호화 단위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900)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제 1 픽셀(1910)과 동일한 열에 위치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측 인접 부호화 단위에 위치한 픽셀(1921)의 평균값을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계산하여 제 1 픽 셀(1910)의 픽셀값을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7
수학식 7에서 f[-1][j]는 제 1 픽셀(1910)과 동일한 열에 위치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측 인접 부호화 단위에 위치한 픽셀(1921)의 픽셀값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900)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제 1 픽셀(1910)과 동일한 행에 위치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좌측 인접 부호화 단위에 위치한 픽셀(1922)의 평균값을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계산하여 제 1 픽셀(1910)의 픽셀값을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8
수학식 8에서 f[i][-1]는 제 1 픽셀(1910)과 동일한 행에 위치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좌측 인접 부호화 단위에 위치한 픽셀(1922)의 픽셀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900)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제 1 픽셀(1910), 제 1 픽셀(1910)과 동일한 열에 위치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측 인접 부호화 단위에 위치한 픽셀(1921) 및 동일한 행에 위치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 의 좌측 인접 부호화 단위에 위치한 픽셀(1922)의 가중 평균값을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계산하여 제 1 픽셀(1910)의 픽셀값을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09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1900)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제 1 픽셀의 픽셀값 f[i][j]를 다음의 수학식 10 내지 13 중 하나를 이용하여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10
Figure 112009076108612-pat00011
Figure 112009076108612-pat00012
Figure 112009076108612-pat00013
수학식 10은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열 단위로 픽셀값들을 아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이며, 수학식 11은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행 단위로 픽셀값들을 오른쪽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수학식 12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열 단위로 각 픽셀값들을 아래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이며, 수학식 13은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행 단위로 각 픽셀값들을 오른쪽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는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변경하고자 하는 i번째 열 및 j번째 행에 위치한 제 1 픽셀의 픽셀값을 f[i][j],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최좌상측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을 f[0][0], 제 1 픽셀과 동일한 j번째 열에 위치하며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최상측행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을 f[0][j], 제 1 픽셀과 동일한 i번째 행에 위치하며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최좌측열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을 f[i][0],
Figure 112009076108612-pat00014
라고 할 때, 다음의 수학식 14와 같이 제 1 픽셀의 픽셀값을 f'[i][j]로 변경한다.
Figure 112009076108612-pat00015
수학식 14는 일종의 파동 방정식(wave equation)에 기초한 것으로, 제 1 예측 부호화 내부의 픽셀값을 스무딩(smoothing)하기 위해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최상측행의 픽셀값과 최좌측열의 픽셀값을 경계 조건으로 하여서 G[i][j]를 계산하고, G[i][j]와 f[i][j]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픽셀들의 픽셀값을 변경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들과 같이 다양한 후처리 모드를 적용하여 생성된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들을 부호화한 비트스트림의 코스트가 비교되어, 최소 코스트를 갖는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후처리 모드가 비트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부가된다. 후처리 모드를 비트스트림에 부가할 때 소정 개수의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가 완료된 이후 결정된 후처리 모드의 분포에 기초하여, 많이 이용되는 후처리 모드에 적은 비트를 할당하는 가변 길이 부호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후처리 모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모드가 대부분의 부호화 단위에서 가장 작은 코스트를 발생시키는 최적의 연산이라고 할 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모드를 나타내는 인덱스에 가장 작은 비트를 할당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모드를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모드들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부호화 단위를 더 작은 서브 부호화 단위들로 나누어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 각 서브 부호화 단위 별로 서로 다른 후처리 모드를 적용하여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할 수도 있고, 계산을 간소화하고 오버 헤드의 비율을 낮추기 위해서 동일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서브 부호화 단위들에는 동일한 후처리 모드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최적의 후처리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코스트로는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은 다른 부호화 단위의 참조 데이터로 이용되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 단위에 적용되기 때문에 율-왜곡 최적화 방식에서 왜곡값(distortion)에 높은 가중치 를 두어 코스트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율-왜곡 최적화 방식은 다음의 수학식 15와 같이 부호화된 영상과 원영상의 차이값인 왜곡값 및 발생되는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코스트를 계산한다.
Cost=왜곡값(distortion)+비트율(bit-rate)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식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6과 같이 종래 율-왜곡 최적화 방식에 비하여 왜곡값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할당하여 최적의 후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st=α*왜곡값(distortion)+비트율(bit-rate) (α는 2 이상의 실수값)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 2110에서 부호화되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는 일반적인 인트라 예측 방식 및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적용하여 생성된 인트라 예측 블록이다.
단계 2120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판단 결과에 따라서, "0"의 값은 후처리를 통해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1"의 값은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소정의 인덱 스(MPI_PredMode)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 2120의 판단 결과,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2130에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를 구성하는 각 픽셀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전술한 후처리부(1220)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을 중심으로 그 주변 픽셀들에 다양한 후처리 모드를 적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들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된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와 현재 부호화 단위의 차이값인 레지듀얼에 대한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이 수행되어 비트스트림이 생성된다. 생성된 비트스트림의 소정 영역에는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후처리 모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복호화 장치에서 현재 복호화 단위에 대한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2120의 판단 결과,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단계 2140에서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지 않고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가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정보로 그대로 출력된다. 출력된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와 현재 부호화 단위의 차이값인 레지듀얼에 대한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이 수행되어 비트스트림이 생성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단계 2410에서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화되는 현재 복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2420에서, 추출된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서 현재 복호화 단위에 대한 제 1 예측 복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단계 2430에서, 현재 복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서, "0"의 값은 후처리를 통해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1"의 값은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소정의 인덱스(MPI_PredMode)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 2430의 판단 결과, 현재 복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440에서 제 1 예측 복호화 단위를 구성하는 각 픽셀과 각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픽셀값을 변경하여 제 2 예측 복호화 단위를 생성한다. 전술한 후처리부(1220)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변경하고자 하는 픽셀을 중심으로 그 주변 픽셀들에 다양한 후처리 모드를 적용하여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각 픽셀들의 픽셀값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예측 부호화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2430의 판단 결과, 현재 복호화 단위가 현재 픽처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2450에서 제 2 예측 복호화 단위를 생성하는 후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 1 예측 복호화 단위가 현재 복호화 단위의 예측 정보로 그대로 출력된다. 출력된 제 1 예측 복호화 단위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현재 복호화 단위의 레지듀얼과 가산되어 현재 복호화 단위가 복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된.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주파수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1200)의 구성을 나타 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를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선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예측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1220)에서 이용되는 주변 픽셀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를 위한 인덱 싱(index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의 후처리를 위한 인덱싱(index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제 1 예측값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제 1 예측값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제 2 예측값을 획득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예측값은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좌상측 픽셀의 제 2 예측값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주변 픽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주변 픽셀 및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영상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 정보에 따라서 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들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정사각 데이터 단위들 중 하나이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주변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비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가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에 대응되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픽셀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위치한 주변 픽셀은 상기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4. 삭제
  5.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제 1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 1 예측값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제 2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예측값은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좌상측 픽셀의 제 2 예측값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주변 픽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주변 픽셀 및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영상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 정보에 따라서 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들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정사각 데이터 단위들 중 하나이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주변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비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가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에 대응되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픽셀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위치한 주변 픽셀은 상기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6. 삭제
  7. 삭제
  8.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엔트로피 디코더; 및
    상기 예측 모드에 따라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제 1 예측값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제 1 예측값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제 2 예측값을 획득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예측값은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픽셀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 및 좌측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좌상측 픽셀의 제 2 예측값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주변 픽셀, 상기 좌상측 픽셀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주변 픽셀 및 상기 제 1 예측값의 가중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영상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 정보에 따라서 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들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정사각 데이터 단위들 중 하나이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주변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의 비분할을 나타낼 경우,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가 획득되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에 대응되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픽셀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경계 내에 위치한 주변 픽셀은 상기 이용가능한 주변 픽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21935A 2009-12-09 2009-12-09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0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35A KR101700358B1 (ko) 2009-12-09 2009-12-09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CT/KR2010/008822 WO2011071328A2 (en) 2009-12-09 2010-12-0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CN201510387983.3A CN104967846B (zh) 2009-12-09 2010-12-09 对视频解码的设备
EP10836223.7A EP2510699A4 (en) 2009-12-09 2010-12-09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N201510387296.1A CN105100797B (zh) 2009-12-09 2010-12-09 对视频解码的设备
CN201510388369.9A CN104980736B (zh) 2009-12-09 2010-12-09 对视频编码的方法和设备以及对视频解码的方法和设备
US12/964,688 US8548052B2 (en) 2009-12-09 2010-12-0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CN201510388593.8A CN105025293B (zh) 2009-12-09 2010-12-09 对视频编码的方法和设备以及对视频解码的方法和设备
EP15174992.6A EP2945379A3 (en) 2009-12-09 2010-12-09 Method of video decoding using intra prediction
EP15174988.4A EP2947876A3 (en) 2009-12-09 2010-12-09 Apparatus of video decoding using intra prediction
EP15174986.8A EP2947875A3 (en) 2009-12-09 2010-12-09 Apparatus of video decoding using intra prediction
CN201080063360.6A CN102763411B (zh) 2009-12-09 2010-12-09 对视频编码的方法和设备以及对视频解码的方法和设备
EP15174991.8A EP2945378A3 (en) 2009-12-09 2010-12-09 Apparatus of video decoding using intra prediction
US14/849,073 USRE47254E1 (en) 2009-12-09 2015-09-0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US14/927,096 USRE47445E1 (en) 2009-12-09 2015-10-2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US14/926,883 USRE47243E1 (en) 2009-12-09 2015-10-2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US14/926,968 USRE47758E1 (en) 2009-12-09 2015-10-2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US14/927,025 USRE47759E1 (en) 2009-12-09 2015-10-29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35A KR101700358B1 (ko) 2009-12-09 2009-12-09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588A Division KR101703332B1 (ko) 2015-01-30 2015-01-30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90A KR20110065090A (ko) 2011-06-15
KR101700358B1 true KR101700358B1 (ko) 2017-01-26

Family

ID=4408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935A KR101700358B1 (ko) 2009-12-09 2009-12-09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8548052B2 (ko)
EP (5) EP2947875A3 (ko)
KR (1) KR101700358B1 (ko)
CN (5) CN105025293B (ko)
WO (1) WO20110713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68B1 (ko) 2008-07-02 2015-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5049860A (zh) * 2010-02-24 2015-11-11 夏普株式会社 图像解码装置
KR101781874B1 (ko) * 2010-05-25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규한 평면 예측 모드
CN104811718A (zh) * 2010-10-26 2015-07-29 数码士控股有限公司 自适应帧内预测编码和解码方法
CN102595116B (zh) 2011-01-14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图像块划分的编解码方法和装置
US8548057B2 (en) 2011-01-25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ding redundancy reduction
US8995523B2 (en) 2011-06-03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emory efficient context modeling
SG10201408715UA (en) 2011-06-28 2015-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using offset adjustments according to pixel classif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SI2739053T1 (sl) 2011-07-29 2019-11-29 Sun Patent Trust Postopek za dekodiranje videa, naprava za dekodiranje videa
US9769472B2 (en) * 2011-08-17 2017-09-19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prediction using non-square blocks
US9787982B2 (en) * 2011-09-12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Non-square transform units and prediction units in video coding
CN103931193B (zh) * 2011-09-21 2017-11-21 Lg电子株式会社 编码/解码图像的方法和装置
JP5972888B2 (ja) * 2011-09-29 2016-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MX353235B (es) 2011-09-29 2018-01-08 Sharp Kk Star Dispositivo de decodificación de imágenes, método de decodificación de imágenes y dispositivo de codificación de imágenes.
US9699457B2 (en) * 2011-10-11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Most probable transform for intra prediction coding
EP2582134A1 (en) * 2011-10-12 2013-04-17 Thomson Licensing Saliency value determination of predictively encoded video streams
US9247254B2 (en) * 2011-10-27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Non-square transforms in intra-prediction video coding
EP2773116A4 (en) * 2011-10-28 2015-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TRA PREDICTION OF VIDEO
CN108924566B (zh) 2011-12-19 2022-06-28 索尼公司 图像处理设备和方法
US9912944B2 (en) * 2012-04-16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Simplified non-square quadtree transforms for video coding
US9749645B2 (en) 2012-06-22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ded-block-flag coding and derivation
EP2941864B1 (en) * 2013-01-07 2016-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miting use of largest transform unit size for intra coding units in inter coded slices of encoded video
KR101485463B1 (ko) * 2013-04-30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3026906B1 (en) * 2013-07-22 2020-03-25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Moving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5981380B (zh) 2013-12-18 2019-08-20 寰发股份有限公司 利用调色板编码的编码视频数据区块的方法和装置
WO2015096812A1 (en) * 2013-12-27 2015-07-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lette coding with cross block prediction
US10542271B2 (en) 2013-12-27 2020-01-21 Hfi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jor color index map coding
CA2934743C (en) 2013-12-27 2018-11-27 Hfi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tax redundancy removal in palette coding
CN105850132B (zh) 2014-01-07 2019-10-22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编解码视频数据块的方法和装置
KR101663668B1 (ko) * 2014-06-27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패딩영역의 비디오 복호화 및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606855B1 (ko) * 2014-09-01 201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6856B1 (ko) * 2014-10-29 201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936201B2 (en) 2015-01-27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s for large coding tree units
US10218974B2 (en) 2015-03-31 2019-02-26 Realnetworks, Inc. Residual transformation and inverse transformation in video cod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77277B1 (ko) * 2015-06-17 201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7091001A1 (ko)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픽셀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 블록을 후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05637B2 (en) 2016-05-16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8061550A1 (ja) * 2016-09-28 2018-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及び画像符号化装置
MX2019004052A (es) * 2016-10-10 2019-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y dispositivo para codificar o decodificar una unidad de codificacion de contorno de imagen.
US11049219B2 (en) 2017-06-06 2021-06-29 Gopr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encoder processing of high resolution content
CN109587479B (zh) * 2017-09-29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图像的帧间预测方法、装置及编解码器
CN109922329B (zh) * 2017-12-13 2021-02-26 北京传送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影像数据的压缩方法、解压缩方法及装置
KR101989997B1 (ko) * 2018-06-27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677644B (zh) * 2018-07-03 2021-11-16 北京大学 一种视频编码、解码方法及视频编码帧内预测器
US10887589B2 (en) 2019-04-12 2021-01-05 Realnetworks, Inc. Block size determination for video coding systems and methods
US11228781B2 (en) 2019-06-26 2022-01-18 Gopr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codec bandwidth in video applications
US11481863B2 (en) 2019-10-23 2022-10-25 Gopr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rdware accelerated image processing for spherical proje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3483A1 (en) 2006-04-13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coding and/or decoding system, medium, and method with spatial prediction and spatial prediction compensation of image data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3498A1 (en) * 2003-07-18 2005-01-20 Microsoft Corporation Coding of motion vector information
US7724827B2 (en) * 2003-09-07 2010-05-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run level encoding and decoding
KR100621137B1 (ko) * 2004-02-27 2006-09-1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처리장치
KR100644620B1 (ko) 2004-07-2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트 필터링을 적용한 동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0679031B1 (ko) * 2004-12-03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계층 기반의 비디오 인코딩 방법, 디코딩 방법 및 상기방법을 이용한 장치
KR101246915B1 (ko) * 2005-04-18 2013-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 또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50145B1 (ko) * 2005-12-12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513740B2 (ja) * 2006-03-27 2014-06-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復号化装置、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方法、画像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EP1841230A1 (en) * 2006-03-27 2007-10-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aptive wiener filter for video coding
EP2047687B1 (en) 2006-08-02 2018-05-16 Thomson Licensing DTV Adaptive geometric partitioning for video encoding
WO2008056923A1 (en) 2006-11-07 2008-05-15 Samsung Electronics Co, .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based on intra prediction
KR101366241B1 (ko) 2007-03-28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11501555A (ja) * 2007-10-16 2011-01-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WO2009051719A2 (en) * 2007-10-16 2009-04-23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geometically partitioned super blocks
US8345763B2 (en) * 2007-11-27 2013-01-01 Mediatek Inc. Motion compens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tilizing the same
EP2924994B1 (en) * 2008-05-07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signal
KR101517768B1 (ko) * 2008-07-02 2015-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10108B1 (ko) * 2009-08-17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52860B1 (ko) * 2009-08-17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04887B1 (ko) * 2009-10-23 2015-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단위 레벨의 독립적 파싱 또는 복호화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데이터 단위 레벨의 독립적 파싱 또는 복호화를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8837577B2 (en) * 2010-07-15 2014-09-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parallel video coding based upon prediction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3483A1 (en) 2006-04-13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coding and/or decoding system, medium, and method with spatial prediction and spatial prediction compensation of image dat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larging MB size for high fidelity video coding beyond HD, Video Coding Experts Group (VCEG-AJ21) (2008.1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7758E1 (en) 2019-12-03
USRE47759E1 (en) 2019-12-03
KR20110065090A (ko) 2011-06-15
EP2510699A4 (en) 2013-08-28
CN102763411B (zh) 2016-02-17
CN105025293A (zh) 2015-11-04
USRE47445E1 (en) 2019-06-18
USRE47254E1 (en) 2019-02-19
CN105100797B (zh) 2018-05-29
CN104967846B (zh) 2018-09-18
EP2947875A2 (en) 2015-11-25
CN105025293B (zh) 2018-08-07
EP2947875A3 (en) 2015-12-30
CN104980736B (zh) 2018-07-31
EP2947876A3 (en) 2015-12-23
CN104967846A (zh) 2015-10-07
EP2945378A3 (en) 2015-12-23
EP2945379A3 (en) 2015-12-23
US8548052B2 (en) 2013-10-01
EP2510699A2 (en) 2012-10-17
WO2011071328A3 (en) 2011-11-10
EP2945379A2 (en) 2015-11-18
CN104980736A (zh) 2015-10-14
US20110135000A1 (en) 2011-06-09
CN102763411A (zh) 2012-10-31
CN105100797A (zh) 2015-11-25
EP2945378A2 (en) 2015-11-18
WO2011071328A2 (en) 2011-06-16
EP2947876A2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358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03269B1 (ko) 영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및 영상 복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452860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10108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64538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89160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7613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99529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49276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03332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77277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83430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기록매체
KR101761278B1 (ko)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25287B1 (ko)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40255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824056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89997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07614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66418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00369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92063A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83177B1 (ko)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6683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6856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6855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