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908B1 -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 Google Patents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908B1
KR101699908B1 KR1020160125101A KR20160125101A KR101699908B1 KR 101699908 B1 KR101699908 B1 KR 101699908B1 KR 1020160125101 A KR1020160125101 A KR 1020160125101A KR 20160125101 A KR20160125101 A KR 20160125101A KR 101699908 B1 KR101699908 B1 KR 10169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late
frame
ground
auxiliar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영필
손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12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9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loration apparatus for diagnosing safety of the ground, easily used and rapidly and accurately exploring the ground. The exploration apparatus for diagnosing safety of the ground comprises: a frame; a transmission antenna mounted in the frame to radiate an electromagnetic wave to the ground surface while being spaced from the ground surface; a reception antenna mounted in the frame to receive the electromagnetic wave reflected from a target after the electromagnetic wave is radiated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while being spaced from the ground surface; main wheels coupled to be rotated to the frame; a lifting unit disposed in a front end part of the frame to fixate the front end part of the frame to a vehicle; and a capturing device mounted in the frame to secure image data of a peripheral environment.

Description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반을 탐사할 수 있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urvey apparatus for a ground safety diagno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vey apparatus for a ground safety diagnosis that can be used easily and promptly and accurately.

시설물의 노후화, 강우빈도 증가, 지하수 유출 내지 관로 누수 등에 따라 싱크홀 내지 도로함몰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해 발생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지반 하부구조의 손상은 도로함몰의 주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도로의 예방적 유지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Sinks or road depression occur due to aging of facilities, increase in rainfall frequency, leakage of groundwater or leakage of pipeline, and the likelihood of disaster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damage to the subsurface structur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road depression. Therefore, measures for preventive maintenance of roads are urgently needed.

그러나 종래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의 경우, 도로를 따라 지반을 탐사하는 속도가 매우 느리거나, 탐사장치의 불가변성으로 인하여 지반을 깊이별로 탐사할 수 있는 주파수별 안테나의 장착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탐사목적 깊이에 따라 정확하게 지반을 탐사할 수 없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it is impossible to mount a frequency-dependent antenna capable of exploring the ground depth by the irregularity of the surveying apparatus because the speed of exploring the ground along the road is very s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und can not be accurately surveyed according to the target depth and maintenance is not eas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면서도 탐사목적 깊이별로 정확하게 지반을 탐사할 수 있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vey apparatus for a ground safety diagnosis which can easily use but can accurately survey the ground according to the depth of a survey target.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지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전자기파를 지표를 향해 방사할 수 있는 송신안테나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지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송신안테나에서 방사된 후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안테나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메인휠들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프레임의 선단부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comprising: a frame; a transmission antenna mounted on the frame and capable of radiating an electromagnetic wave toward the groun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A receiving antenna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to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target after being radiated; a traction unit disposed at a distal end of the frame and capable of fixing the leading end of the frame to the vehicle; And an imaging device mounted on the frame and capable of securing imag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메인휠들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송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의 사이를 통과하는 축 방향의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The image pickup device can secure image data for an axial circumferential environment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main wheels and passing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and the receiving antenna.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횟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조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조휠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nd an auxiliary wheel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nd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generate distance data on the movement distance based on the number of rotations. Further, the auxiliary wheel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ortion that presses the auxiliary wheel downward.

상기 송신안테나는, 상기 보조휠이 회전하는 동안에만 전자기파를 지표를 향해 방사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ntenna can radiate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the surface of the antenna only while the auxiliary wheel is rotating.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획득한 지반데이터와,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더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storage medium capable of storing the ground data acquir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and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ing device, and when there is a signal from the use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획득한 지반데이터와,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휠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획득하는 지반데이터와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하는 거리데이터를 계속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storage medium capable of storing the ground data acquir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and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wherein during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wheel, And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are continuous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when there is a signal from the user,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에 면접촉하는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과, 일단이 상기 제1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판와, 상기 제1연장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에 평행한 제1평행판과, 일단이 상기 제1평행판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판와, 상기 제2연장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에 평행한 제2평행판과, 일단이 상기 제2평행판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판에 연결되는 제3연장판을 구비할 수 있다.And a bracket capable of fixing the transmission antenna or the reception antenna to the frame,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which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ransmission antenna or the reception antenna, A first extending plat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a first parallel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late an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A second extending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rallel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a second parallel plat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late an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a third extension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allel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이때, 상기 제1평행판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의 면과 상기 제1지지판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의 면 사이의 높이는, 프레임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가 부착되는 부분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으로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between the plane of the first parallel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and the plan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is set so that the transmitting antenna of the frame or the receiving antenna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반을 탐사할 수 있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urvey apparatus for safety diagnosis of the ground, which is easy to use and can quickly and accurately survey the groun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이용해 획득한 지반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2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의 다른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vey apparatus for a ground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component of the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of Fig. 2; Fig.
FIG. 4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ground data obtained by using the survey apparatus for the ground safety diagnosis of FIG. 2;
Fig.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mponent of the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of Fig. 2;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various components such as layers, films, regions, plates, and the like are referred to as being " on " other components, .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but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three axes.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는 프레임(10), 송신안테나(20), 수신안테나(30), 메인휠(40)들, 견인부(50) 및 촬상소자(60)를 구비한다.1 and 2, a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0, a transmission antenna 20, a reception antenna 30, a main wheel 40, a traction unit 50 And an image pickup device 60.

프레임(10)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뼈대를 이루며, 메인휠(40)들은 이러한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견인부(50)는 프레임(1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의 -y 방향 선단부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견인부(50)를 차량에 연결하고 차량으로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끌어,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단순히 이동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지반 탐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탐사목적 깊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의 안테나를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지면으로부터 장착된 안테나까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main wheel 40 is rotatably coupled to such a frame 10 and the pulling portion 50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frame 10 to form a frame 10 in the -y direction can be fixed to the vehic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ve the probe for ground safety diagnosis by connecting the towing unit 50 to the vehicle and dragging the probe for ground safety diagnosis with the vehicle. As a matter of course, it is possible not only to simply move the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but also to carry out the ground survey while moving the surveying apparatus for the ground safety diagnosis as described la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ame 10 can be mounted with an antenna having various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target, and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antenna mounted can be adjusted.

프레임(10)은 메인프레임(11)과, 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된 가로프레임(12), 그리고 가로프레임(12)에 역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된 보조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프레임(12)은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y 방향)에 대략 수직인 상태로 메인프레임(11)에 고정된다. 보조프레임(13)은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도록, 즉 가로프레임(12)에 대략 수직인 상태로 가로프레임(12)에 고정된다.The frame 10 may include a main frame 11 and a transverse frame 12 detachably secured thereto and an auxiliary frame 13 detachably fix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as well.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nsverse frame 12 is fixed to the main frame 11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y direction) in which the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is moved by the vehicle. The auxiliary frame 13 is fix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so as to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y direction) in which the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is moved by the vehicle,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frame 12 .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 예컨대 2개의 가로프레임(12)들을 갖고, 보조프레임(13)이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2)들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조프레임(13)과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2)들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보조프레임(13)들 각각이 2개의 가로프레임(12)들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각 가로프레임(12)은 복수개의 지점들, 예컨대 2군데의 지점들에서 메인프레임(11)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각 가로프레임(12)과 메인프레임(11)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ame 10 has a plurality of, e.g., two, transverse frames 12, as shown in Figures 1 and 2, such that the ancillary frames 13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transverse frames 12, The combination of the auxiliary frame 13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2 can be made firm. In FIG. 2, each of the three sub-frames 13 is shown coupled to two transverse frames 12. Of course, each of the transverse frames 12 may be fixed to the main frame 11 at a plurality of points, for example at two points,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transverse frames 12 and the main frame 11 can be made rigid have.

각 보조프레임(13)에는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가 고정된다.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 각각은 브라켓(130)에 의해 보조프레임(13)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 각각에는 브라켓(130)이 체결되고, 이 브라켓(130)이 보조프레임(13)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가 프레임(1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are fixed to the respective auxiliary frames 13. Each of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13 by a bracket 130. That is, the bracket 130 is fastened to each of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and the bracket 130 is coupled to the subframe 13, so that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can be mounted on the frame 10.

브라켓(13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30)은 제1지지판(131), 제1연장판(132), 제1평행판(133), 제2연장판(134), 제2평행판(135), 제3연장판(136) 및 제2지지판(137)을 갖는다.The bracket 130 may have a plurality of folded shapes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bracket 130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31, a first extension plate 132, a first parallel plate 133, a second extension plate 134, a second parallel plate 135, A plate 136 and a second support plate 137.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7)은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의 상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7)은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의 상면에 예컨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1연장판(132)은 일단이 제1지지판(131)에 연결되며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져, 제1지지판(131)과 함께 절곡부를 형성한다. 제1평행판(133)은 제1연장판(13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지지판(131)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1평행판(133)은 제1연장판(132)과 함께 절곡부를 형성하게 된다. 제2연장판(134)은 일단이 제1평행판(133)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연장판(132)과 마찬가지로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평행판(133)과 함께 절곡부를 형성한다. 제2연장판(134)의 일단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판(134a)이 연결될 수 있다. 제2평행판(135)은 일단이 제2연장판(134)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지지판(131)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판(134)과 함께 절곡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연장판(136)은 일단이 제2평행판(135)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지지판(137)에 연결된다.The first support plate 13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7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antenna 20 or the reception antenna 30. [ The first support plate 13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7 may be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antenna 20 or the reception antenna 30,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31 and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 z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20 or the reception antenna 30, To form a bent portion. The first parallel plate 133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132 and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late 131. Accordingly, the first parallel plate 133 forms a bent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extending plate 132. The second extension plate 134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rallel plate 133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20 or the reception antenna 30 like the first extension plate 132, And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parallel plate 133. 3, an auxiliary plate 134a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134. [ The second parallel plate 135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134 and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late 131 to form a bent portion together with the second extension plate 134 . Finally, the third extension plate 136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allel plate 135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37.

이와 같이 복수회 절곡된 형상을 갖는 브라켓(130)은 제2연장판(134), 제2평행판(135) 및 제3연장판(136)에 의해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제1연장판(132), 제1평행판(133) 및 보조판(134a)에 의해 형성되는 제2수용부를 갖는다. 제1수용부는, 브라켓(130)이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를 운반하거나 보조프레임(13)에 브라켓(130)을 체결할 시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수용부는 브라켓(130)과 보조프레임(13)을 결합할 시 보조프레임(13)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racket 130 having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in this manner has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extending plate 134, the second parallel plate 135, and the third extending plate 136,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by the plate 132, the first parallel plate 133, and the assisting plate 134a.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carry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with the bracket 130 fastened to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or to move the bracket 130 to the auxiliary frame 13, It can serve as a knob that can be used when tightening the fastener.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may serve to receive the auxiliary frame 13 when the bracket 130 and the auxiliary frame 13 are coupled.

특히 제1평행판(133)의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 방향의 면과 제1지지판(131)의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 방향의 면 사이의 높이(h1)가, 보조프레임(13)의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가 부착되는 부분에서의 제1두께, 즉 보조프레임(13)의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 방향으로의 제1두께와 같게 함으로써,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가 보조프레임(13)에 유격 없이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나아가 제1연장판(132)과 보조판(134a)의 상호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거리(d)가, 보조프레임(13)의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가 부착되는 부분에서 제1두께의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축 방향)의 제2두께(즉 제1연장판(132)에서 보조판(134a) 방향으로의 두께)와 같게 함으로써, 브라켓(130)과 보조프레임(13)이 유격 없이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와 브라켓(130)을 나사로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The height h1 between the surface of the first parallel plate 133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31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of the subframe 13, that is, the first thickness in the portion of the subframe 13 where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is attached,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can be accurately mounted on the auxiliary frame 13 without clearanc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istance d between the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132 and the auxiliary plate 134a is set so as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stance d in the portion where the transmission antenna 20 or the reception antenna 30 of the sub-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plate 134a in the first extending plate 132) in the direction (x-axis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the z-axis direction) So that the auxiliary frame 13 can be precisely engaged without clearance. Of course, if necessary, the transmission antenna 20 or the reception antenna 30 and the bracket 130 may be additionally screwed together.

송신안테나(20)는 보조프레임(13)에 장착되어 지표(ES)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전자기파를 지표(ES)를 향해 방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안테나(30) 역시 보조프레임(13)에 장착되어 지표(ES)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송신안테나(20)에서 방사된 후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ntenna 20 can radiate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the land surface ES while being mounted on the auxiliary frame 13 and spaced from the land surface ES. The receiving antenna 30 can also receive th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target after being radia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20 while being mounted on the auxiliary frame 13 and spaced from the surface ES.

송신안테나(20)가 수 MHz∼GHz 범위의 전자기파를 지표(ES)나 구조물의 노출면에서 내부로 방사시키면, 수신안테나(30)는 전자기적 물성이 다른 매질을 만나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받고 이를 기록한다. 이러한 과정을 사전설정된 탐사선을 따라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하여 신호를 기록하면, 해당 탐사선을 가로축으로 하고 기록된 신호를 세로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이와 같은 원리로 도 2의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이용해 획득한 지반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If the transmitting antenna 20 emits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range of several MHz to GHz to the inside of the surface ES or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receiving antenna 30 receives the reflected signal, Record. When a signal is continuously recorded while moving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horizontally along a predetermined probe line, a graph showi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probe line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recorded signal can be obtained. FIG. 4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ground data obtained by using the surveying apparatus for the ground safety diagnosis of FIG. 2 with such a principle.

송신안테나(20)에서 펄스 형태로 방출된 전자파는 방사상으로 하부로 진행하다가, 서로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에너지의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는 투과하여 진행한다. 수신안테나(30)에서는 반사파를 수신하게 되는데, 반사파의 강도는 반사계수에 비례하며, 반사계수는 두 매질의 유전상수의 제곱근의 차이에 비례한다. 수학식 1과 수학식 2는 두 매질의 유전상수로부터 반사계수와 투과계수를 계산하는 식이다.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in the form of pulses in the transmission antenna 20 propagate radially downward, and a part of the energy is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wo different media and the oth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In the receiving antenna 30, a reflected wave is received.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wave is proportional to the reflection coefficient, and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of the square root of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two media. Equations (1) and (2) are equations for calculating the reflection coefficient and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from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two media.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6094324722-pat00001
Figure 112016094324722-pat00001

[수학식 2]&Quot; (2) "

T = 1 - RT = 1 - R

여기서, R은 반사계수, T는 투과계수, e1 및 e2는 두 매질의 유전상수이다. 수학식 1의 반사계수는 총 에너지에 대한 반사 에너지의 강도 비율을 의미하고, 수학식 2의 투과계수는 표면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매질 내부로 전달 및/또는 소산되는 파의 에너지의 강도 비율을 의미한다.Where R is the reflection coefficient, T is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and e 1 and e 2 are th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two media. The reflection coefficient in Equation (1) means the intensity ratio of the reflection energy to the total energy, and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in Equation (2) means the intensity ratio of the energy of the wave transmitted and / or dissipated into the medium without returning to the surface .

이와 같은 관계로부터 유전상수의 대비가 큰 물질은 뚜렷한 반사 신호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에 존재하는 강관이나 공동, 물 등은 유전상수의 대비가 크기에, 잘 탐지될 수 있다. 참고로 아스팔트의 유전상수는 대략 2~3이고, 콘크리트의 유전상수는 대략 6~12이며, 점토의 유전상수는 대략 9~25이고, 모래의 유전상수는 대략 4이다. 이에 비해 철근의 유전상수는 대략 200 이상이고, 공기의 유전상수는 1, 물의 유전상수는 81이다. 따라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점토 및/또는 모래 등을 포함하는 지반 하부의 강관, 공동(내 공기) 및/또는 물 등의 유전상수가 지반의 구성요소들의 유전상수와 차이가 크기에, 강관, 공동 및/또는 물 등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rom this relationship, it can be seen that a material having a large dielectric constant contrast can obtain a clear reflection signal. For example, the contrast of the dielectric constant of a steel pipe, a cavity, or water existing in an underground can be well detected. For referenc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sphalt is approximately 2 to 3,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oncrete is approximately 6 to 12,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lay is approximately 9 to 25, and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and is approximately 4. Compared to this, the dielectric constant of reinforcing bars is more than 200, the dielectric constant of air is 1, and th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is 81. Therefore, th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bottom of the ground including asphalt, concrete, clay and / or sand, cavity (air) and / or water are different from th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components of the ground, / RTI > and / or < RTI ID = 0.0 > water, < / RTI >

전술한 것과 같이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는 브라켓(13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130)의 제1수용부를 이용함으로써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를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프레임(13)이 브라켓(130)의 제2수용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가 보조프레임(13)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130 and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can be easily used by us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of the bracket 130, .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can be firmly and easily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13 by allowing the auxiliary frame 13 to pass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bracket 130. [

송신안테나(20) 또는 수신안테나(30)가 결합된 보조프레임(13)은, 가로프레임(12)이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될 시, 또는 가로프레임(12)이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된 후에, 가로프레임(12)에 결합된다. 도 2에서는 세 개의 보조프레임(13)들이 각각 두 개의 가로프레임(12)들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바, 예컨대 중앙에 위치한 보조프레임(13)은 가로프레임(12)이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로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조프레임(13)은 가로프레임(12)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13a)를 가져, 가로프레임(12)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세 개의 보조프레임(13)들 중 +x 방향의 보조프레임(13)과 -x 방향의 보조프레임(13)은, 가로프레임(12)이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된 후에 가로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13 to which the transmitting antenna 20 or the receiving antenna 30 is coupled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 when the transverse frame 12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1 or when the transverse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 After being combined, it is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In Figure 2, three auxiliary frames 13 are shown coupled to two respective horizontal frames 12, for example a centrally located auxiliary frame 13, And may be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in the process of being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At this time, the auxiliary frame 13 may have an opening 13a through which the transverse frame 12 can pass and be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The auxiliary frame 13 in the + x direction and the auxiliary frame 13 in the -x direction among the three auxiliary frames 13 a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12 after the horizontal frame 12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1, Lt; / RTI >

보조프레임(13)과 가로프레임(12)이 결합된 후에는, 개구(13a)의 상판과 가로프레임(12) 사이의 거리를 개구(13a)의 상판을 관통하는 나사들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보조프레임(13)이 가로프레임(1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메인프레임(11)은 하나의 가로프레임(12)이 통과할 2개의 개구(11a)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개구(11a)의 상판과 가로프레임(12) 사이의 거리를 상판을 관통하는 나사들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가로프레임(12)이 메인프레임(1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of the opening 13a and the transverse frame 12 through the screws passing through the top plate of the opening 13a after the auxiliary frame 13 and the transverse frame 12 are coupled, (13) can be firmly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12). For reference, the main frame 11 may have two openings 11a through which one lateral frame 12 passes. The horizontal frame 12 can be fixed firmly to the main frame 11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of the opening 11a and the horizontal frame 12 through screws passing through the upper plate.

한편, 촬상소자(60)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는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소자(60)는 메인휠(40)들의 회전축(x축)과 평행하며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의 사이를 통과하는 축 방향의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이용해 지반에 대한 지반데이터를 확보했다 하더라도, 해당 지반데이터가 어디에서 획득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면 그 지반데이터는 의미가 없는 데이터가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의 경우, 촬상소자(60)가 메인휠(40)들의 회전축(x축)과 평행하며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의 사이를 통과하는 축 방향의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이용해 획득한 지반데이터가 어디에서 획득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ing device 60 can be installed in the frame 10 to secure imag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e image pickup device 60 acquires image data of the circumferential environment in the axial direction which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axis) of the main wheels 40 and passes between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can do. Even if the ground data for the ground is acquired using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the ground data is meaningless data if it can not be confirmed where the ground data is acqui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pickup device 6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xis (x axis) of the main wheels 40 and passing between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where the ground data obtained by using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are acquired by securing the image data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axial direction.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는 보조휠(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보조휠(70)은 메인휠(40)들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2에서는 메인프레임(11)에서 돌출된 돌출프레임(11b)에 보조휠(70)이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메인휠(40)들이 프레임(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프레임(10) 등을 지지하면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이 보조휠(70)은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조휠(70)은 지면(ES)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생성한다. 보조휠(70)의 둘레의 길이는 정해져 있기에, 보조휠(70)의 회전수만 확인하면 회전수와 보조휠(70)의 둘레의 길이의 곱에 의해,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의 이동거리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wheel 70. The auxiliary wheel 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 like the main wheels 40. In FIG. 2, the auxiliary wheel 70 is shown coupled to the protruding frame 11b protruding from the main frame 11. However, the main wheels 4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 to support and support the frame 10 while the auxiliary wheel 70 serves to generate distance data. That is, the auxiliary wheel 70 rotat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ES, thereby generating distance data on the moving distance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Since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wheel 70 is fix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auxiliary wheel 70 by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wheel 70, Distance data can be obtained.

보조휠(70)에서 생성되는 이동거리에 대한 거리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조휠(70)이 언제나 지면(ES)에 접촉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만일 보조휠(70)이 지면(ES)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이동하게 되면, 보조휠(70)은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거리데이터를 생성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휠(70)을 하방(-z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74d)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휠(70)은 로드(74)에 회전가능하도록 로드(74)의 제1축(74a)에 결합되며, 로드(74)의 제2축(74b)은 회전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11)에서 돌출된 돌출프레임(11b)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74d)는 돌출프레임(11b)으로부터 로드(74)를 밀어내는 압력을 가하되, 로드(74)에 있어서 해당 압력을 받는 부분이 로드(74)의 제2축(74b)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74d)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보조휠(70)이 언제나 지면(ES)에 접촉하도록 하여, 보조휠(70)이 이동거리에 대한 정확한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make the auxiliary wheel 70 always contact the ground surface E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istance data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stance generated by the auxiliary wheel 70. [ If the survey apparatus for the ground safety diagnosis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wheel 70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ES, the auxiliary wheel 70 will generate the distance data that the survey apparatus for the ground safety diagnosis has not moved Because.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elastic portion 74d that presses the auxiliary wheel 70 downward (-z direction) can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auxiliary wheel 70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74a of the rod 74 to be rotatable to the rod 74, and the second shaft 74b of the rod 7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1 project from the protruding frame 11b. The resilient portion 74d such as a spring exerts a pressure to push the rod 74 out of the protruding frame 11b so that the portion of the rod 74 that receives the pressure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shaft 74b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wheel 70 is alway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ES by the pressure of the elastic portion 74d so that the auxiliary wheel 70 can generate accurate distance data on the moving distance.

참고로 로드(74)에 데이터생성부(74c)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데이터생성부(74c)는 보조휠(70)의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생성부(74c)나 그 근방에 압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도록 하고, 해당 센서가 보조휠(70)이 회전함에 따라 보조휠(70)이 1회전 할 때마다 보조휠(70)에서 돌출된 1개의 돌출부에 컨택하도록 함으로써, 보조휠(70)의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휠(70)의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는 곧 이동거리에 대한 거리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The data generator 74c may be attached to the rod 74. The data generator 74c may generate data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uxiliary wheel 70. [ A sensor capable of sensing pressure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data generating unit 74c or the vicinity of the data generating unit 74c so that the auxiliary wheel 70 rotates one time each time the auxiliary wheel 70 rotates, 70 so as to generate data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uxiliary wheel 70. In this case, The data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uxiliary wheel 70 can be understood as the distance data on the moving distance.

이와 같은 보조휠(70)이 생성하는 거리데이터는, 촬상소자(60)가 획득한 이미지데이터와 함께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이용해 획득한 지반데이터가 어디서 획득한 지반데이터인지를 특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전설정된 탐사라인을 따라 탐사를 시작할 시, 탐사 시작 시점에 촬상소자(60)가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탐사라인을 따라 탐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이용해 획득한 지반데이터와 보조휠(70)이 생성하는 거리데이터를 계속해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송신안테나(20)에 연결된 케이블(22) 및/또는 수신안테나(30)에 연결된 케이블(3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앞서 촬상소자(60)가 획득한 이미지데이터 역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촬상소자(60)에 연결된 케이블(6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탐사라인을 따라 탐사가 종료되는 지점에서 다시 촬상소자(60)가 주변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하도록 하여, 이 역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The distance data generated by the auxiliary wheel 70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ground data obtained by using the transmitting antenna 2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 together with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ing device 60 is ground data . ≪ / RTI > For example, when starting a scan along a predetermined scan line, the image pickup device 60 may acquire imag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the start of the scan. The ground data acquired by using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and the distance data generated by the auxiliary wheel 70 can be continuous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while the survey is being performed along the survey line.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 cable 22 connected to the transmit antenna 20 and / or a cable 32 connected to the receive antenna 30. Of course,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ing element 60 may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is can be done by a cable 62 connected to the imaging element 60. Then, at a point where the scanning is terminated along the scanning line, the image pickup device 60 secures the imag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an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이를 통해 획득한 지반데이터 획득의 시작시점의 위치와 종료시점의 위치들을 이미지데이터들을 통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구간에서는 보조휠(70)이 생성한 거리데이터를 통해 어느 지점에서 획득한 지반데이터인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에서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촬상소자(6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보조휠(70)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연동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보조휠(70)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는 케이블(72)을 통해 저장매체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시점에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는 보조휠(70)에서 획득한 거리데이터에 오차가 있을 시 추후 이를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the section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the distance data generated by the auxiliary wheel 70 is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acquired ground data, And it can be confirmed accurately whether the ground data is obtained from the ground. Of course, when there is a signal from the user even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pickup element 60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70. [ The distance data obtained from the auxiliary wheel 70 can be transmitted to the storage medium via the cable 72. [ The image data acquired at the intermediate point may be used to correct the distance data obtained by the auxiliary wheel 70 when there is an error.

한편, 보조휠(70)이 회전하지 않는다면 이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이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사전설정된 탐사라인을 따라 차량을 이용해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이동시키며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이용해 지반데이터를 획득하다가, 지상의 장애물 등을 이유로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의 이동을 잠시 멈출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휠(7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정지한 상태일 경우,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를 이용해 지반데이터를 획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송신안테나(20)가 보조휠(70)이 회전하는 동안에만 전자기파를 지표(ES)를 향해 방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안테나(30)는 보조휠(70)이 회전하는 동안에만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지반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보조휠(70)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도 송신안테나(20)는 전자기파를 계속 방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지 수신안테나(30)가 전자기파를 수신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수신안테나(30)가 수신한 지반데이터를 저장매체 등에 저장하지 않으면 족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auxiliary wheel 70 does not rotate, it means that the survey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does not mov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ove the surveying device for ground safety diagnosis using a vehicle along a predetermined survey line, acquire the ground data using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and then move the surveying device for ground safety diagnosis Can be stopped temporarily. In this case, the auxiliary wheel 70 does not rotate. In the state where the survey apparatus for the ground safety diagnosis is stoppe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acquire the ground data by using the transmission antenna 20 and the reception antenna 30. Therefore, the transmitting antenna 20 can cause the electromagnetic wave to be radiated toward the indicator ES only while the auxiliary wheel 70 is rotating, and the receiving antenna 30 can receive the electromagnetic wave only while the auxiliary wheel 70 is rotating . This makes it possible to acquire accurate ground data without unnecessarily wasting power. Of course, the transmitting antenna 20 may cause the electromagnetic wave to continue to be radiated while the auxiliary wheel 70 is not rotating.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the receiving antenna 30 does not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or the ground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30 is not stored in a storage medium or the lik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에서 가로축은 보조휠(70)에서 획득한 거리데이터에 기반한 위치를 의미하며 세로축은 송신안테나(20)와 수신안테나(30)에서 획득한 지반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위치에 관계없이 지반데이터가 대략 일정하게 나타나다가, 데이터가 크게 흔들리는 부분(SH)을 확연히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흔들리는 부분(SH)은 바로 싱크홀과 같은 공동이 존재하는 것을 높은 확률로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data obtained using the surveying apparatus for ground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4, the abscissa indicates a position based on the distance data acquired by the auxiliary wheel 70, and the ordinate indicates the ground data acquired by the transmitting antenna 2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 As can be seen from Fig. 4, regardless of the position, the ground data is displayed substantially constant, and the portion (SH) where the data largely shakes can be confirmed clearly. Such a shaking portion (SH) can be understood to mean a high probability that a cavity such as a sink hole immediately exists.

참고로 도 4에서 SFU라고 표시한 부분은, 지반데이터 획득의 시작시점의 위치와 종료시점의 위치가 아니라 그 사이에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었던 지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SFU라고 표시된 부분의 지반데이터를 획득한 지점을 촬상소자(60)가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SFU라고 표시된 부분부터 싱크홀과 같은 공동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SH) 사이의 실제 탐사라인 상에서의 거리를 보조휠(70)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소자(60)가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SFU라고 표시된 부분의 지반데이터를 획득한 실제 장소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실제 장소로부터 싱크홀과 같은 공동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까지의 실제 거리를 보조휠(70)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를 이용해 계산함으로써, 싱크홀과 같은 공동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 지점을 매우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 4, a portion denoted by SFU means a point where a signal from the user exists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ground data acquisition. Therefore, the point at which the ground data of the portion denoted by SFU is acquired can be accurately confirmed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element 60. [ Then, the distance on the actual search line between the portion denoted SFU, which is visible in Fig. 4, and the portion (SH) where a cavity such as a sink hole is expected to exist, can be confirmed by using the distance data obtained from the auxiliary wheel 70 have. Thereby, the actual location where the ground data of the portion denoted by SFU is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60 is specified, and from the specified actual location to a point where a cavity such as a sink hole is expected to exist By calculating the actual distance using the distance data obtained from the auxiliary wheel 70, it is possible to very accurately specify a problem point that is expected to have a cavity such as a sinkho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프레임 11: 메인프레임
12: 가로프레임 13: 보조프레임
20: 송신안테나 30: 수신안테나
40: 메인휠 50: 견인부
60: 촬상소자 70: 보조휠
130: 브라켓 131: 제1지지판
132: 제1연장판 133: 제1평행판
134a: 보조판 134: 제2연장판
135: 제2평행판 136: 제3연장판
137: 제2지지판
10: Frame 11: Main frame
12: Horizontal frame 13: Auxiliary frame
20: transmitting antenna 30: receiving antenna
40: main wheel 50: pulling part
60: imaging element 70: auxiliary wheel
130: bracket 131: first support plate
132: first extension plate 133: first parallel plate
134a: auxiliary plate 134: second extended plate
135: second parallel plate 136: third extended plate
137: second support plate

Claims (9)

프레임;
지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전자기파를 지표를 향해 방사할 수 있는, 송신안테나;
지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송신안테나에서 방사된 후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안테나;
상기 송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메인휠들;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프레임의 선단부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촬상소자;
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에 면접촉하는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일단이 상기 제1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판;
상기 제1연장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에 평행한 제1평행판;
일단이 상기 제1평행판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판;
상기 제2연장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에 평행한 제2평행판;
일단이 상기 제2평행판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판에 연결되는 제3연장판; 및
상기 제2연장판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에 컨택하지 않는, 보조판;
을 구비하여, 상기 제2연장판, 상기 제2평행판 및 상기 제3연장판에 의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1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연장판, 상기 제1평행판 및 상기 보조판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형성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frame;
A transmitting antenna capable of radiating an electromagnetic wave toward an indicator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an indicator;
A receiving antenna capable of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a target after being radia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the antenna being spaced apart from an indicator;
A bracket fixing the transmission antenna and the reception antenna to the frame;
Main wheel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 traction unit disposed at a distal end of the frame to fix the leading end of the frame to the vehicle; And
An image pickup element mounted on the frame and capable of securing image data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bracket
A first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ransmission antenna or the reception antenna;
A first extension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or the reception antenna;
A first parallel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extension plat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rallel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or the reception antenna;
A second parallel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late;
A third extension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allel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n auxiliary plat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late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but not contacting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Where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the first parallel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form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serving as a handle by the second extending plate, the second parallel plate, and the third extending plate, And form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메인휠들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송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의 사이를 통과하는 축 방향의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ickup device is capable of securing image data of an axial circumferential environment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main wheels and passing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and the receiving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횟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조휠을 더 구비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the auxiliary wheel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generate distance data on the travel distance based on the number of rota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휠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elastic portion for pressing the auxiliary wheel downward.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안테나는, 상기 보조휠이 회전하는 동안에만 전자기파를 지표를 향해 방사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transmitting antenna radiates an electromagnetic wave toward the ground surface only while the auxiliary wheel rotates.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획득한 지반데이터와,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더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medium capable of storing the ground data acquir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and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And when there is a signal from the user,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pickup element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획득한 지반데이터와,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휠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 획득하는 지반데이터와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하는 거리데이터를 계속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기 보조휠로부터 획득한 거리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medium capable of storing the ground data acquir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and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While the auxiliary wheel is rotating, continuously storing the ground data acquir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and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in the storage medium,
And when there is a signal from the user,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pickup element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auxiliary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판과 상기 보조판의 상호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부분의, 상기 제1연장판에서 상기 보조판 방향으로의 두께와 같은,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between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extending plate and the assisting plate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fram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rame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extending plate to the assisting plate, Explor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행판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의 면과 상기 제1지지판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의 면 사이의 높이는, 프레임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가 부착되는 부분의 상기 송신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안테나 방향으로의 두께와 같은,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between a plane of the first parallel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and a plan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is a length of a portion of the frame where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is attached And a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or the receiving antenna.
KR1020160125101A 2016-09-28 2016-09-28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KR101699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01A KR101699908B1 (en) 2016-09-28 2016-09-28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01A KR101699908B1 (en) 2016-09-28 2016-09-28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686A Division KR101737547B1 (en) 2017-01-18 2017-01-18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of r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908B1 true KR101699908B1 (en) 2017-01-26

Family

ID=5799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101A KR101699908B1 (en) 2016-09-28 2016-09-28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90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17B1 (en) * 2018-01-16 2018-06-05 채휘영 Trailer for mobile ground penetrating radar with lifting function
KR101893426B1 (en) * 2018-02-05 2018-10-04 주식회사 벨루가이엔지 Ground exploration device
KR102436541B1 (en) * 2021-12-17 2022-08-26 국토안전관리원 Narrow Road Surve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938A (en) * 1998-06-30 2000-01-21 Atlas Auto:Kk On-vehicle type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KR20010048449A (en) * 1999-11-26 2001-06-15 조성호 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shock waves in non-destrucitive two-dimensional way for the ground
KR20090066597A (en) * 2007-12-20 200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obe and analysis system of pipe inner and outer surface
KR101416753B1 (en) * 2013-05-07 2014-07-09 한국시설안전공단 Appartus for supporting GPR antenn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938A (en) * 1998-06-30 2000-01-21 Atlas Auto:Kk On-vehicle type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KR20010048449A (en) * 1999-11-26 2001-06-15 조성호 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shock waves in non-destrucitive two-dimensional way for the ground
KR20090066597A (en) * 2007-12-20 200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obe and analysis system of pipe inner and outer surface
KR101416753B1 (en) * 2013-05-07 2014-07-09 한국시설안전공단 Appartus for supporting GPR antenn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17B1 (en) * 2018-01-16 2018-06-05 채휘영 Trailer for mobile ground penetrating radar with lifting function
KR101893426B1 (en) * 2018-02-05 2018-10-04 주식회사 벨루가이엔지 Ground exploration device
KR102436541B1 (en) * 2021-12-17 2022-08-26 국토안전관리원 Narrow Road Surve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908B1 (en)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CN1127666C (en) Locator
US8694258B2 (en) Derivative imaging for subsurface object detection
La et al.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for the bridge deck inspection and evaluation robotic system
KR101659723B1 (en) Multiple aperture ultrasound array alignment fixture
JP675779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3D image data
US8027223B2 (en) Earth analysis methods, subsurface feature detection methods, earth analysis device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200900400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ollimated and linearly polarized millimeter wave beams at brewster's angle of incidence in ground penetrating radar to detect objects located in the ground
WO2009145636A2 (en) A survey system for locating geophysical anomalies
US20140104979A1 (en) Ground-Penetrating Tunnel-Detecting Active Sonar
KR101737547B1 (en) Investigating apparatus for safety test of structure of ground of road
Wiggenhauser et al. Large aperture ultrasonic system for testing thick concrete structures
KR101267016B1 (en) Singnal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structures by used gpr unit
JP2005098746A (en) Continuous cable position survey device, method, and program
CA2900298C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saft analysis when measuring irregularities
KR101902630B1 (en) System for investigating structure of ground
US11255990B2 (en) Internal structure detection system
US11566511B2 (en) Imaging inside a structure using magneto quasistatic fields
KR20040092508A (en) System for investigation of river bottom topography and fluctuation using GPS and GPR
KR102053702B1 (en) Apparatus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maintaining a constant spacing between antenna and road surface
CN218645279U (en) Vibration device for underground pipeline detection
US7800373B2 (en) Method for correcting magnetic based orientation measurements for local biasing fields
KR102275670B1 (en) A device that calculates the trajectory of the underground pipeline simultaneously with geological exploration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underground pipeline
US20180038971A1 (en) Seismic Source Installation/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20090290447A1 (en) Measuring Electromagnetic Source Ge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