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86B1 -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86B1
KR101698486B1 KR1020100113357A KR20100113357A KR101698486B1 KR 101698486 B1 KR101698486 B1 KR 101698486B1 KR 1020100113357 A KR1020100113357 A KR 1020100113357A KR 20100113357 A KR20100113357 A KR 20100113357A KR 101698486 B1 KR101698486 B1 KR 10169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hange
sum
touch
amou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963A (ko
Inventor
김섭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102010011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터치와 싱글 터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은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변화량의 합을 최대 감지 신호와 비교하여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전극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근접한 멀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TOUCH INPUT}
본 발명은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멀티 터치와 싱글 터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촉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를 적합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입력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랩 탑 컴퓨터에 적용되어 마우스를 대체하여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를 직접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으로 사용된다. 단순하게는 버튼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화면이 대형화되고 기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키 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배제하고,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접촉 입력 장치(예를 들어, 터치스크린)를 유일한 입력수단(적어도 주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촉 감지 장치의 적용 확대는 입력 방식의 변화를 수반하는데, 일 예가 2 이상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접촉 감지 장치는 하나의 접촉 입력만을 감지하였으며, 입력의 종류가 제한적이었다. 예를 들어, 마우스를 대체하는 접촉 감지 장치에 있어서는, 접촉 입력에 의해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뿐 클릭에 대응하는 입력은 부설된 버튼을 이용하여야 했다. 그러나, 최근의 접촉 감지 장치는 2 이상의 접촉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하나의 입력은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고, 나머지 하나의 입력에 의해 클릭 입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하나의 입력을 기준으로 삼고 다른 하나의 입력의 이동에 의해 화면을 회전하는 방식이나, 두 입력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방식을 구현하는 경우도 있다.
2 이상의 접촉 입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2 이상의 접촉 입력의 존부를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두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의 극대값과 극소값에 기초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825,352호에는 2개의 극대값(maxima)와 그들 사이의 극소값(minima)을 측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접촉 입력의 존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극대값과 극소값을 이용하는 방법은 두 개의 입력이 근접한 경우에는 그 적용이 어렵다. 예를 들어, 2 개의 접촉이 근접해 있는 경우 접촉에 의한 신호가 중첩되어 극대값 사이의 극소값이 예상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노이즈와 구별하여 2 개의 접촉 입력으로 인식하기 위한 문턱값 설정이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극대값과 극소값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근접한 접촉 입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전극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해상도(resolution)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택할 수 있지만, 이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전극과 회로 사이의 라우팅(routing)을 복잡하게 하여 기기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특히, 접촉 감지 장치의 하나인 터치스크린의 경우, 복잡한 라우팅은 통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주부(소위, 배젤)에 배치되는 배선부의 면적을 증가시키게 되어 화면 확대에 큰 저해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인식한 것으로, 감지 전극의 조밀도를 높이지 않고도 멀티 터치와 싱글 터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변화량의 합을 최대 감지 신호와 비교하여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감지 신호가 처음 나타나는 최초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및 감지 신호가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최후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화량의 합은, 상기 최초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상기 최후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최초 센싱 채널부터 상기 최후 센싱 채널까지의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더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단계,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하는 단계,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나타낸 감지 신호 프로파일(profile)에서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감지 신호 프로파일에서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획득부,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판단부,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변화량의 합을 상기 최대 감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계산부는,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계산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획득부,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하는 판단부,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 전극의 조밀도를 높이지 않고도 멀티 터치와 싱글 터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전자 기기에 낮은 비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접촉 입력 감지 장치에 인가된 예시적인 감지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접촉 입력 감지 장치에 인가된 예시적인 감지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접촉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사용자의 접촉에 따른 압력, 온도, 저항, 커패시턴스 또는 광학적 특성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도 1 은 접촉 감지 장치의 일 예로서 커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하는 접촉 감지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커패시턴스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접촉 감지 원리에 기초한 다양한 형태의 접촉 감지 장치에 모두 적용됨을 다시 한 번 밝혀 둔다.
접촉 감지 장치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된 윈도우(110)와 윈도우(110) 배면에 배치된 감지 전극(140)을 포함한다. 접촉 감지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터치스크린의 경우, 감지 전극(140)은 일반적으로 ITO(Indium Tin Oxide) 재질에 의해 투명하게 제조되며, 윈도우(110) 역시 아크릴이나 유리 재질로 투명하게 제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극(140)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50)의 표시 내용을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윈도우(110) 전면에 접촉 입력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감지 전극(140)은 투명 필름(120) 상에 에칭 또는 리소그래피(lithography)에 의해 형성되어 윈도우(110)의 배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10)의 배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전극(140)이 별도의 투명 필름(120) 상에 형성되어 윈도우(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설명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에 중첩 설치되지 않는 터치패드 등의 접촉 감지 장치의 경우에는 윈도우(110)로서 불투명 자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이용하여 감지 전극(140)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나 기타 접촉 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stylus))가 윈도우(110)의 전면에 접촉하면, 윈도우(110)와 투명 필름(120)을 유전체로 하고 도체인 감지 전극(140)과 접촉에 의해 소정의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손 또는 기타 접촉 도구 사이에서 커패시턴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커패시턴스는 배선(130)을 통해 회로부(160)에서 감지되고, 회로부(160)는 감지된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따라 접촉 입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전극은 접촉의 2차원적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부(160)는 복수의 전극들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촉 입력의 수와 접촉 입력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 입력 장치는 접촉 입력의 서로 평행하지 않은 2 개의 축, 예를 들어 서로 수직인 X축 및 Y축의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감지 전극을 각각 갖는 2 개의 전극층(122, 12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X-전극층(124)의 감지 전극은 Y축을 따라 동일한 X 위치에 배치된 것들끼리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X축을 따라 배열된 배선(134)에 접속되며, Y-전극층(122)의 감지 전극은 X축을 따라 동일한 Y 위치에 배치된 것들끼리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Y축을 따라 배열된 배선(132)에 접속된다. 각각의 배선(132, 134)은 별개의 센싱 채널을 이룬다. 회로부는 이들 두 개의 전극층(122, 124)으로부터 각 전극층(122, 124)이 배열된 축을 따라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멀티 터치 입력의 존부 및 접촉 입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접촉 입력(T1, T2)가 인가된 경우, 인가된 접촉 입력(T1, T2)에 의해 감지 전극의 커패시턴스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감지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며 센싱 채널별 커패시턴스 변화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의 세기도 강해진다. 도 2의 경우에는, 접촉 입력(T1, T2)이 각각 인가된 위치에 따라, 센싱 채널 X2 및 X3와 Y2 및 Y3에서의 감지 신호의 강도가 가장 강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 감지 장치는 동일한 Y축 좌표에 대응되는 감지 전극쌍(126)을 포함한다. 전극쌍은 삼각형 형상의 전극(126a, 126b)을 포함하며, 이들은 그 빗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전극(126a)과 전극(126b)은, 각각 별개의 센싱 채널을 구성하는 좌우의 배선(136a) 및 배선(136b)에 접속되나, 전극쌍(126)은 동일한 Y좌표에 대응되므로 이들 중 어느 것에 의해 감지된 입력도 동일한 Y좌표로 파악된다. 한편 전극들은 모두 Y축을 따라 배선에 접속되어, 감지 신호가 Y축을 따라 수신된다. 하나의 전극쌍에 포함되는 전극들의 신호를 하나로 처리하기 위하여, 좌우 배선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가산되어 전극쌍 단위의 감지 신호 수신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2개의 접촉입력(T3, T4)이 입력된 경우, 접촉 입력(T3, T4)가 입력된 위치인 Y5 및 Y7에서의 감지신호의 강도가 가장 강하다.
도 4는 접촉 감지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싱글 터치가 인가된 예시적인 감지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멀티 터치가 인가된 예시적인 감지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은 먼저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한다(단계 S410).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 센싱 채널 2의 감지 신호의 강도(S)는 10이며 이는 S(2)=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서 다른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의 강도는 S(0)=0, S(1)=0, S(3)=20, S(4)=30, S(5)=40, S(6)=35, S(7)=20, S(8)=5, S(9)=0, S(10)=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감지 신호의 강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접촉 감지 장치의 상하 좌우 가장자리에 배치된 센싱 채널의 경우에는 감지 신호의 강도가 0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또는 0에 근사한 값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다음,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은 단계 S420에서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 센싱 채널 5의 감지 신호의 강도가 40으로 최대값이므로 최대 감지 신호(MaxVect)는 40의 값을 갖는다.
다음,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은 단계 S430에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한다. 감지 신호의 변화량(Diff)은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값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 센싱 채널 4와 센싱 채널 5 사이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10의 값을 가지며 이는 Diff(4)=|S(5)-S(4)|=|40-30|=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서 다른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Diff(0)=|S(1)-S(0)|=0, Diff(1)=|S(2)-S(1)|=10, Diff(2)=|S(3)-S(2)|=10, Diff(3)=|S(4)-S(3)|=10, Diff(5)=|S(6)-S(5)|=5, Diff(6)=|S(7)-S(6)|=15, Diff(7)=|S(8)-S(7)|=15, Diff(8)=|S(9)-S(8)|=5, Diff(9)=|S(10)-S(9)|=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도 6에서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내어 진다.
한편, 단계 S440에서는 단계 S430에서 계산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을 계산한다. 도 6에서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1
이와 관련하여, 도 6에서 감지 신호가 최초로 나타나는 최초 센싱 채널은 채널 2 으로서 채널 2의 감지신호의 강도는 10의 값을 가지고, 감지 신호가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최후 센싱 채널은 채널 8 으로서 채널 8 의 감지신호의 강도는 5의 값을 갖는다. 최초 센싱 채널이 i인 경우 이전 센싱 채널의 감지신호의 강도가 0의 값을 가지므로 S(i)=Diff(i-1)의 수식을 만족하고, 최후 센싱 채널이 j인 경우 이후 센싱 채널의 감지신호의 강도가 0의 값을 가지므로 S(j)=Diff(j)의 수식을 만족한다. 따라서, 변화량의 합은 최초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의 강도 및 최후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의 강도를 그 인자로 포함한다. 또한, 변화량의 합은 최초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최후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및 최초 센싱 채널부터 최후 센싱 채널까지의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450에서는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과 최대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 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촉 입력을 멀티 터치로 결정하게 된다(단계 S460). 즉,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수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2
한편,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70에서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 배와 동일한 값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 배와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에는 접촉 입력을 싱글 터치로 결정하게 된다(단계 S480). 즉,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수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3
한편,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0인 경우에는 접촉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은 80의 값을 가지며 최대 감지 신호(MaxVect)는 40의 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 배와 동일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로 결정되게 된다.
한편, 도 7의 경우를 예로 들면, 센싱 채널 별로 획득된 감지 신호의 강도는 다음과 같다. S(0)=0, S(1)=0, S(2)=10 S(3)=20, S(4)=30, S(5)=40, S(6)=25, S(7)=35, S(8)=5, S(9)=0, S(10)=0. 도 7에서 최대 감지 신호는 센싱 채널 5에서 40의 값을 갖는다.
도 7에서의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Diff(0)=|S(1)-S(0)|=0, Diff(1)=|S(2)-S(1)|=10, Diff(2)=|S(3)-S(2)|=10, Diff(3)=|S(4)-S(3)|=10, Diff(5)=|S(6)-S(5)|=10, Diff(5)=|S(6)-S(5)|=15, Diff(6)=|S(7)-S(6)|=10, Diff(7)=|S(8)-S(7)|=30, Diff(8)=|S(9)-S(8)|=5, Diff(9)=|S(10)-S(9)|=0.
도 7에서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4
도 7에서는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100의 값을 가지며, 최대 감지 신호(MaxVect)는 40의 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도 7에서는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 배를 초과하는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로 결정되게 된다.
도 5는 접촉 감지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 입력 감지 방법은 먼저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한다(단계 S510). 다음,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한다(단계 S520).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한 후에는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한다(단계 S530).
다음,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 및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계산한다(단계 S540). 여기서, 제 1 구간은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나타낸 감지 신호 프로파일에서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들일 수 있으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일 수 있다. 또한, 제 2 구간은 감지 신호 프로파일에서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들일 수 있으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간 및 제 2 구간을 예시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 및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계산한 후,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50). 만약,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 경우에는 접촉 입력을 싱글 터치로 결정하게 된다(단계 S560). 한편,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 입력을 멀티 터치로 결정하게 된다(단계 S570).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예로 들어, 도 5에 나타난 접촉 입력 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에서 센싱 채널 별로 획득된 감지 신호의 강도와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앞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며, 도 6과 도 7 모두 센싱 채널 5에서 감지 신호의 값이 40으로 최대값을 가짐으로 중앙 센싱 채널은 채널 5로 결정된다.
도 6에서의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5
한편, 도 6에서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6
따라서, 도 6에서 제 1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하며, 도 6에서 접촉 입력 감지 장치에 인가된 접촉 입력은 싱글 터치로 판단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의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7
도 7에서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74380928-pat00008
따라서, 도 7에서 제 1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상이하며, 도 7에서 접촉 입력 감지 장치에 인가된 접촉 입력은 멀티 터치로 판단되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입력 감지 장치(8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의 접촉 입력 감지 장치(800)는 획득부(810), 판단부(820), 계산부(830) 및 결정부(840)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획득부(810)는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고, 판단부(820)는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하고, 계산부(830)는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결정부(840)는 변화량의 합을 최대 감지 신호와 비교하여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계산부(830)는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840)는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고, 변화량의 합이 최대 감지 신호의 2 배와 동일한 경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판단부(820)는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하고, 결정부(840)는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비교하여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하고,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840)는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 경우에는,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을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별개인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기능상 구별된 것으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한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도 수개의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다른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각각 독립하여서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윈도우
120 : 투명 필름
130 : 배선
140 : 센싱 전극
150 : 디스플레이
160 : 회로부

Claims (20)

  1.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변화량의 합을 상기 최대 감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은,
    감지 신호가 처음 나타나는 최초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및 감지 신호가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최후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의 합은,
    상기 최초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상기 최후 센싱 채널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최초 센싱 채널부터 상기 최후 센싱 채널까지의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더한 값인
    접촉 입력 감지 방법.
  7.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단계;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하는 단계;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나타낸 감지 신호 프로파일(profile)에서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나타낸 감지 신호 프로파일에서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방법.
  12.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획득부;
    획득된 감지 신호 중 최대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판단부;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변화량의 합을 상기 최대 감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인접한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변화량의 합이 상기 최대 감지 신호의 2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6. 접촉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획득하는 획득부;
    최대 감지 신호를 갖는 중앙 센싱 채널을 판단하는 판단부;
    센싱 채널 간의 감지 신호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계산부;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을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비교하여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나타낸 감지 신호 프로파일에서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왼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은,
    상기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별로 나타낸 감지 신호 프로파일에서 상기 중앙 센싱 채널의 오른편에 있는 센싱 채널 간의 변화량의 합을 포함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멀티 터치임을 결정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20.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1 구간의 변화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의 변화량의 합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접촉 입력이 싱글 터치임을 결정하는
    접촉 입력 감지 장치.
KR1020100113357A 2010-11-15 2010-11-15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69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357A KR101698486B1 (ko) 2010-11-15 2010-11-15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357A KR101698486B1 (ko) 2010-11-15 2010-11-15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963A KR20120051963A (ko) 2012-05-23
KR101698486B1 true KR101698486B1 (ko) 2017-01-20

Family

ID=4626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357A KR101698486B1 (ko) 2010-11-15 2010-11-15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5162A (ja) 2004-02-16 2005-09-02 Sunplus Technology Co Ltd タッチパッドおよび位置検出回路、並びに位置検出方法
JP2009146374A (ja) 2007-12-11 2009-07-02 J Touch Corp マルチポイントタッチ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
JP2010515193A (ja) 2007-01-03 2010-05-0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タッチ自動スキャニン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966A (ko) * 2008-10-28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5162A (ja) 2004-02-16 2005-09-02 Sunplus Technology Co Ltd タッチパッドおよび位置検出回路、並びに位置検出方法
JP2010515193A (ja) 2007-01-03 2010-05-0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タッチ自動スキャニング
JP2009146374A (ja) 2007-12-11 2009-07-02 J Touch Corp マルチポイントタッチ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963A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854B1 (ko) 복수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EP2244173B1 (en)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touchscreen panel, touchscreen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05115B (zh) 觸控面板
US91890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 signal correlated with a manual input operation
US20090066659A1 (en) Computer system with touch screen and separate display screen
JP6369805B2 (ja) タッチセンサ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タッチジェスチャー検知プログラム
US20070132724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2284669B1 (en) Touch panel and output method therefor
US20130147739A1 (en) Input interfac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an input interface
CN111630480B (zh) 触摸面板装置
WO2011087669A2 (en) Five-wire resistive touch screen pressure measurement circuite and method
KR20110113035A (ko) 멀티터치 감지를 위한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WO2009142879A2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wipethrough data entry
KR20120005235A (ko) 멀티터치 감지를 위한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AU2015202763A1 (en) Glove touch detection
JP2008165575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718984B1 (ko)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의 터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
US10990236B2 (en) Methods for two-touch detection with resistive touch sensor and related apparatuses and systems
KR101655196B1 (ko) 자동 모드 전환 방법
KR101698486B1 (ko) 접촉 입력 감지 방법 및 장치
JP5899568B2 (ja) 入力物体を区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I603242B (zh) 觸控面板、電子裝置及偵測三點觸控的方法
JP5151808B2 (ja) 情報入力装置
US20080158187A1 (en) Touch control input system for use in electronic apparatuses and signal generation method thereof
WO2014002315A1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