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201B1 -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201B1
KR101697201B1 KR1020150122862A KR20150122862A KR101697201B1 KR 101697201 B1 KR101697201 B1 KR 101697201B1 KR 1020150122862 A KR1020150122862 A KR 1020150122862A KR 20150122862 A KR20150122862 A KR 20150122862A KR 101697201 B1 KR101697201 B1 KR 10169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intake
air pressure
pressure
suc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재
Original Assignee
(주)클래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래시스 filed Critical (주)클래시스
Priority to KR102015012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61H7/008Suction 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06B1/18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operating with reciprocating masses
    • A61H2007/00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6Medical, dental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내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과 저비용으로 피부 마사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동력이 인가되면,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흡배기압 생성수단과, 흡배기압 생성수단에 작동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흡배기압 생성수단의 흡기압에 의해 피부를 당기고, 배기압에 의해 피부를 밀어 피부에 진동을 생성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고, 흡배기압 생성수단의 흡배기압을 핸드피스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호스나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배기압 생성수단은 흡배기구가 형성된 실린더통과, 실린더통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피스톤과, 액츄에이터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를 위한 진동 발생장치는 실린더 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기압과 배기압을 생성하므로 하나의 관로로 흡기압과 배기압을 전달할 수 있어 공압을 전달하기 위한 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스위칭 장치가 없으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VIBRATION GENERATOR USING SUCTION AND BLOWING AIR PRESSURE }
본 발명은 피부 마사지를 위한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내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과 저비용으로 피부 마사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사지 기구는 인체의 소정 부위를 가압하거나 미세한 통증과 진동 및 온열의 인가 등을 통해 피부조직을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의 촉진과 같은 생체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하여 신체의 내부에 잔존하는 노폐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거나 근육의 이완수축에 따른 근육조직의 경화예방 및 통증의 완화를 통해 인체의 건강이나 미용을 증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마사지 기구는 주로 신체의 일부위에 열이나 전기적인 자극과 함께 진동을 인가하여 마사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마사지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중에서 진공(공기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피부를 마사지하는 의료기기나 미용기기는 피부에 진공 펄스를 인가하여 그 흡입력으로 피부를 끌어 당기기 위한 진공 펄스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B1)에 등록번호 제10-1371944호로 등록된 '진공 펄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21)의 흡입구와 고속 스위칭밸브(22)의 배출구를 연결함과 아울러 진공펌프(21)의 배출구와 고속 스위칭 밸브(22)의 흡입구를 연결하여 진공펌프(21)에 의해 생성되는 음(-) 압과 양(+) 압을 고속 스위칭 밸브(22)로 스위칭하여 흡입컵(23)에서 진공 펄스가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고속 스위칭 밸브(22)와 진공펌프(21) 사이에 흡입유량 조절부(24)와 배출유량 조절부(25)가 부가되어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KR 10-1371944 B1 KR 10-1270304 B1
종래의 진공 펄스 장치는 고속 스위칭 밸브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고, 진공펄스의 음(-) 압과 양(+) 압을 각각 전달하기 위해 관로 구성이 복잡해지며, 잦은 스위칭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 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과 저비용으로 마사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동력이 인가되면,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흡배기압 생성수단;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에 작동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의 흡기압에 의해 피부를 당기고, 배기압에 의해 피부를 밀어 피부에 진동을 생성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의 흡배기압을 상기 핸드피스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호스나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은 흡배기구가 형성된 실린더통과, 상기 실린더통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통은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생성되는 흡기압과 배기압의 진폭을 다르게 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은 곡면이거나 평면이고, 실린더통과 면접하는 부분에 링이 장착된 것이다.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캠이나 캠축, 리니어모터, 스크류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 것이고, 상기 피스톤은 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피스톤의 곡면 중앙에서 상기 피스톤을 회전축과 연결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캠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캠축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캠축과 연결하면서 상기 캠축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로 구성되거나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스크류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되어 흡배기압을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이 원판형일 경우에 상기 피스톤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축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스크류축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은, 중앙에 돌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홈에는 상기 스크류축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장봉의 내부 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스크류축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홈에 끼워지는 볼트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되어 흡배기압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는, 흡배기압을 감지하거나 피스톤의 왕복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감지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진동의 크기나 주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를 위한 진동 발생장치는 실린더 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기압과 배기압을 생성하므로 하나의 관로로 흡기압과 배기압을 전달할 수 있어 공압을 전달하기 위한 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스위칭 장치가 없으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흡기압과 배기압의 진폭과 주기를 쉽게 조절하여 다양한 진동 마사지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펄스 발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배기압 생성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캠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형도의 예,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실린더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캠축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실린더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크류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실린더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스크류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실린더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크류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14)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배기압을 생성하는 흡배기압 생성부(110)와, 흡배기압 생성부(110)에 작동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20)와, 액츄에이터(12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30)와, 흡배기압 생성부(110)의 흡배기압을 전달하기 위한 에어호스(140)와, 에어호스(140)를 통해 전달되는 흡기압(suction air pressure)에 의해 피부를 당기고 배기압(blowing air pressure)에 의해 피부를 밀어 피부에 진동을 생성하는 핸드피스(15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흡배기압 생성부(110)는 원형이나 각형의 실린더 통(112)으로서 내부에 피스톤(114)이 왕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헤드면(피스톤에 의해 흡기압과 배기압이 생성되는 측)에 흡배기구(1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면의 반대측은 개방되어 피스톤(114)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116)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20)가 구동 메커니즘(116)을 작동시키면 피스톤(114)이 왕복하면서 흡기압과 배기압을 생성하여 흡배기구(112a)를 통해 에어호스(140)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20)는 전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고, 컨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어 구동 메커니즘(116)을 작동시킨다. 컨트롤러(130)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센서신호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액츄에이터(120)를 제어하여 흡기압과 배기압 생성 주기 및 압력 등 다양한 변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마사지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드피스(150)는 돔형의 석션컵으로서 돔의 중앙에 형성된 흡배기홀(152)이 에어호스(140)를 통해 실린더통의 흡배기구(112a)와 연결되어 있고, 피부에 밀착되면 흡배기압 생성부(110)의 흡기압에 의해 피부를 당기고 배기압에 의해 피부를 밀어 피부에 진동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사지용 진동 발생장치(100)는 흡배기압 생성부(110)의 구현방식에 따라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캠을 이용한 실시예와, 스크류를 이용한 실시예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세부적인 구동 메커니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 제 1 실시예>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배기압 생성부(1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캠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형도의 예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흡배기압 생성부(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비와 같이, 흡배기구(211a)가 형성된 실린더통(211)과, 실린더통(211)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곡면의 피스톤(212)과, 피스톤의 곡면 중앙에서 피스톤을 회전축과 연결하면서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캠(213)과, 전동모터(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214)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린더통(211)은 헤드면(211b)과 피스톤(212)에 의해 밀폐되어 흡배기압이 생성되는 실린더실(211c)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면(211b)의 중앙에는 흡배기구(211a)가 형성되어 에어호스(140)를 통해 핸드피스(150)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헤드면(211b)의 일측이나 실린더통(211)에는 피스톤(212)의 흡기 운동시 실린더실(211c)을 밀폐시키고 피스톤(212)의 배기 운동시 실린더실의 일부를 개방시켜 배기압이 누설되게 하는 체크밸브(216)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체크밸브(216)는 흡기시에는 실린더실(211c)을 밀폐시켜 흡기압이 충분히 생성되게 하고, 배기시에는 실린더실(211c)의 공기를 일부 누설시켜 배기압을 낮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배기압에 의한 진동패턴이 흡기시와 배기시 다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기압과 흡기압이 동일하면 핸드피스(150)가 피부에서 떨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흡기압이 배기압보다 크게 하여 핸드피스(150)가 항상 피부에 밀착되어 있게 하면서 피부만 진동되게 한다.
피스톤(212)은 캠(213)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흡배기압이 생성되는 실린더실(211c)의 공간을 크게 하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볼록면의 정상 부분에 캠(213)을 연결하기 위한 베어링축(2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212)이 실린더통(211)과 접하는 외주면에는 실린더실(211c)의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217)이 끼워질 수 있으며, 왕복 운동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윤활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캠(213)은 회전축(214)과 베어링(215)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회전축(214)의 회전운동을 피스톤(212)의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회전축(214)은 실린더통(211)의 개방면 양측에 베어링(2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일측에는 전동모터(220)가 장착되어 전동모터(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14)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통(211)의 외측면에는 피스톤(212)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218)가 부착될 수 있으며, 홀센서(218)의 감지신호는 컨트롤러(1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30)는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감지신호에 따라 전동모터(220)를 제어하여 진동 세기(압력)나 주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피부에 핸드피스(150)를 밀착시킨 후 컨트롤러(130)를 조작하여 전동모터(220)를 회전시키면 회전축(214)의 회전에 따라 캠(213)이 피스톤(212)을 당기면, 실린더실(211c)이 확장되면서 흡기압이 발생되어 흡배기구(211a)와 에어호스(140)를 통해 핸드피스(150)의 내부 공간에 흡기압이 전달되어 피부를 당기게 된다. 이때 체크밸브(216)는 폐쇄되어 실린더실(211c)의 공기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어 캠(213)이 피스톤(212)을 밀면 실린더실(211c)이 좁아지면서 배기압이 증가되어 흡배기구(211a)와 에어호스(140)를 통해 핸드피스(150)의 내부 공간에 배기압이 전달되어 피부를 밀게 된다. 이때 체크밸브(216)는 일정 배기압에 도달하면 오픈되어 실린더실(211c)의 공기가 누출되게 하고, 이에 따라 배기압의 최대치(A2)는 흡기압의 최대치(A1)보다 낮게 유지되어 핸드피스(150)가 피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전동모터(220)의 회전축(214)이 회전되면서 캠(213)은 피스톤(212)을 왕복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실(211c)의 흡배기압에 의해 핸드피스(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동 패턴을 피부에 인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흡기압에 의한 진동의 최대 진폭(A1)과 배기압에 의한 진동의 최대 진폭(A2)이 서로 달라 진폭이 언발란스되어 피부에 대한 맛사지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압이 흡기압보다 낮아(A1>A2) 핸드피스(150)가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 제 2 실시예>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흡배기압 생성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캠축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흡배기압 생성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배기구(311a)가 형성된 실린더통(311)과, 실린더통(311)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피스톤(312)과, 전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캠축(313)과, 캠축(313)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312)을 왕복운동시키는 링크(314)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캠축(313)은 회전축(313a)의 중앙부분에 편심축(313b)이 형성되어 있고, 편심축(313b)에 링크(31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314)의 타단은 피스톤(312)에 연결되어 캠축(313)이 회전하게 되면 링크(314)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피스톤(312)을 밀고 당겨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피스톤(312)을 왕복운동시키는 캠축 부분만 다르고 나머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랙하기로 한다.
< 제 3 실시예>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흡배기압 생성부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크류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흡배기압 생성부(4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구동 메커니즘(116)이 전동모터(42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스크류축(414)으로 이루어지고, 피스톤(412)은 스크류축(414)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되어 흡배기압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린더통(411)의 헤드면(411b) 중앙에는 스크류축(414)의 머리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홈(411h)이 형성되어 있고, 흡배기구(411a)는 헤드면(411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통(411)의 헤드면 반대측 개방면에는 전동모터(420)를 장착하기 위한 보텀 커버(422)가 씌워져 있으며, 전동모터의 스크류축(414)은 커버(42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헤드면의 홈(411h)까지 길게 장착되어 있다. 이때 보텀 커버(422)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백 챔버에 불필요한 반발 압력이 생성되지 않도록 복수의 개방홀(422a)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412)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12a)을 통해 스크류축(414)에 끼워져 있고, 관통홀(412a)에는 스크류축(414)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피스톤(412)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고무링(412b)이 끼워져 있다.
또한 피스톤(412)이 원판형일 경우에 피스톤이 스크류축(414)과 함께 회전되면 왕복운동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피스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축(415)이 구비되어 있으며, 피스톤(412)에는 고정축(415)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축(415)을 타고 상하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만일, 피스톤(412)이 각형일 경우에는 스크류축(414)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412)이 회전될 염려가 없으므로 고정축(415)은 필요없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전동모터(42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스크류축(414)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피스톤(412)이 스크류축(414)을 따라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실린더실(411c)이 확장되어 흡기압을 생성하게 되고, 전동모터(42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스크류축(414)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피스톤(412)이 스크류축(414)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실린더실(411c)이 축소되어 배기압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동모터(420)의 회전방향과 회전수 등을 제어하여 압력이나 반복주기 등을 전자적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제 4 실시예>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흡배기압 생성부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크류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 3 실시예에서는 피스톤(412)에 관통공(412a)이 형성되어 스크류축(414)이 피스톤(412)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피스톤(412)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12)의 중앙에 돌출 홈(513)을 형성한 후 돌출 홈(513)에는 스크류축(514)에 대응하는 나사 홈을 형성하여 스크류축(514)의 정역 회전에 따라 피스톤(512)이 왕복운동하도록 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실린더통(511)의 헤드면(511b) 중앙에는 흡배기구(5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통(511)의 헤드면 반대측 개방면에는 전동모터(520)를 장착하기 위한 보텀 커버(5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동모터(520)의 스크류축(514)은 커버(52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피스톤(512)의 돌출홈(513)에 체결되어 있다. 이때 보텀 커버(522)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백 챔버에 불필요한 반발 압력이 생성되지 않도록 복수의 개방홀(522a)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512)은 중앙에 형성된 돌출홈(513)에 스크류축(514)이 끼워져 있고, 돌출홈(513)에는 스크류축(514)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피스톤(512)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512)이 원판형일 경우에 고정축(515)이 구비되어 있으며, 피스톤(512)이 각형일 경우에는 스크류축(514)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512)이 회전될 염려가 없으므로 고정축(515)은 필요없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작동은 전동모터(52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스크류축(514)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피스톤(512)의 돌출홈(513)이 스크류축(514)을 따라 후방으로 후퇴해 흡기압을 생성하게 되고, 전동모터(52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스크류축(514)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피스톤(512)의 돌출홈(513)이 스크류축(514)을 밀면서 전방으로 전진하여 배기압을 생성하게 된다.
< 제 5 실시예>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흡배기압 생성부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크류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을 장봉의 내부 홈(614)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스크류축(614)으로 제작하여 전동모터(62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고, 피스톤(612)은 스크류축의 내부 홈(612a)에 끼워지는 볼트(616)가 부착되어 너트형 스크류축(614)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되어 흡배기압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 5 실시예의 동작은 회전 스크류가 너트형이고, 피스톤(612)에 볼트(616)가 부착된 구조인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진동 발생장치 110,210,310,410,510,610: 흡배기압 생성부
112: 실린더통 112a: 흡배기구
114: 피스톤 116: 구동 메커니즘
120: 액츄에이터 130: 컨트롤러
140: 에어호스 150: 핸드피스
152: 관통홀

Claims (15)

  1. 동력이 인가되면,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흡배기압 생성수단과,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에 작동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의 흡기압에 의해 피부를 당기고, 배기압에 의해 피부를 밀어 피부에 진동을 생성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은
    흡배기구가 형성된 실린더통;
    상기 실린더통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흡배기압을 생성하기 위한 피스톤;
    상기 실린더통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 중 흡기운동 시에는 폐쇄되고 배기운동 시에는 흡기압 보다 낮은 기준압에서 개방되어 배기압이 흡기압보다 항상 작게 하여 상기 핸드피스가 피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체크밸브;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흡배기압 생성수단의 흡배기압을 상기 핸드피스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곡면이거나 평면이고, 실린더통과 면접하는 부분에 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캠이나 캠축, 리니어모터, 스크류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피스톤의 곡면 중앙에서 상기 피스톤을 회전축과 연결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캠축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캠축과 연결하면서 상기 캠축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스크류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되어 흡배기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이 원판형일 경우에 상기 피스톤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축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스크류축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중앙에 돌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홈에는 상기 스크류축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수단은
    장봉의 내부 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스크류축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홈에 끼워지는 볼트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스크류축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되어 흡배기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는,
    흡배기압을 감지하거나 피스톤의 왕복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감지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진동의 크기나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KR1020150122862A 2015-08-31 2015-08-31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KR10169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62A KR101697201B1 (ko) 2015-08-31 2015-08-31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62A KR101697201B1 (ko) 2015-08-31 2015-08-31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201B1 true KR101697201B1 (ko) 2017-01-17

Family

ID=5799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862A KR101697201B1 (ko) 2015-08-31 2015-08-31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96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롤링자극도구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548A (ja) * 1990-07-25 1992-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吸引美顔器
KR200341271Y1 (ko) * 2003-08-27 2004-02-11 박순황 모유 착유기를 겸한 피부 마사지기
KR200403835Y1 (ko) * 2005-10-06 2005-12-14 이창재 경락 경혈 지압 마사지기
KR101270304B1 (ko) 2011-09-05 2013-05-31 김광호 피부마사지장치
KR101371944B1 (ko) 2012-10-19 2014-03-25 투케이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펄스 장치
KR20140071875A (ko) * 2012-12-04 2014-06-12 이홍재 흡착 진동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548A (ja) * 1990-07-25 1992-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吸引美顔器
KR200341271Y1 (ko) * 2003-08-27 2004-02-11 박순황 모유 착유기를 겸한 피부 마사지기
KR200403835Y1 (ko) * 2005-10-06 2005-12-14 이창재 경락 경혈 지압 마사지기
KR101270304B1 (ko) 2011-09-05 2013-05-31 김광호 피부마사지장치
KR101371944B1 (ko) 2012-10-19 2014-03-25 투케이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펄스 장치
KR20140071875A (ko) * 2012-12-04 2014-06-12 이홍재 흡착 진동 마사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96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롤링자극도구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KR102145836B1 (ko) * 2018-02-22 2020-08-19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롤링자극도구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178B1 (ko) 피부용 마사지 장치
US7273461B2 (en) Leg massager using air
WO2011128182A3 (de) Gerät zur massage beziehungsweise behandlung der rücken- und nackenmuskulatur
CN107582345B (zh) 一种超声直线电机驱动的体外反搏执行装置
KR101675682B1 (ko) 다기능 마사지장치
KR101697201B1 (ko) 흡배기압을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US20220110819A1 (en) Piston sucking-type massager
CN101905044B (zh) 超声电机驱动隔膜式搏动血泵
CN110935074A (zh) 一种中医临床用自动拔罐装置
EP3871647A1 (en) Massaging device with negative pressure cavity
CN101862479B (zh) 脉冲变压式拔罐器
KR101659479B1 (ko) 음압을 이용한 치료용 의료기기
US20200282117A1 (en) Breastpump with functional vacuum pulses
CN114246782A (zh) 一种动态压力发生装置及按摩器
CN211214310U (zh) 一种健康管理设备
KR101170111B1 (ko) 진동피스를 구비한 지방흡입장치
KR20180062047A (ko) 세정기능이 적용된 핸드피스
CN219271509U (zh) 空气波按摩装置
CN201658684U (zh) 脉冲变压式拔罐器
CN111449930A (zh) 一种可调式按摩器的使用方法
EP1905409A1 (en) Apparatus for reactivating microcirculation of the blood
CN211326714U (zh) 一种筋膜理疗器
CN104116624B (zh) 保健治疗机
KR200341271Y1 (ko) 모유 착유기를 겸한 피부 마사지기
CN217130802U (zh) 深层肌肉刺激仪安装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