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208B1 -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208B1
KR101695208B1 KR1020150056548A KR20150056548A KR101695208B1 KR 101695208 B1 KR101695208 B1 KR 101695208B1 KR 1020150056548 A KR1020150056548 A KR 1020150056548A KR 20150056548 A KR20150056548 A KR 20150056548A KR 101695208 B1 KR101695208 B1 KR 10169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ip
mounting surface
base member
f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727A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Priority to KR102015005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2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원자력 발전소 냉각수 인입관, 도시가스 이송관 등과 같은 대구경의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맞대기(butt joining) 열융착 접합을 위한 접합 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분리된 제1,2 원통형 파이프의 서로 마주하는 제1,2 접합 단면의 열융착 접합을 위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가공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평행한 설치면을 가지며, 상기 설치면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 중 일 측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절삭하는 절삭 팁; 및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절삭 팁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APPARATUS FOR CUTTING JOINING SURFACE FOR BUTT FUSION OF POLYETHYLENE PIPES}
본 개시(Disclosure)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형상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냉각수 인입관, 도시가스 이송관 등과 같은 대구경의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맞대기(butt joining) 열융착 접합을 위한 접합 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원자력 발전소나 도시가스 저장소 등에서 다량의 냉각수나 도시가스를 필요한 곳에 공급할 때에는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데, 이때 배관 재료로서 주로 금속관이 사용된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소의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1차 냉각재를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냉각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대구경의 냉각수 인입관을 바다에 매설하여 이를 통해 바닷물을 취출 하여 냉각수로서 사용하는데, 이때 냉각수 인입관으로서 금속관을 사용하게 되면 해수에 의해 인입관이 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냉각수 인입관으로서 금속관 대신 폴리에틸렌관 등의 합성수지관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은 다른 재질에 비해 내화학성, 위생성, 유연성, 경량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전식(전해부식) 및 부식이 전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유지 관리가 쉽고 경제성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냉각수 인입관용으로뿐만 아니라 상·하수도용 및 가스 이송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이용하여 배관할 때에는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금속제 커플링 등을 이용하는 기계적 연결방식과 열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이 있으며, 기계적 연결방식은 커플링과 이에 소요되는 연결 부자재 등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여전히 부식의 우려가 있어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는 주로 열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열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에도 열융착(heat fusion)방식과 전기융착(electro fusion) 방식이 있으며, 열융착 방식은 다시 융착 형태별로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 융착(socket fusion) 및 새들 융착(saddle fusion)으로 분류되고, 전기 융착은 전기소켓 융착과 전기새들 융착으로 구분되고, 이때 열융착 방식은 외부 열원(heater)을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를 용융시킨 다음 압착하여 접합하는 방식이고, 전기융착은 전열선(heating coil)을 이음관 내부에 삽입하여 전원을 이음관의 열선에 가함으로 발생하는 저항 열을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를 용융시켜 연결하는 융착 방식으로서 소켓융착이나 전기소켓 융착은 별도의 이음관(소켓)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냉각수 인입관, 가스이송배관 등을 연결할 때에는 주로 이음관이 필요 없는 열융착에 의한 맞대기 융착 방식이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맞대기 융착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할 때에는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파이프 단부를 클리닝 과정을 통해 파이프 생산시 외피에 형성된 산화 피막과 보관이나 운반시 흙이나 먼지 등을 제거한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융착 장치에 의해 클램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한 후, 연결하고자 하는 양 파이프의 마주보는 단면이 정확히 서로 일치되도록 파이프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2개의 파이프가 융착장치 상에 정확히 정렬되고 나면, 2개의 파이프 단부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의 히터를 삽입하여 파이프의 단부를 용융시킨 다음, 히터를 제거한 상태에서 2개의 파이프를 서로 맞댄 후 용융부분이 냉각될 때까지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접합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 중에 두 개의 파이프 단면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열판구조는 전통적으로 평판구조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구조는 필연적으로 가열 계면이 일자 수직구조로 형성된다(특허문헌 1,2,3 참조).
한편, 금속의 강재와 달리 결정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의 비체적(specific volume)은 융점(Tm, melting point)을 기준으로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가 제거된 상태에서 파이프를 가압하여 용융된 단부를 서로 접합하게 되면 파이프의 단부 간의 접합이 이루어지면서 접합 면의 온도가 서서히 낮아지고, 접합 면의 온도가 융점에 이르게 되면 이 융점(Tm)을 경계로 상변화가 일어나면서 급격한 부피의 변화(축소)가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열융착 방식에 의해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맞대기 연결할 때에는 압력 프로파일을 추종하도록 히터의 표면 온도와 파이프에 가하는 압력 및 시간 등이 제어되는데, 이때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접합공정(도 2에서 T4, T5 기간)에서 압력을 계속 승압시켜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이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계속 승압시키면서 접합을 행하게 되면 실제로는 융점 주위에서의 비체적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압력을 승압시키는 것만큼의 접합강도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연구 및 실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1. 특허문헌 0001) JP 2010-162898 A 2. 특허문헌 0002) US 8128853 B2 3. 특허문헌 0003) US 2006-0032349 A1
본 개시는, 종래의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열융합 접합시 발생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합 되는 파이프의 접합 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파이프의 열융착 시 굽힘 응력이나 충격 등에 충분히 강건하고, 크랙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서로 분리된 제1,2 원통형 파이프의 서로 마주하는 제1,2 접합 단면의 열융착 접합을 위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가공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평행한 설치면을 가지며, 상기 설치면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 중 일 측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절삭하는 절삭 팁; 및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절삭 팁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제1 접합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절삭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2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원통형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3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설치면을 하나의 면으로 하는 각뿔대(Prismoid)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상면과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하면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로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설치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상기 설치면에 밑변이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비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5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설치면을 하나의 면으로 하며, 속이 빈 삼각뿔대(Truncated Trigonal Pyramid) 형상으로 구비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6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설치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상기 설치면에 위치되는 밑변과 측변 사이의 각이 5°~15°로 구비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7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5 내지 제7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절삭 팁의 양측과 결합 되어 상기 절삭 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과 대향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설치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상기 절삭 팁의 단면과 닯은 꼴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 팁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하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제8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원통형 파이프의 서로 마주하는 접합 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 단면에 종래와 달리 절삭 팁에 의해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접합 공정 중 다른 하나의 접합 단면이 요홈에 삽입되어 열융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합 공정 중 접합부위에서 크랙이 생성되더라도 파이프 모재에 의해 크랙의 성장이 저지되므로 접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서로 마주하는 접합 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접합 단면에 형성된 요홈에 다른 하나의 접합 단면이 삽입되어 열융착되므로, 접합 면적이 커져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 공정 시 시간과 접합 압력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A)a-a의 단면, (B)b-b의 단면을 지지부재 및 파이프와 함께 보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절삭 팁의 일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A)a-a의 단면, (B)b-b의 단면을 지지부재 및 파이프와 함께 보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절삭 팁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100)는, 서로 분리된 제1,2 원통형 파이프(10,20)의 서로 마주하는 제1,2 접합 단면(11,21)의 열융착 접합을 위해, 제1 접합 단면(11)을 가공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10), 절삭 팁(120),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10)는, 제1 접합 단면(11)에 평행한 설치면(111)을 가진다.
설치면(111)은, 제1 접합 단면(11)에 대향 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일 면에 평평한 설치면(111)를 가지는 한 이면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베이스 부재(11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절삭 팁(120)에 의해 제1 접합 단면(11)이 가공되면서 발생 되는 칩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절삭 팁(120)은, 설치면(111)에 구비되며, 제1 접합 단면(11) 중 일 측에 대향 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절삭 팁(120)은, 베이스 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제1 접합 단면(11)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제1 접합 단면(11)을 절삭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접합 단면(11)은 원통형 파이프의 단면으로서 원형의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절삭 팁(120)은 베이스 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원형의 고리 모양을 이동 궤적으로 하여 제1 접합 단면(11)을 가공한다.
지지부재(130)는, 설치면(111)에 구비되며, 절삭 팁(120)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절삭 팁(120)과 베이스 부재(11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삭 팁(120)은, 제1 접합 단면(11)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베이스 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제1 접합 단면(11)을 따라 이동한다. 그 과정에서 절삭 팁(120)은 제1 접합 단면(11)에 요홈(11a)이 형성되도록 절삭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10)는, 제1 원통형 파이프(1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부재(110)에 연결되는 축 부재 및 축 부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동력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이스 부재(110)는 풀리 형태로 구비되어, 동력 장치에 연결된 구동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는 동력 장치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기어결합 되는 종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가 풀리 또는 기어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절삭 팁(120)에 의해 생성되는 칩의 배출을 위한 관통 공의 크기를 확장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삭 팁(120)은, 설치면(111)을 하나의 면으로 하는 각뿔대(Prismoid)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상면(120su)과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하면(120sl)이 베이스 부재(1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로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즉, 설치면(111)을 기준으로, 하면(120sl)의 첨단이 상면(120su)의 첨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칩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절삭 팁(120)은, 설치면(111)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설치면(111)에 밑변이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팁(120)에 의해 가공된 요홈(11a)에는 제2 접합 단면(21)이 삽입 되어 양자가 접합 되는데, 요홈(11a)이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절삭 팁(120)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접합 공정 중 제2 접합 단면(21)을 정확한 접합위치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접합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삭 팁(120)은, 설치면(111)을 하나의 면으로 하며, 속이 빈 삼각뿔대(Truncated Trigonal Pyramid)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절삭 과정에서 발생 되는 칩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삭 팁(120)은, 설치면(111)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설치면(111)에 위치되는 밑변과 측변 사이의 각이 5°~15°로 구비된다.
이는, 접합 공정 중 요홈(11a)의 내벽과, 요홈(11a)에 삽입되는 제2 접합 단면(21) 사이의 각을 5°~15°사이의 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요홈(11a)에 삽입을 위해 제2 접합 단면(21)을 가공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부재(130)는, 적어도 일부가 절삭 팁(120)의 양측과 결합 되어 절삭 팁(120)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재(130)는, 제1 접합 단면(11)과 대향 하도록 구비되고, 설치면(111)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절삭 팁(120)의 단면과 닯은 꼴로 형성된다.
특히, 지지부재(130)는, 절삭 팁(120)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하면(120sl)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설치면(111)을 기준으로, 절삭 팁(120)의 하면의 첨단의 높이는 지지부재(130)와 첨단의 높이보다 0.1mm~2mm 사이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재(130)에 의해 지지 된 상태에서 미세하게 요홈(11a)을 가공함으로써, 요홈(11a)의 내벽을 매끄럽게 가공하여 접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삭되는 깊이를 0.1mm~2mm로 제한함으로써, 절삭 팁(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해 가공된 제1,2 원통형 파이프의 접합 공정은, 제1 접합 단면(11)의 요홈(11a) 내벽과, 제2 접합 단면(21)이 별도로 구비되는 열판(heat plate)에 의해 동시 용융되고, 제2 접합 단면(21)이 요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2 원통형 파이프를 접합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진 상태로 냉각되는 과정에 의한다.

Claims (8)

  1. 서로 분리된 제1,2 원통형 파이프의 서로 마주하는 제1,2 접합 단면의 열융착 접합을 위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가공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평행한 설치면을 가지며, 상기 설치면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 중 일 측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절삭하는 절삭 팁; 및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절삭 팁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절삭 팁에 의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대응되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절삭 팁에 의한 절삭 가공의 진행에 따라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삭 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제1 접합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원통형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설치면을 하나의 면으로 하는 속이 빈 삼각뿔대(Truncated Trigonal Pyramid)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상면과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하면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로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설치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상기 설치면에 밑변이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절삭 팁의 양측과 결합 되어 상기 절삭 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접합 단면과 대향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설치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상기 절삭 팁의 단면과 닮은꼴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 팁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설치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상기 설치면에 위치되는 밑변과 측변 사이의 각이 5°~15°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8. 삭제
KR1020150056548A 2015-04-22 2015-04-22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KR10169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48A KR101695208B1 (ko) 2015-04-22 2015-04-22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48A KR101695208B1 (ko) 2015-04-22 2015-04-22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27A KR20160125727A (ko) 2016-11-01
KR101695208B1 true KR101695208B1 (ko) 2017-01-11

Family

ID=5748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48A KR101695208B1 (ko) 2015-04-22 2015-04-22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236A (ja) 2003-03-11 2004-09-30 Toyama Univ ダイヤモンド工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87864A (ja) 2012-10-29 2014-05-15 Rex Industries Co Ltd 樹脂管スクレーパ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766B2 (en) 2002-03-08 2006-02-07 Pe Fusion, Llc Beveled cutter
US6982051B2 (en) 2003-06-13 2006-01-03 Underground Solutions Technologies Group, Inc. Fusion process for conduit
KR20060123824A (ko) * 2005-05-30 2006-12-05 최선필 관의 연결부분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236A (ja) 2003-03-11 2004-09-30 Toyama Univ ダイヤモンド工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87864A (ja) 2012-10-29 2014-05-15 Rex Industries Co Ltd 樹脂管スクレー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27A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71710B (zh) 一种管子管板的连接加工工艺
CN101559530B (zh) 用于连接管底和管的方法以及用于实施该方法的摩擦工具
CN102581414A (zh) 一种铜铝管无钎剂钎焊方法
JP4861656B2 (ja) 摩擦攪拌接合方法および中空体の製造方法
KR101234834B1 (ko) 롱넥 플랜지의 제조방법
JP2019058933A (ja) 液冷ジャケットの製造方法
CN101015879B (zh) 摩擦搅拌接合方法
JP2014534079A (ja) 凸部の抵抗ろう付けを用いた超合金構造の接合または補修方法および対応する超合金コンポーネント
KR102217110B1 (ko) 수지제 관이음 및 클램프 지그
CN101014459B (zh) 用于焊接具有多重壁的管的加热板及其焊接方法
KR101695208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가공 장치
KR101718704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면 절삭 칼날의 장착 구조
KR101627908B1 (ko) 맞대기 열융착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방법
CN102848571B (zh) 一种塑料薄壁管锥口热熔焊接装置及热熔焊接方法
KR20180067329A (ko) 용접지그장치 및 용접방법
JP6103884B2 (ja) 樹脂管スクレーパー
JP2007071323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CN111347682B (zh) 一种pe管电熔焊接方法
KR101664312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공구의 지지장치
KR20160125723A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열판의 구조
KR101664309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1650540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 시 접합 면 사이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장치
KR101519107B1 (ko) 중공형재 구조체 접합방법
KR200445104Y1 (ko) 폴리에틸렌 라이닝 보수관용 융착보수패드
CN105934306A (zh) 管的制造方法及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