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530B1 -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 Google Patents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530B1
KR101693530B1 KR1020140178185A KR20140178185A KR101693530B1 KR 101693530 B1 KR101693530 B1 KR 101693530B1 KR 1020140178185 A KR1020140178185 A KR 1020140178185A KR 20140178185 A KR20140178185 A KR 20140178185A KR 101693530 B1 KR101693530 B1 KR 10169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mbers
lever
relay
sto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1503A (en
Inventor
민승환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530B1/en
Publication of KR2016007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8Relays having both armature and contacts within a sealed casing outside which the operating coil is located, e.g. contact carried by a magnetic leaf spring or re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9Relays having armature, contacts, and operating coil within a sealed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삽입 결합되며, 초기 상태에서 상호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레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상측 및 하측 위치를 규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제 2 레버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2 스토퍼와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끝단이 서로 접촉할 때 통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initial state; And first and second stopper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to regulat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The second lever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at an initial position, and may be energized 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escription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본 발명은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전기의 이상 여부 판단을 위한 크로스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relay is abnormal.

일반적으로, 디지털 계전기는 수, 배전반에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의 동작상태 및 전기량을 계측, 감시하고 사고 발생시 선로를 차단하는 등의 보호기능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한다.Generally, a digital relay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a protective function and a control function such as measur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and electricity quantity of various devices used in water, an electric switchboard, and blocking a line when an accident occurs.

이러한 디지털 계전기는 전자식 폐쇄 배전반의 핵심부품으로 수, 배전반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기능과 정밀계측 기능 및 통신기능 등을 갖추고 있으며, 사고 발생시 전압 및 전류 사고파형을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These digital relays are a key part of the electronic switchgear and have functions to protect the power system of the switchboard, precise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include the function of storing voltage and current accident waveform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최근 출시되는 디지털 계전기는 사고 발생시 사고파형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사고기록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최근 사고에 대하여 전류, 전압 각각의 사고파형 데이터를 자동 저장 및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작업자에게 원격으로 수치를 입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등 근래에 그 사용빈도가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Recently, digital relays are equipped with a separate accident recording device for storing accident waveform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addition to being capable of automatically storing and transmitting accident waveform data of current and voltage in response to recent accidents, The number of times of use has been considerably increased in recent years.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사용빈도가 높아진 디지털 계전기의 경우 많은 계전요소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계전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현재 많은 테스트가 행해지고 있다.Accordingly, a digital relay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in the past has many relay elements as well as many functions. Therefore, many test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such digital relay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계전기는 다기능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인해, 상기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험장비가 필요로 하게 되어 상기 디지털 계전기의 시험시간 보다, 상기 시험장비를 준비하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digital relays currently used have various functions, various testing equipments are required to test the performance, so that the time required for preparing the testing equipments is shorter than the testing time of the digital relay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more time.

특히, 계전기 접점동작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릴레이 테스터 또는 차단기 동작분석기의 경우, 전원 공급신호가 10ms 이상의 지연시간을 가지기 때문에, 동작시간이 10ms 미만에 대해서는 테스트 방법이 전무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elay tester or a breaker motion analyzer used for measuring the relay contact operating time, since the power supply signal has a delay time of 10 ms or more, there is no test method for operation time less than 10 ms.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 여자 방식으로 동작하는 2개 이상의 계전기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경우, 계전기에 차단기 동작분석기 등으로 10ms 동안 전원을 공급하면, 둘다 동작하여 어떤 계전기가 먼저 동작하는지 파악할 수 없다. 이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28Ω일 경우, 통상 2 내지 3ms 시간 안에 동작하기 때문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는 선후 동작의 구분이 불가능하다.
Therefore, when two or more relays operating in the solenoid coil excitation mode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if both the relays are supplied with power for 10 ms by a breaker motion analyzer or the like, it is impossible to grasp which relays are operated first. This is because, when the solenoid coil is 28 OMEGA, it usually operates within 2 to 3 ms.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296827호 (2009.12.17. 공개)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296827 (Dec. 17, 20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원의 펄스를 1내지 3ms 사이에 발생하여 선동작 계전기와 후동작 계전기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relay cross switching apparatus improved in structure to generate a pulse of power from 1 to 3 ms to discriminate between a line operation relay and a back operation relay.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삽입 결합되며, 초기 상태에서 상호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레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상측 및 하측 위치를 규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제 2 레버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2 스토퍼와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끝단이 서로 접촉할 때 통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cross switch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initial state; And first and second stopper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to regulat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The second lever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at an initial position, and may be energized 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레버부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1 통공; 및 상기 제 2 레버부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2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lever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econd lever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제 1 및 제 2 통공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를 그립하는 고무 재질의 레버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sealing member for gripping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스토퍼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3 통공; 및 상기 제 2 스토퍼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4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third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topper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a fourth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econd stopper is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제 3 및 제 4 통공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를 그립하는 고무 재질의 스토퍼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through-holes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stopper sealing member for gripping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는 상호 마주보는 끝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may be formed such that opposite end portions thereof are rounded.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는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절연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knobs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at can be held by a user.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는 파형 측정기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A waveform measuring device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끝단에 배선 결선을 위한 제 1 및 제 2 연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grooves for wiring connection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전원펄스를 1 내지 3ms 정도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선동작 계전기와 후동작 계전기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generate the power pulse in about 1 to 3 ms using the cross switching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the line operation relay and the back operation relay.

또한, 파형측정기를 회로 상에 연결할 경우, 파형측정기에서 출력되는 파형을 통해 어떤 계전기가 먼저 동작하는지 데이터를 손쉽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a waveform meter on a circuit,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data on which relay operates first through the waveform output from the waveform meter.

또한, 파형측정기에 직렬로 연결할 경우, 정확한 동작 시점을 파형으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장분석에 유리하다.
In addition, when connected to a waveform meter in series, it is advantageous to analyze faults because the correct operation point can be recorded as a waveform.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작동 전 단계의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작동 단계의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작동 후 단계의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에 설치된 스위칭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in a pre-operation phase,
Figure 3 shows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in the operating phase,
Fig. 4 is a view showing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at a post-operation stage,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switching member installed in a relay apparatus for switching a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좌측을 좌측, 도면의 우측을 우측이라고 표기하도록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will be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s the right sid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작동 전 단계의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작동 단계의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작동 후 단계의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에 설치된 스위칭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in a pre-operation phase, Fig. 3 is a view showing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in an operation step,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witching member provided in a relay cross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스위칭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전기가 연결된 전력 계통에 직렬로 연결하여 계전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 또는 검사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ross swit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lay is normally operated by being connected in series to a power system to which at least one relay is connected.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또는 교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현장의 전원부(10)에는 제 1 계전기(20) 및 제 2 계전기(30)가 직렬로 연결 될 수 있는데, 이때, 제 1 및 제 2 계전기(20)(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스위칭 장치(100)를 회로 배선 상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스위칭 장치(100)의 일단에는 파형측정기(40)가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계전기(20)(30)의 순간 파형을 판단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relay 20 and the second relay 30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eld power source 10, which is formed of either DC or AC. In this case, The cross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the circuit wiring in order to judge whether or no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inverter 20 (30) is normal. The waveform measuring device 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ross switching device 100 to determine and monitor an instantaneous waveform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20 and 30. [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스위칭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제 1 레버부재(210) 및 제 2 레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ross swit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10, a first lever member 210, and a second lever member 220 as shown in FIGS.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일측 벽면에는 제 1 통공(111)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통공(111)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 2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have a space portion therein and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a first through-hole 111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100, and a second through-hole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through-hole 111.

제 1 및 제 2 통공(111)(112)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릿으로 절개되어 후술할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통공(111)(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통공(111)(112)의 내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1 and 112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be cut into at least two slit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1 and 112 Can be freely move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1 and 112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The sealing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1 and 112 to prev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from being separated have.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통공(113)(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및 제 4 통공(113)(114)은 상기한 제 1 및 제 2 통공(111)(112)과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3 및 제 4 통공(113)(114)에 삽입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120)(130)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113 and 1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113 and 114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1 and 112, and may have a corresponding siz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0 and 130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113 and 114.

제 1 및 제 2 스토퍼(120)(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토퍼(120)와 제 2 스토퍼(130)는 동일한 굵기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토퍼(120)(130)는 각각 제 1 깊이(h1)와 제 2 깊이(h2)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깊이(h1)(h2)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깊이(h1)(h2)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0 and 13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Can be regu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opper 120 and the second stopper 130 may be formed in the same thickness and size, and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0 and 13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at a first depth h1 and a second depth h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depths h1 and h2 may have the same size. The moving distance and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depths h1 and h2.

제 1 레버부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측 벽면에 형성된 제 1 통공(11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 1 레버부재(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둥글에 형성된 라운드부(R)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절연 재질의 제 1 손잡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손잡이부(211)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지재질을 포함한 절연체로 구성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제 1 손잡이부(211)의 내측에는 제 1 연결홈(212)이 형성되어,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배선 상의 피복(W1)이 도피된 와이어(W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홈(212)은 제 1 레버부재(2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전을 위해 제 1 레버부재(2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배선에 직접 제 1 레버부재(210)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lever member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11 formed in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5, the first lever member 210 may be formed with a rounded portion R having a rounded end, and the first lever member 210 may have a first handle 211 ). At this time, the first handle 211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rubber, urethane, silicone, or the lik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that can be constituted by an insulator including a resin material can be used. A first connection groove 212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handle 211 so that a wire W1 in which the sheath W1 on the wiring forming the power system is escaped can be inserted and coupled.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groove 2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lever member 210, and the first lever member 2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nergizatio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first lever member 210 to the wiring without any additional connection means.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레버부재(220) 또한 상기한 제 1 레버부재(2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레버부재(220) 또한 동일하게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배선 상의 피복(W1)이 도피된 와이어(W1)가 제 2 연결홈(22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lever member 22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lever member 210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the second lever member 220 may als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lever member 210, The wire W1 from which the sheath W1 is escaped can be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222. [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는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삽입 결합되며, 초기 상태에서 상호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initial state.

이때, 상기 제 1 레버부재(210)는 초기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토퍼(120)와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제 2 레버부재(220)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2 스토퍼(130)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lever member 210 is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120 at an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lever member 220, (Not shown).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스위칭 장치를 작동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한 제 1 손잡이(211)와 제 2 손잡이(221)를 파지한 상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20)를 회전시킨다. When operating the cross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holds the first and second knobs 211 and 2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20 are rotated.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버부재(210)는 제 2 스토퍼(130)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해 회전되고, 제 2 레버부재(220)는 제 1 스토퍼(120)가 설치되는 상부면을 향해 회전되면서, 대략 중간 부분에서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단부가 순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길이(L1)(L2)는 동일하되 끝단이 일부 오버랩 될 수 있도록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끝단의 라운드부(R)에서의 접촉 시간을 길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삽입 깊이를 좀더 깊게 형성하고, 접촉 시간을 짧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삽입 깊이를 얕게 형성하여, 각각의 단부가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3, the first lever member 210 is rota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second stopper 130 is installed, and the second lever member 220 is rotated by the first stopper 120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can be instantaneously contacted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At this time, the depths of inse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engths L1 and L2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are the same and the ends thereof overlap each other. That is, in order to form a long contact time in the round portion R at the end, the respective insertion depths are formed deeper and in order to shorten the contact time, the respective insertion depths are made shallow, It can be configur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움직임에 제어모듈의 제어를 통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유닛(2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통전 시험이 필요한 시점에서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유닛(200)은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211)(221)를 사용자가 그립하여 움직이는 번거로움 없이 원격에서 시험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olenoid unit 200 which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in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s 210 and 22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is applied at the time when the energization test is required, the solenoid unit 200 performs the test on the remote without the hassle of the user gripping the first and second grips 211 and 221 Can be controlled.

통상 솔레노이드 코일 여자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 1 및 제 2 계전기(20)(30)가 직렬로 연결되었을 경우, 각각의 계전기들(20)(30)에 차단 동작분석기로는 10ms 정도의 전원만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제 1 및 제 2 계전기(20)(30) 중 어느 하나가 솔레노이드 코일 여자 방식일 경우, 동작 지연시간이 2 내지 3ms에 불과하기 때문에 어느 계전기가 작동하였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레버부재(210)(220)의 순간적인 접촉 및 이격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경우, 대략 1 내지 3ms 의 전원펄스를 순간적으로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동작 계전기와 후동작 계전기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측정기(40)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정확한 동작 시점을 파형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데이터를 저장하여 고장분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first and second relays 20 and 30, which normally operate in the solenoid coil excitation mode, are connected in series, only the power of about 10 ms can be supplied to each relay 20 (30)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20 and 30 is in the solenoid coil excitation mode, the operation delay time is only 2 to 3 ms, s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ich relay is opera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is supplied using the momentary contact and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210 and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3 ms can be instantaneously applied,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the line operation relay and the back operation relay. In particular, when the waveform measuring device 40 is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FIG. 1,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rrect operation time with a waveform, and to perform the failure analysis by storing the data.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 스위칭 장치(100)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전원펄스를 1 내지 3ms 정도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선동작 계전기와 후동작 계전기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generate the power pulse in about 1 to 3 ms using the cross switching device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the line operation relay and the back operation rela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크로스 스위칭 장치 110; 하우징
111; 제 1 통공 112; 제 2 통공
113; 제 3 통공 114; 제 4 통공
200; 솔레노이드 유닛 210; 제 1 레버부재
211; 제 1 손잡이 220; 제 2 레버부재
221; 제 2 손잡이
100; Cross switching device 110; housing
111; A first through hole 112; Second through hole
113; A third passage 114; The fourth passage
200; A solenoid unit 210; The first lever member
211; A first handle 220; The second lever member
221; Second handle

Claims (10)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삽입 결합되며, 초기 상태에서 상호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레버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상측 및 하측 위치를 규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제 2 레버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 2 스토퍼와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끝단이 서로 접촉할 때 통전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A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initial state;
First and second stopper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to regulat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nd
And a solenoid unit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lever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pper at an initial position,
The second lever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at an initial position,
And 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nergization is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레버부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1 통공; 및
상기 제 2 레버부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2 통공;을 포함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lever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And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econd lever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공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를 그립하는 고무 재질의 레버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And a lever seal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gripping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스토퍼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3 통공; 및
상기 제 2 스토퍼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 4 통공;을 포함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topper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And a fourth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econd stopper is inserted and suppo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통공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를 그립하는 고무 재질의 스토퍼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And a rubber stopper sealing member for gripping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는 상호 마주보는 끝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formed such that oppose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rou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는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절연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energized,
And a first and a second insulation handl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at can be held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는 파형 측정기가 직렬로 연결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veform measuring device is connected in series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re configured to adjust an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can be adjus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재의 끝단에 배선 결선을 위한 제 1 및 제 2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계전기 크로스 스위칭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grooves for wiring connection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KR1020140178185A 2014-12-11 2014-12-11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KR101693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85A KR101693530B1 (en) 2014-12-11 2014-12-11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85A KR101693530B1 (en) 2014-12-11 2014-12-11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03A KR20160071503A (en) 2016-06-22
KR101693530B1 true KR101693530B1 (en) 2017-01-09

Family

ID=5636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85A KR101693530B1 (en) 2014-12-11 2014-12-11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530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215A (en) * 1996-03-29 1997-10-14 Nippon Kaiheiki Kogyo Kk Contact mechanism of pulse switch
JP2009296827A (en) 2008-06-06 2009-12-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Current-test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03A (en)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0678A (en) Digital protection relay, digital protection relay test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digital protection relay
CN104111366A (en) AC/DC-sensitive residual current protective device (RCD) with parameter configuration
KR101663195B1 (en) Device for the safe switching of a photovoltaic system
US10368451B2 (en) Module for the interconnection of a circuit breaker and a contactor for an electrical assembly
KR101449964B1 (en) Measurement of a resistance of a switching contact of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RU2696130C2 (en)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est of switchgear control unit
JP2016217794A (en) Probe and connecting tool for electric equipment test
KR101693530B1 (en) Cross switching apparatus for relay
US20220018903A1 (en) Disconnect Verification
US9646775B2 (en) Terminal blocks including integral safety relays having independently testable contacts
EP27786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ulation testing of an electrical supply network
WO2004102594B1 (en) Method and testing equipment for checking the operation of a lightning arrester
CN104076277A (en) Tripping-prevention loop testing device for breaker
EP3220499A1 (en) Arc eliminator with earth contact
KR101077128B1 (en) Diagnosis system for circuit breaker of power utilities
US10027103B2 (en)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network
KR101332842B1 (en) Short determination device of vehicle
JP2017207411A (en) Terminal for testing
RU150078U1 (en) EXPLOSION-PROTECTED MINE STARTER
KR200476098Y1 (en) Input signal supplying tools of electronic equipment for testing
US202203764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switchgears
JP2010112801A (en) Lock plug
CN203965591U (en) Anti-jump Circuit of Breaker tester
KR101939791B1 (en) Demagnet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magnetizing a transformer core
Kerr et al. Integration challenges of high-accuracy LPIT into MV reclo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