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73B1 - key type valve apparatus - Google Patents

key type valv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73B1
KR101693273B1 KR1020150086436A KR20150086436A KR101693273B1 KR 101693273 B1 KR101693273 B1 KR 101693273B1 KR 1020150086436 A KR1020150086436 A KR 1020150086436A KR 20150086436 A KR20150086436 A KR 20150086436A KR 101693273 B1 KR101693273 B1 KR 10169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key
opening
locking pi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9458A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73B1/en
Publication of KR2016014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4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47Spindles or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잠금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양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가 형성된 핸들부; 상기 가이드부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핀; 및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키타입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a product by selectively locking a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a valve depending on whether a key is inserted or no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coupling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ipe, A body portion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flow path communicating therewith, and having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blocking a flow of fluid in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according to an arrangement angle;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be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having a guid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having a key penetr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 locking pin disposed on the guide portion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to restrain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n unlocking key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ng portion to lift the locking pin such that the locking pin is disengaged from the locking groove.

Description

키타입 밸브장치{key type valve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type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키타입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잠금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키타입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type valv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type valve device in which a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a valve is selectively locked according to whether a key is inserted or not, thereby improving safety of the product.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관(파이프)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수송관에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된다. Generally, a transport pipe (pipe) is used to transport liquid or gaseous material throughout the industry, which is equipped with a valve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fluid flowing along the flow path.

이때, 상기 밸브의 내부에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된 핸들을 조작하여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s provided in the valve, and the flow path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여기서, 상기 핸들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누구나 손쉽게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실수나 외부인의 고의적인 조작으로 부주의한 유로의 개폐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case, since the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yone can easily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advertent opening or closing of the flow path may occur due to a mistake of the operator or deliberate manipulation by an outside person.

더욱이, 산업용 기계장치에 연결된 수송관은 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노출되며, 진동으로 인해 핸들의 위치가 변화되어 자동으로 유로가 개폐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the pipeline connected to the industrial machinery is exposed to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pparatus is driven,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changed due to the vibration, thereby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이러한, 비계획적인 유로의 개폐 전환은 유로에 연결된 각종 장치의 내구성의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 작업자의 지속적인 감시 감독이 요구되었다. Such unconstrained switching of the open / close path of the flow path not only deteriorates the durability of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flow path, but also ha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so that continuous monitoring and supervision of the operator is required.

이에, 허가받은 사용자만이 밸브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키를 이용하여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밸브가 고안된 바 있으나, 장치의 내구성이 낮고 복잡한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장치의 유지 및 생산을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고내구성을 갖되 경제적인 비용으로 생산가능한 밸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is low and the complicated parts are required, the cost for maintenance and production of the apparatus can be reduc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urgent to develop a valve that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durability but at an economical cost.

한국 등록특허 제10-0287276호Korean Patent No. 10-0287276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잠금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키타입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type valve device in which a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a valve is selectively locked according to whether a key is insert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부에 잠금홈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가 형성된 핸들부; 상기 가이드부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및 안내되어 상기 잠금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한쌍의 잠금바와, 상기 각 잠금바의 상단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락킹핀;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에 삽입되어 이동시 상기 연결바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 및 상기 락킹핀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상기 키관통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홈은 상기 잠금바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개폐유로가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각 배치각도에서 상기 핸들부가 잠금되도록 상기 락킹핀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키관통부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잠금바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의 이탈시 상기 연결바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되되, 상기 잠금해제키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전단부를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핀의 상승상태에서 상기 잠금바가 상기 잠금홈의 외부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깊이로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상기 연결바가 탄발 삽입되는 가고정홈이 상기 잠금해제키 상면의 상기 슬라이드부 후방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a transportation pipe to both ends is provided, and an opening / closing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flow path of each of the transportation pipes is formed therein, A body part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blocking a fluid flow according to an angle,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be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having a guid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having a key penetr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eing inserted and guided in the guid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s lowered to restrain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A locking pin including a pair of locking bars extending to be disposed inside the key penetra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bar integral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locking bars; A lock releasing key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ng portion such that the locking pin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when the locking pin is moved to lift the locking pin; And an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pin downwardly, wherein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lower ends of the locking bars so that the lower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inserted, Wherein the lock bar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stages along the turning radius of the locking pin so that the handle is locked at each ang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erein the lock bar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lock release key so as to be slidable upwardly rearward along the front end portion so as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 And is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to a depth set to maintain the detached state, Going to be inserted and elastic jeonghom is provided a key-type valve device characterized by a slide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unlocking key.

여기서, 상기 락킹핀의 하단부에는 상기 잠금홈의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협관화되는 삽입유도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portion which is narrowed downwardly to be slid downward at an edge of the lock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키타입 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key type valv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잠금해제키의 삽입시에만 상기 핸들부의 조작 및 그에 따른 개폐유로의 개폐 전환이 가능하므로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핸들부의 유동이나 비허가된 작업자에 의한 핸들부의 조작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only when the unlocking key is inserte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us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can be switched, there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due to the external vibration or the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by the unauthorized operator,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잠금해제키는 가고정홈에 탄발 삽입된 연결바를 통해 별도의 그립 없이도 키관통부에 삽입된 상태로 가고정될 수 있으므로, 핸들부의 조작 중 외부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되어 분실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바가 하강되어 잠금홈에 걸리는 등 불편함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Secondly, since the unlocking key can be fixed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on portion without a separate grip through a connecting ba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ed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locking key from being lost The locking bar is lowered to be prevented from being inconvenienced by being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thereby providing a stable feeling of use.

셋째, 상기 잠금바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연결바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두개소의 잠금홈에 견고하게 구속되면서도 하나의 잠금해제키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으며, 강제적인 외력 인가시에도 외력을 두개소로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변형 및 파단 등 손상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irdly, the lock bar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connecting bar so that they can be easily operated by one unlocking key while firmly restraining the lock bars of the two lock bars. Even when a forced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damage such as deformation and breakage can be minimiz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더욱이, 락킹핀의 구속을 위한 잠금홈이 바디부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간소한 부품 구성으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lock groove for restraining the locking pin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body par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a simple componen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락킹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잠금해제키의 삽입에 따른 잠금 및 해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핸들부의 회전각도에 따른 락킹핀의 구속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지지바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type val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pin of a key-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and FIG. 3B are views showing the lock and unlock stat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unlock key in the key-type valv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restraint of a locking pin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a handle portion in a key 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ey-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support bar of a key 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key-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락킹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잠금해제키의 삽입에 따른 잠금 및 해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핸들부의 회전각도에 따른 락킹핀의 구속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type val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pin of a key-type val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llustrate a lock 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4A and 4B, in a key type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restraint of the locking pin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도 1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키타입 밸브장치(100)는 바디부(10), 핸들부(20), 락킹핀(30), 그리고 잠금해제키(40)를 포함한다. 1 to 4B, the key-type valve apparatus 100 includes a body 10, a handle 20, a locking pin 30, and an unlocking key 40.

여기서, 상기 키타입 밸브장치(100)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 유동을 단속하되, 밸브장치(100)의 개폐를 위한 핸들부(20)가 잠금해제키(40)의 삽입시에만 조작가능하도록 하여 진동에 의한 자동적인 핸들부(20)의 유동 내지는 허가된 작업자 이외의 핸들부(20) 조작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The key type valve apparatus 100 controls the flow of fluid such as liquid or ga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while the handle unit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apparatus 100 is opened So as to prevent an automatic movement of the handle 20 due to vibration or manipulation of the handle 20 other than the authorized operator.

한편, 상기 바디부(10)는 양단부에 수송관(1,2)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11)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1,2)의 내부유로(1a,2a)와 연통되는 개폐유로(12)가 형성된다. The body 10 has coupling portions 11 at both ends to which the pipes 1 and 2 are connected and the internal passages 1a and 2a of the pipes 1 and 2 Closing flow path 12 is formed.

여기서, 상기 바디부(10)는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내식성을 갖되, 각 수송관(1,2)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일정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 PVC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body 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strength of at least a certain level so that each of the transport pipes 1 and 2 can be stably supported so as to prevent corrosion caused by fluid flowing along the inside thereof. And may be made of copper, stainless steel, PVC,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각 수송관(1,2)은 일반적인 산업분야에서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파이프 내지 합성수지파이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pipelines 1 and 2 is preferably understood to mean a metal pipe or a synthetic resin pipe used for transporting fluid such as liquid or gas in a general industry.

상세히, 상기 바디부(10)는 중앙부를 따라 개폐유로(12)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유로(12)는 내주에 돌설된 단턱부(13)에 의해 중앙부와 양측부로 구획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ody 10 has an opening / closing passage 12 formed along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opening / closing passage 12 can be divided into a central portion and a side portion by a step portion 13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이때, 상기 개폐유로(12)의 중앙부인 단턱부(13) 사이의 공간에는 개폐부재(14)가 장착되며, 상기 개폐유로(12)의 양측부인 단턱부(13)의 외측부에는 수송관(1,2)이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mounted in a space between the step portions 13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 12,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step portion 13 which is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 12, , 2) can be inserted.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10)는 2개의 관형부재(10a,10b)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관형부재(10a)에는 개폐유로(12)를 형성하는 내부 중공에 단턱부(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제2관형부재(10a)의 일단부는 제1관형부재(10a)의 내부 중공에 삽입 및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관형부재(10a)의 단턱부(13)와 대향되는 단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two tubular members 10a and 10b coupled thereto, and the first tubular member 10a may have a hollow inner jaw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tubular member 10a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hollow of the first tubular member 10a so that the end of the stepped portion 13 of the first tubular member 10a, Can be formed.

이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12)의 중앙부 양측을 따라 단턱부(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13) 사이 공간에 개폐부재(14)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ep portion 13 can be formed along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12,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4 can be easily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tep portions 13.

여기서, 상기 커플링 결합부(11)는 바디부(10)에서 개폐유로(12)의 양측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감싸는 외측관부(11a)와, 볼트부재(11b), 그리고 실링부재(11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11 includes an outer tube portion 11a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a bolt member 11b, and a sealing member 11c. . ≪ / RTI >

그리고, 상기 볼트부재(11b)는 상기 외측관부(11a)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11b)에는 상기 외측관부(11a)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내주를 따라 가압돌기부(11d)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부(11d) 및 상기 외측관부(11a)의 단부 사이에 실링부재(11c)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lt member 11b is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tube portion 11a and the bolt member 11b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11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so as to cover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11a And a sealing member 11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 11d and the end of the outer tube portion 11a.

상세히, 상기 수송관(1,2)은 상기 외측관부(11a)의 내부를 따라 단턱부(13)까지 삽입되며, 상기 볼트부재(11b)가 회전 결합되면 실링부재(11c)가 상기 수송관(1,2)의 외주를 가압 고정하되 외측관부(11a)의 내주와 상기 수송관(1,2) 외주 사이의 틈을 실링하며 각 수송관(1,2)이 커플링 결합부(11)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bolt member 11b is rotatably coupled, the sealing member 11c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11a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11a, 1, 2) are sealed with a se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tube portion 11a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port tube 1, and each of the transport tubes 1, 2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joint portion 11 Can be connected.

한편, 상기 개폐유로(12)의 내부에는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14)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n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assage 12, an opening / closing member 14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flow of the fluid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4)는 상기 개폐유로(12)의 중앙부인 단턱부(13)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개폐공(14a)가 형성되어 배치각도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12)를 개폐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mounted between the step portions 13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and has an opening and closing hole 14a formed therein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can do.

즉, 상기 개폐공(14a)의 관통방향과 상기 개폐유로(12)의 길이방향이 일치되면 상기 개폐유로(12)가 완전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공(14a)의 관통방향이 개폐유로(1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벗어날수록 개폐유로(12)의 개방면적이 줄어들어 유동 유량이 감소되며, 개페공(14a)의 관통방향이 개폐유로(12)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개폐유로(12)를 폐쇄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passing direction of the opening / closing hole 14a coincides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12,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12 can be fully opened, and the passing direction of the opening /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is reduced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reduced a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is deviat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Whe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14a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12).

이때, 상기 개폐부재(14)와 상기 단턱부(13) 사이에는 실링부재(14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sealing member 14b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nd the step portion 13.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4)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연결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15)을 통해 개폐부재(14)와 핸들부(20)가 연결될 수 있다.A connection hole 15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lo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20) can be connected.

한편,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개폐부재(14)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상세히, 개폐부재(14)의 상단에는 결합축(k)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k)은 상기 핸들부(2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20)와 개폐부재(14)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The handle 2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so as to rotate integrally. In detail, the coupling shaft k is integrally rotat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nd the coupling shaft k is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20, The member 14 can be rotated integrally.

예를 들어, 상기 결합축(k)의 하단부는 상기 개폐부재(14)의 상단부에 키결합 내지 기어결합되고, 상기 결합축(k)의 상부는 상기 핸들부(20)와 키결합 내지 기어결합되어 결합축(k), 개폐부재(14), 핸들부(2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shaft (k) is keyed or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shaft (k) The joining shaft k,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nd the handle 20 can be integrally rotated.

이때, 상기 핸들부(2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축(k)이 관통되는 결합공(2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5)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축(k)의 상단에 결합되는 너트부재(n)의 삽입을 위한 너트홈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hole 25 through which the coupling shaft k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and a nut 25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shaft k is formed on the coupling hole 25, A nut groove 26 for insertion of the member n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핸들부(20)의 하부 일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22)의 상부를 따라 상하방향의 가이드부(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22)이 형성된 하부 일측은 상기 너트홈부(26)의 외곽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A through hole 22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handle 20 and a guide 23 i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22. Here,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is an outer region of the nut groove 26.

이때, 상기 핸들부(20)에는 상기 가이드부(23)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키관통부(21)는 상기 핸들부(2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3)의 상부 공간과 연결된다. At this time, a key penetration portion 21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23 is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20, and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penetrates the handle portion 20 in a later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of the guide portion 23.

이에 따라, 상기 키관통부(21)를 통해 삽입된 잠금해제키(40)가 상기 가이드부(23)에 배치된 상기 락킹핀(30)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nlocking key 40 inserted through the key penetration part 21 can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cking pin 30 disposed in the guide part 23. [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락킹핀(30)은 상기 가이드부(23)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22)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1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을 구속한다. 1 and 2, the locking pin 30 is disposed on the guide part 23 so as to be lifted up and down. When the lower part of the locking pin 30 descends, the locking pin 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is restrai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16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여기서,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연결공(15)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조작시 상기 관통공(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groove 16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le 15. The locking groove 16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22 when the handle portion 20 is rotat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rotor.

이때, 상기 락킹핀(30)은 상기 가이드부(23)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탄발 지지되어 하단부가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핸들부(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in 30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23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The locking pin 3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through the through-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관통공(22)이 상기 잠금홈(16)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면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는 상기 잠금홈(16)의 내부로 삽입되어 구속되며,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가 바디부(10)에 구속되고, 상기 핸들부(20)가 상기 락킹핀(20)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When the through hole 22 is position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groove 16,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30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16 to be restrained,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restricted as the handle portion 20 is constrained to the locking pin 20.

한편, 상기 잠금해제키(40)는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가 상기 잠금홈(1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21)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30)을 상승시킨다. The unlocking key 40 is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ng portion 2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30 is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16 to lift the locking pin 30.

이때, 상기 잠금해제키(40)는 작업자에 의해 그립되는 그립부(43)로부터 락킹핀(30)을 승강시키는 쐐기형 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핸들부(2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23)까지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unlocking key 40 has a length from the grip portion 43 gripped by the operator to the wedge-shaped end portion for lifting the locking pin 30 from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20 to the guide portion 23,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키(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키관통부(2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nlocking key 40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key penetrating part 21.

이처럼, 상기 핸들부(20)에 탄발적으로 승강되는 락킹핀(30)이 구비되어 락킹핀(30)이 상승되도록 잠금해제키(40)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개폐유로(12)의 개폐를 위한 핸들부(2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핸들부(20)의 유동이나 비허가된 작업자에 의한 핸들부(20)의 조작이 방지될 수 있다. The locking pin 30 is elastically lifted and lowered to the handle portion 20 so that the locking pin 30 can be lifted up only when the unlocking key 40 is inserted, The handle 20 can be rotated so that the flow of the handle 20 due to the external vibration or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20 by the unauthorized operator can be prevented.

이에 따라, 밸브장치(100)를 통한 유체의 흐름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low control of the fluid through the valve apparatus 100 can be accurately performed, so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락킹핀(30)을 구속하기 위한 잠금홈(16)이 상기 바디부(10)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간소한 부품 구성으로 제품의 생산 비용 및 조립 공정이 개선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lock groove 16 for restraining the locking pin 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0, the production cost and assembly process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with a simple component structure, .

한편, 도 2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락킹핀(30)은 한쌍의 잠금바(30a)와 연결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잠금바(30a) 및 상기 연결바(30b)는 상기 락킹핀(30)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바(30a) 및 상기 연결바(30b)는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2 to 4A, the locking pin 30 preferably includes a pair of locking bars 30a and a connecting bar. Here, the locking bar 30a and the connecting bar 30b refer to a part of the locking pin 30, and the locking bar 30a and the connecting bar 30b ar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상기 잠금바(30a)는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23)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2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bar 30a may be bent and extended so as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3 and guide the upper portion thereof to the inside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

그리고, 상기 연결바(30b)는 상기 각 잠금바(30a)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bar 30b can integrally connect and support the upper portions of the lock bars 30a.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 groove 16 is provided in plurality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lock bars 30a are respectively inserted.

여기서, 상기 락킹핀(30)은 'ㄱ'자 형상으로 구비된 한쌍의 잠금바(30a)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절곡된 각 잠금바(30a)의 상부측 단부가 연결바(3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locking pin 30 has an upper end portion of each lock bar 30a bent in a state where a pair of lock bars 30a provided in a '' 'sha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onnecting bar 30b And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lly connected shape.

이때, 상기 핸들부(20)의 가이드부(23) 및 관통공(22)은 상호 이격된 한쌍의 잠금바(30a)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guide part 23 and the through hole 22 of the handle part 20 are preferably provided in pairs corresponding to a pair of mutually spaced lock bars 30a.

상세히, 상기 핸들부(20)는 핸들몸체부(20a)와 커버부(20b)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몸체부(20a)에는 결합축(k)이 통과하는 결합공(25)이 형성되며, 결합공(25)의 상부에 너트홈부(26)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handle portion 20 may be divided into a handle body portion 20a and a cover portion 20b. At this time, the handle body 20a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5 through which the coupling shaft k passes, and the nut groove 26 is formed on the coupling hole 25.

그리고, 상기 너트홈부(26)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너트부재(n)가 너트홈부(26)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축(k)에 결합될 수 있다. The nut groove portion 26 is provided in an opened state and the nut member n can be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portion 26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k.

또한, 상기 너트홈부(26)의 외곽에는 가이드부(23) 및 관통공(22)이 형성되며, 가이드부(23) 및 관통공(22)은 각 잠금바(30a)의 위치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A guide portion 23 and a through hole 22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ut groove portion 26. The guide portion 23 and the through hole 22 are formed in pair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ock bars 30a,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각 가이드부(23)의 상부 공간은 상기 키관통부(21)와 연결되며, 상기 키관통부(21)는 상기 가이드부(23)와 연결된 부분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락킹핀(30)이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space of each guide part 23 is connected to the key penetration part 21, and the upper part of the part of the key penetration part 21 connected to the guide part 23 is opened The locking pin 3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 portion.

여기서, 상기 락킹핀(30)의 잠금바(30a)는 상기 가이드부(23)의 내부로 삽입되며, 잠금바(30a)의 절곡된 상부 및 연결바(30b)는 상기 키관통부(21)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바(30b)는 상기 잠금해제키(40)의 삽입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The lock bar 30a of the locking pin 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3 and the bent upper portion of the lock bar 30a and the connecting bar 30b are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 And the connection bar 30b can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unlocking key 40. [

이때, 상기 커버부(20b)는 상기 키관통부(21)와 가이드부(23)의 연결부분 및 상기 너트홈부(26)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20b may be coupled to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and the guide portion 23 and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nut groove portion 26. [

이처럼, 상기 잠금바(30a)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연결바(3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므로, 두개소의 잠금홈(16)에 견고하게 구속되면서도 하나의 잠금해제키(40)를 통해 두개소에 대한 구속이 한번에 해제될 수 있다. Since the lock bars 30a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ars 30b, the lock bars 30a are firmly fixed to the two lock grooves 16, The constraint on the two points can be released at one time.

한편,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공(15)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시 상기 관통공(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groove 16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le 15. The locking groove 16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22 when the handle 20 rotates,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관통공(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부분 중 개폐부재(14)에 의해 개폐유로(12)가 차단되는 핸들부(20)의 닫힘 각도에서의 관통공(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유로(12)가 개방되는 핸들부(20)의 열림 각도에서의 관통공(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핸들부(20)의 닫힘 각도 및 열림 각도에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locking groove 16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22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through-hole 22, at the closing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Or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22 at the opening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 12 is opened, 20 at both the closing angle and the opening angle.

그리고, 상기 잠금홈(16)은 핸들부(20)가 열림 각도에서 잠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핸들부(20)의 열림 각도에서의 각 잠금바(30a) 위치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며, 핸들부(20)가 잠금 각도에서 잠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핸들부(20)의 닫힘 각도에서의 각 잠금바(30a) 위치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ck groove 16 is provid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ock bars 30a at the opening angle of the handle 20 when the handle 20 is locked at the opening angle, The locking portions 20 may be provid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bars 30a at the closing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

물론, 상기 핸들부(20)가 열림 각도 및 닫힘 각도에서 각각 잠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잠금홈(16)은 한쌍의 잠금바(30a)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되되, 핸들부(20)의 열림 각도 및 닫힘 각도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handle 20 is locked at the opening angle and the closing angle, the locking grooves 16 are provided in pair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lock bars 30a, It is preferable to provide multiple stages corresponding to the angle and the closing angle.

이처럼, 상기 락킹핀(30)이 연결바(3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한쌍의 잠금바(30a)로 구비되어 핸들부(20)의 잠금시 한쌍의 잠금바(30a)가 한쌍의 잠금홈(16)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잠금된 핸들부(20)에 강제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가해진 외력이 각 잠금바(30a) 및 잠금홈(16)에 의해 분산 지지될 수 있다. The locking pin 30 is provided as a pair of lock bars 30a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ar 30b so that when the handle 20 is locked, a pair of lock bars 30a are inserted into a pair of lock grooves 16, even when a forc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cked handle portion 20, the applied external force can be dispersed and supported by the lock bars 30a and the lock grooves 16, respectively.

즉, 상기 핸들부(20)에 가해진 외력은 각 가이드부(23)를 따라 두개의 잠금바(30a)로 분산되어 전달되며, 하나의 잠금바(30a) 내지 하나의 잠금홈(16)에 가해지는 외력이 감소되므로 락킹핀(30)의 휘어짐, 파단, 잠금홈(16)의 벌어짐 등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20 is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two lock bars 30a along the guide portions 23 and is applied to one lock bar 30a or one lock groove 16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such as warping of the locking pin 30, breakage, flaring of the locking groove 16, and the like,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락킹핀(30)의 상단부가 절곡되도록 구비되어, 락킹핀(30) 및 잠금해제키(40)의 연계 동작을 위한 별도의 구성 부품 없이 락킹핀(30)의 절곡된 상부가 키관통부(21)에 배치되어 잠금해제키(40)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in 30 is bent so that the bent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in 30 can be inserted into the key pivot 30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for coupling the locking pin 30 and the unlocking key 40. [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unlocking key 40, so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키관통부(21)의 상부에는 상기 락킹핀(30)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24)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3A, an elastic member 24 for supporting the locking pin 30 in a downward direction is mounted on the key penetrating part 21.

이때,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커버부(20b)에서 상기 키관통부(21)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핀(30)이 핸들몸체부(20a)에 장착되면 상기 잠금바(30a)가 상기 가이드부(23)에 삽입되고 상기 키관통부(21)에 상기 연결바(30b)가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24 may be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20b to cover the open portion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The locking pin 30 may be engaged with the handle body portion 20a, The locking bar 30a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3 and the connecting bar 30b may be disposed in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

그리고, 상기 핸들몸체부(20a) 및 상기 커버부(20b)가 결합되면 상기 키관통부(21)에 배치된 연결바(30b)가 상기 탄성부재(24)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When the handle body 20a and the cover portion 20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bar 30b disposed on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4 in a downward direction have.

이에 따라, 상기 잠금홈(16)의 위치와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 내지 관통공(22)의 위치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바(30a)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홈(16)의 내부로 삽입되며, 잠금홈(16)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핸들부(20)가 잠금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of the lock groove 16 is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ock bar 30a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22, the lock bar 30a is elastically moved into the lock groove 16 And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lock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that the handle portion 20 is locked in the lock groove 16.

여기서,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잠금홈(16)의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협관화되는 삽입유도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는 잠금바(30a)의 하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3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portion 31 which is narrowed downward to be slid downward at the edge of the lock groove 16. At this tim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30 means the lower end of the lock bar 30a.

그리고, 상기 삽입유도부(31)는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 외주로부터 경사지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좁아지는 쐐기형 내지 반구형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1 may be formed as a wedge-shaped or hemispherical protrusion that taper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30 or narrows in a rounded shape.

이때, 경사 내지 라운드진 형태의 삽입유도부(31)는 락킹핀(30)의 하강시 잠금홈(16)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걸림 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드되어 상기 잠금홈(1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locking pin 30 is lowere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1 in the form of an inclined or rounded shape contacts the edge of the locking groove 16 and smoothly slides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6 .

이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키(40)의 해제시 상기 잠금바(30a)가 잠금홈(16)의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기만 하면, 상기 삽입유도부(31)가 잠금홈(16)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잠금홈(16)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핀(30)이 상기 잠금홈(16)의 테두리에 걸리는 등의 오작동이 방지되어 핸들부(20)가 안정적으로 잠금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only when the lock bar 30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lock groove 16 when the lock key 40 is release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1 is moved along the rim of the lock groove 16 It is possible to slide smoothly into the lock groove 16 and to prevent malfunction such as the locking pin 30 being hooked on the rim of the lock groove 16 so that the handle 20 can be stably locked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키관통부(21)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잠금바(30a)가 상기 잠금홈(16)으로부터의 이탈시 상기 연결바(30b)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3B, the vertical width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is set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ar 30b when the lock bar 30a is released from the lock groove 16 .

상세히, 상기 락킹핀(30)은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키관통부(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키관통부(21)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바(30b)의 상승에 따라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상승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ocking pin 30 is bent in an upper part and disposed inside the key penetration part 21, and when the connection bar 30b disposed inside the key penetration part 21 rise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30a can be raised.

이때,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상기 잠금홈(16)에 삽입된 깊이보다 상기 연결바(30b)의 승강폭이 큰 경우 상기 핸들부(20)의 구속 상태에서 벗어나 회전 조작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ar 30b is larger than the depth of the lower end of the lock bar 30a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16, the lock bar 30a may be rotated out of the restrained state of the handle part 20 .

이를 위해, 상기 연결바(30b)가 배치된 상기 키관통부(21)의 상하방향 폭은 잠금바(30a)가 잠금홈(16)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연결바(30b)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이는 상기 키관통부(21)의 상하방향 폭이 락킹핀(30)의 구속해제시 요구되는 연결바(30b)의 승강폭보다 같거나 크게 설정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in which the connection bar 30b is disposed is set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ar 30b in which the lock bar 30a can be detached from the lock groove 16 This means that the width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2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ar 30b required when the lock pin 30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또한, 상기 잠금해제키(40)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바(30b)의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de unit 41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nlocking key 40 such that the slide unit 41 is slid upwar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30b.

이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키(40)의 단부가 키관통부(21)의 하면부에 밀착되는 쐐기형의 단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잠금해제키(4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바(30b)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nd portion of the unlocking key 40 can be formed as a wedge-shaped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key penetrating portion 21, and the unlocking key 4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30b.

또한, 상기 연결바(30b)가 슬라이드부(4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잠금해제키(40)의 측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1)의 경사방향으로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bar 30b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ide part 41, the slide part 41 can be smoothly raised and lowered in the slant direction of the slide part 41 as the unlocking key 4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상기 잠금해제키(40)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41)의 후방에 상기 락킹핀(30)의 상승상태가 가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상기 연결바(30b)가 탄발 삽입되는 가고정홈(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locking key 40, a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3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slide part 41 so as to be rounded downwardly so that the connecting bar 30b is elastically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a temporary trench 42 be formed.

이때, 상기 가고정홈(42)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잠금홈(16)의 외부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바(30b)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recessed depth of the tongue groove 42 is se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bar 30b which can keep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ck bar 30a away from the lock groove 16 desirable.

여기서, 상기 가고정홈(42)은 연결바(30b)의 탄발 삽입시 딸깍하는 클릭감을 부여함으로써, 잠금해제키(40)가 상기 락킹핀(30)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깊이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ongue groove 42 is provided with a click feeling when the tongu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ar 30b so 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nlocking key 40 is inserted to a depth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30 It can be easily grasped.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해제키(40)가 정확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과도한 삽입시 발생될 수 있는 잠금해제키(40)의 단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not only can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be improved, but also the unlocking key 40 can be inserted at an accurate depth, and the end of the unlocking key 40, which may be caused at the time of excessive insertion, have.

또한, 상기 잠금해제키(40)는 상기 가고정홈(42)에 삽입된 연결바(30b)에 의해 측방향 유동이 제한되며 작업자가 별도로 그립하지 않더라도 키관통부(21)에 삽입된 상태로 가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locking key 40 is limited in lateral flow by the connecting bar 30b inserted in the temporary fixing groove 42, and is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ng portion 21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grip it separately Can be defined.

이에 따라, 핸들부(20)의 조작을 위해 삽입된 잠금해제키(40)가 외부 진동 등으로 이탈되어 분실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바(30a)가 하강되어 잠금홈(16)에 걸리는 등 불편함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locking bar 30a is lowered at a position where the unlocking key 40 inserted for the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is lost due to external vibration or the like and is caught in the lock groove 16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feeling of use.

한편,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개폐유로(12)가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개폐부재(14)의 각 배치각도에서 상기 핸들부(20)가 잠금되도록, 상기 락킹핀(30)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4A and 4B, the lock groove 16 is formed in a manner that the handle portion 20 is locked at an angle of dis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12 is opened and closed, And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locking pin (30).

즉,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핸들부(20)의 닫힘 각도에서 잠금바(30a)를 고정하는 닫힘 잠금홈(16d)과, 상기 핸들부(20)의 열림 각도에서 잠금바(30a)를 고정하는 열림 잠금홈(16e)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at is, the lock groove 16 includes a closing lock groove 16d for fixing the lock bar 30a at a closing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and a locking lock groove 16b for locking the lock bar 30a at an opening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 And an opening locking groove 16e for fixing the opening 16c.

이때, 상기 열림 잠금홈(16e) 및 상기 닫힘 잠금홈(16d)은 한쌍으로 구비된 잠금바(30a)에 대응하여 각각이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핸들부(20)의 각 배치각도에서 잠금바(30a) 중 하나의 위치가 중첩되는 경우에 전체 잠금홈(16)의 갯수가 홀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잠금홈(16b)이 열림 잠금홈(16e) 및 닫힘 잠금홈(16d)으로 공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ning lock groove 16e and the closing lock groove 16d are preferably provided in pair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ir of lock bars 30a, When one of the lock bars 30a is overlapped, the total number of the lock grooves 16 is an odd number so that one lock groove 16b is shared by the open lock groove 16e and the close lock groove 16d .

예를 들어, 상기 핸들부(20)가 닫힘 각도 및 열림 각도에서 각각 잠금될 수 있으면서도, 잠금바(30a)의 구속을 위한 잠금홈(16)의 갯수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각 잠금바(30a) 사이 간격은 잠금바(30a)의 회전반경에 2의 제곱근을 곱한 수치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locked at the closing angle and the opening angle, respectively, so that the number of the locking grooves 16 for restraining the locking bar 30a is minimized, The interval may be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lock bar 30a by the square root of 2.

이때,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잠금바(30a)의 회전반경을 따라 상호 90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배치된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grooves 16 may be provided in three positions that ar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lock bar 30a.

즉, 상기 핸들부(20)가 열림 각도인 경우, 시계방향을 따라 배치된 3개의 잠금홈 중 첫번째(16c) 및 두번째 잠금홈(16b)에 각 잠금바(30a)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첫번째(16c) 및 두번째 잠금홈(16b)은 열림 잠금홈(16e)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handle 20 is at the open angle, each lock bar 30a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16c and the second lock groove 16b of the three lock grooves arranged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16c and the second lock groove 16b can be understood as the open lock groove 16e.

그리고, 상기 핸들부(20)가 닫힘 각도인 경우, 시계방향을 따라 배치된 3개의 잠금홈 중 두번째(16b) 및 세번째 잠금홈(16a)에 각 잠금바(30a)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두번째(16b) 및 세번째 잠금홈(16a)은 닫힘 잠금홈(16d)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두번째 잠금홈(16b)은 열림 잠금홈(16e) 및 닫힘 잠금홈(16d)으로 공유될 수 있다. When the handle portion 20 is at the closing angle, each lock bar 30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16b and the third lock groove 16a of the three lock grooves arranged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16b and the third locking groove 16a can be understood as the closing locking groove 16d,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6b can be shared with the opening locking groove 16e and the closing locking groove 16d .

이처럼, 상기 잠금홈(16)이 개폐유로(12)가 개방되는 핸들부(20)의 각도 및 개폐유로(12)가 폐쇄되는 핸들부(20)의 각도에 대응하여 형성됨에 따라 핸들부(20)가 열린 상태 및 폐쇄 상태 각각에 대해 잠금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lock groove 16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angle of the handle 20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 12 is opened and the angle of the handle 20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 12 is closed, Can be locked for each of the opened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물론,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핸들부(20)의 닫힘 및 열림 각도 이외에도 개폐유로(12)의 개방면적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핸들부(20)의 배치각도 각각에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lock groove 16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s of the handle portions 20 fo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12 in addition to the closing and opening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It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지지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ey-type valv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upport bar of a key-type valv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바(6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도시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upport bar 6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and the same configuration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락킹핀(30)의 하부에는 지지바(60)가 결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5 to 6, the support bar 6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n 30.

이때, 상기 지지바(60)는 양단부에 상기 각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61)이 형성되어 상기 각 잠금바(30a)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킹핀(30)이 핸들부(20) 내에서 상하 이동되되 상기 잠금바(30a)의 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상기 각 잠금바(30a)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ort bar 60 may have insertion holes 61 through which the lower ends of the lock bars 30a are insert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lock bars 30a so as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 Accordingly, the locking pin 30 is vertically moved in the handle portion 20, and can be supported between the locking bars 30a without being sepa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30a.

여기서, 상기 지지바(60)는 잠금바(30a) 사이의 간격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관통공(22)의 마모나 열변형에 따른 확장/손상 시에도 잠금바(30a)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락킹핀(30)의 형상을 고정함으로써 각 잠금바(30a)가 잠금홈(16)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동작 신뢰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The support bar 60 prevents the lock bars 30a from being opened even when the through holes 22 are expanded or damaged due to abrasion or thermal deformation of the lock bars 30a, The lock bar 30a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16 by fixing the shape of the lock bar 30 so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지지바(60)는 상기 관통공(22)과 상기 삽입홀(61)이 정렬되도록 상기 핸들부(20)의 하면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락킹핀(30)의 상승시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핸들부(20) 및 바디부(10)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60)의 두께를 상기 핸들부(20) 및 바디부(10)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결합 없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6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20 so that the through hole 22 and the insertion hole 6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the lower end of the lock bar 30a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handle 20 and the body 10,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bar 60 is set between the handle 20 and the body 10 So that they can be used without any separate coupling.

그리고, 상기 지지바(60)는 내마모성과 저마찰력을 갖는 황동 등의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핸들부(20) 및 바디부(1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여 핸들부(2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upporting bar 6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brass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low frictional force and supports the gap between the handle part 20 and the body part 1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distor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키타입 밸브장치 10: 바디부
11: 커플링 결합부 12: 개폐유로
13: 단턱부 14: 개폐부재
20: 핸들부 21: 키관통부
22: 관통공 23: 가이드부
30: 락킹핀 30a: 잠금바
30b: 연결바 31: 삽입유도부
40: 잠금해제키 41: 슬라이드부
42: 가고정홈
100: key type valve device 10: body part
11: coupling coupling part 12: opening /
13: step portion 14: open / close member
20: handle portion 21: key penetrating portion
22: through hole 23: guide portion
30: Locking pin 30a: Locking bar
30b: connecting bar 31: insertion guide portion
40: unlocking key 41: slide part
42: Going home

Claims (5)

양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부에 잠금홈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가 형성된 핸들부;
상기 가이드부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및 안내되어 상기 잠금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한쌍의 잠금바와, 상기 각 잠금바의 상단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락킹핀;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에 삽입되어 이동시 상기 연결바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 및
상기 락킹핀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상기 키관통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홈은 상기 잠금바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개폐유로가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각 배치각도에서 상기 핸들부가 잠금되도록 상기 락킹핀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키관통부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잠금바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의 이탈시 상기 연결바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되되, 상기 잠금해제키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전단부를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핀의 상승상태에서 상기 잠금바가 상기 잠금홈의 외부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깊이로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상기 연결바가 탄발 삽입되는 가고정홈이 상기 잠금해제키 상면의 상기 슬라이드부 후방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Wherein a coupling and coupling sec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to connect the piping, and an opening / clos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flow path of each of the pipes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assage, A body portion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be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having a guid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having a key penetr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eing inserted and guided in the guid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s lowered to restrain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A locking pin including a pair of locking bars extending to be disposed inside the key penetra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bar integral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locking bars;
A lock releasing key inserted into the key penetrating portion such that the locking pin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when the locking pin is moved to lift the locking pin; And
And an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pin downward,
Wherein the lock groov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tages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lock bar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at the handle portions are locked at the respective disposition angl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
Wherein the width of the key penetration portion is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ar when the locking bar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nlocking key along the front end portion An upwardly inclined slide portion is formed in a rearward direction,
Wherein the locking bar is recessed downwardly to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maintain the lock bar in a state of being detached from the lock groove in a raised state of the locking pin so that the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is elastically inserte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alve body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의 하단부에는 상기 잠금홈의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협관화되는 삽입유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pin has an insertion guide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cking pin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so as to slide on an edge of the locking groove.
삭제delete
KR1020150086436A 2015-06-18 2015-06-18 key type valve apparatus KR101693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36A KR101693273B1 (en) 2015-06-18 2015-06-18 key type valv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36A KR101693273B1 (en) 2015-06-18 2015-06-18 key type valv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58A KR20160149458A (en) 2016-12-28
KR101693273B1 true KR101693273B1 (en) 2017-01-05

Family

ID=5772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36A KR101693273B1 (en) 2015-06-18 2015-06-18 key type valv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7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66B1 (en) 2015-11-24 2017-07-11 아래스 주식회사 Master key locking valve
KR20180047140A (en) * 2016-10-31 2018-05-10 아래스 주식회사 Handle for the flow control valve
KR101945780B1 (en) 2017-05-11 2019-02-11 삼미기계주식회사 Double valve with locking-unit
KR102304730B1 (en) 2021-05-18 2021-09-28 삼원그린 주식회사 a key type valve device
KR102370641B1 (en) * 2020-11-24 2022-03-04 하이록코리아 주식회사 Handle locking device for ball val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19B1 (en) * 2019-09-20 2020-09-08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Locking Valve
KR102311898B1 (en) * 2020-05-12 2021-10-13 주식회사 아스플로 Valve with locking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valv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37B1 (en) * 2007-06-08 2007-12-17 주식회사 비엠티 Valve operated by a master-key
KR101377474B1 (en)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Valve operated by a master-ke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4184U (en) * 1988-09-20 1990-03-27
DE19541917C2 (en) 1995-11-10 1998-11-19 Masco Gmbh Control cartridge for a single lever mixing valve
JPH11270200A (en) * 1998-03-24 1999-10-05 Seiko Kogyo Kk Gas and city water valve stop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37B1 (en) * 2007-06-08 2007-12-17 주식회사 비엠티 Valve operated by a master-key
KR101377474B1 (en)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Valve operated by a master-ke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66B1 (en) 2015-11-24 2017-07-11 아래스 주식회사 Master key locking valve
KR20180047140A (en) * 2016-10-31 2018-05-10 아래스 주식회사 Handle for the flow control valve
KR101868812B1 (en) 2016-10-31 2018-06-20 아래스 주식회사 Handle for the flow control valve
KR101945780B1 (en) 2017-05-11 2019-02-11 삼미기계주식회사 Double valve with locking-unit
KR102370641B1 (en) * 2020-11-24 2022-03-04 하이록코리아 주식회사 Handle locking device for ball valve
KR102304730B1 (en) 2021-05-18 2021-09-28 삼원그린 주식회사 a key type val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58A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73B1 (en) key type valve apparatus
US9404587B2 (en) Lockout tagout for semiconductor vacuum valve
US7055605B2 (en) Downhole circulation valve operated by dropping balls
US8418515B2 (en)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CN107013097A (en) Padlock
US9803776B2 (en) Lock device and valve device
KR101890580B1 (en) Ball Valve Preventing Random Manipulation
KR102088575B1 (en) Pipe holder support
KR101450644B1 (en) Ball Valve
KR101756166B1 (en) Master key locking valve
KR20080107830A (en) Valve locking apparatus
RU2647826C1 (en) Chain stopper device and chain and chain stopper used in it
CN104373673A (en) Dry-type coupling valve
KR102304730B1 (en) a key type valve device
KR101927477B1 (en) High-level waste descend device use wedge locking
EP2807408B1 (en) Safety cap
US9976672B2 (en) Handle lock for valve
KR100572625B1 (en) Ball valve the system which locks
KR101894033B1 (en) Valve locking apparatus for locking the cable easily
KR200494568Y1 (en) Fitting opener
KR102441286B1 (en) Manhole cover opener
KR102162593B1 (en) Master key lock valve
KR200461124Y1 (en) a Device for Confirming the Open-Close of Valve and Handling the Rotation of Valve in Fluid Transport Pipe
KR101238868B1 (en) Opening and closing valve
KR102048484B1 (en) Fuse c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