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49B1 -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3249B1 KR101693249B1 KR1020150126933A KR20150126933A KR101693249B1 KR 101693249 B1 KR101693249 B1 KR 101693249B1 KR 1020150126933 A KR1020150126933 A KR 1020150126933A KR 20150126933 A KR20150126933 A KR 20150126933A KR 101693249 B1 KR101693249 B1 KR 101693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sha
- encryption
- signature information
- numbe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1—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at application loading time, e.g. accepting, rejecting, starting or inhibiting executable software based on integrity or source reliabi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가능여부를 요청하는 스마트폰과, 사용가능여부의 요청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의 비교를 통해 악성코드를 감염시킬 우려가 있거나 변조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이중 암호화(MD5, SHA-256)하고 있으므로 외부 해킹 위협으로부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에 근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설치, 실행)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로는 대표적으로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등이 있다. 이러한 다수의 운영체제는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현재로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모든 소스 코드의 공개에 따라 보안 부분에서 취약할 수밖에 없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무단수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정상적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앱)이라고도 함)에 크랙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분석하여 해킹하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가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빼내는 일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이 강화된 이중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키고, 등록된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택 모드(화이트 모드, 블랙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가능여부를 요청하는 스마트폰; 및 사용가능여부의 요청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는 MD5 암호화부와 SHA-256 암호화부를 포함하는 이중 암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MD5 암호화부는,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누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SHA-256 암호화부는, 짝수열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짝수열 SHA-256 암호화부와, 홀수열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홀수열 SHA-256 암호화부와,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감지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한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있으면,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감지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 외부서버,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이다.
상기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는, 이중 암호화가 이루어지며, 이중 암호화는 MD5 암호화와, SHA-256 암호화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 암호화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MD5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누는 단계; 나눠진 짝수열, 홀수열 각각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단계;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중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는 APK 파일 이름, 패키지 이름, 패키지 버전, 해쉬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의 비교를 통해 악성코드를 감염시킬 우려가 있거나 변조 가능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이중 암호화(MD5, SHA-256)하고 있으므로 외부 해킹 위협으로부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암호화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스트 기반 화이트 모드 및 블랙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암호화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암호화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스트 기반 화이트 모드 및 블랙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암호화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서버측에서, 스마트폰에 유해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화이트 리스트에, 변조되거나 악성 코드 감염 가능성이 있는 불량 어플리케이션을 블랙 리스트에 등록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모드(화이트 모드, 블랙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들이 외부 해킹으로 인해 유출되거나 변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암호화와 SHA(Secure Hash Standard)-256 암호화를 혼합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에, 기존의 화이트 리스트 기반 모바일 보안 방식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출된 시그니처를 서버측으로 전송하여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단순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악성 코드의 감염 이후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후행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1)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가능여부를 요청하는 스마트폰(2)과, 사용가능여부의 요청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1)는, 스마트폰(2)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례로서, Google Play Store를 기준으로 운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2)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주체이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시 화이트 모드 또는 블랙 모드를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가능여부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로 요청하는 주체이다.
여기서, 사용자 선택 모드는 화이트 모드 및 블랙 모드를 포함한다. 화이트 모드는 시스템에서 위험하지 않은 검증받은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화이트 리스트 내의 어플리케이션들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블랙 모드는 시스템에서 변조되거나 악성 코드 위험이 있어서 블랙 리스트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화이트 리스트 기반의 화이트 모드는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목록만 허용하고 나머지 어플리케이션은 차단하는 것이며, 블랙 리스트 기반의 블랙 모드는 블랙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차단하고 나머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선 허용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1), 스마트폰(2)으로부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1)와,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1)는 PHP(Hypertext Preprocessor) 기반 등록 페이지(Board)로 관리되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로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1)는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PHP 기반 제로보드 페이지를 관리하므로, 이에 데이터베이스(32)는 리스트 기반으로 관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1) 또는 외부서버 등에서 제공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폰(2)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한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스마트폰(2)의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감지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실행 여부를 알려준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는 보안을 위해 이중 암호화되어 관리된다. 이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암호화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 암호화부(4)는, MD5 암호화부(41)와, SHA-256 암호화부(42)를 포함한다.
MD5 암호화부(41)는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누는 분리부(411)를 포함한다.
SHA-256 암호화부(42)는, 짝수열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짝수열 SHA-256 암호화부(421)와, 홀수열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홀수열 SHA-256 암호화부(422)와,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하는 결합부(4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중 암호화부(4)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1)에 포함시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2)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설치, 실행)하고자 하면(S1), 스마트폰(2)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해시코드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로 전달한다(S2).
이에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에서는 해시코드에 대해 이중 암호화하고(S3),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와 해시코드를 비교한다(S4). 이 때,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화이트 리스트에 존재할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허용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블랙 리스트에 존재할 경우에는 사용을 차단한다(S5 ~ S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스트 기반 화이트 모드 및 블랙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에서(S11), 화이트 모드 또는 블랙 모드의 선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설치, 실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먼저, 화이트 모드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화이트 모드를 선택하면(S12), 서버는 화이트 모드 선택을 확인하고, 이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설치, 실행)는지 판단한다(S13).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확인되면, 서버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추출되도록 하고(S14),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전달받는다(S15).
이에 서버는 화이트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2)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터 정보가 있는지 검색한다(S16).
화이트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2)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터 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17),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설치, 실행)하도록 허용한다(S18).
한편, 화이트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2)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터 정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폰(2)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때, 스마트폰(2)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를 전달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원할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 S12로 진행한다(S19).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S12로 진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블랙 모드를 선택하면(S12), 서버는 블랙 모드 선택을 확인하고, 이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설치, 실행)되었는지 판단한다(S20).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확인되면, 서버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추출되도록 하고(S21),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전달받는다(S22).
이에 서버는 블랙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2)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터 정보가 있는지 검색한다(S23).
블랙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2)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터 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24),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설치, 실행)을 차단한다(S25).
한편, 블랙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2)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터 정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어서 스마트폰(2)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함과 아울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를 전달한다. 이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원할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 S12로 진행한다(S26).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S12로 진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이중 암호화하여 사전에 감염을 방지하여 서버의 외부 해킹 위협으로부터의 보안성을 확보한다. 이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암호화에 대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MD5 암호화를 거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분리하여 각각 SHA-256으로 암호화한 후 결합하는 이중 암호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기존, MD5에 이용된 데이터가 SHA-256에 이용되어지는 과정을 고려, 기존의 MD5, SHA-256을 단순히 순차적으로 진행했던 이중 암호화 방법을 변형시킨 것으로서, 이를 통해 보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중 암호화 방법은 스마트폰(2)과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간,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1)와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과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간 송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에 대해 이중 암호화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백그라운드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설치, 실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확인되면, 서버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추출되도록 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는 APK 파일 이름, 패키지 이름, 패키지 버전, 해쉬코드 등을 포함한다.
이에 스마트폰(2)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MD5, SHA-256 이중 암호화한다.
이 때, 이중 암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에 대해 MD5 암호화를 수행한다.
이어서, MD5 암호화 과정에서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눈다.
나눠진 짝수열, 홀수열 각각에 대해 SHA-256 암호화한다. 이 때, 짝수열 SHA-256 암호화 및 홀수열 SHA-256 암호화의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후,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한다.
이어서, 이중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은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에서 이중 암호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3)에서 이중 암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MD5 암호화와 SHA-256 암호화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들이 외부 해킹으로 인해 유출되거나 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독의 MD5 암호화는 역방향 조회를 통해 대부분의 간소화한 문장에 대해 손쉽게 평문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탈취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MD5, SHA-256 이중 암호화를 통해 보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
2 : 스마트폰
3 :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
31 :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32 : 데이터베이스
4 : 이중 암호화부
2 : 스마트폰
3 :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
31 :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32 : 데이터베이스
4 : 이중 암호화부
Claims (10)
-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가능여부를 요청하는 스마트폰; 및
사용가능여부의 요청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는 MD5 암호화부와 SHA-256 암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MD5 암호화부는,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누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SHA-256 암호화부는, 짝수열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짝수열 SHA-256 암호화부와, 홀수열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홀수열 SHA-256 암호화부와,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감지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한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있으면,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는, 이중 암호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 암호화는 MD5 암호화와, SHA-256 암호화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암호화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MD5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누는 단계;
나눠진 짝수열, 홀수열 각각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단계;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중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감지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한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있으면,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 외부서버,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이며, 이중 암호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 암호화는 MD5 암호화와, SHA-256 암호화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암호화는,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MD5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누는 단계;
나눠진 짝수열, 홀수열 각각에 대해 SHA-256 암호화하는 단계;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중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6933A KR101693249B1 (ko) | 2015-09-08 | 2015-09-08 |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6933A KR101693249B1 (ko) | 2015-09-08 | 2015-09-08 |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3249B1 true KR101693249B1 (ko) | 2017-01-06 |
Family
ID=5783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6933A KR101693249B1 (ko) | 2015-09-08 | 2015-09-08 |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32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0179A (ko) * | 2017-11-24 | 2019-06-03 | (주)잉카엔트웍스 | 공통 중간 언어를 위한 보안 제공 장치와 방법, 및 보안 실행 장치와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6478A (ko) * | 2002-07-12 | 2005-03-15 | 인그리안 네트웍스, 인코퍼레이티드 | 암호화된 네트워크 |
KR20060044410A (ko) * | 2004-03-19 | 2006-05-16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컴퓨팅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인증 |
KR20120084184A (ko) | 2011-01-19 | 2012-07-27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화이트 리스트 기반 스마트폰 악성 코드 차단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KR20130012490A (ko) * | 2011-07-25 | 2013-02-04 | 엠비욘드 주식회사 | 보안성이 강화된 원격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
KR20140037994A (ko) * | 2012-09-19 | 2014-03-28 | 주식회사 이스트시큐리티 | 위험도 계산을 통한 리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의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
-
2015
- 2015-09-08 KR KR1020150126933A patent/KR1016932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6478A (ko) * | 2002-07-12 | 2005-03-15 | 인그리안 네트웍스, 인코퍼레이티드 | 암호화된 네트워크 |
KR20060044410A (ko) * | 2004-03-19 | 2006-05-16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컴퓨팅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인증 |
KR20120084184A (ko) | 2011-01-19 | 2012-07-27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화이트 리스트 기반 스마트폰 악성 코드 차단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KR20130012490A (ko) * | 2011-07-25 | 2013-02-04 | 엠비욘드 주식회사 | 보안성이 강화된 원격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
KR20140037994A (ko) * | 2012-09-19 | 2014-03-28 | 주식회사 이스트시큐리티 | 위험도 계산을 통한 리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의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0179A (ko) * | 2017-11-24 | 2019-06-03 | (주)잉카엔트웍스 | 공통 중간 언어를 위한 보안 제공 장치와 방법, 및 보안 실행 장치와 방법 |
KR102001046B1 (ko) | 2017-11-24 | 2019-07-17 | (주)잉카엔트웍스 | 공통 중간 언어를 위한 보안 제공 장치와 방법, 및 보안 실행 장치와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92023B2 (en) | System for transparent authentication across installed applications | |
US10185595B1 (en) | Program verification using hash chains | |
US951430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 |
US20170034189A1 (en) | Remediating ransomware | |
CN102855274B (zh) | 一种可疑进程检测的方法和装置 | |
US946746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vulnerability of a mobile device | |
US9054865B2 (en) | Cryptographic system and methodology for securing software cryptography | |
KR101799366B1 (ko) | 다이나믹 보안모듈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US928805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nd managing application using trusted platform module | |
US10050977B2 (en) | Preventing misuse of code signing certificates | |
KR101838973B1 (ko) |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 보안위협 모니터링 시스템 | |
US9875356B2 (en) | System for preventing malicious intrusion based on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 |
EP3203407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CN110224974B (zh) | 基于第三方接入的接口鉴权方法及相关设备 | |
CN103902922A (zh) | 一种防止文件盗取的方法及系统 | |
KR101518689B1 (ko) | 핵심 코드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위변조 여부를 탐지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위변조 탐지 방법 | |
WO2016173267A1 (zh) | 一种完整性校验方法和装置 | |
US20160352522A1 (en) | User Terminal For Detecting Forgery Of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Signature Information And Method Of Detecting Forgery Of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Same | |
KR101693249B1 (ko) |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630462B1 (ko) | 키보드 보안 장치 및 방법 | |
KR101622514B1 (ko) | 서버에 대한 웹 요청들의 위조의 방지 | |
Raiu et al. | The MiniDuke mystery: PDF 0-day government spy assembler 0x29A micro backdoor | |
US912250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cryption in virtualized environment using auxiliary medium | |
KR20150049571A (ko) | 객체검증장치 및 그 무결성인증방법 | |
WO2020207292A1 (zh) | 数据安全处理系统、方法、存储介质、处理器及硬件安全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