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023B1 -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 Google Patents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023B1
KR101693023B1 KR1020160120096A KR20160120096A KR101693023B1 KR 101693023 B1 KR101693023 B1 KR 101693023B1 KR 1020160120096 A KR1020160120096 A KR 1020160120096A KR 20160120096 A KR20160120096 A KR 20160120096A KR 101693023 B1 KR101693023 B1 KR 10169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injection port
sub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김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주 filed Critical 김한주
Priority to KR102016012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가압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용기 내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흡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흡수부재의 타측 일측단에는 상기 용기 내측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제2흡수부재가 설치되는 메인용기; 및 상기 메인용기의 상기 토출구 상에 장착되는 메인 주입구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주입구와 일체로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구된 개구영역이 형성된 몸체부를 마련하되, 상기 몸체부와 메인 주입구는 내부에 흐름공이 형성되며, 상기 흐름공에서 몸체부 내주연에 방향으로 분기된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 또는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액을 푸쉬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면부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바(bar)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화장액을 푸쉬하는 가압체와, 상기 지지체 타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가압힘이 가해지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체의 외주면상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에 토출하되, 반폐쇄형의 도포유닛 상에 잔존하는 화장액을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화장액 도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Pressurized Cosmetic applicator module}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에 토출하되, 반폐쇄형의 도포유닛 상에 잔존하는 화장액을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화장액 도포가 가능한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킨, 로션, 크림, 파우더 등의 화장품은 들은 점도에 따라 또는 사용방법에 따라 특정 용기에 수용된다. 이 가운데 스킨, 로션 크림 등의 화장액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여 용액을 배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운데 가압시 배출된 액체가 환경에 따라 점도 낮아 흘려 내리거나 유출된 양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는 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다. 그러나, 점도와 유출되는 양에 대한 부분을 해결하는데 치중하는 과정에서 화장액 사용을 위한 용이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해결이 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449호
본 발명은, 용기내부의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토출하되, 반폐쇄형과 폐쇄형으로의 가변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화장액을 도포할 수 있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을 가압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용기 내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흡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흡수부재의 타측 일측단에는 상기 용기 내측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제2흡수부재가 설치되는 메인용기; 및 상기 메인용기의 상기 토출구 상에 장착되는 메인 주입구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주입구와 일체로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구된 개구영역이 형성된 몸체부를 마련하되, 상기 몸체부와 메인 주입구는 내부에 흐름공이 형성되며, 상기 흐름공에서 몸체부 내주연에 방향으로 분기된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 또는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액을 푸쉬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면부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바(bar)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화장액을 푸쉬하는 가압체와, 상기 지지체 타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가압힘이 가해지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체의 외주면상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에 따르면, 용기내부의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손에 잔존하는 세균과 각종 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에 토출하되, 반폐쇄형의 도포유닛 상에 잔존하는 화장액을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화장액 도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화장액 도포모듈의 메인용기(1)는 화장품을 가압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된 튜브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토출구(12)와 연결된 튜브용기(10) 내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흡수부재(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흡수부재(20)는 화장품을 흡수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스폰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부재(20)는 상기 튜브용기(10)의 토출구(12)와 연결되는 튜브용기(10)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흡수부재(20)는 튜브용기(10) 내측 전체를 형성될 수 있으나 가압시 상기 튜브용기(10)의 토출구(10)로 배출과 화장품을 튜브용기(10)에 충전시 많은 화장품 용량이 충진되도록 토출구(12)와 연결된 튜브용기(10) 내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용기(10) 내측에 충진된 화장품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흡수부재(20)의 타측 일측단에는 튜브용기(10) 내측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제2흡수부재(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재(30)는 튜브용기(10) 내측에 충진된 화장품을 흡수하며 사용자가 상기 제2흡수부재(30)가 위치한 튜브용기 (10)외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2흡수부재(30)에 흡수된 화장품이 토출구(12) 방향의 흡수부재(20)에 화장품이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흡수부재(20)가 수축가압되어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12)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용기(10) 내측 후단에 설치하여 충진된 화장품을 제2흡수부재(30)가 흡입하여 배출하므로써 더욱더 튜브용기(10) 내측에 충진된 화장품을 남기지 않고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2흡수부재(30)의 일측면에는 화장품이 일측 방향으로 유출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가 도포되며, 상기 제2흡수부재(30)는 상, 하 이동할 수 있어 화장품이 남은 양에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화장품을 더욱더 흡수하여 상기 흡수부재(10)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흡수부재(10)에 화장품을 더욱더 용이하게 공급하여 수축가압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용기(10) 내측 면부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팽창부재(4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부(50)가 튜브용기(10) 후단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흡수부재(30)에 의해 상기 흡수부재(10)에 공급 및 가압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흡수부재(30)에 소량의 화장품이 남을 수 있어 더욱더 사용이 용이하도록 팽창부재(40)가 상기 튜브용기(10) 내측면부에 설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용기(10) 후단에 설치된 에어공급부(50)로 부터 공급받아 상기 팽창부재(40)가 부풀어 튜브용기(10) 내측에 충진된 화장품을 상기 흡수부재(20)에 더욱더 용이하게 공급 및 수축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흡수부재(20)는 화장품을 흡수하여 튜브용기(10) 토출구로 통해 배출시 보다 용이하게 배출함과 빠른 공기와 면촉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어 화장품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부재(30)의 일측면 일측단부에 융착되고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통공(72)이 형성되어 이룬 유출방지필름(70)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방지필름(70)의 통공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장형 또는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튜브용기(10)를 가압시 상기 유출방지필름(72)의 통공(72)이 열려 튜브용기(10)의 토출구(12)로 화장품이 배출되며 가압력이 떨어지며 상기 흡수부재가 수축된 것과 상기 유출방지필름(70)의 통공(12)이 닫혀 화장품 배출이 차단되어 공기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화장품의 제품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메인용기(1)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튜브용기(1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토출구(12)가 형성되면 상기 튜브용기의 토출구(12)와 연결된 튜브용기(10)내측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흡수부재(20)가 구비되며 상기 흡수부재(20)가 설치된 이면 공간의 튜브용기(10)에는 화장품이 충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용기(10)의 토출구(12)를 닫거나 열수 있도록 뚜껑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화장품이 충진된 메인용기(1)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튜브용기(10)의 토출구(12)를 막고있는 뚜껑을 오픈하여 사용자 피부나 미용을 하기 위한 도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튜브용기(10)의 외부면을 가압하면 상기 튜브용기(10)의 내측에 충진된 화장품이 가압되어 상기 튜브용기(10)의 흡수부재(20)에 화장품을 공급흡수 및 수축가압되어 상기 튜브용기(10)의 토출구(72)으로 화장품이 배출되고 가압력이 떨어지면 상기 흡수부재(20)는 다시 팽창흡입하여 화장품 배출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메인용기는 튜브용기 내부에 설치된 흡수부재는 화장품을 흡수하여 배출하므로 환경변화에 따른 화장품의 점도변화시에도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화장품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면, 도포유닛(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포유닛(100)은 팔찌 형상의 몸체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은 개구된 개구영역이 형성되어 인체의 팔, 다리 등이 몸체부(110)의 내주연에 수용된 상태로 몸체부(110)을 반복 이동시키면 화장품이 연결된 몸체부(110)을 통해 액상의 화장품을 팔, 다리 등에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을 몸체부(110)로 주입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연 중앙에는 메인 주입구(111)을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주입구(111)눈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어 화장품에 가압에 의해 침투되어 화장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111)와 몸체부(110)의 내부는 상호 연통된 흐름공(11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흐름공(112)은 몸체부(110) 내부에 형성하되 상기 흐름공(112)의 양측이 몸체부(110) 내부에서 밀폐된상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흐름공(112)에는 복수개의 배출공(113)이 분기되어 몸체부(110)의 내주연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13)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흐름공(112)을 통해 유입된 화장품이 복수개의 배출공(113)을 통해 몸체부(110)의 내주연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는 도포유닛(100)의 주입구(111)를 화장품 케이스(C) 내부로 침투시킨다. 이후, 화장품 케이스(C) 외부를 가압하면 화장품이 주입구(111)를 통해 흐름공(112)으로 유입시킨다. 다음으로 몸체부(11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연이 팔 또는 다리 등의 인체에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이후, 화장품을 재차 가압하여 흐름공(112)으로 화장품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면 압력에 의해 화장품이 복수개의 배출공(113)으로 배출된다. 동시에 사용자는 팔과 다리에 몸체부(110)을 반복 이동시키면 화장품을 손에 묻히지 않으며 화장품을 인체에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폭을 넓게 형성시킬수록 도포 효율은 더욱 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팔과 다리에서 이동할 때 인체의 형상에 맞추어 몸체부(110)이 탄력적으로 확개 또는 좁혀지면서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연이 밀착되어 화장품의 도포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의 메인 주입구(111)상에는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 상에 소정의 탄성돌기(E)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용기(1)의 상기 토출구(12) 내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 상에는 상기 탄성돌기(E)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H5)이 형성된다.
도 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장액 도포모듈에서 도포장치(100)는 몸체부(110) 둘레방향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10) 내부로부터 출몰되는 출몰유닛(2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에 흐름공(112)과 이웃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된 삽입공(H1)이 둘레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출몰유닛(210)은 상기 삽입공(H1)을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둘레방향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유동하며, 상기 출몰유닛(210)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부에 고정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장액 도포모듈에서 도포유닛(100)은 몸체부(110)의 상면부 또는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는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액을 푸쉬하여 배출공(113)으로 배출하기 위한 가압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의 상기 일면부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H2)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유닛(220)은, 상기 통공(H2)에 삽입되는 바(bar) 형상의 지지체(221)와, 상기 지지체(221)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서 상기 화장액을 푸쉬하는 가압체(222)와, 상기 지지체(221) 타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가압힘이 가해지는 누름부(2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체(222)의 외주면상에는 탄성체(C)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223)는 상기 탄성체(C)를 매개로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체(222)는 상기 몸체부(110)의 둘레방향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단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221)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기 상면부에 상기 통공(H2)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체(222)는 그 형상이 상기 흐름공(112) 상에서 적절한 크기와 면적을 가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화장액 도포모듈에서 도포유닛(100)의 몸체부(110)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디부(110a~110k)로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들(110a~110k)은 상호간에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 방향으로 일정거리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회동에 있어서, 너무 느슨한 회동상태가 아닌 어느 정도 고정력이 있어 그 움직임 제한적이 되는 회동상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내부에는 흐름공은 관부재(예: 비닐호수관 등)을 이용하여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싱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장액 도포모듈에서 도포유닛(100)의 몸체부(110)는 상면부 및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 제2삽입공(H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는 상면부 및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유닛(2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유닛(230)은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상기 몸체부(110)의 제2삽입공(H1) 상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시키며, 상기 제2삽입공(H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화장액 도포모듈에서 메인 주입구(111) 외측면 일부에는 제3삽입공(H1)이 형성되며, 상기 제3삽입공(H1)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주입구(111)로의 화장액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2개폐유닛(2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개폐유닛(240)은 상기 제3삽입공(H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위하여 단부에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된다.
몸체부(110) 상에 상기 메인 주입구(111)와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주입구(111')가 구비되며, 상기 서브 주입구(11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서브 용기(10')가 장착된다. 상기 서브 용기(10')는 상기 메인 용기(1)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이종의 물질이 충진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주입구(111') 외측면 일부에는 제4삽입공(H1)이 형성되며, 상기 제4삽입공(H1)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서브 주입구(111')로 화장액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3개폐유닛 구비되며, 상기 제3개폐유닛은 상기 제4삽입공(H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도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주입구(111)는, 상기 몸체부(110)측의 제1마디부(1111)와, 일단부로 상기 메인용기(1)에 장착되며 타단부로 상기 제1마디부(1111)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2마디부(111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주입구(111) 상에는 관부재(예: 비닐호수관 등)을 구비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 주입구(111')는 상기 몸체부(110)측의 제3마디부(미도시)와, 일단부로 상기 서브용기(10')에 장착되며 타단부로 상기 제3마디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4마디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메인용기 10 : 튜브용기
12 : 토출구 20 : 흡수부재
30 : 제2흡수부재 40, 60 : 팽창부재
50 : 에어공급부 70 : 유출방지필름
72 : 통공 100 : 도포유닛
110 : 몸체부 111 : 메인 주입구
1111 : 제1마디부 1112 : 제2마디부
1113 : 제3마디부 112 : 흐름공
113 : 배출공 210 : 출몰유닛
H1 : 삽입공 220 : 가압유닛
H2 : 통공 221 : 지지체
222 : 가압체 223 : 누름부
C : 탄성체 H3 : 제2삽입공
230 : 제1개폐유닛 H4 : 제3삽입공
240 : 제2개폐유닛 E : 탄성돌기
H5 : 장착홈 250 : 서브 주입구
260 : 서브 용기 H5 : 제2삽입공
270 : 제3개폐유닛

Claims (7)

  1. 화장품을 가압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용기 내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흡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흡수부재의 타측 일측단에는 상기 용기 내측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제2흡수부재가 설치되는 메인용기; 및
    상기 메인용기의 상기 토출구 상에 장착되는 메인 주입구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주입구와 일체로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구된 개구영역이 형성된 몸체부를 마련하되, 상기 몸체부와 메인 주입구는 내부에 흐름공이 형성되며, 상기 흐름공에서 몸체부 내주연에 방향으로 분기된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 또는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액을 푸쉬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면부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바(bar)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화장액을 푸쉬하는 가압체와,
    상기 지지체 타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가압힘이 가해지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체의 외주면상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단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면부에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디부로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들은 상호간에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방향으로 일정거리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부 및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 제2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면부 및 하면부 중 어느 일면부에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제1개폐유닛은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상기 몸체부의 제2삽입공 상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며, 상기 제2삽입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몸체부 상에 상기 메인 주입구와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서브 주입구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서브 용기가 장착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주입구 외측면 일부에는 제4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4삽입공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서브 주입구로 화장액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3개폐유닛 구비되며, 상기 제3개폐유닛은 상기 제4삽입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입구는,
    상기 몸체부측의 제1마디부와,
    일단부로 상기 메인용기에 장착되며 타단부로 상기 제1마디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2마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주입구는,
    상기 몸체부측의 제3마디부와,
    일단부로 상기 서브용기에 장착되며 타단부로 상기 제3마디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4마디부를 포함하는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KR1020160120096A 2016-09-20 2016-09-20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KR10169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96A KR101693023B1 (ko) 2016-09-20 2016-09-20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96A KR101693023B1 (ko) 2016-09-20 2016-09-20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023B1 true KR101693023B1 (ko) 2017-01-17

Family

ID=5799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096A KR101693023B1 (ko) 2016-09-20 2016-09-20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0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449Y1 (ko) 1999-10-12 2000-03-15 주식회사도도화장품 일회용 화장품 용기
KR101326588B1 (ko) * 2013-05-27 2013-11-08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듀얼 화장품 용기
KR101433892B1 (ko) * 2012-11-02 2014-08-29 김동언 화장품 도포장치
KR101481545B1 (ko) * 2013-08-16 2015-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518444B1 (ko) * 2013-11-12 2015-05-08 주식회사 오네스 튜브형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449Y1 (ko) 1999-10-12 2000-03-15 주식회사도도화장품 일회용 화장품 용기
KR101433892B1 (ko) * 2012-11-02 2014-08-29 김동언 화장품 도포장치
KR101326588B1 (ko) * 2013-05-27 2013-11-08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듀얼 화장품 용기
KR101481545B1 (ko) * 2013-08-16 2015-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518444B1 (ko) * 2013-11-12 2015-05-08 주식회사 오네스 튜브형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9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a product
CN101020513B (zh) 包装和涂敷装置
JP4292172B2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KR101244036B1 (ko) 마스카라용 포장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및 그의 사용방법
US8616417B2 (en) Valve and discharge device
JP5994112B2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
JP2002211661A (ja) ディップ管を取り付ける容器及び塗布装置
RU2692270C1 (ru) Дозатор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1411990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JP2008110228A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US9415903B2 (en) Product dispensing head for a container and associated dispensing device
US5727892A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a paste, and having a dome-shaped applicator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1693023B1 (ko) 가압형 화장액 도포모듈
US11110486B2 (en) Disinfectant applicator device with contoured roller
KR101693025B1 (ko) 가변형 화장액 도포모듈
KR101725753B1 (ko) 개폐형 화장액 도포모듈
FR2860496B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CN111770820B (zh) 剃须器装置
KR20200095674A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JP4590365B2 (ja) 化粧組成物の包装及び塗布具装置
KR101518444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WO2011158173A1 (en) A device for applying a composition to the eyelashes and/or the eyebr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