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785B1 -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85B1
KR101691785B1 KR1020150120698A KR20150120698A KR101691785B1 KR 101691785 B1 KR101691785 B1 KR 101691785B1 KR 1020150120698 A KR1020150120698 A KR 1020150120698A KR 20150120698 A KR20150120698 A KR 20150120698A KR 101691785 B1 KR101691785 B1 KR 10169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trol motor
draw
vertical frame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진
박중학
김주명
조장행
권태원
Original Assignee
(주) 나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노기술 filed Critical (주) 나노기술
Priority to KR102015012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type nanoparticle agitating system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dispersibility by dispersing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s through controlling the individual rotation speed of each roller and can check an agitation completion message by an operator.

Description

분산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roll individually controlled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본 발명은 분산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3개의 롤러마다 개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분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분산 완료 메세지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분산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roll precision individual controlled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the completion of dispersio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isperse a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by controlling an individual rotation speed for each of three rollers, And at the same time,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 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the completion of dispersion in which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dispersion completion message.

나노입자 응용 기술이 발달하고 있으며, 용매 및 농도, 고순도 등 다양성이 증가되는 실정이다.Application of nanoparticles has been developed, and diversity such as solvent, concentration, and purity are increasing.

또한, 연구목적의 입자제조를 위한 연구기관의 수요가 증가하며, 희소금속, 회토류, 귀금속 등 나노입자의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search institutes for research purpose particle production, and demand for nano particles such as rare metals, ash and noble metals is also increasing.

따라서, 비표면적 극대화와 새로운 물성 발현, 고농도와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 되었다.Therefore, techniques for maximizing specific surface area, manifesting new physical properties, and improving the high concentration and dispersibility have become necessary.

요약하자면, 현대 사회에서는 금속 나노분말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In summary, the demand for metallic nanopowder is explosively increasing in modern society.

즉, 효율 향상을 위한 2차 전지, 연료전지 관련 기술의 수요 증가, 열 교환 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유체 기술의 발달, 저온 소결을 전도성 잉크 및 페이스트 기술 등의 발달되는 추세에 고농도와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nd fuel cells for efficiency improvement, the development of nanofluid technology for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low temperature sintering for conductive ink and paste technology have improved the high concentration and dispersibil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technique to make it.

특히, 전도성 잉크 및 페이스트 비즈니스는 2014년 현재 20억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하였으며, 향후 10년간 연평균 3.4%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conductive ink and paste business has grown into a $ 2 billion market as of 2014 and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3.4% over the next decade.

그렇지만, 나노입자의 고농도와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비들이 존재하지 않아 현재 추세에 맞는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시료용 분산 장치들의 경우에는 분산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
However, since there is no equipment for improving the high concentration and dispersibility of nanopartic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suitable for the current trend,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technique for confirming that the dispersion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case of sample dispersion devices I did.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1644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6449

본 발명의 분산완료 확인이 가능한 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The roll-mill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the dispersion comple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above-

3개의 롤러마다 개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분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s by controlling the individual rotation speeds of the three roller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산 완료 시점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이 소지한 원격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분산이 완료되었음에도 불필요하게 분산 작업을 반복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r can check the distribution completion time through the remote terminal owned by the user in real time, thereby unnecessarily repeating the distribution operation even though the distribution is completed.

본 발명의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ersion-controlled roll-

수평프레임(110)과,A horizontal frame 11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프레임(120)과,A first vertical frame 120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130)과,A second vertical frame 1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40)와,An input unit 140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for inputting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되, 하기의 드로인롤러(200), 미들롤러(300), 스크래퍼롤러(400)에 의해 교반된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스크래퍼(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롤본체부(100)와;A scraper 150 for discharging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stirred by the draw-in roller 200, the middle roller 300, and the scraper roller 400, A three-roll main body 100 comprising the roll main body 100;

상기 3롤본체부의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의 전방에 형성되는 드로인롤러(200)와;A draw-in roller 200 formed in front of a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of the three-roll body;

상기 드로인롤러의 일측에 형성되는 미들 롤러(300)와;A middle roller 300 formed at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상기 미들롤러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크래퍼 롤러(400)와;A scraper roller 400 formed on one side of the middle roller;

상기 드로인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드로인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와;A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to rotate the draw-in roller;

상기 미들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미들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미들롤러 제어모터(350)와;A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iddle roller to rotate the middle roller;

상기 스크래퍼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스크래퍼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와;A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craper roller to rotate the scraper roller;

3롤본체부(1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의 RPM을 설정하기 위한 모터알피엠조작부(500)와;A motor AF operation unit 500 for setting the RPM of the draw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formed on one side of the three roll main body 100, Wow;

상기 모터알피엠조작부의 개별 RPM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각각의 제어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며,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소비 전력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600)과;The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s of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are provided to provide operation signals to the individual control motors, and the currents flowing in the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600) for periodically sensing the voltage to calculat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using local communication;

상기 중앙처리수단에서 제공된 소비 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설정된 소비 전력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켜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원격단말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remote terminal 800 for generating a completion ev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completion event signal to the screen when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matches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set by referring to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본 발명에 의해, 3개의 롤러마다 개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분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by controlling the individual rotation speeds for each of the three rollers,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또한, 분산 완료 시점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이 소지한 원격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분산이 완료되었음에도 불필요하게 분산 작업을 반복하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작업 시간 지연과 추가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confirm the distribution completion time through the remote terminal owned by the user in real time, the problem of repeating the distribution work unnecessarily even though the distribution is completed is solved,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delaying the work time and reducing the additional cost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시스템의 3롤밀 동작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3롤밀 나노입자 분산수단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롤밀 나노입자 분산수단을 이용하여 밀링 처리한 나노 잉크를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중앙처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원격단말기 블록도이며,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단말기 블록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ree-roll-mill operation of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side perspective view of a three-roll-milled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of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3-roll precision individual control 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of a nano-ink obtained by milling using a 3-roll nano-particle disper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entral processing means block diagram of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remote terminal block diagram of a 3-roll-precision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3롤밀 동작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ree-roll-mill operation of a three-roll-milled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나노입자 분산 장치의 각 롤러들은 상호 밀착된 상태, 즉 Zero Gap 상태로 교반을 수행한다. 나노입자가 분산 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Each of the rollers of the nanoparticle disper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gitation in a state of close contact, that is, in a zero gap state. The principle of dispersion of nanoparticles is as follows.

밀착된 각 롤러들의 표면은 육안으로 보았을때는 표면이 매끄러운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현미경으로 관찰해보면 상기 각 롤러들의 표면은 미세한 홈들이 파여져 있는 거친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홈 사이로 덩어리진 나노입자들이 끼어 들어가게 되고 롤러가 회전하면서 덩어리진 나노입자들이 분쇄되어 고르게 분산 되는 것이다.
The surfaces of the closely adhered rollers may appear to be smooth when viewed from the naked eye, but when viewed under a microscope, the surfaces of the rollers consist of a rough surface with fine grooves. The nanoparticles are agglomerated between the fine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agglomerated nanoparticles are pulverized and evenly dispersed as the roller rotates.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투입될 시료가 드로인 롤러(200)와 미들롤러(300) 사이를 통과하면서 롤의 표면에 점착되어 시료가 마지막 스크래퍼롤러(400)로 이송되어진다.
Whe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sample to be fed passes through between the draw-in roller 200 and the middle roller 300, and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roll so that the sample is transferred to the last scraper roller 400.

이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롤러 사이 공간에서 미세한 전단력의 물리적인 힘으로 시료가 혼합, 분쇄, 분산되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sample is mixed, crushed and dispersed by the physical force of the minute shear force in the space between the roller and the roller rotating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에서 서로 다른 방향이란 중앙의 미들 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드로인롤러의 회전 방향이 반대이고, 또한 미들 롤러의 회전방향에 대해 스크래퍼 롤러의 회전 방향이 반대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above, the different directions mean that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aw-in roller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iddle middle roller,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craper roller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iddle roller.

또한, 롤러와 롤러 사이를 항상 Zero Gap 상태로 유지함으로 덩어리진 나노입자의 상태에 상관없이 고품질의 나노입자 시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keeping the gap between the rollers and the roller always in a zero gap state, high-quality nanoparticle samples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agglomerated nanoparticles.

본 발명의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은 각 롤러에 개별적으로 구동모터를 형성하는 것과 분산 완료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종래의 나노입자 분산 장치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통해 3개의 롤러 회전을 제어하는 구성을 하고 있어 획일적인 분산만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분산 완료를 사용자가 시료 조사등을 통해 수동 또는 수작업으로만 확인할 수 있었다.
Th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iving motor is individually formed on each roller and that the dispersion completion is automatically confirm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However, in the conventional nanoparticle dispersion apparatus, 3 rollers are controlled so that uniform distribution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user can confirm the dispersion completion manually or manually only through a sample survey.

종래의 분산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롤러의 일측에 구동기어를 각각 구성하고, 각 구동기어는 상호 맞물려 지도록 형성되며, 각 구동기어는 서로 다른 기어수를 갖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 구동기어들은 각자의 기어수에 따른 회전률로 회전하게 된다. 각 롤러들은 서로 다른 회전율로 회전하지만 그 회전율은 고정된 상태로 나노입자 교반을 수행하게 된다.
A conventional disper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riving gears are formed on one side of each roller, and the driving gears are form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each driving gear has a different number of gears. In this state, the drive motors are connected and the drive gears are rotated at a rota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ear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Each roller rotates at different rotation rates, but its rotation rate is fixed and the nanoparticle agitation is performed.

또한, 각 롤러 일측에 구성되는 구동기어의 기어수를 조절하여 각 롤러의 회전수를 달라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분산 중에는 불가능하고, 기어수가 다른 특정 롤러를 분산 중지 후 교체를 통해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었다. 즉, 분산중에는 각 롤러의 회전율은 구동기어의 기어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나노분말 분산 중 가변적으로 롤러의 회전율을 조절하기는 불가능하였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number of rotation of each roller by adjusting the number of gears of the driving gear formed on one side of each roller, but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number of revolutions I could. That is, during the dispersion, since the number of gears of the driving gear is fixed at the rotation rate of each roller, it was im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rate of the roller variably during the dispersion of the nano powder.

뿐만 아니라, 분산이 완성되었음에도 사용자가 분산된 시료를 채취하여 수작업으로 확인하기 전까지 분산 작업이 지속됨으로 불필요한 분산 작업이 수행되는등 낭비적 요인과 함께 분산 완료를 시료 채취와 분석등을 통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었다.
In addition, even though the dispersion is complete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ispersion completion through sample collection and analysis as well as the wasteful factors such as unnecessary dispersion work because the dispersion work continues until the user manually collects the dispersed sample. I had an inconvenien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3롤밀나노입자교반수단 내부 사시도이다.
FIG. 2 is an inside perspective view of a three-roll mill nanoparticle stirring means of a roll-milled individual controlled 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롤밀 나노입자 분산수단을 이루는 3롤본체부(100)는 하측에 수평프레임(110)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수직하게 제1수직프레임(120)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hree-roll body 100 constituting the three-roll-milled nano-particle dispersing means constitutes a horizontal frame 110 on the lower side, and a first vertical frame 120 are formed.

또한, 제1수직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제2수직프레임(13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롤러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vertical frame 1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roller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래퍼(150)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scraper 15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이때, 상기 스크래퍼(150)는 드로인롤러(200), 미들롤러(300), 스크래퍼롤러(400)에 의해 교반된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배출하는 것으로서, 스크래퍼롤러(400)에 붙어있는 나노입자 시료를 긁어내어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craper 150 discharges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stirred by the draw-in roller 200, the middle roller 300 and the scraper roller 400, and the nanoparticle sample attached to the scraper roller 400 And scrape off it.

또한, 3롤본체부의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의 전방에 드로인롤러(200)를 형성하고, 드로인 롤러의 일측에 미들 롤러(300)를 형성하고, 미들 롤러의 일측에 스크래퍼 롤러(4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draw roller 200 i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of the three-roll body, a middle roller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So that the roller 400 is formed.

또한, 상기 드로인 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드로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를 제1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미들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미들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미들롤러 제어모터(350)를 제2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a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to rotate the draw-in roller is formed outside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iddle roller,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is formed outside the second vertical frame.

또한, 상기 스크래퍼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스크래퍼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래퍼롤러제어모터(450)를 제1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하게 된다.Further, a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craper roller to rotate the scraper roller, and is formed outside the first vertical frame.

즉, 드로인롤러제어모터(250)와 스크래퍼롤러제어모터(450)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미들롤러제어모터(350)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외측에 형성시키게 된다.
That is, the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are formed outside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is formed outside the second vertical frame .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밀링 처리한 나노 잉크입자를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으로서 'A'사진은 롤밀링 전의 잉크입자를 나타낸 것이며, 'B'사진은 롤밀링 후의 잉크입자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a photograph of a nano ink particle milled b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hotographed with a microscope. The 'A' photograph shows ink particles before roll milling, And shows the ink particles after milling.

사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의 분산성이 현저하게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photograph,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ersibility of the nanoparticles was remarkably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교반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FIG.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ll-mill individual control type nano particle stirring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3롤밀을 통해 분산을 수행하는 3롤밀나노입자 분산수단(1000)과 원격단말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hree-roll milled nanoparticle dispersing means 1000 and a remote terminal 800 that perform dispersion through three roll mills.

상기 원격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노트북 혹은 컴퓨터단말기 혹은 태블릿피씨 등이 될 수 있다.
The remote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user's smartphone, and may be a user's laptop, a computer terminal, or a tablet PC.

한편, 모터알피엠 조작부(500)는 3롤본체부(1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의 RPM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5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ree-roll main body 100 and controls the RPM of the draw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So that the user can set it.

바람직하게는 설정할 수 있는 RPM을 10 ~ 500 범위 내에서 설정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RPM that can be set is set within the range of 10 to 500.

상기 RPM 설정을 위한 모터알피엠 조작부(50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패널 방식이나, 죠그셔틀버튼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motor ALP operation unit 500 for setting the RPM may be configured by a touch panel type display panel method or a jog shuttle button method.

죠그셔틀버튼 방식의 경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3개 롤러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3개의 죠그셔틀버튼을 구비하고 각 죠그셔틀버튼을 조작함으로 각 롤러들의 RPM을 조절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방식의 경우에는 도9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 패널상 각 롤러의 RPM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구성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방식을 통해 롤러의 RPM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스크린상 표시되는 제어화면(도9참조)상에서 사용자는 RPM을 조절하고 싶은 롤러를 선택한 후 화살표를 선택함으로 해당 롤러의 RPM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jog shuttle button method, as shown in FIG. 3, three jog shuttle buttons for controlling the RPM of the three rollers are provided and the RPM of each roller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each jog shuttle button. A control screen for controlling the RPM of each roller on the touch screen panel may be configured and controlled as shown in FI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RPM of the roller by the touch screen metho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On the control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ee FIG. 9), the user can select the roller to which the RPM is to be controlled and then select the arrow to control the RPM of the roller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한편, 본 발명의 모터들을 감싸기 위한 외관을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외관의 내부에 중앙처리수단을 구성하여 모터들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exterior of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motor,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tube so that the motors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상기 중앙처리수단(600)을 통해 상기 모터알피엠 조작부의 개별 RPM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각각의 제어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An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is obtained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0 and an operation signal is provided to each control moto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의 중앙처리수단 블록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al processing means of a roll-mill individual control type nano particle dispersion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dispersion comple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처리수단(600)은,As shown in Fig. 5,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모터알피엠 조작부의 개별 RPM 조작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개별RPM 조작신호획득부(610)와,An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 acquisition unit 610 for acquiring an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상기 개별 RPM 조작 신호를 참조하여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의 개별 RPM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터들로 송출하기 위한 개별RPM 제어신호생성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The individual RPM control signal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individual RPM control signals of the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with reference to the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s, And a signal generator 620.

상기 개별RPM 조작신호획득부(610)는 모터알피엠 조작부의 개별 RPM 조작 신호를 획득하게 되며, 개별RPM 제어신호생성부(620)는 개별 RPM 조작 신호를 참조하여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제어모터(450)의 개별 RPM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모터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The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 acquisition unit 610 acquires an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The individual RPM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20 refers to the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 And the individual RPM control signals of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ar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motors.

예를 들어, 드로인롤러 제어모터에는 5 RPM, 미들롤러 제어모터는 5 RPM,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는 8 RPM으로 각각 개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5 RPM for the draw roller control motor, 5 RPM for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and 8 RPM for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respectively.

또한, 중앙처리수단(600)은 분산 완료 시점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이 소지한 원격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산출된 소비 전력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0 provides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calculated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distribution completion time through the remote terminal owned by the user in real time.

상기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알에프 통신 등을 들 수 있다.The local area communication includes,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and RF communication.

이를 위하여, 중앙처리수단(600)은 검출주기설정부(650), 전류전압감지부To this e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0 includes a detection period setting unit 650,

(660), 소비전력산출부(670), 소비전력정보전송부(6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A power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660, a power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670, and a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680.

상기 검출주기설정부(650)는 전류, 전압의 검출 주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검출주기 설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The detection period designation unit 650 may be configured to set a detection period of the current and the voltage, and the detection period setting may be set flexib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이때, 상기 전류전압감지부(660)는 드로인롤러제어모터, 미들롤러제어모터, 스크래퍼롤러제어모터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설정된 주기로 감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urrent voltage sensing unit 660 senses the current and voltage flowing through the draw roller control motor,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at a predetermined cycle.

또한, 소비전력산출부(670)는 상기 각각의 모터들에서 감지된 전류, 전압을 획득하여 순간적인 소비 전력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calculating unit 670 calculates the instantaneous power consumption by acquiring the current and voltage sensed by the respective motors.

이후, 상기 소비전력정보전송부(680)는 주기적으로 감지된 소비 전력을 획득하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Thereafter,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680 acquires the periodically sensed power consumption, and transmits the power consumption to the remote terminal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완료 확인이 가능한 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교반시스템의 원격단말기 블록도이며, 도 7b는 다른실시예에 따른 원격단말기 블록도이다.FIG. 6A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terminal of a roll-milled individual controlled-type nano-particle stir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a 혹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단말기는 중앙처리수단(600)에서 제공된 소비 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설정된 소비 전력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켜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6A or 6B, the remote terminal refers to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0 and generates a completion event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when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et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

최초 교반시에는 나노입자들이 밀집된 상태이므로 소비 전력이 높겠지만, 교반을 수행하면 수행할수록 나노입자들이 분산되어 소비 전력이 최초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교반 완료 시점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At the initial agitation, the nanoparticles are densely packed,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However, when the agitation is performed, the nanoparticles are disper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initial one.

이를 위하여, 도6a에 도시된 것처럼 원격단말기는 소비전력판단부(810),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 화면표출처리부(830)를 포함하여 구성 할 수 있다.
6A, the remote terminal may include a power consumption determination unit 810, a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820, and a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830.

상기 소비전력판단부(810)는 중앙처리수단에서 제공된 소비 전력 정보를 획득한 후, 원격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교반완료 소비전력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정보를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 (820)로 제공 하게 된다.The power consumption determination unit 8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s identical to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mote terminal after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obtained and outputs the result information to 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820 ).

상기 교반완료 소비전력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교반되는 나노입자의 특성에 따라 달리 설정 가능하다.The stirring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can be set by the user and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itated nanoparticles.

예를 들어, 중앙처리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소비전력이 '20'이고, 설정된 교반완료 소비전력이 '10'이라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불일치로 판단하게 되고, 그 결과정보를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로 제공한다. 교반이 지속됨에 따라 중앙처리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소비전력이 '10'이 되면 설정된 교반완료 소비전력과 일치하므로 일치로 판단하게 되고 그 결과정보를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로 제공한다
For example, if the power consumption obtain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is '20' and the set power consumption after the completion of stirring is '10',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onsistency is inconsistent and the information is sent to 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or 820, . When the power consumption obtain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is '10' as the agitation contin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the set agitation completion power consumption and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or 820

상기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는 소비전력판단부(810)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아 완료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다.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820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consumption determination unit 810 and generates a completion event signal.

즉, 소비전력판단부(810)로부터 불일치 결과정보를 제공받으면 완료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일치 결과정보를 제공받으면 완료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완료이벤트 신호를 화면표출처리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f the inconsistency resul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determination unit 810, the completion event signal is not generated. If the inconsistency result information is provided, the completion event signal is generated and then the complete event signal is provided to the screen display processor will be.

이후, 화면표출처리부(830)는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로부터 완료이벤트 신호를 제공받으면 사용자가 교반완료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교반완료 정보를 원격단말기의 화면에 표출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completion ev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820, the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830 displays the stirring comple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remot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stirring.

상기 완료이벤트신호의 화면 표출은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팝업창 형태, 알람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제공하여 시각 혹은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creen display of the completion event signal may be various forms such as a pop-up window type and an alarm for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ceive the screen, so that the completion event signal can be visually or audibly recogniz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소비전력양을 교반 완료 판단의 기초로 활용하는 실시예이다.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s utiliz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completion of stirring.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교반완료 판단의 기초로 활용하는 요소로 소비전력양 대신 소비전력 변동폭을 이용한 실시예를 구현 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mbodiment using the fluctuation range of power consumption instead of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as an element utilized as a basis of the determination of completion of stirring.

이를 위해, 도6b에 도시된 것처럼 본원 발명의 원격단말기(800)는,To this end, the remote terminal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B,

누적 소비 전력 정보의 평균값 대비 최대 데이터 및 최소 데이터의 변동폭을 계산하기 위한 변동폭계산부(840)와,A variation width calculation section 840 for calculating the variation width of the maximum data and the minimum data with respect to the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변동폭의 증감을 판단하되, 작업 초기의 변동폭 대비 감소한 경우에 설정된 완료 알림의 감소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설정된 완료 알림의 감소폭에 해당할 경우에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작업완료이벤트발생부(8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A task completion event generating unit 850 for generating a completion event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crease in the set completion notification corresponds to the decrease in the set completion notification,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2 ~ 100회의 누적 소비전력의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 대비 최대 데이터, 최소 데이터의 변동폭을 상기 변동폭계산부에서 계산하게 된다.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of 2 to 100 times is obtained, and the variation width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variation data of the maximum data and the minimum data with respect to the average value.

이때, 변동폭의 증감을 판단하여 작업 초기 대비하여 일정치 감소한 경우에 교반완료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도록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켜 작업이 완료됨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luctuation is increased or decreased. When the fluctuation is decreased from the initial value of the work,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rring is completed, and the completion event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completion.

예를 들어, 완료 알림의 감소폭을 작업 초기 대비 30%로 설정하게 되면, 이와 일치할 경우에 완료 알림을 발생시키는 것이다.For example, if you set the decrease of the completion notification to 30% of the initial value of the job, the completion notification is generated if it is matched.

상기 감소폭은 사용자에 의해 10~70% 등으로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The reduction width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such as 10 to 70%.

상기 감소폭은 일반적으로 1 ~5회 정도 교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Generally, if the agit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for about 1 to 5 times, the data on the decrease will be obtained.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3롤본체부
200 : 드로인롤러
300 : 미들롤러
400 : 스크래퍼롤러
500 : 모터알피엠조작부
600 : 중앙처리수단
800 : 원격단말기
100: 3 roll body portion
200: draw-in roller
300: Middle roller
400: Scraper roller
500: Motor ALPE control unit
600: central processing means
800: remote terminal

Claims (4)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에 있어서,
수평프레임(11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프레임(120),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130),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40),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되, 하기의 드로인 롤러(200), 미들 롤러(300), 스크래퍼 롤러(400)에 의해 분산된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스크래퍼(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롤본체부(100)와,
상기 3롤본체부의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의 전방에 형성되는 드로인롤러(200)와,
상기 드로인롤러의 일측에 형성되는 미들 롤러(300)와,
상기 미들롤러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크래퍼 롤러(400)와,
상기 드로인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드로인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로인 롤러 제어모터(250)와,
상기 미들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미들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미들롤러 제어모터(350)와,
상기 스크래퍼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스크래퍼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와,
3롤본체부(1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의 RPM을 설정하기 위한 모터알피엠조작부(500)와,
상기 모터알피엠 조작부의 개별 RPM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각각의 제어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며,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소비 전력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3롤밀 나노입자 분산수단(1000)과;
상기 중앙처리수단(600)에서 제공된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완료 이벤트신호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원격단말기(80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단말기(800)는,
누적 소비 전력 정보의 평균값 대비 최대 데이터 및 최소 데이터의 변동폭을 계산하기 위한 변동폭계산부(840)와,
변동폭의 증감을 판단하되, 작업 초기의 변동폭 대비 감소한 경우에는 설정된 완료 알림의 감소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감소폭에 해당할 경우에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작업완료이벤트발생부(8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
In a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The horizontal frame 110,
A first vertical frame 120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 second vertical frame 1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put unit 140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for inputting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A scraper 150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for discharging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dispersed by the draw-in roller 200, the middle roller 300, and the scraper roller 400 , A three-roll body part (100)
A draw-in roller 200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of the three-roll body,
A middle roller 300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A scraper roller 400 formed at one side of the middle roller,
A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to rotate the draw-in roller,
A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iddle roller for rotating the middle roller,
A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craper roller to rotate the scraper roller,
A motor AF operation unit 500 for setting the RPM of the draw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formed on one side of the three roll main body 100, Wow,
The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s of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are provided to provide operation signals to the individual control motors, and the currents flowing in the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And a central processing means (600) for periodically sensing the voltage to calculat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using local communication.
And a remote terminal 800 for generating a completion event signal us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600 and outputting the completion event signal to the screen,
The remote terminal (800)
A variation width calculation section 840 for calculating the variation width of the maximum data and the minimum data with respect to the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a task completion event generation unit 85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ariation width is de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width at the beginning of the task, and for generating a completion event signal when the reduction width corresponds to the reduction width The three-roll-milled individually controlled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is capable of confirming the dispersion comple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수단(600)은,
전류, 전압의 검출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검출주기설정부(650)와,
드로인롤러제어모터, 미들롤러제어모터, 스크래퍼롤러제어모터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설정된 주기로 감지하기 위한 전류전압감지부(660)와,
상기 모터들에서 감지된 전류, 전압을 획득하여 소비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소비전력산출부(670)와,
상기 주기적으로 감지된 소비 전력을 획득하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소비전력정보전송부(6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600)
A detection period setting unit 650 for setting a detection period of current and voltage,
A current voltage sensing unit 660 for sensing the current and voltage flowing in the draw-in roller control motor,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at a predetermined cycle,
A power consumption calculating unit 670 for obtaining the current and voltage sensed by the motors and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a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680 for acquiring the periodically sensed power consumption and transmitt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삭제delete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에 있어서,
수평프레임(11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프레임(120),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130),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40),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되, 하기의 드로인 롤러(200), 미들 롤러(300), 스크래퍼 롤러(400)에 의해 분산된 전도성 나노입자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스크래퍼(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롤본체부(100)와,
상기 3롤본체부의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의 전방에 형성되는 드로인롤러(200)와,
상기 드로인롤러의 일측에 형성되는 미들 롤러(300)와,
상기 미들롤러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크래퍼 롤러(400)와,
상기 드로인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드로인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로인 롤러 제어모터(250)와,
상기 미들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미들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미들롤러 제어모터(350)와,
상기 스크래퍼롤러에 일측이 연결되어 스크래퍼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와,
3롤본체부(1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의 RPM을 설정하기 위한 모터알피엠조작부(500)와,
상기 모터알피엠 조작부의 개별 RPM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각각의 제어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며, 드로인롤러 제어모터(250), 미들롤러 제어모터(350), 스크래퍼롤러 제어모터(450)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소비 전력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3롤밀 나노입자 분산수단(1000)과;
상기 중앙처리수단(600)에서 제공된 소비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완료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완료 이벤트신호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원격단말기(80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단말기(800)는,
중앙처리수단에서 제공된 소비 전력 정보를 획득한 후, 교반완료 소비전력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정보를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 (820)로 제공 하는 소비전력판단부(810)와,
소비전력판단부(810)로부터 불일치 결과정보를 제공받으면 완료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일치 결과정보를 제공받으면 완료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화면표출처리부(830)로 제공하는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와,
완료이벤트신호생성부(820)로부터 완료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사용자가 교반완료를 인지할수 있도록 원격단말기 화면에 교반완료 정보를 표출시키는 화면표출처리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완료 확인이 가능한 3롤밀 개별 제어형 나노입자 분산 시스템.
In a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The horizontal frame 110,
A first vertical frame 120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 second vertical frame 1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put unit 140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for inputting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A scraper 150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for discharging the conductive nanoparticle sample dispersed by the draw-in roller 200, the middle roller 300, and the scraper roller 400 , A three-roll body part (100)
A draw-in roller 200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of the three-roll body,
A middle roller 300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A scraper roller 400 formed at one side of the middle roller,
A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w-in roller to rotate the draw-in roller,
A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iddle roller for rotating the middle roller,
A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craper roller to rotate the scraper roller,
A motor AF operation unit 500 for setting the RPM of the draw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formed on one side of the three roll main body 100, Wow,
The individual RPM operation signals of the motor ALP operation unit are provided to provide operation signals to the individual control motors, and the currents flowing in the draw-in roller control motor 250, the middle roller control motor 350 and the scraper roller control motor 450 And a central processing means (600) for periodically sensing the voltage to calculat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remote terminal using local communication.
And a remote terminal 800 for generating a completion event signal using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600 and outputting the completion event signal to the screen,
The remote terminal (800)
A power consumption determining unit 81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sistent with the stirring completed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sult information to 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ing unit 820,
A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820 for generating a completion event signal and providing the completion event signal to the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830 when the inconsistency resul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determination unit 810, )Wow,
And a screen display processor (830) for displaying the stirring completion information on the remote terminal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completion of the stirring when the completion event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mpletion event signal generator (820) 3 roll-milled individually controlled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that can be confirmed.
KR1020150120698A 2015-08-27 2015-08-27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KR101691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98A KR101691785B1 (en) 2015-08-27 2015-08-27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98A KR101691785B1 (en) 2015-08-27 2015-08-27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85B1 true KR101691785B1 (en) 2017-01-02

Family

ID=5781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698A KR101691785B1 (en) 2015-08-27 2015-08-27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8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036U (en) * 1993-05-26 1994-12-06 株式会社井上製作所 Roll mill
JPH11285650A (en) * 1998-04-03 1999-10-19 Nippon Spindle Mfg Co Ltd Crusher
JP2000218187A (en) * 1999-01-28 2000-08-08 Nkk Corp Crushing device and crushing method
KR20120116449A (en) 2009-12-25 2012-10-22 아이엔지 쇼지 가부시끼가이샤 Vertical roller mill
WO2014195309A1 (en) * 2013-06-03 2014-12-11 Bühler AG Roller pair, measuring device, product-processing installation,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036U (en) * 1993-05-26 1994-12-06 株式会社井上製作所 Roll mill
JPH11285650A (en) * 1998-04-03 1999-10-19 Nippon Spindle Mfg Co Ltd Crusher
JP2000218187A (en) * 1999-01-28 2000-08-08 Nkk Corp Crushing device and crushing method
KR20120116449A (en) 2009-12-25 2012-10-22 아이엔지 쇼지 가부시끼가이샤 Vertical roller mill
WO2014195309A1 (en) * 2013-06-03 2014-12-11 Bühler AG Roller pair, measuring device, product-processing installation,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348B1 (en) The nanoparticle dispersion apparatus for using 3-role individual control
Gupta et al. Analysis of ball mill grinding operation using mill power specific kinetic parameters
Nosenko et al. Laser method of heating monolayer dusty plasmas
CN102163137B (en) Method for changing resolution an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Mannheim Empirical and scale-up modeling in stirred ball mills
DE102008038833B4 (en) labostirrer
KR101691785B1 (en) The 3-role individual control type nanoparticle dispersion system for having dispersion completion confirmation function
CN206881905U (en) A kind of flour mill automatic control system
CN106460161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TO sputtering targ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O nesa coating and ITO nesa coating
Breitung-Faes et al. Mill, material, and process parameters–A mechanistic model for the set-up of wet-stirred media milling processes
CN103131385B (en) Cerium-based mixed rare earth polishing powd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067637A (en) Display system including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Li et al. Fabrication of fine-grained spherical tungsten powder by radio frequency (RF)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heroidization combined with jet milling
CN203635246U (en) Flour mill for test
Rossi et al. Multiscale laminar flows with turbulentlike properties
CN103366659A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JP6915387B2 (en)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touch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touch operation control method
CN111764010A (en) Single-channel ring spinning frame time-sequence control spinning method and control system
Mucsi Grindability of quartz in stirred media mill
Uçurum et al. Wet grindability of calcite to ultra-fine sizes in conventional ball mill
Nöske et al. Multicomponent Comminution within a Stirred Media Mill and Its Application for Processing a Lithium-Ion Battery Slurry
WO2007124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mill
CN203525792U (en) Dispersion sand mill for water-based paint material particles
Mishra et al. Elevating energy storage: High-entropy materials take center stage
CN202003231U (en) Display screen capable of electrically regulating viewing an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