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64B1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064B1
KR101691064B1 KR1020100006473A KR20100006473A KR101691064B1 KR 101691064 B1 KR101691064 B1 KR 101691064B1 KR 1020100006473 A KR1020100006473 A KR 1020100006473A KR 20100006473 A KR20100006473 A KR 20100006473A KR 101691064 B1 KR101691064 B1 KR 10169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terminal
supply unit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7034A (en
Inventor
김현우
김태윤
조용상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064B1/en
Publication of KR2011008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말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단말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통신부; 및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 1상태인 경우에, 무선 통신부의 출력이 증대된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wireless signal from a power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operated in an increased turbo mod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in a turbo mode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Description

단말 및 그 제어방법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단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단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in a turbo mode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전력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Generall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multiple access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multiple users by sharing available system resources (bandwidth, transmission power, etc.).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multiple access system include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uplink transmit power)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지국에서의 수신 신호의 크기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전송전력이 너무 약하면 기지국이 단말의 전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반대로 전송전력이 너무 강하면 단말의 전송 신호는 타 단말의 전송 신호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고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증가시킨다.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여 수신 신호의 크기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률 등을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control an uplink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is is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signal at the base station to an appropriate level. If the transmission power is too weak in the uplink transmission, the base station can not receive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erminal. Conversely, if the transmission power is too stro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erminal can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other terminal and increas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maintaining the size of the received signal at an appropriate level,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the terminal and to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by adaptively determining the data rate or the like.

따라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단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in a turbo mode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복수의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 1상태인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출력이 증대된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wireless signal from a power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of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operates in an increased turbo mod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바디(body);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1전원 공급부;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제 2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 1,2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omprising: a body; A first power suppl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supplied with power from another device; A second power supply for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another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power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방법은, 단말(terminal)이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 1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상태인 경우에, 상기 단말의 출력이 증대된 터보모드(turbo mode)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 1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is in a first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a first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of the terminal operates in an enhanced turbo mod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first state.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in the turbo mode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3GPP LTE의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통신 채널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 단말의 작동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 단말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4 단말의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도 7 동작모드에 따른 작동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 단말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플러그와 케이블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in 3GPP LT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munication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layer of 3GPP LTE.
4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erminal of Fig.
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4;
FIG. 8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n op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FIG. 7;
FIG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of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USB plug and a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Further,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 Orthogonal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And the like.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6.11(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CDMA may be implemented in radio technology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he TDMA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OFDMA may be implemented in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 (Wi-Fi), IEEE 806.11 (WiMAX), IEEE 802.20, and Evolved UTRA (E-UTRA). UTRA i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are part of E-UMTS (Evolved UMTS) using E-UTRA, employing OFDMA in the downlink and SC-FDMA in the uplink. LTE-A (Advanced) is the evolution of 3GPP LTE.

이하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For clarity of explanation, 3GPP LTE / LTE-A is mainly described, but it is clear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1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11)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BS) 11. Each base station 11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specific geographical area (generally called a cell) 15a, 15b, 15c. The cell may again be divided into multiple regions (referred to as sectors). One base station may include more than one cell.

단말(Mobile Station, MS; 10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A mobile station (MS) 10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user equipment (UE),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 A wireless modem, a handheld device,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0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 다른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1 generally refers to a fixed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00 and include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 access network ), And the like.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은 기지국(11)에서 단말(10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은 단말(100)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Hereinafter, downlink (DL)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1 to the terminal 100, and uplink (UL)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base station 11.

하향링크에서 전송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전송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2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in 3GPP LTE.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A radio frame is composed of 10 subframes, and one subframe is composed of two slots. The time taken for one subframe to be transmitted is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For example, the length of one subframe may be 1 ms and the length of one slot may be 0.5 ms.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RB(resource block)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 또는 심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One slot includes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in a time domain and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RBs) in a frequency domain. The OFDM symbol is used to represent one symbol period because 3GPP LTE uses OFDMA in the downlink and may be referred to as an SC-FDMA symbol or a symbol period according to the multiple access scheme. The RB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subcarriers in one slot in a resource allocation unit.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된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shown in FIG. 2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ubframes included in a radio frame, the number of slots included in a subframe,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a slot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3은, 3GPP LTE의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통신 채널들의 예를 도시한다. 3GPP LTE에서 이용되는 상향링크 채널은,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를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 전송을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데이터(data) 전송을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3 shows an example of communication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layer of 3GPP LTE. The uplink channel used in 3GPP LTE includes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for random access,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for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and the like.

상기 PUSCH는, 데이터 전송 뿐만 아니라 LTE 규격이 정의하는 PUSCH 전송 및 구성 방법에 따라서 제어 정보와 데이터가 다중화된 정보나, 제어 정보로만 구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USCH transmission and configuration method defined by the LTE standard as well as the data transmission, the PUSCH can transmit information in which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are multiplexed or information composed only of control information.

랜덤 억세스 정보(random access information)은, 상기 기지국(11)과 상기 단말(10) 사이에서 랜덤 억세스를 위한 정보로서 중요성을 가진다.The random access information has importance as information for random access between the base station 11 and the terminal 10. [

그리고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커버리지 밸런스(coverage balance) 및 하향링크에 대한 피드백(feedback) 등의 중요성을 가진다.And, the control information has importance such as the coverage balance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nd the feedback of the downlink.

상기 상향링크 채널의 각각에 대한 상세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etails of each of the uplink channel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140),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terface unit 150, a memory 140, a controller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70.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100)과 무선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과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located.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CDMA, WCDMA 및 LTE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by at least one of CDMA, WCDMA, and LTE communication methods.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무선통신 규약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은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rovide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each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implemented as one chip, .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상기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 공급부(170)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170)가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50)의 역할을 함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interface unit 15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5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50. I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power supply unit 170 described below. That is, it means that the power supply unit 170 serves as the interface unit 150 connected to another device (200 of FIG. 11) and can receive power simultaneously.

상기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The memory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memory 14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상기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데이터 통신,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전력 제어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an uplink channel, and the like.

상기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로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일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탐 컴퓨터, 이동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로 전원이 공급되는 방법은 USB(Universal Serial Bus), DC-JACK 등 다양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 1전원 공급부(120)와 제 2전원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and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apparatus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another device (200 in Fig. 11). The other device (200 in FIG. 11) may be a notebook computer, a desk-tam computer,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a USB (Universal Serial Bus), a DC-JACK, or the like.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include a first power supply unit 12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130.

제 1,2전원 공급부(120, 130)는 제어부(160)의 제어동작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부(110)를 포함하는 단말(100)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 1,2전원 공급부(120, 130) 중에서 제 1전원 공급부(120)는 전원을 공급하나, 제 2전원 공급부(130)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제 2전원 공급부(130)는,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전원 공급부(130)가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어부(160)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제 2전원 공급부(130)를 통해서는 전원이 단말(10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120 and 130 may selectively supply power to respective portions of the terminal 100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by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or a user's operatio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120 and 130 supply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30 may not supply power. At this tim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30 which does not supply power may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device (200 of FIG. 11) or may not be connected. For example, even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device (200 of FIG. 11),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30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terminal 100.

도 5는 도 4 단말의 작동을 도시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에서 요구되는 전송전력(Tx Power)와 요구전력(mW)간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As show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power (Tx Power) requir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required power (mW).

단말(100)은 다양한 동작 환경에 놓을 수 있다. 즉, 단말(100)은 전파 환경이 양호한 강전계 환경하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파 환경이 불향한 약전계 환경하에서도 작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동작 환경 하에서, 단말(100)의 무선 통신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일정한 전송전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LTE 표준에서는 가장 좋지 않는 환경하에서의 전송전력이 23dBm 이상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단말(100)이 23 dBm 이상의 요구전송전력(x1)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부(170)을 통하여 약 3600 mW 이상의 필요전원(y1)을 공급받아야 한다.The terminal 100 may be placed in various operating environments. That is,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under a strong electric field environment having a good propagation environment, and in some cases, operate under a weak electric field environment wher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s unfavorable. Under such various operating environments, a constant transmission power is required in order to allow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100 to be smoothly maintained. For example, the LTE standard requires that the transmit power be at least 23 dBm under worst-case conditions. In order to output the required transmission power x1 of 23 dBm or more, the terminal 100 must receive the necessary power y1 of about 3600 mW or mor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70. [

USB 표준에 따르면, 1개의 USB는 2500mW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USB로는 LTE 표준에서 요구하는 전송전력을 출력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는 2개 이상의 USB를 통하여 전원을 공받아야 할 수 있다. 다만, 전파 환경이 좋은 상황 하에서는, 필요전원(y1) 이하의 전원을 단말(100)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요구전송전력(x1)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USB로부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음으로서 최적화된 전원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one USB can supply 2500mW of power. Therefore, one USB may not be able to output the transmission power required by the LTE standard. Therefor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power through two or more USBs. However, under circumstances wher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s good, the required transmission power (x1) can also be output even when the power supply below the power supply y1 is supplied to the terminal 100.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ptimized power state by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USB.

도 6은 도 4 단말의 회로도이다.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erminal of Fig.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다른 디비아스(20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As show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supplied with power from another divisor 200.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100)에 마련된 제 1전원 공급부(P1)는 다른 디바이스(200)에 마련된 제 1USB 포트(U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전원 공급부(P1)는 단말(100)에 마련된 USB 플러그(plug), USB 포트(port), 전원 소켓(socket) 등일 수 있다.6A,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can receive power from the first USB port U1 provided in the other device 200. As shown in FI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may be a USB plug, a USB port, a power socket, or the like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제 1전원 공급부(P1)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100) 측의 회로에 마련된 트랜지스터로 입력되는 보조 전력이 없는 상황에서 모뎀칩(MC)에 High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모뎀칩(MC)에 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지시등(L) 중에서 노멀모드(mormal mode)임을 나타내는 제 1지시등(L1)이 점등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a high signal can be input to the modem chip MC in the absence of the auxiliary power input to the transistor provided in the circuit on the terminal 100 side. When a high signal is inputted to the modem chip MC, the first indicator light L1 indicating the normal mode in the indicator light L may be turned on.

노멀모드는 단말(100)의 무선 통신부(110) 출력이 통상적인 상태임을 의미한다. 전파 환경이 좋은 경우에는 단말(100)이 1개의 US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도 LTE 표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전송전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100)이 작동하는 경우가 노멀모드이다.The normal mode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terminal 100 is in a normal state. In the case wher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s good, the terminal 100 can generate transmission power that can satisfy the LTE standard even if power is supplied from one USB. In this state, the terminal 100 operates in the normal mode.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100)에 마련된 제 1전원 공급부(P1) 가 제 1USB 포트(U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제 2전원 공급부(P2)가 제 2USB 포트(U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USB port U1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USB port U1, And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port U2.

단말(100)에 제 1,2전원 공급부(P1, P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모뎀칩(MC)에는 Low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터보모드(turbo mode)임을 나타내는 제 2지시등(L2)이 점등될 수 있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a low signal may be input to the modem chip MC. In this case, a signal indicating a turbo mode 2 indicator light L2 may be turned on.

터보모드는 단말(100)의 무선 통신부(110) 출력이 노멀모드에 비하여 강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전파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100)이 1개의 US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는 LTE 표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전송전력을 발생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US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분한 전송전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100)이 작동하는 경우가 터보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USB로부터 약 3600mW이상의 전원을 공급받아 23dBm 이상의 전송전력을 발생하는 경우가 터보모드일 수 있다.The turbo mode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terminal 100 is stronger than the normal mode. If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s poor, the terminal 100 may not be able to generate transmission power that can meet the LTE standard by being powered from one USB. Therefor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wo USBs to generate sufficient transmission power, and the case where the terminal 100 operates in this state is the turbo mod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a case where power of at least about 3600 mW is supplied from two USBs and transmission power of 23 dBm or more is generated may be a turbo mode.

도 7은 도 4 단말의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4;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power (S10).

전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200)의 제 1USB포트(U1) 또는 제 2USB 포트(U2)로부터 공급받거나, 제 1,2USB포트(U1, U2)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ower source may be supplied from the first USB port U1 or the second USB port U2 of the other device 200 or may be su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USB ports U1 and U2 as described above. A specific method of receiving power from another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orresponding part.

전원이 공급되면,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When power is supplied, step S20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connected.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라면, 제 1전원 공급부(P1)를 통하여서 항상 단말(20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If power is suppli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제 1전원 공급부(P1)로 공급되는 전원의 한도는, 제 1전원 공급부(P1)에 대응된 다른 디바이스(200)의 제 1USB포트(U1)의 용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USB 표준에 따르면, 1개의 USB를 통하여서는 5V, 500mA로 2500mW의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The limit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is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first USB port U1 of the other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it is possible to supply 2500mW at 5V, 500mA through one USB.

제 1전원 공급부(P1)는 다른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단말(100)과 다른 디바이스(2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 1전원 공급부(P1)가 USB 포트 또는 플러그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another device 200 while receiving power from another device 200. [ This may be possible because the first power supply P1 is composed of a USB port or a plug.

제 2전원 공급부(P2)는, 제어부(160)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500mW 이상의 파워가 필요한 경우에, 제어부(160)는 제 2전원 공급부(P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2전원 공급부(P1)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의 효율적인 분배 및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 2전원 공급부(P2)는 데이터의 송수신 없이 전원만을 공급받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or the user. For example, when power of 2500 mW or more is required, the controller 16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P2, and if not,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P1.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and use powe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can be used as a path through which power is supplied only withou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면, 노멀모드로 작동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If the second power supply P2 is not connected, step S30 of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may proceed.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제어부(160)는 단말(100)이 제공 가능한 전원 이상을 요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전계 환경하에서 작동해야 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다른 디바이스(2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추가적인 전원이 필요한 상황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단말(100)의 외부에 마련된 점등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원의 연결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추가적인 전원이 필요하지만 전원의 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라면,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신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I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not connected,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terminal 100 not to request a power supply error that the terminal 100 can provide. For example, if it is necessary to operate under a weak electric field environment, the control unit 16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other device 200, and the other device 200 may require a power supply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an inform the user of the situation that additional power connection is required by using a light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stop the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f additional power is required but the power supply is not supplied.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된 경우라면, 동작모드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If the second power supply P2 is connected, operation S40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된 상태라면, 제어부(160)는 단말(100)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10)가 요구하는 전원을 공급하여, 좋지 않는 전파환경 하에서도 단말(100)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다른 다비이스(200)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100)이 노멀모드 또는 터보모드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동작모드에 따라 작동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160 can supply the necessary power to the terminal 10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supplies power requir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allow the terminal 100 to operate smoothly even in a poor propag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another device 200 and may cause the terminal 100 to operate in the normal mode or the turbo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도 7 동작모드에 따른 작동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4 단말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flow chart specifically showing an op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FIG. 7, and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screens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도 7의 S40)은, 제 2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인식하는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tep of oper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40 in Fig. 7) may include the step S41 of recognizing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제 2전원 공급부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면, 동작모드 선택창(SP)을 표시하는 단계(S42)가 진행될 수 있다.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step S42 of displaying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may proceed.

동작모드 선택창(SP)은 다른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된 동작모드 선택창(SP)은 현재의 전원상태창(PP) 및 모드선택창(MO)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not shown) of another device 200. [ The displayed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may include a current power status window PP and a mode selection window MO.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 선택창(SP)은 전원상태창(PP)에서 제 1포트상태창(PP1)과 제 2포트상태창(PP2)를 표시할 수 있으며, 모드선택창(MO)에서 노멀모드창(MN)과 터보모드창(M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는, 제 1전원 공급부(P1)만이 연결된 경우를 전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 1포트상태창(PP1)이 제 2포트상태창(PP2)와 다르게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전원 공급부(P1)만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제어부(160)가 제 2전원 공급부(P2)를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노멀모드창(MN)과 터보모드창(MT)가 모두 비활성화 되어있다.9 (a),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can display the first port status window PP1 and the second port status window PP2 in the power status window PP, The normal mode window (MN) and the turbo mode window (MT) can be displayed in the mode selection window (MO). 9 (a), it is assumed that only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is connected. The user can recognize this state since the first port status window PP1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port status window PP2. In addition, since only the first power supply P1 is physically connected, the controller 160 can not connect the second power supply P2. Therefore, both the normal mode window MN and the turbo mode window MT are inactivated.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 선택창(SP)의 전원상태창(PP)에서 제 1,2포트상태창(PP1, PP2)가 모두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2전원 공급부(P1, P2)가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1,2전원공급부(P1, P2)가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도 9의 (a)와 달리, 노멀모드창(MN)과 터보모드창(MT)가 모두 활성화되어 있다. 다만, 현재 단말(100)이 노멀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노멀모드창(MN)만이 선택되어 표시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port status windows PP1 and PP2 are all selected in the power status window PP of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as shown in FIG. 9 (b). Accordingly, the user can know that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are all connected. 9A, the normal mode window MN and the turbo mode window MT are activated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terminal 100 is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only the normal mode window MN is selected and displayed.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의 (b)와는 다르게, 터보모드창(MT)도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100)이 현재 터보모드로 작동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C, the turbo mode window MT can also be selected and displayed differently from Fig. 9B.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terminal 100 is operating in the current turbo mode.

도 9에서는, 전원상태창(PP)에서 제 1포트상태창(PP1) 또는 제 2포트상태창(PP2) 또는 제 1,2포트상태창(PP1, PP2)가 모두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 실재로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에 대응되도록 빗금친 영역이 제 1포트상태창(PP1)의 일부까지 또는 제 2포트상태창(PP2)의 일부까지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라면, 사용자는, 현재 실재로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양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FIG. 9 shows that the first port status window PP1, the second port status window PP2, or the first and second port status windows PP1 and PP2 are selected in the power status window PP.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hatched area ma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first port status window PP1 or a part of the second port status window PP2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atus of the currently supplied power source. In such a cas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amount of power currently being supplied.

동작모드 선택창이 표시되면, 터보모드 또는 노멀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43)가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is displayed, a step S43 for selecting the turbo mode or the normal mode may be performed.

터보모드 또는 노멀모드는, 사용자가 모드선택창(MO)에 포함된 노멀모드창(MN) 또는 터보모드창(MT)을 선택함으로서 상호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보모드창(MT)을 선택함으로써, 현재의 노멀모드가 터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도 9의 (c)와 같은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c)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보모드창(MT)을 다시 한번 선택함으로써, 현재의 터보모드가 노멀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면, 다른 디바이스(200)의 제어부(미도시)는 제어신호를 단말(100)의 제어부(16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단말(100)의 제어부(160)는, 그에 대응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노멀모드 또는 터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turbo mode or the normal mode can be switched by the user selecting the normal mode window MN or the turbo mode window MT included in the mode selection window MO.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turbo mode window MT in the state shown in FIG. 9B, the current normal mode can be switched to the turbo mode. At the same time, it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9 (c). 9 (c), the current turbo mode may be switched to the normal mode by the user selecting the turbo mode window MT again. When the user selects the mode,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ther device 200 can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of th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60 of the terminal 10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ther device 200 can switch the normal mode or the turbo mode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터보모드 또는 노멀모드는, 단말(100)의 제어부(160)에 의하여서도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2전원공급부(P1, P2)가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우라면 무선 통신부(110)에서 요구하는 전력량을 고려하여, 제어부(160)는 최적화된 전력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The turbo mode or the normal mode can also b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60 of the terminal 100. [ For example, i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are physically connected, the controller 160 selects a mode so that the optimized power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 / RTI >

노멀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면, 노멀모드로 작동하는 단계(S44)가 진행될 수 있다.If the normal mode is selected, step S44 of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may be performed.

노멀모드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전송전력 이상을 요구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5)가 진행될 수 있다.In the course of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step S45 may be performed in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t transmission power is requested.

설정된 전송전력은, 제 1전원공급부(P1) 1개만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전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송전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전송전력은, 1개의 USB로 공급될 수 있는 5V, 500mA의 2500mW로 출력할 수 있는 18dBm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10)의 전송전력을 모니터링하여 18dBm 이산의 전송전력을 요구하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t transmission power means a transmission power that can be produced by a power supply which can be supplied only by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For example, the set transmit power may be 18dBm, which can be output at 5V, 500mA, 2500mW, which can be supplied by one USB. The controller 160 may monitor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to request 18 dBm of transmission power.

설정된 전송전력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에, 제어부(160)는 동작모드 선택창을 표시하는 단계(S42)로 진입하여 사용자에게 제 2전원공급부(P2) 연결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제 2전원공급부(P2)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동작모드 선택창(SP)을 표시함 없이 제어부(160)는 터보모드로 강제 전환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가 단말(100)을 터보모드로 강제 전환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약전계 상황하에서도 단말(1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enter a step S42 of displaying an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to request the user to connec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already physically connected, the control unit 160 forcibly switches to the turbo mode without displaying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to the user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t is possible. Since the controller 160 can forcibly switch the terminal 100 to the turbo mode, the terminal 100 can be smoothly operated even under a weak electric field.

터보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면, 단말(100)은 터보모드로 작동하는 단계(S46)가 진행될 수 있다.If the turbo mode is selected, the terminal 100 may proceed to operate in the turbo mode (S46).

터보모드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제 2전원 공급부(P2)의 연결이 해제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7)를 진행할 수 있다.In the course of operating in the turbo mode, the control unit 160 may proceed to step S47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released.

터보모드는 제 1,2전원 공급부(P1, P2)가 모두 연결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 2전원 공급부(P2)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단말(100)은 터보모드로 작동할 수 없다.The turbo mode assumes that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are all connected. Accordingly, if a situation occurs such that the user physically disconnects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the terminal 100 can not operate in the turbo mode.

제 2전원 공급부(P2)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된다면, 터보모드에서 노멀모드로 강제 전하여 노멀모드로 작동하는 단계(S44)가 진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P2 is disconnected, step S44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turbo mode is forcibly transferred to the normal mode and operated in the normal mode.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 선택창(SP)은 제 1포트상태창(PP1)이 표시되고, 노멀모드창(MN)과 터보모드창(MT)는 비활성화가 되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전원 공급부(P1)만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될 수 있다.10A, the first port status window PP1 is displayed i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window SP, and the normal mode window MN and the turbo mode window MT are inactivated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is connected. In this stat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can be connected.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전원 공급부(P2)가 연결되면, 제 1,2포트상태창(PP1, PP2)가 모두 표시되는 동시에 모드선택창(MO)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터보모드로 전환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기 위한, 모드선택팝업창(AP)이 표시될 수 있다.10B,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connected, both the first and second port status windows PP1 and PP2 are displayed and the mode selection window MO is activated have. In addition, a mode selection pop-up window (AP) for selecting the user to switch to the turbo mode may be displayed.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드선택팝업창(AP)에서 터보모드 전환을 선택하면, 단말(100)이 터보모드로 전환되는 동시에 터보모드창(MT)이 선택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10C, when the user selects the turbo mode switching from the mode selection popup window AP, the terminal 100 is switched to the turbo mode and simultaneously the turbo mode window MT is selected .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드선택팝업창(AP)에서 터보모드 전환을 선택하지 않으면, 단말(100)이 노멀모드로 전환되는 동시에 노멀모드창(MN)이 선택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10 (d),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turbo mode switching from the mode selection popup window AP, the terminal 100 is switched to the normal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normal mode window MN is selected as being selected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200)와 단말(100)의 연결은, 단말(100)의 바디(101)에 마련된 제 1전원 공급부(P1)인 제 1USB 플러그와, 바디(101)에 마련된 제 2전원 공급부(P2)인 전원 소켓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device 200 and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the first USB plug 100, which is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provided in the body 101 of the terminal 100, And a power source socket, which is a second power supply unit P2 provided in the body 101. [

제 1전원 공급부(P1)인 제 1USB 플러그는, 다른 디바이스(200)의 제 1USB 포트(U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전원 공급부(P1)인 제 1USB 플러그가 제 1USB 포트(U1)에 연결됨으로서 전원이 다른 디바이스(200)에서 단말(100)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USB plug, which is the first power supply 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SB port U1 of the other device 200. [ The first USB plug serving as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is connected to the first USB port U1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other device 200 to the terminal 100. [

제 2전원 공급부(P2)인 전원 소켓에는, 다른 디바이스(200)의 제 2USB 포트(U2)에 연결된 전원 잭(133)이 연결될 수 있다. 제 2USB 포트(U2)에는 케이블(CB)의 타단에 연결된 제 2USB 플러그(103)가 연결될 수 있다.A power jack 133 connected to the second USB port U2 of the other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ocket that is the second power supply P2. A second USB plug 10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USB port U2.

사용자는, 제 1전원 공급부(P1)인 제 1USB 플러그를 제 1USB 포트(U1)에 연결함으로써,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전원 공급부(P1)로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100)은 노멀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2전원 공급부(P2)인 전원 소켓에 제 2USB포트(U2)에 연결된 전원 잭(133)을 연결할 수 있다. 제 2전원 공급부(P2)로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100)은 터보모드로도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디바이스(200)와 단말(1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제 1전원 공급부(P1)를 통하여 이루어지 수 있다.The user can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100 by connecting the first USB plug, which is the first power supply P1, to the first USB port U1.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in the normal mode. Also, the user can connect the power jack 133 connected to the second USB port U2 to the power socket which is the second power supply P2.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th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the turbo mode. Meanwhil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other device 200 and the terminal 100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200)와 단말(100)은 Y자형 분지를 가지는 제 1,2전원 공급부(P1, P2)로 연결될 수 있다. Y자형 분지를 가지는 제 1,2전원 공급부(P1, P2)는 각각 제 1,2USB 포트(U1, U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USB 포트(U1)에 연결된 제 1전원 공급부(P1)로 전원의 공급과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으며, 제 2USB 포트(U2)에 연결된 제 2전원 공급부(P2)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Y자형 분지를 가지는 제 1,2케이블(CB1, CB2)는 전원으 공급라인은 공통으로 한다. 그러나 데이터는 제 1전원 공급부(P1)와 단말(100) 사이에서만 송수신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1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디(101)에는 USB 포트가 마련되어, USB 플러그(103)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nother device 200 and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having Y-shaped branches.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having Y-shaped branche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USB ports U1 and U2, respectively. Power can be supplied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connected to the first USB port U1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connected to the second USB port U2. The first and second cables CB1 and CB2 having a Y-shaped branch are common to power supply lines. However, the data may be connected to be transmitted / received only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and the terminal 100. 12, a USB port is provided in the body 101, and a USB plug 103 can be connected.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200)와 단말(100)은, 단말(100)의 바디(101)에 모드전환 스위치(SW)가 마련될 수 있다. 모드전환 스위치(SW)가 바디(101)에 마련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노멀모드와 터보모드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The mode switch SW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01 of the terminal 100 in the device 200 and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e changeover switch SW is provided in the body 101, 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the normal mode and the turbo mod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200)와 단말(100)은, 제 2전원 공급부(P2)만이 아니라 제 1전원 공급부(P1)도 바디(101)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USB 포트(U1)에 연결된 제 1전원 공급부(P1)인 제 1USB플러그에 연결된 제 1케이블(CB1)의 타단에 연결된 제 2USB 플러그(104)가, 바디(101)에 마련된 USB 포트에 결합되어 전원 공급과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other device 200 and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not only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but als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is connected to the body 101 separately from the body 101 . That is, the second USB plug 10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CB1 connected to the first USB plug, which is the first power supply part P1 connected to the first USB port U1,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provided in the body 101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and transmit / receive data.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플러그와 케이블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USB plug and a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플러그(103)에는 케이블(CB)의 일 끝단에 마련된 제 1전원 잭(134)이 결합되는 전원 소켓(135)이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USB plug 103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ocket 135 to which a first power jack 134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CB is coupled.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제 2전원 공급부(P2)에 연결된 케이블(CB)의 타 끝단은 케이블 릴(105, reel)에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reel 105, reel.

케이블 릴(105)에는 테엽 형상의 탄성 스프링(107)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전원 공급부(P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블(CB)이 케이블 릴(105)에 감겨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The cable reel 105 may be coupled with a spring-like resilient spring 107. Accordingly,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not used, the cable CB can be wound on the cable reel 105 and housed therein.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는 제 1전원 공급부(P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제 2전원 공급부(P2)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unit P2 that can mov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제 1, 2전원 공급부(P1, P2)인 제 1,2USB 플러그 중에서,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 1전원 공급부(P1)는 바디(101)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발생 등의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P1 in which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may be fixed to the body 101 among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P1 and P2. Therefore,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stably without problems such as noise generation.

제 2전원 공급부(P2)인 제 2USB플러그는 제 1전원 공급부(P2)의 측면에서 제 1방향(D1)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2전원 공급부(P2)에는 탄성체(ES)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ES)는 제 2전원 공급부(P2)인 제 2USB플러그의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특정한 위치에 제 2전원 공급부(P2)가 위치하도록 하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외력에 의하여 제 1방향(D1) 방향인 좌우측으로 제 2전원 공급부(P2)가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측정한 위치로 제 2전원 공급부(P2)가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에는 전도체부(CP)가 제 1방향(D1)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전원 공급부(P2)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 2USB포트(U2)에서 단말(100)로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A second USB plug, which is the second power supply P2,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D1 on the side of the first power supply P2.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ES. The elastic body E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part P2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second USB plug as the second power supply part P2. Also, if necessary,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may be mov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an external force. If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may be moved to the measured position It can be made to return. Th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nductor CP in a first direction D1. Therefore, power can be smoothly supplied from the second USB port U2 to the terminal 100 even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P2 is moved.

제 2전원 공급부(P2)가 제 1방향(D1)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됨으로 인하여, 제 1,2USB 포트(U1, U2) 사이의 거리가 일전하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100)을 다른 디바이스(2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B ports U1 and U2 is not uniform due to the provision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1, ). ≪ / RTI >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단말(100)은 제 1전원 공급부(P1)인 제 1USB 플러그에 대하여 제 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한 제 2전원 공급부(P2)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원 공급부(P2)에 탄성체(ES)가 마련되고, 단말(100)에 전도체부(CP)가 마련된다는 점은 도 17에 도시된 단말(100)의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도 18에 따른 단말(100)은, 제 2전원 공급부(P2)가 제 2방향(D2)인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는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단말(100)의 경우와 상이하다.As shown, anoth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P2 that is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a first USB plug as a first power supply unit P1 .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body ES and th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the conductor unit CP is similar to the terminal 100 shown in Fig. 18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terminal 100 shown in FIG. 17 in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D2 Do.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와 단말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other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바디(101)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축(SF)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전원 공급부(P2)인 제 2USB 플러그가 마련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USB plug that is a second power supply part P2 that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SF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101 .

제 2전원 공급부(P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축(SF)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디(101)의 내부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 2전원 공급부(P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축(SF)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2USB포트(U2)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not use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axis SF and housed in the body 101. [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is use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P2 may be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axis SF and connected to the second USB port U2.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6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60.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디바이스 101 : 바디
103 : 전원 소켓 105 : 릴
107 : 탄성체 200 : 단말
100: Device 101: Body
103: power socket 105: reel
107: elastic body 200: terminal

Claims (25)

복수의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 1상태인 경우에, 다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상태 여부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의 작동모드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의 출력이 증대된 터보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terminal).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wireless signal from a power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And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from the other device, transmits the first state or the first state to another devic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perates in an increased turbo mode according to a sign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 2상태인 경우에, 상기 터보모드에 비하여 상기 출력이 감소된 노멀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is in a reduced normal mod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i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2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터보모드를 상기 노멀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switches the turbo mode to the normal mode when the first stat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 공급부는,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USB 플러그(pl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include:
And a plurality of USB plugs connected to other devic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USB 플러그는,
상기 단말로의 전원공급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1USB 플러그와, 상기 단말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제 2USB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USB plugs
Wherein the terminal is a first USB plug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other device, and a second USB plug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상기 단말의 데이터 전송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comprises: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terminal.
바디(body);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1전원 공급부;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제 2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 1,2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Body;
A first power suppl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supplied with power from another device;
A second power supply for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another device;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power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원 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마련된 전원 소켓(soc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ncludes:
Wherein the power supply socket is a power socket provided on the bod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소켓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마련된 USB 포트(port)에 연결된 전원 잭(jack)과 결합하여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ower socket includes:
Wherein the power supply is coupled to a power jack connected to a USB port provided in the another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원 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마련된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ncludes:
And a USB port provided on the bod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마련된 복수의 USB 포트 각각에 연결된 USB플러그(plug)와 결합하여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B port
And a USB plug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USB ports provided in the other device, to receive the pow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원 공급부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마련된 USB 포트에 연결된 USB플러그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ncludes:
Wherei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a USB plug connected to a USB port provided in the another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케이블 릴(ree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ody
And a cable reel provided on the body for winding the cab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 공급부는, 제 1USB 플러그이며,
상기 제 2전원 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마련되되, 상기 제 1USB 플러그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 2USB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s a first USB plug,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ncludes:
Wherein the second USB plug is a second USB plug provided on the body and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USB plu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USB 플러그가 상기 제 1USB플러그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이동되도록, 상기 제 2USB 플러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USB plug such that the second USB plug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USB plu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USB플러그는,
상기 바디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USB plug
Wherein the terminal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provided on the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 공급부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ncludes: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from the anothe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6473A 2010-01-25 2010-01-25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91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73A KR101691064B1 (en) 2010-01-25 2010-01-25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73A KR101691064B1 (en) 2010-01-25 2010-01-25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34A KR20110087034A (en) 2011-08-02
KR101691064B1 true KR101691064B1 (en) 2016-12-29

Family

ID=4492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473A KR101691064B1 (en) 2010-01-25 2010-01-25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06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55B1 (en) 2005-08-17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A method for setting the transmitting power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9575B2 (en) * 1993-08-31 1997-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26583A (en) * 2004-09-21 200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versio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peed of wireless lan device
KR100622892B1 (en) * 2004-12-09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ow Power Consump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55B1 (en) 2005-08-17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A method for setting the transmitting power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34A (en)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9393B1 (en) Transmission resource indicat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transmission resource indication system
CN107769825B (e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transmission
US20080020799A1 (en) Data communication car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JP5336459B2 (en) Data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535604B (en) Rate matching method and device
CN111093277A (en) BWP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612778B2 (en) Terminal device capable to operate at a dual power feeding mode for supporting a dual-mode configuration having tw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N116471667A (en) Beam failure request resource alloc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810928B (en) Method for adjusting number of data streams, terminal and MIMO system
KR101673833B1 (en) Double-mode and double-standby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12236964A (en) inter-gNB Xn signaling for NR TDD radio frame configuration and CLI sensitivity
EP4192054A1 (en) Method for splitting end-to-end qos requirement information,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2014005626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ransmission mod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1691064B1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78757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source allocation in sidelink transmission
US2022018301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ceiving data and controlling the same
CN115085861B (e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dication information
US20180316978A1 (en) Outputting an audio segment and/or a video segment of an application at a first device when the audio segment and/or video segment is not output on a second device
KR2012012414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111628B1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EP242378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radio access network device
CN110546914A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2028938B2 (en)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methods, memory,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device
CN113708902B (en) Channel information reporting for dormant bandwidth portions
US20240163730A1 (en) Initial bandwidth par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