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667B1 -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 Google Patents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667B1
KR101690667B1 KR1020140145587A KR20140145587A KR101690667B1 KR 101690667 B1 KR101690667 B1 KR 101690667B1 KR 1020140145587 A KR1020140145587 A KR 1020140145587A KR 20140145587 A KR20140145587 A KR 20140145587A KR 101690667 B1 KR101690667 B1 KR 10169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ope
fixing
swing
impact
rotar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8598A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이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기 filed Critical 이동기
Priority to KR102014014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67B1/en
Publication of KR2016004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5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초보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일단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결속되되,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가 상기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과, 탄성을 갖는 것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탄성로프;와, 상기 회동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를 타고 승·하강하되, 일 끝단은 상기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속 고정되는 회동고리;와, 상기 탄성로프의 타단에 결속되어 상기 탄성로프 타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동고리가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탄성로프의 탄성으로 회동체를 당겨 회동체와 결합되는 파지부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켜, 그 파지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자연적으로 파지부와 함게 회전되게 유도하여, 임팩트 후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갖는 탄성로프를 강제적으로 당기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이 강화되어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to-poles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which is composed of a grasping portion formed as a grip of a golf club so that a beginner can grasp it with both hands,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the rotary body being formed in a generally arcuate shape; a rotating means for allowing the rotary body to rotate relative to the grip portion; A pivoting ring formed on the pivoting body and lifted and lowered by the pivoting body and having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op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When the swing is practiced while the user grasps the grip portion, the swinging ring, which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elastic rope during the swing process, is carried along the arc of the swinging body while the swinging body is pulle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The user's wrist gripping the gripping part is down-swung and is naturally driven to rotate with the gripping part after the impact, so that the user's left arm elbow is naturally bent after the impact And it is attached to the body side so that stable collar throw (FOLLOW THROUGH) can be achieved, which can induce the correct swing posture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shot.
Further, since the elastic rope having elasticity is forcibly pull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sw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arm is naturally strengthened, so that a long distance can be secured easily, and the effect of exercise can be expected.

Description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The wrist posture corrector of Impact-to-Polos

본 발명은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동고리가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탄성로프의 탄성으로 회동체를 당겨 회동체와 결합되는 파지부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켜, 그 파지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자연적으로 파지부와 함게 회전되게 유도하여, 임팩트 후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로 유도하는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to-poles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an impact-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swinging body is forcibly changed by pulling the swinging body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while being transported by riding and the wrist of the user gripping the gripping portion is downswinged, So that after the impact, the user's left arm elbow is not bent and stuck to the body so that stable collar throat can be performed, and the impact is guided to the correct swing posture in which the accuracy of the shot can be enhanced Polosero's wrist posture corrector.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스윙은 준비자세인 어드레스(ADDRESS)에서 시작하여 공의 목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클럽 헤드를 빼주는 테이크 어웨이(TAKE AWAY)를 한 후, 공을 타격할 때의 힘을 축적하기 위해 손목과 그립 부분을 꺽어주는 손목코킹(COCKING)을 하면서 골프클럽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백스윙(BACK SWING)을 만든 다음 힘찬 다운스윙(DOWN SWING)으로 볼을 타격하는 임팩트(IMPACT) 후에 자연스럽게 폴로 스로(FOLLOW THROUGH)를 거쳐서 피니쉬(FINISH) 자세를 잡는다.Generally, in golf, the swing starts from the address (ADDRESS), which is in the ready position, and takes a takeaway to pull out the club hea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arget direction of the ball. Then, in order to accumulate the force when hitting the ball, And the back swing that lifts the golf club above the head while doing the wrist cocking which turns the grip part and then the impact knocked down the ball with the powerful downswing, THROUGH) to get a FINISH position.

여기서, 다운스윙하여 임팩트 후에 몸이 회전하는 원심력에 따라 골프클럽의 그립을 파지한 손목이 자연스럽게 회전(turn)되야만 왼팔의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가 이루어지는데, 초보자는 임팩트 전에 손목코킹이 일찍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왼쪽 팔꿈치가 뒤로 혹은 목표방향으로 꺽이면서 공이 슬라이스 또는 훅 구질로 나와 희망하는 페어웨이로 정확하게 보내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ere, when the wrist which has gripped the grip of the golf club turns naturally according to the centrifugal force that the body rotates after the down-swing and impact, the elbow of the left arm does not turn and strikes on the body to achieve stable polo thr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rist cocking is frequently released earlier, and in this case, the left elbow is bent backward or toward the target direction, and the ball is pulled out of the slice or hook sphere and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nd to the desired fairway.

한편, 초보자들은 최초 스윙 자세가 잘못 설정되면 나중에 바람직한 스윙 자세로 교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최초 스윙 자세를 설정시 바람직한 스윙 자세로 교정함이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very important for beginners to calibrate the initial swing posture to the desired swing posture when the initial swing posture is set incorrectly.

따라서, 초보자의 다운스윙 자세를 바람직하게 교정해줄 수 있는 교정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develop a calibrator capable of properly correcting the downswing posture of the beginn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동고리가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탄성로프의 탄성으로 회동체를 당겨 회동체와 결합되는 파지부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켜, 그 파지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자연적으로 파지부와 함게 회전되게 유도하여, 임팩트 후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로 유도하는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all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ng arm which, when a swing is practiced while a user grasps a grip portion,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swinging member is forcibly changed by pulling the swinging member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while the user's wrist gripping the gripping portion is downswinged by IMPACT Naturally inducing rotation with the grip section to naturally induce the user's left arm elbow to be stuck to the side of the body after the impact so as to achieve stable collar throat so that the accuracy of the shot can be enhanced, To provide a wrist posture calibrator for Polos.

또한,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갖는 탄성로프를 강제적으로 당기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이 강화되어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rope having elasticity is forcibly pull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swing, the strength of the arm is naturally strengthened naturally, so that a long distance can be secured easily. In addition, And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는 초보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일단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결속되되,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가 상기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과, 탄성을 갖는 것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탄성로프;와, 상기 회동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를 타고 승·하강하되, 일 끝단은 상기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속 고정되는 회동고리;와, 상기 탄성로프의 타단에 결속되어 상기 탄성로프 타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an impact, the impact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a grip portion formed as a grip of a golf club for a beginner to grip with both hands;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as a whole; a rotating means for making the rotating body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ip portion; An elastic rope formed on the rotary body and lifted / lowered by the rotary body,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ope, and an elastic rope fixed on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회동고리가 상기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상기 탄성로프의 탄성으로 상기 회동체를 당겨 상기 회동체와 결합되는 상기 파지부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킴으로, When the swing is practiced while the user grasps the grip portion, the swinging ring,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ope during swing, is conveyed by the arc of the swinging body while pulling the swinging body with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By forcib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rotary body,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은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몸이 회전하는 원심력에 따라 상기 회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파지부와 함께 자연스럽게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과, 내부에 관통된 제1회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1고정체와, 내부에 관통된 제2회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2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체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체의 제1회동공에 내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정체의 제2회동공에 내입되어 상기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rist of the user gripping the gripping part is down-swinged and is naturally rotated together with the gripping part rotated by the swinging body according to the centrifugal force in which the body rotates after the impact, so that the user's left- It is attached to the body without breaking, inducing a stable pole throw (FOLLOW THROUGH)
The pivoting means includes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a first pivot hol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grip portion, And a second fixing body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first fixing body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body,
One end of the pivo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vot hol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ivot hol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so as to be fixed relative to the gripping unit .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탄성로프의 타단에 결속되는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고리와 탄성로프 사이 및 상기 탄성로프와 고정끈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fixing strap having one end ti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and a fixing plate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strap,
And an elastic spring disposed between the pivot ring and the elastic rope and between the elastic rope and the fixing strap, respectively.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탄성로프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동고리가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탄성로프의 탄성으로 회동체를 당겨 회동체와 결합되는 파지부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켜, 그 파지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자연적으로 파지부와 함게 회전되게 유도하여, 임팩트 후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ing is practiced while the user grasps the grip portion, the swinging ring,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ope during the swing process,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swinging body is forcibly changed by pulling the swinging body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while being transported by riding and the wrist of the user gripping the gripping portion is downswinged, , And it induces the correct swing posture to enhance the accuracy of shot by inducing stable rotation of the user's left arm elbow after being impacted and attaching to the body without bending naturally after the impact have.

또한,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갖는 탄성로프를 강제적으로 당기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이 강화되어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elastic rope having elasticity is forcibly pull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sw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arm is naturally strengthened, so that a long distance can be secured easily, and the effect of exercise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correcting wrist posture cal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from impact to polos,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from impact to impact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impact-to-pollos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to-polls wrist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the impact in the impact shown in Fig. 1, and Fig.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100)는 파지부(10)와, 회동체(20)와, 회동수단(30)과, 탄성로프(40)와, 회동고리(50)와, 고정수단(6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100 for impact in the imp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portion 10, a rotary body 20, a rotary means 30, (40), a rotating ring (50), and a fixing means (60).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는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어 초보자가 양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grip unit 10 is formed in a grip shape of a golf club so that a beginner can easily grasp the swing with both hands.

여기서, 상기 파지부(1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쿠션과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코팅 형성하여 우수한 파지감과 함께 파지하는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0 is coated with a rubber material having a friction force with a predetermined cushion so as to prevent a gripping hand from slipping along with excellent gripping performance, thereby performing a stable swing practice .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체(20)는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지부(10)의 상부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파지부(10)의 하부에 결속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otary body 20 is formed in an arc shape as a whole, and one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s shown in FIG.

즉,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체(20)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회동체(20) 상에 형성되는 후설될 상기 회동고리(50)에 당겨지면 상기 회동고리(50)가 상기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상기 회동고리(50)가 당기는 힘으로 상기 회동체(20)와 함께 상기 파지부(10)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회전)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S. 3C and 3D, when the pivot member 50 is pulled by the pivot member 50 formed on the pivot member 20 due to the arc-shaped structure of the pivot member 20, The loop 50 is moved along the arc of the rotary body to forcibly change (rotate) the position of the rotary body 20 together with the rotary body 20 by the force that the rotary ring 50 pulls.

따라서,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목이 상기 파지부(10)와 함께 회전(turn)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wrist of the user holding the gripper 1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gripper 10.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회동체(20)가 상기 파지부(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1 and 2, the pivoting means 30 allows the pivoting body 20 to rotate relative to the gripper 10,

상기 파지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31)과, 상기 파지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32)과, 내부에 관통된 제1회동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31)에 삽입 고정되는 제1고정체(33)와, 내부에 관통된 제2회동공(34a)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32)에 삽입 고정되는 제2고정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first insertion groove 3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 second insertion groove 3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nd a first rotation hole 33a A first fixing member 33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31 and a second rotation hole 34a penetrating the first fixing member 33 are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2, And a second fixing body (34)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회동체(20)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체(33)의 제1회동공(33a)에 내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정체(34)의 제2회동공(34a)에 내입되어 상기 파지부(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One end of the rotary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ry hole 33a of the first fixing body 33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ry hole 34a of the second fixing body 34 And is fix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grip portion (10).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로프(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회동고리(5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설될 상기 고정수단(60)과 연결되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 제작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lastic rope 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elastic rope 4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ring 50 at one end and the fixing means 60 So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여기서, 상기 탄성로프(40)는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하여 스윙 연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고리(50)를 탄력적으로 당기게 되는데, 상기 탄성로프(40)의 탄성력이 너무 높으면 힘이 약한 여자나 노약자가 스윙 연습하기가 다소 곤란함으로, 남성용으로는 다소 높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로프(40)를 사용하고, 여성용으로는 다소 낮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로프(4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astic rope 40 elastically pulls the pivot 50 when the user grasps the grip 10 and performs swing exercises.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rope 40 is too high It is preferable to use the elastic rope 40 having a somewhat higher elastic force for men and the elastic rope 40 having a somewhat lower elastic force for women because a weak woman or an elderly person is somewhat difficult to practice swing .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고리(50)는 상기 회동체(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20)를 타고 승·하강하되, 일 끝단은 상기 탄성로프(40)의 일단에 결속 고정되도록 한다.1 and 2, the pivot 50 is formed on the pivot 20 and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pivot 20, and one end of the pivot 5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rope 40, As shown in Fig.

즉,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과정에서 상기 회동고리(50)는 상기 회동체(20)의 원호를 타고 이송하면서 상기 회동체(20)의 위치(회전)을 설정하여 상기 회동체(20)와 결합되는 상기 파지부(10)의 회전을 설정한다.3C and 3D, during the swing process, the rotation ring 50 rotates by setting the position (rotation) of the rotary body 20 while conveying the circular arc of the rotary body 20, And sets the rotation of the gripper 10 coupled with the body 20.

여기서, 상기 회동고리(50)는 상기 회동체(20)에 간편히 탈착할 수 있도록 내부를 간편히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의 고리를 사용하여, 제품을 상기 파지부(10)와 회동체(20)와 회동수단(30), 상기 탄성로프(40)와 회동고리(50)와 고정수단(60)으로 구분되게 분리하여 제품의 보관 및 이송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ivot 50 may be formed by using a ring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pivot 50 so that the pivot 5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ivot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means 30, the elastic rope 40, the rotating ring 50 and the fixing means 60 are separated so as to ensure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the product.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탄성로프(40)의 타단에 결속되어 상기 탄성로프(40) 타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1 and 2, the fixing means 6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40 to fix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40,

일단이 상기 탄성로프(40)의 타단에 결속되는 고정끈(61)과, 상기 고정끈(61)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고정판(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fixing plate 6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40 and a flat plate 6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cord 61. [

여기서, 다소 힘이 약한 여자나 노약자의 경우에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40)의 탄성에 노출되는 시점에 상기 탄성로프(40)의 다소 높은 탄성력으로 인해 스윙 동작이 부드럽게 연결되지 않고 끊어져 스윙 연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Here, in the case of a weaker or weaker person, when the elastic rope 40 is exposed to elasticity during the swing process, the swing motion is not smoothly connected due to a somewhat high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rope 40, Because it may interfere with practice,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고리(50)와 탄성로프(40) 사이 및 상기 탄성로프(40)와 고정끈(61)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스프링(70);을 위치시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40)의 탄성에 노출되는 시점에서 1차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70)이 미약한 탄성력으로 먼저 팽창하면서,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으로 다소 높은 탄성력으로 상기 탄성로프(40)가 팽창하도록 유도하여, 힘이 약한 여자나 노약자도 부드러운 스윙 연습과 함께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n elastic spring 70 positioned between the pivot 50 and the elastic rope 40 and between the elastic rope 40 and the fixing strap 61 as shown in Figures 1 and 2, 3B, the elastic spring 70 firstly expands first with a weak elastic force at the time of being exposed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40 while swinging, as shown in FIGS. 3C and 3D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rope 40 is secondarily inflated with a somewhat high elastic force so that a weak woman or a weak person can perform an effective strength exercise with smooth swing practi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100)은 다음과 같이 설치하여 스윙 연습을 수행한다.In the imp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100 for the poloseroos is installed as follows to perform the swing practice.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고리(50)를 회동체(20)에 간편히 결속시킨 후에 사무실이나 집 등에 설치되는 문(1)과 문틀(2) 사이로 고정수단(60)의 고정끈(61)을 내입하여 상기 고정끈(61)에 결속되는 고정판(62)이 문(1)과 문틀(2) 사이에 걸려 고정되게 설치한다.First, as shown in FIG. 3A, after the pivot 50 is easily coupled to the rotary body 20, a fixing strap (not shown) is fastened between the door 1 and the door frame 2, The fixing plate 62 engaged with the fixing strap 61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 1 and the door frame 2 so as to be fixed therebetween.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파지부(1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는데, 다운스윙 과정에서는 상기 회동고리(50)가 상기 회동체(20)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고,3B, the user exercises the swing while grasping the grip 10 with both hands. In the downswing process, the swinging ring 50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swing body 20 Located,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팩트 후에는 상기 회동고리(50)가 상기 회동체(20)의 원호를 타고 이동되면서 탄성로프(40)의 탄성력으로 상기 회동체(20)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회동체(20)는 상기 회동고리(50)로 인해 상기 파지부(10)와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목이 상기 파지부(10)와 함께 자연스럽게 회전되므로 임팩트 후에 손목이 회전되는 올바른 스윙 자세가 강제적으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3C, after the impact, the pivot 50 is moved along the circular arc of the pivot body 20 to pull the pivot body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rope 40, The moving body 2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grip portion 10 by the pivotal hook 50. Since the wrist of the user gripping the gripper 10 is naturally rotated together with the gripper 10, a correct swing posture in which the wrist is rotated after the impact is forcibly set.

상기와 같이 임팩트 후에 자연스럽게 손목이 회전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으로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wrist is naturally rotated after the impact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rm elbow of the user is stuck to the body without being bent, as shown in FIG. 3D, so that the pole is throttled stably.

여기서,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고리(50)를 탄력적으로 당기는 상기 탄성로프(40)로 인해 상기 회동고리(50)가 위치되는 상기 회동체(20)는 회동수단(30)을 통해 상기 파지부(10)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상대회동 하여 스윙을 방해하지 않는 적합한 위치로 설정되어 사용자의 안정적인 스윙을 유도함은 물론이다.3b to 3d, the rotary body 20, in which the rotary ring 50 is positioned, is rotated by the elastic rope 40 that elastically pulls the rotary ring 50, So that the swing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the grip portion 10, thereby inducing a stable swing of the user.

한편,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40)가 당겨지면서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팔의 완력으로 상기 탄성로프(40)를 당기게 되므로 스윙을 연습 과정에서 스윙 자세를 교정함과 동시에, 팔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B to 3D, the elastic rope 40 is stretched while being stretched in a swinging process. At this time, the user naturally pulls the elastic rope 40 with the force of the arm,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arm while correcting the swing posture in the course.

상기와 같이 스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임팩트 후에 손목이 회전하는 올바른 스윙 자세가 몸에 자연스럽게 숙달되므로 샷의 정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swing is repetitive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 swing posture in which the wrist rotates after the impact is naturally mastered by the body, so that the accuracy of the shot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상기와 같은 스위 연습이 완료되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회동고리(50)와 회동체(20)를 간편히 분리 해체하여 상기 파지부(10)와 회동체(20)와 회동수단(30), 상기 탄성로프(40)와 회동고리(50)와 고정수단(60)으로 구분하여 보관하면 된다.3E, the user easily separates the rotary member 50 and the rotary member 20 to separate the rotary member 20 and the rotary unit 20 30, and the elastic rope 40, the pivot 50, and the fixing means 60 may be separately stored.

즉,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100)는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40)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회동고리(50)가 회동체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상기 탄성로프(40)의 탄성으로 상기 회동체(20)를 당겨 상기 회동체(20)와 결합되는 상기 파지부(10)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켜, 그 파지부(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자연적으로 상기 파지부(10)와 함게 회전되게 유도하여, 임팩트 후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100 of the wrist posture correcting device 100, when the swing is practiced while the user grasps the gripper 10, The pivot 50 is moved on the arc of the pivotal body to pull the pivotal body 20 with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ope 4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ipper 10 coupled with the pivotal body 20 is forced The user's wrist gripping the gripping portion 10 is down-swung and is naturally driven to rotate with the gripping portion 10 after the impact, so that after the impact, The elbow does not bend and sticks to the body so that stable collar throat can be achieved, which leads to correct swing posture that can enhance the accuracy of the shot.

또한,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갖는 상기 탄성로프(40)를 강제적으로 당기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이 강화되어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elastic rope 40 having elasticity is forcibly pulled in the course of practicing the sw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arm is naturally strengthened, so that a long distance can be easily secured, and the effect of exercise can be expected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echnical ideas thereof.

1. 문 2. 문틀
10. 파지부 20. 회동체
30. 회동수단 31. 제1삽입홈
32. 제2삽입홈 33. 제1고정체
33a. 제1회동공 34. 제2고정체
34a. 제2회동공 40. 탄성로프
50. 회동고리 60. 고정수단
61. 고정끈 62. 고정판
70. 탄성스프링
100.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1. Door 2. Door frame
10. Finger section 20. Rotator
30. Rotating means 31. First insertion groove
32. Second insertion groove 33. First fixing member
33a. The first pupil 34. The second fixed body
34a. 2nd Pupil 40. Elastic rope
50. Rotating ring 60. Securing means
61. Fixing strap 62. Fixing plate
70. Elastic spring
100. Wrist posture corrector from Impact to Polos

Claims (4)

초보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부(10);
일단은 상기 파지부(10)의 상부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파지부(10)의 하부에 결속되되,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회동체(20);
상기 회동체(20)가 상기 파지부(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30);
탄성을 갖는 것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탄성로프(40);
상기 회동체(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20)를 타고 승·하강하되, 일 끝단은 상기 탄성로프(40)의 일단에 결속 고정되는 회동고리(50); 및
상기 탄성로프(40)의 타단에 결속되어 상기 탄성로프(40) 타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40)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회동고리(50)가 상기 회동체(20)의 원호를 타고 이송되면서 상기 탄성로프(40)의 탄성으로 상기 회동체(20)를 당겨 상기 회동체(20)와 결합되는 상기 파지부(10)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회전)시킴으로,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다운스윙(DOWN SWING)하여 임팩트(IMPACT) 후에 몸이 회전하는 원심력에 따라 상기 회동체(2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파지부(10)와 함께 자연스럽게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왼팔 팔꿈치가 꺽이지 않고 몸쪽에 붙어 안정적인 폴로 스루(FOLLOW THROUGH)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파지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31)과, 상기 파지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32)과, 내부에 관통된 제1회동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31)에 삽입 고정되는 제1고정체(33)와, 내부에 관통된 제2회동공(34a)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32)에 삽입 고정되는 제2고정체(3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체(20)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체(33)의 제1회동공(33a)에 내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정체(34)의 제2회동공(34a)에 내입되어 상기 파지부(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A grip portion 10 formed as a grip of a golf club so that a beginner can grip the golf club with both hands;
A rotary body 20 having one end bou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bou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nd formed in an arc shape as a whole;
Rotating means (30) for rotating the rotary body (20) relative to the grasping portion (10);
An elastic rope (40) having elasticity and having a long length;
A rotating ring 50 formed on the rotary body 20 and lifted and lowered by the rotary body 20 and having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ope 40; And
And a fixing means 6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40 to fix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40,
When the swing is practiced while the user grasps the gripper 10, the swinging ring 50,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ope 40 during swing, is transferred along the arc of the swing body 20 The rotation of the elastic rope 40 pulls the rotary body 20 and forcibly changes (rotates) the position of the rotary body 20 coupled with the rotary body 20,
The user's wrist gripping the gripping part 10 is down-swinged and the gripping part 10 is rotated by the rotary body 20 in accordance with the centrifugal force that the body rotates after the impact Since it rotates naturally, the user's left arm elbow is not bent and is stuck to the body, thereby inducing stable collar throat,
The pivoting means 30 includes a first insertion groove 3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a second insertion groove 3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 The first fixing hole 33a is formed in the first fixing hole 33a and the second fixing hole 33a is formed in the first fixing hole 33. The first fixing hole 33a is formed in the first fixing hole 33a, And a second fixing body (34)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2)
One end of the rotary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ry hole 33a of the first fixing body 33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ry hole 34a of the second fixing body 34,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grip portion (1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0)은 일단이 상기 탄성로프(40)의 타단에 결속되는 고정끈(61)과, 상기 고정끈(61)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고정판(6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고리(50)와 탄성로프(40) 사이 및 상기 탄성로프(40)와 고정끈(61)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스프링(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ans 60 includes a fixing strap 61 having one end ti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ope 40 and a fixing plate 62 having a flat plate shape boun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strap 61 ≪ / RTI >
And an elastic spring (70) disposed between the pivotal hook (50) and the elastic rope (40) and between the elastic rope (40) and the fixing strap (61) Slow wrist posture calibrator.
삭제delete
KR1020140145587A 2014-10-24 2014-10-24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KR101690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587A KR101690667B1 (en) 2014-10-24 2014-10-24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587A KR101690667B1 (en) 2014-10-24 2014-10-24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98A KR20160048598A (en) 2016-05-04
KR101690667B1 true KR101690667B1 (en) 2016-12-28

Family

ID=5602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587A KR101690667B1 (en) 2014-10-24 2014-10-24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66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364Y1 (en) 1999-11-26 2000-06-01 송정식 Power impact device for golf sw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358B1 (en) * 1995-11-24 1998-12-01 노덕남 Golf swing muscle training device
KR20100007516U (en) * 2009-01-15 2010-07-23 이병길 The golf swing and golf muscle training device
KR20110007379U (en) * 2010-01-18 2011-07-26 이병길 The golf swing and golf muscle tr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364Y1 (en) 1999-11-26 2000-06-01 송정식 Power impact device for golf sw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98A (en)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5540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AU761164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US7789765B2 (en) Golf training aid for pendulum putting motion and accepted chipping motion
JP5997436B2 (en) Swing training equipment for athletics and how to use it
JP4106081B2 (en) Golf glove
US9233290B2 (en) Wrist training device for a golf swing and putting stroke
US20110201439A1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KR101690667B1 (en) The impact of follow through from the wrist posture corrector
JP2019509800A (en) Swing equipment
US20120034988A1 (en) Golf swing aid
US9814960B1 (en) Golf training aid
JP2001170238A (en) Golf practicing device
KR101757916B1 (en) Down swing posture straightener
KR102237850B1 (en) Golf club with ribbon for swing exercise
JP2012075715A (en)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100289B1 (en) Flat down swing training device
KR101120849B1 (en) The putting practice system
US11717736B2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1431249B1 (en) Golf stick for swing practice
US20240149128A1 (en) Tennis serve toss training aid
JP3089680U (en) Golf swing practice grip
JP3974601B2 (en) Golf swing straightener
KR20220101042A (en) A rope for golf swing
JP2021122418A (en) Golf practice tool and golf swing practice method
KR101079246B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s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