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64B1 -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264B1
KR101690264B1 KR1020100100677A KR20100100677A KR101690264B1 KR 101690264 B1 KR101690264 B1 KR 101690264B1 KR 1020100100677 A KR1020100100677 A KR 1020100100677A KR 20100100677 A KR20100100677 A KR 20100100677A KR 101690264 B1 KR101690264 B1 KR 10169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ype
image
termina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146A (ko
Inventor
나승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64B1/ko
Priority to CN201610860333.0A priority patent/CN107092614B/zh
Priority to US13/814,970 priority patent/US9576195B2/en
Priority to CN201180045907.4A priority patent/CN103119593B/zh
Priority to PCT/KR2011/005209 priority patent/WO2012020927A1/ko
Publication of KR2012003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46A/ko
Priority to US15/345,567 priority patent/US103801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7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extracting optical codes from image or text carrying said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하나의 통합된 바코드 체계를 그룹핑하여 정리하고 현존하는 바코드의 주요 정보와 매핑하여 가장 적합한 디코도로 분배하여 줌으로써 탄력적인 검색 과정을 유도하여 통합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여 디코더를 선택하여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코드를 인식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에 따른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에 따른 색상으로 구분,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에 따른 특정 패턴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코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각각 다른 바코드 리더기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multi code cognition and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되는 코드영상을 분석하여 코드종류를 구분하고, 구분된 코드종류에 따른 디코더를 통해 코드에 매칭된 색인어를 추출하여 결과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는 통합 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굵기가 서로 다른 바(black bar)와 그 사이에 있는 스페이스(white bar)의 조합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등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쉽게 부호화한 것으로 데이터의 입력이 간편하고 자료처리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여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바와 스페이스의 연속적인 배열로 데이터를 나타내고, 바코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전후방 여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코드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바코드 심벌에 빛을 조사하고, 이 심벌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량을 검출하면 된다. 즉, 바코드의 검은 막대 부분인 바는 적은 량의 빛을 반사하지만, 하얀 막대부분인 스페이스는 많은 량의 빛을 반사한다. 이때, 바코드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면 컴퓨터가 인식하는 0과 1의 비트로 바코드를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1차원 바코드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2차원 바코드가 개발되었다. 여기서, 2차원 바코드는 양축 즉,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데이터를 배열시켜 평면화 시킨 것으로서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가지는 문제점인 데이터 표현의 제한성, 즉 선적용 패키지와 같이 로트 번호, 구매 주문 번호, 수취자, 수량 기타정보 등의 다양한 내용을 바코드로 표현하여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동반 시킴으로써 대상물의 이동과 함께 데이터가 수반 되도록 할 때의 많은 데이터의 표현이 불가능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2차원 바코드는 포터블 데이터 파일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두 컴퓨터 사이에서 바코드는 데이터 교환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브리지의 개념도 가지게 된다. 즉,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출력된 데이터 파일은 2차원 심볼로 표현되어 타 컴퓨터 시스템에 키보드를 치지 않고 재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1차원 바코드와 2차원 바코드 이에 추가적으로 컬러코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인식 모듈이 개별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인식의 불편함과 제한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코드인식장치 및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코드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색상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패턴을 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코드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으면,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다수의 결과데이터에 따른 상품명, 가격 및 세부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물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코드인식장치와 코드인식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단말제어부는 코드인식장치로 촬영된 코드영상을 전송하고, 코드영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코드인식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는 단말기와 코드인식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에 있어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코드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검색율이 높은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은 코드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와,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분석하는 단계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분석하는 단계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분석하는 단계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색상을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분석하는 단계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단계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단계는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코드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색인어를 검색하는 단계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는 단계 및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와,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통합된 바코드 체계를 그룹핑하여 정리하고 현존하는 바코드의 주요 정보와 매핑하여 가장 적합한 디코도로 분배하여 줌으로써 탄력적인 검색 과정을 유도하여 통합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여 디코더를 선택하여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코드를 인식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에 따른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에 따른 색상으로 구분,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에 따른 특정 패턴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코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각각 다른 바코드 리더기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코드인식장치의 연동을 통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동하는 코드인식장치에 대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와 연동하는 단말기에 대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의 디코더 기능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코드영상을 디코딩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기기, 일반 유선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100)은 단말기(10), 코드인식장치(20) 및 통신망(30)으로 구성된다.
통신망(30)은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100)에서 단말기(10) 및 코드인식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통신망(30)은 단말기(10) 및 코드인식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30)은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 중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10)는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하여 코드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Red, Blue, Green),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단말기(10)는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코드종류를 인식한다.
단말기(10)는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Quick Response)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Matrix)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맥시(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단말기(10)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코드인식장치(20)로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영상을 코드인식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코드인식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영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통해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코드인식장치(20)에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을 요청하여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하고, 코드영상을 촬영하여 코드인식장치(20)로 전송하고, 코드영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코드인식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제시한다.
코드인식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코드인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코드인식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코드인식장치(20)는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이때,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코드인식장치(20)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코드인식장치(20)는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여기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이때,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코드인식장치(20)는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코드인식장치(20)는 다수의 결과에 따른 상품명, 가격 및 세부사항 등의 항목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통합된 바코드 체계를 그룹핑하여 정리하고 현존하는 바코드의 주요 정보와 매핑하여 가장 적합한 디코도로 분배하여 줌으로써 탄력적인 검색 과정을 유도하여 통합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여 디코더를 선택하여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코드를 인식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에 따른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에 따른 색상으로 구분,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에 따른 특정 패턴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코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각각 다른 바코드 리더기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카메라부(14), 단말저장부(15), 오디오처리부(16) 및 단말통신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하여 카메라부(14)를 통해 코드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코드종류를 인식한다.
단말제어부(11)는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코드인식장치(20)로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영상을 코드인식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제어부(11)는 코드인식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영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통해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코드인식장치(20)에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을 요청하여,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승인되는 경우,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을 촬영하여 코드인식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제어부(11)는 코드영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코드인식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제시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는 코드인식 서비스를 통해 카메라부(14)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에서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코드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촬영된 코드영상에 따른 결과데이터를 표시한다.
카메라부(14)는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4)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카메라부(14)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카메라부(14)는 수집되는 영상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한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부(14)는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3)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코덱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14)는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코드영상을 촬영한다.
단말저장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저장부(15)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저장부(15)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영상을 촬영하는 프로그램, 코드영상을 분석하는 프로그램,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코드종류에 연관된 디코더를 선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는 프로그램, 색인어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및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코드영상에 대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1차원 바코드 인식을 위한 바코드 디코더,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 인식을 위한 QR코드 디코더,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 인식을 위한 매트릭스 코드 디코더,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 인식을 위한 maxi 코드 디코더 및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 인식을 위한 컬러 코드 디코더 등이 저장된다.
오디오처리부(16)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6)는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7)는 단말기(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통신부(17)는 통신망(30)을 통해 코드인식장치(20)와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7)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단말통신부(17)는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데이터통신 케이블로 코드인식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20)는 제어부(21), 저장부(22) 및 통신부(23)으로 구성된다.
제어부(21)는 코드인식장치(2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코드인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단말기(10)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이때, 제어부(21)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제어부(21)는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코드종류를 인식한다.
제어부(21)는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제어부(21)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1)는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저장부(22)는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22)는 코드인식장치(2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영상을 촬영하는 프로그램, 코드영상을 분석하는 프로그램,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코드종류에 연관된 디코더를 선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는 프로그램, 색인어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및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2)는 코드영상에 대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2)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2)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2)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2)는 1차원 바코드 인식을 위한 바코드 디코더,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 인식을 위한 QR코드 디코더,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 인식을 위한 매트릭스 코드 디코더,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 인식을 위한 maxi 코드 디코더 및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 인식을 위한 컬러 코드 디코더 등이 저장된다.
통신부(23)는 단말기(10)와 통신망(30)을 통해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를 이용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11 단계에서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카메라를 통해 코드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코드영상이 분석되면, 단말기(10)는 S17 단계에서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코드종류가 검색되면, 단말기(10)는 S19 단계에서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선택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21 단계에서 선택된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코드가 판독되면, 단말기(10)는 S23 단계에서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한편,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색인어의 검색에 따라 단말기(10)는 S25 단계에서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통합된 바코드 체계를 그룹핑하여 정리하고 현존하는 바코드의 주요 정보와 매핑하여 가장 적합한 디코도로 분배하여 줌으로써 탄력적인 검색 과정을 유도하여 통합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여 디코더를 선택하여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코드를 인식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에 따른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에 따른 색상으로 구분,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에 따른 특정 패턴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코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각각 다른 바코드 리더기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코드인식장치의 연동을 통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코드인식장치(20)의 연동을 통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31 단계에서 코드인식장치(20)로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코드인식장치(20)는 S33 단계에서 단말기(10)로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승인되면, 단말기(10)는 S35 단계에서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37 단계에서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S39 단계에서 촬영된 코드영상을 코드인식장치(20)로 전송한다.
코드영상이 수신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41 단계에서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코드영상이 분석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43 단계에서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코드인식장치(20)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코드종류가 검색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45 단계에서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코드가 판독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47 단계에서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한편,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코드인식장치(20)는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색인어의 검색에 따라 코드인식장치(20)는 S49 단계에서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코드인식장치(20)는 S51 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53 단계에서 결과데이터를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동하는 코드인식장치에 대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연동하는 코드인식장치(10)에 대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에 있어서, 코드인식장치(20)는 S61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요청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63 단계에서 단말기(10)로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을 승인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코드인식장치(20)는 S65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에 따른 코드영상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한편,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코드인식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요청되는지 감지하는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코드영상이 수신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67 단계에서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한편, 코드영상이 수신되지 않으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의 수신을 대기한다.
코드영상이 분석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69 단계에서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여기서, 코드인식장치(20)는 분석된 코드영상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코드종류가 검색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71 단계에서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선택한다. 그리고고, 코드인식장치(20)는 S73 단계에서 선택된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QR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maxi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maxi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고,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코드를 추출한다.
코드가 판독되면, 코드인식장치(20)는 S75 단계에서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한다. 한편,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코드인식장치(20)는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색인어의 검색에 따라 코드인식장치(20)는 S77 단계에서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코드인식장치(20)는 S79 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와 연동하는 단말기에 대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20)와 연동하는 단말기(10)에 대한 다중 코드 인식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91 단계에서 코드인식장치(20)로 코드인식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93 단계에서 코드인식장치(20)로부터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 승인 신호를 수신한다.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승인되면, 단말기(10)는 S95 단계에서 코드인식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97 단계에서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S99 단계에서 촬영된 코드영상을 코드인식장치(20)로 전송한다. 한편,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이 승인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코드인식장치(20)로 코드인식 서비스 실행을 재 요청할 수 있다.
코드영상을 전송하고 나서, 단말기(10)는 S101 단계에서 코드영상에 따른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103 단계에서 수신된 결과데이터를 제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물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결과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결과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코드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차원 바코드는 문자, 숫자, 또는 특수 기호를 판독하기 쉽도록 정보를 표현하는 부호체계를 가진다. 또한, 1차원 바코드는 대중적인 부호체계이며, 수평방향으로만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고, 대 20자 정도의 정보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는 QR 코드, maxi 코드, 매트릭스 코드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QR 코드는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가짐으로 기록할 수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킨 코드이다. 또한, maxi 코드는 행렬 코드로써, 일련의 정방형의 점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오히려, maxi 코드는 866개의 연동하고 있는 육각형이 1 인치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며, 레이저와 같은 고해상도의 프린터를 통해 인식 가능하여 높은 데이터 안전을 가진다. 또한, 매트릭스 코드는 많은 정보를 매우 작은 공간에 저장하기 위해 설계된 2차원의 행렬 코드이며, 매트릭스 심볼이 1 ~ 500 문자를 저장 할 수 있습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컬러 코드는 적색, 흑색, 녹색 및 청색의 4가지 색상을 이용해 각종 디지털 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인식장치의 디코더 기능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인식장치(20)는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분하고,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등과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고,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등과 같은 색상으로 구분하고,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근접한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한다. 즉, 코드인식장치(20)는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코드인식장치(20)는 코드 형태가 1차원 바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바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여 코드를 추출하고,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QR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QR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여 코드를 추출하고, 코드 형태가 2차원 바코드 중 매트릭스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매트릭스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여 코드를 추출하고, 코드 형태가 컬러코드 또는 문자 코드로 검색되는 경우, 컬러 코드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여 코드를 추출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장치, PMP, PDA,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장치에 적용되어,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통합된 바코드 체계를 그룹핑하여 정리하고 현존하는 바코드의 주요 정보와 매핑하여 가장 적합한 디코도로 분배하여 줌으로써 탄력적인 검색 과정을 유도하여 통합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여 디코더를 선택하여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코드를 인식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에 따른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에 따른 색상으로 구분,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에 따른 특정 패턴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코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각각 다른 바코드 리더기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다.
10: 단말기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카메라부
15: 단말저장부
16: 오디오처리부
17: 단말통신부
20: 코드인식장치
21: 제어부
22: 저장부
23: 통신부
30: 통신망
100: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

Claims (25)

  1.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상기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상기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상기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코드인식장치; 및
    상기 코드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상기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상기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상기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는 상기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시스템.
  2. 코드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상기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상기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상기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색상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패턴을 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드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다수의 결과데이터에 따른 상품명, 가격 및 세부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교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2항에 있어서,
    코드인식장치와 코드인식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코드인식장치로 상기 촬영된 코드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상기 코드인식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단말기와 코드인식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코드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상기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상기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상기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인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인식장치.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드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인식장치.
  16. 삭제
  17. 코드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코드영상에 대한 데이터 타입, 색상 및 특정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코드영상의 분석에 따라 검색율이 높은 코드종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검색율이 높은 하나의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검색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드종류를 재검색하고, 상기 재검색된 다른 코드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통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 판독이 가능하면, 상기 판독된 코드에 매핑되는 색인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색인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영상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또는 문자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형태로 구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숫자, 문자 및 진수법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단색, RGB, 2색상 이상 및 8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색상을 구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영상에 대한 모양, 무늬 및 특정점의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22. 삭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종류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영상을 좌에서 우 방향,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그물망 형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드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코드 인식 방법.
  24. 삭제
  25. 삭제
KR1020100100677A 2010-08-09 2010-10-15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69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77A KR101690264B1 (ko) 2010-10-15 2010-10-15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N201610860333.0A CN107092614B (zh) 2010-08-09 2011-07-15 集成图像搜索终端、设备及其服务方法
US13/814,970 US9576195B2 (en) 2010-08-09 2011-07-15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CN201180045907.4A CN103119593B (zh) 2010-08-09 2011-07-15 集成图像搜索系统及其服务方法
PCT/KR2011/005209 WO2012020927A1 (ko) 2010-08-09 2011-07-15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15/345,567 US10380170B2 (en) 2010-08-09 2016-11-08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77A KR101690264B1 (ko) 2010-10-15 2010-10-15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08A Division KR101756981B1 (ko) 2016-11-02 2016-11-02 다중 코드 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46A KR20120039146A (ko) 2012-04-25
KR101690264B1 true KR101690264B1 (ko) 2017-01-09

Family

ID=4613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677A KR101690264B1 (ko) 2010-08-09 2010-10-15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00B1 (ko) 2018-11-26 2019-07-10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동일 이미지 식별정보 생성 시스템
KR20200082632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멀티 포인트 다중 해쉬 값을 이용한 이미지 권리 확인 시스템
KR20200082639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X-ray 이미지 최적화를 통해 판독률이 향상된 X-ray 판독시스템
KR20200087333A (ko) 2018-12-31 2020-07-21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웹 사이트에 대한 이미지 권리 확인 감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7334A (ko) 2018-12-31 2020-07-21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권리 확인된 이미지 융합을 통한 신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3510A (ko) 2018-12-31 2020-08-05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X-ray 이미지 최적화를 통해 판독률이 향상된 X-ray 판독시스템
KR20210016011A (ko) 2018-12-31 2021-02-10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멀티 포인트 다중 해쉬 값을 이용한 이미지 권리 확인 시스템
KR20210016595A (ko) 2018-12-31 2021-02-16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권리 확인된 이미지 융합을 통한 신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5236A4 (en) * 2014-10-30 2016-11-30 Ming Cui FOUR-DIMENSIONAL CODES, IMAGE IDENTIFICATION SYSTEM AND IMAGE IDENTIFICATION METHODS BASED ON THE FOUR-DIMENSIONAL CODE, AND THE RECOVERY SYSTEM AND THE RECOVERY METHOD
KR102659734B1 (ko) * 2019-10-31 2024-04-22 주식회사 크래비스 정보 코드 패턴 판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10B1 (ko) * 2005-08-12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양한 형식의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74911A (ko) * 2006-01-11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한 물품가격 비교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00B1 (ko) 2018-11-26 2019-07-10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동일 이미지 식별정보 생성 시스템
KR20200082632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멀티 포인트 다중 해쉬 값을 이용한 이미지 권리 확인 시스템
KR20200082639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X-ray 이미지 최적화를 통해 판독률이 향상된 X-ray 판독시스템
KR20200087333A (ko) 2018-12-31 2020-07-21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웹 사이트에 대한 이미지 권리 확인 감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7334A (ko) 2018-12-31 2020-07-21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권리 확인된 이미지 융합을 통한 신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3510A (ko) 2018-12-31 2020-08-05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X-ray 이미지 최적화를 통해 판독률이 향상된 X-ray 판독시스템
KR20210016011A (ko) 2018-12-31 2021-02-10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멀티 포인트 다중 해쉬 값을 이용한 이미지 권리 확인 시스템
KR20210016595A (ko) 2018-12-31 2021-02-16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권리 확인된 이미지 융합을 통한 신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46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264B1 (ko)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US108175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objects in an environment
KR101860569B1 (ko) 문자 및 바코드를 동시에 인식하는 문자 및 바코드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0487633C (zh) 信息处理装置、显示方法、通知方法
JP7167279B2 (ja) 多数の復号可能な証印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
Siltanen et al. Implementing a natural user interface for camera phones using visual tags
US106001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the existence of accessible information pertaining to articles of commerce
JP6609434B2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方法及び管理サーバ
CN101185082A (zh) 用于数据形式解码的系统和方法
KR101756981B1 (ko) 다중 코드 인식 장치 및 방법
US87020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code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EP2733641B1 (en) Mobile computer configured to read multiple decodable indicia
US7058308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multimedia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s by means of IR ray
TWI485627B (zh) 實體物件的掃描辨識方法及其應用程式
Zhu et al. The optical system design and application of micro 2D bar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